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재학 중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 참여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에 미치는 영향 - 취업여부, 고용형태, 일자리 만족도를 중심으로 -

        노경란,박용호,허선주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s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on college graduates's employment and job satisfaction. To analyze results for this study, data of 2008GOMS1(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ere used. Study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of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effects positively on employability, employment in the full-time job, and job satisfaction. Secondly, the study results identified that individual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gender and mother's eentified level affect positively employability, employment in the full-time job,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the study results showed university's efforts for improving i stufrastructure and curriculum affects employment of graduates. Lastly, this study identified clarifying the career goals and ability/skills development activities during college eentition influence on college graduates' employ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university give efforts of enhancing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ervices to improve the employability and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대학 재학 중 대학 기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에 대한 경험이 대졸자의 취업 및 고용형태, 그리고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국고용정보원의 ‘2008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재학 중 경험하는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에 대한 대졸자의 주관적 유익성 인식이 대졸자의 취업가능성, 정규직으로의 진입 가능성, 취업 후 일자리에 대한 만족감 향상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모의 학력수준 등의 개인적 특성이 대졸자의 취업, 정규직 진입, 그리고 취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인프라, 교육과정 등 대학의 자체적인 변화 개선 노력이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재학 중 진로목표의 명확화와 이를 성취하기 위한 능력개발이 대졸자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졸자의 괜찮은 일자리로의 취업가능성 및 일자리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입국 초기 새터민의 진로개발을 위한 직업카드분류법의 적용 연구

        노경란,전연숙 한국직업교육학회 2009 職業 敎育 硏究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ilities of vocational card sort as a leaning method for the North Korea defectors at entrance early stage to improve their career decision status. To achieve this objective, vocational card sort was performed for 331 participants. And participants had taken assessment tests related to career indecision level before and after performing vocational card sort. Paired comparison t-test, t-test, ANOVA were used as statistical methods to demonstrate the difference of career indecision level between pre-participation and post-participation. To sum up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ir career indecision level decreased after taking part in vocational card sort. Second, sub-factors of career indecision were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on except only motivation factor. Concretely, it was shown effective to improve lack of determination, deficiencies in knowledge of career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conflict between career and themselves, conflict between surroundings and themselves. Third, it was demonstrated different chang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attribute such as education background, the length of their stay third countries, whether having children or not. 이 연구의 목적은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을 적용하여 활동 참여자 개인적 변인에 따라 진로미결정 변화를 사전-사후 비교해 봄으로써 새터민 진로개발의 구체적 학습방법으로서 직업카드분류법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활용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고자 입국 초기 새터민 31명을 대상으로 직업카드분류법 활동을 전개한 후, 진로미결정 수준에서의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입국 초기 새터민은 직업카드 분류 활동을 참여하기 전에 비하여 참여한 후에 진로미결정 수준이 낮아졌다. 둘째, 진로미결정 수준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동기 부족 요인을 제외하고 결단성 부족,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자신에 대한 이해 부족,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 외적인 조건들과 자신간의 갈등 등의 요인에서 참여 전후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업카드 분류 활동 참여 전후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과 가족동반 입국 상태에 따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학력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과 직업과 자신간의 갈등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한 차이가 상대적으로 컸다. 또한 제3국가 체류의 기간이 짧을수록 직업카드 분류 활동 후 직업에 대한 지식 부족 상태가 더 크게 호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있는 집단과 남한에 거주 중인 동거 예정 가족이 있는 집단에서 결단성 부족의 감소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①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은 짧은 시간 내에 학습자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학습도구로 활용 가능하다. ② 직업카드분류법에의 참여는 새터민들로 하여금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정보 부족을 완화하는데 기여하였다 ③ 입국 초기 새터민을 대상으로 한 진로개발에 있어 직업카드분류법을 활용할 때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세분화는 심각하게 고려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인적자원개발(HRD)과 인적자원관리(HRM) 간 연계 수준이 HR 부문 기능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교육훈련 참여성과의 인사반영 수준을 중심으로

        노경란,허선주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4 역량개발학습연구 Vol.9 No.3

        이 연구는 교육훈련 참여성과의 인사반영 수준에 초점을 맞춰 HRD와 HRM 간 연계 수준이 HR 기능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생성한 HCCP 중 4차년도 기업단위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HRD과 HRM의 연계는 HR 부문을 활성화하는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HRD과 HRM의 연계 자체가 HR 부문 성과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 못하지만 두 부문 간 연계로 HR 기능이 활성화되면 HR 부문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순한 HRD과 HRM의 부문 간 기능적 연계는 조직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HRD과 HRM의 부문 간 기능적 연계를 중심으로 HR 부문의 기능 강화 방안, HR 부문과 조직성과 등에 대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inkage between Human Resource Development(hereafter HRD)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hereafter HRM) on HR fun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ith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Results of Education & Training and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s the Fourth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linkage between HRD and HRM on the invigoration of HR function. Secondly, the invigoration of HR function by linking between HRD and HRM mad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R performance, though there was no direct effect of the linkage between HRD and HRM on the improvement of HR performance. Lastly, institutional linkage between HRD and HRM had little significant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es related to HR practices, and HR strategies.

      • KCI등재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대졸 청년의 능력개발 노력과 주관적 취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경란,박용호,허선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on college graduates' endeavor to improve their job abilities and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 work. To analyze results for this study, data of 2008GOMS1(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were used. Study results showed that college graduates'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effects positively on their endeavor to improve their job abilities, whereas negatively on the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Secondly, college graduates' endeavor to improve their job abilities effects positively on the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 work. Lastly, college graduates' participation in university's career development programs effects positively on the personal satisfaction with the work on condition that their endeavor to improve their job abilities intermediates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were provided. 이 연구는 대졸 청년층이 대학 재학을 전후로 경험한 일련의 진로개발 과정에 초점을 맞춰, 대학 재학 중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 경험, 능력개발, 그리고 취업 후 주관적 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중 2008GOMS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대학 재학 중 대졸 청년의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능력개발 노력을 촉진한 반면, 취업 후 직장에서의 주관적 취업 만족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재학을 전후로 한 개인의 능력개발 노력이 취업 후 직장에서의 주관적 취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재학 중 진로개발프로그램 참여경험이 능력개발 노력을 매개로 하여 취업 후 직장에서의 주관적 취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졸 청년의 바람직한 진로개발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여성의 취업경험별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 분석

        노경란,허선주,임현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rotean career attitude of women focusing on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own career experiences. To analyze results for this study, the data(1,666 cases) of women who live in Seoul were used. Study result showed that age, educational background, acceptability attitude toward employment, perceived career barriers effect on protean career attitude of women. Secondly, the factors influencing protean career attitude of wome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career experie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governmental policies put the priority on continuous learning environment for women in order to invigorat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in a self-directed way. Also, the tailored career development support program for low educated women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ir special needs. Lastly, the kinds of career experience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ly to make positive protean career attitude. 이 연구는 여성의 취업경험별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을 살펴보고 이를 여성의 취업경험에 따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의 도시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서울시 거주 여성(유효표본: 1,666)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변인으로는 연령과 학력, 일자리 수용 태도가 있었으며, 취업장벽 변인으로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 준비․기술 부족, 자녀 양육 환경의 제약성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여성의 취업경험에 따라 프로티언 경력 태도 형성에 관여하는 변인이 상이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 스스로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경력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티언 경력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여성의 취업장벽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도 중요하지만 여성의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 지원과 지속적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저학력 여성을 위하여 특화된 경력개발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변화하는 고용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개인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인 경력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취업경험 상황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허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자의 과학논문 인용행태에 관한 연구

        노경란,한상완 한국정보관리학회 2006 정보관리학회지 Vol.23 No.3

        As the fact that science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hat technological innovation contributes to economic development has been proved empirically convincing, the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is highly emphasized in advanced countries. But, Korea has not been active in conducting research on science-base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on the scientific fields that have strong relationships with Korean technology.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scientific research papers cited in US patents by Koreans on other US patents and identify the interactions between scientific research papers and patents, by examining the scientific references cited in the Korean-originated US patents. 과학이 기술발전을 이끄는 주요 추진력이며 기술혁신이 궁극적으로 경제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선진국은 과학과 기술간 상호작용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기술발전을 이끈 과학적 기반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한국의 기술과 강력한 연계를 맺고 있는 학문분야에 대한 연구도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허에 인용된 과학논문을 이용하여 과학기술자의 인용행태를 추적하고, 인용행태 이면에 놓인 과학과 기술간 상호작용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과학논문이 특허의 혁신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기술개발에 있어 과학논문의 중요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 KCI등재

        여성관리자의 개인 부담 교육훈련투자비 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노경란,허선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5 職業 敎育 硏究 Vol.34 No.5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eterminants on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vestment decisions of female managers on their own account with utilizing a ‘2014 Female managers 5th wave panel survey’ which provid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women managers those who have the plan to change careers invest more on developing themselves. Secondly, the higher educated female managers showed more intensive investment. Thirdly, female managers those who have a spouse or child(ren) used less investment costs for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urthly, women managers showed that the higher attachment and ownership for the work to increase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vestments. Fifthly, the more negative perception of the female workforce of the Chief Executive Officer, private investment in education and training has been shown to increase among female managers. Finally, female managers evaluate themselves on their ability to have the more positive, it appeared to be more aggressive on the individual level of training investment. 이 연구는 여성관리자가 개인 부담 교육훈련투자비를 결정하는데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4년 여성관리자 패널조사 5차 웨이브 조사표’를 활용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관련 영향 요인을 도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여성관리자는 향후 몇 년 이내의 이직계획이 있을 때 없는 경우보다 교육훈련비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관리자의 학력이 높을수록 교육훈련투자비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우자 또는 자녀가 있는 여성관리자가 자녀가 없는 여성관리자보다 자신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투자비용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관리자의 직장에 대한 애착과 주인의식이 높을수록 교육훈련비투자를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최고경영자의 여성인력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수록 여성관리자의 개인적 교육훈련투자 비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성관리자 스스로 자신의 능력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일수록 개인적 수준의 교육훈련투자에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고령자 인적자원정책 목표의 적합성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노경란 한국교육개발원 2007 한국교육 Vol.34 No.3

        A Korea and Japan Comparative Research on Desirability of Human Resource Policy Goals for Young-oldsRoh, Kyungra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sociate Research Fellow)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by which the Korean government is confronted through comparing young-old human resource policy goals of Korea with those of Japan. Literatures were collected by public confidence, representation, and up-to dateness as a collect standard and analyzed by propriety of content and consistency of internal structure as criteria.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below: First, both governments set policy goals with propriety matching the labor market situation which young-olds are faced with. Secondly, both governments set up the internal structure of goals consistently in terms of relations between higher goals and lower goals. Finally, there are some implication drawn from comparison between policy goals of two countries.: Korea should ① maintain a policy category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professionally and independently, ② inject qualitative variety of young-olds into policy goals, ③ reflect the change of young-olds as a labor.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미칠 영향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증가 일로에 있는 고령인구를 적절하게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국가 수준의 과제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가 노동시장에서 직면한 현황에 비추어 한국과 일본이 수립한 중고령자 인적자원정책의 목표가 적합한가에 대하여 양국을 비교분석하고,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한국의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 및 공식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과 일본 모두 중고령자 인적자원정책에 있어서 정책 목표가 내용 상 타당하고, 내적 구조상 일관적으로 구성되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책 목표에 대한 한일 비교 결과 한국의 경우 ① 상위목표와 하위목표를 연계하는 정책 부문 분류에 있어 ‘평생교육’ 부문의 독자성 및 전문성 확보, ② 정책 목표 설정에 있어서 고령인구의 질적 다양화 추세에 대한 반영, ③ 중고령자 근로 특성의 추이 변화 반영 등이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도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