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K-BSID-II) 표준화연구(1):지역, 성별 및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K-BSID-II 수행분석

        조복희,박혜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한국 Bayley 영유아발달검사(K-BSID-II)를 표준화하기 위해 서울/경인지역, 충청지역, 그리고 영호남지역에서 1,700명의 영유아에게 K-BSID-II를 실시하였다. 검사내용은 원 검사문항에 더해 예비연구를 통해 선정된 문항 2개, 본 연구를 위해 개발한 문항 2개 그리고 인접 연령집단의 문항세트로부터 2~6개 문항을 차용하여 구성되었다. 미국의 원검사에 해당하는 문항에 대한 수행만을 분석한 결과 한국 영유아는 인지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와 유사하였으나(M=99.71(SD=11.21)), 동작발달 지수에서는 미국의 영유아보다 높은 경향(M=104.53 (SD=12.88))을 보였다.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간의 상관은 매우 높았으며(.99), 인지발달지수, 동작발달지수, 행동발달지수에 대한 검사자간 신뢰도도 각각 .91, .98, 그리고 .99로 매우 높았다. 발달 지수에 대한 성차분석결과 일부연령집단에서 인지발달지수와 동작발달지수모두에서 여아의 수행이 높아 여아의 발달이 남아에 비해 빠른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하였다. 또한 지역에 따른 분석결과 충청지역의 영유아가 다른 지역의 영유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였다. 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평정척도의 내적 일관성을 분석한 결과 Chronbach α값이 연령집단에 따라 .92에서 .96사이로 매우 높았다. 행동평정척도에서도 남녀차이와 지역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영유아의 발달 수준을 미국의 영유아와 비교할 수 있었으며, 성차, 지역차에 대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As the standardization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orm for Korean Bayley Scales of Infant Development-II, 1,700 infants from Seoul and its vicinities, middle-, and south-regions of Korea were tested with the standardization version of the K-BSID-II. The test included two items developed through the pilot study and two newly developed items as well as extra two-six items from adjacent age group sets in addition to the original BSID-II. Korean infants showed a very similar Mental Developmental Index (M=99.71(SD=11.21)) to US counterparts but the Psychomotor Developmental Index (M=104.53 (SD=12.8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US norm sampl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DI and PDI was very high (.99). There were high inter-scorer reliabilities for MDI(.91), PDI(.98), and BRS(.99). Gender difference was evidenced in both MDI and PDI at several age groups revealing the faster development among girl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revealing the highest performance among infants from the middle section. There were high reliabilities of BSID-II Behavior Rating Scale(BRS) in all age groups(.92-.96). There were some factors of BRS showing gender as well as regional differences. Validity as well reliability analyses will be followed.

      • KCI등재

        중국 조선족 아동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귀옥,전효정,박혜원,강완숙,장미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various factors which affect child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bilingual experiences on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143 Korean-Chinese children in China were selected to test Korean-Chinese languag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the bilingual environments. The best predicting model of the Korean and Chinese development was suggested. The age, parents' language attitud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while memory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Korean development. Similarly, the age, parent's Chinese use and cognitive development 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while memory and fathers' education indirectly affected the children's Chinese development. 본 연구에서는 중국 조선족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최적 모형을 각각 제시하고, 중국 조선족 이중언어 아동의 언어발달 수준과 한국어와 중국어 발달의 관련성과, 나아가 이러한 이중언어발달과 인지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중국 조선족 아동 143명을 대상으로 한 부모설문과 아동검사자료를 사용하였다. 한국어 발달의 예측모형을 검증한 결과에 의하면, 연령, 부모 언어태도와 인지발달은 한국어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며, 기억력은 인지발달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와 유사하게 중국어 발달을 예언하는 모형을 검증한 결과 연령, 인지발달, 부모의 한어사용 순으로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의 학력은 부모의 한어사용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중국어 발달에 영향을 준다고 하겠다. 또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중언어 발달이 인지발달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 (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타당화 연구: 영유아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조기선별도구

        이경숙,정석진,신용우,조영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2

        본 연구는 9~47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 보고용 설문 검사도구인 걸음마기 아동 행동 발달 선별 척도-교사용 설문지(BeDevel-Q/T: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의 타당성을 검정하였다. 217명(일반발달군 179명, ASD군 32명, 발달지연군 6명) 대상으로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총 1,936명, 이 중 일반발달군 1,833명, ASD군 62명, 발달지연군 41명)에서 예비 문항,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9~11개월, 12~23개월, 24~35개월, 36~47개월로 구분되며, 월령별로 7~27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3개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BeDevel-Q/T와 M-CHAT, BITSEA의 자폐증 선별에 민감한 문항, K-DST의 사회성 영역과의 상관분석 및 일반발달 집단, ASD 집단, 발달지연 집단간 차이 분석을 활용하여 BeDevel- Q/T의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본 척도는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타당도를 보였다. BeDevel-Q/T는 민감도(50.0~85.0%), 특이도(59.6~84.8%), 문항 내적 일치도(Cronbach's α=.72~.76), 검사-재검사 신뢰도(R=.79~.94)에서도 높은 수준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BeDevel-Q/T가 한국의 보육 및 교육환경에서 영유아기 ASD를 조기 선별하는 간편선별 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validified the 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s-Questionnaire/Teachers (BeDevel-Q/T), a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screening instrument. This assessment serves the purpose of teacher reports for early screening of ASD on infants aged 9-47 months. Pilot test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17 people(N=179 typical development, N=32 ASD, n=6+DD). A total of 1,936 participants were tested N = 1,833 typical development, N = 62 ASD, N = 41 developmentally delayed). The results showed a line between age ranges of 9-11 months, 12-23 months, 24-35 months and 36-47 months. Each age ranges consisted of 7-27 questionnaires and 3 subfactors. BeDevel-Q/T validity was tested by the general developmental criterion of BeDevel-Q/T, M-CHAT, Autism items from BITSEA and sociability items from K-DST. M-CHAT, Autism items from BITSEA and sociability items from K-DST were also employed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general differentiation factors between ASD, developmental delayed, and normal groups were also considered. Results showed a reasonable level of acceptability. BeDevel-Q/T showed high sensitivity (50.0-85.0%), specificity (59.60-84.8%),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0.72-76) as well as high test-retest reliability (r=0.79-94). Our results suggest that BeDevel-Q/T might work as a useful short form screener for early identification of ASD in primary care settings.

      • KCI등재

        중년기 노후준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노화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

        김민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adults and evaluat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g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perspective of life span development theory that successful accomplishment of developmental tasks affects successful adaptation. A total of 353 middle-aged adults (165 male, 198 female) aged 40 to 65 years completed questionnaires.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showed that as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aging increased also increa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imple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of ag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were confirm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reparation for old age of middle-aged adults, the lower the anxiety about aging, which contributes to lowering the perception of stress and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Results from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old ag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adults. Interventions to prepare these adults for old age and increas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should be focused on aging anxiety and perceived stress.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 과제의 성공적 완수가 성공적 적응에 영향을 준다는 생애발달 이론의 관점에 근거하여, 중년기 노후준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노후준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노화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0세에서 65세의 중년기 성인 353명(남자 165명, 여자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중년기 노후준비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후준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노화불안의 단순 매개효과, 노후준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단순 매개효과와 노화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중년기 성인들의 노후준비 수준이 높을수록 노화불안이 낮아지고, 이것이 스트레스 지각을 낮춤으로써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년기 심리적 안녕감에서 노후준비의 중요성과 중년기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개입방법으로 노화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의심의 기술 발달: 선택적 신뢰와 증거성 추론

        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9 No.1

        Much of knowledge about the world comes from indirect experience such as, obtaining information/knowledge from others, rather than direct experience. Growing up in an environment, filled with information and claims made by the media and on the interne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how children come to develop skills of evaluating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Recent years have seen much increase in the amount of research related to this topic,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The aim of the present paper is to provide an in-depth review of this growing field, involving the development of selective trust, a bias in trust in testimony, and evidential reasoning.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review, encompassing papers published internationally as well as domestically, the paper aim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thorough introduction to the major discoveries made in this field and to suggest future studies that can help further illuminate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세상에 대한 지식 습득은 직접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직접 경험보다는 간접 경험, 특히, 타인의 정보 전달을 통해 많은 부분이 이루어진다. 미디어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출처의 정보가 범람하는 사회에서 성장하는 아이들은 다양한 정보의 출처에 대한 신뢰를 어떻게 발달하고 있을까? 최근 들어 이와 같이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출처에 대해 선택적으로 신뢰하고, 비판적 판단과 사고를 하는 능력의 발달에 관하여 발달심리학자들이 새롭게 주목하기 시작하였고, 관련한 연구가 다양한 영역에서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선택적 신뢰와 증언신뢰 편향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제시된 연구 결과들과 언어에 기반하여 정보 신뢰성을 판단하는 증거성 추론 발달의 연구들로 분리되어 진행되어 오던 연구들 사이의 접점을 찾아 통합적인 틀에서 두 영역의 연구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두 영역의 연구를 정보의 신뢰성에 대해 비판적 관점을 발달시키는 과정의 측면에서 연결 및 통합하고, 이러한 발달의 궤도를 완성하는데 향후 필요한 연구와 이러한 인식론적 발달에 기여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증거성표지의 이해, 산출과 마음이론발달의 관련성 연구

        최영은,장나영,이화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4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ree to six-year-old Korean-learning children's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of evidentials (esp., indirect inference and hearsay markers), and whether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Mind(ToM)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vidential understanding and use. The production of hearsay marker(-tay) became reliable after four years of age and yet, development of comprehension of this marker was delayed until 6 years. Indirect inference marker, -kes kata, by comparison, begin to develop rapidly after 5 years of age in both production and comprehension. Development of ToM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vidential comprehension and production(in particular, production of indirect inference). However, its unique contribution to evidential development was difficult to tease apart due to its high correlation with age. 한국어 습득 3-6세 아동을 대상으로 정보의 출처를 문법적으로 표시하는 증거성표지 중 타인의 보고를 표시하는 ‘-대’와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과 이해의 발달 정도를 실험적으로 고찰하고, 증거성표지의 산출과 이해에 마음이론의 발달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산출의 경우, ‘대’의 산출은 4세 이후부터 안정적으로 산출되었으나 ‘대’의 이해 발달은 5-6세에 이르러도 아직 성숙하지 않은 것으로 보였다. 간접 추론을 표시하는 ‘것 같다’의 산출은 5세 이후부터 이해와 더불어 급격히 발달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음이론의 수행 수준은 증거성표지 이해 및 산출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증거성표지 습득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나 연령과의 높은 상관으로 마음이론이 연령증가 이외에 증거성표지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력을 밝히지는 못하였다.

      • KCI등재

        초기 인과관계추론 발달의 양상: 보편성과 다양성에 대한 탐색적 개관

        김가영,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1

        Causal relational reasoning is the ability to make abstract inferences about causal relationships among objects or events and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ought processes that allow individuals to draw and acquire various forms of knowledge. The current review analyzed research that examined the early development of causal relational reasoning across different cultures, including research conducted in Korea in this domain. In particular, we examined whether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causal relational reasoning is universal or diverse across cultures and the possible role of language and/or sociocultural factors. Developmental patterns that appeared around age three differed across the U.S., China, India, and Korea, possibly attributable to diverse language acquisition patterns and cultural contexts. However, no definitive conclusions could be drawn from the current data because of the limited evidence available. Research conducted in Korea has also been limited to replications of past studie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of Korean toddlers and children that could help further verify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causal relational reasoning. 인과관계 추론이란 두 물체나 사건 사이의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인과관계에 기초하여 현상들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기에 인과관계를 추론하고 이해하는 것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서 전 영역에 걸쳐 매우 중요한 사고 능력이다. 이러한 인과추론 능력은 언제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여 어떠한 양상으로 발달하는 것일까? 인과추론 발달 과정은 보편적 양상을 따를까? 이 과정에서 언어나 사회문화적 요인은 인과추론 발달의 다양성을 유도할 수 있을까?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을 탐색해보기 위해 발달 초기에서 아동기까지 축적된 국내외 인과관계 추론 발달 관련 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아동기 초기의 발달 양상이 미국, 중국, 인도와 한국에서 보편적이기보다 다양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나 사회문화적 요인이 발달의 다양성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관련된 근거 자료들은 제한적이었고, 국내의 연구도 과거 미국 자료의 반복 검증 위주로 매우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인과관계 추론능력 발달에서의 보편성과 다양성의 추가적 검토를 위해 한국 아동 연구가 가진 역할을 살펴보고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사회 경제적 지위에 따른학령 전기 아동의 실행 기능 발달

        최영은,최미혜,남민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Research show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inhibit thoughts and behaviors predict academic and social successes later in life. In addition, a child’s socioeconomic status (SES) is known to predict inhibitory control and general executive functions. However, carefu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revealed that several studies reporting these findings had the following limitations: (1) they were conducted in North and South America where the factor of race was not sufficiently controlled, (2) they focused on children in schooling years, and (3) they relied on comparing arbitrary groups divided by various SES criteria. The present study tested 78 Korean preschoolers aged 3–6 to examine the unique effects of SES on the development of inhibitory control in early childhood by controlling factors of age and verbal abilit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maternal education, measured in the total number of schooling years, uniquely predicted inhibitory control of Korean preschoolers. This corroborated previous findings, further suggesting that parental education is critical to the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early childhood regardless of race, age, and verbal abilities. 최근 실행 기능의 하위 요소인 억제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은 일반 지능보다 학업 성취도나 사회적 성공을 잘 예측하는 지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실행 기능 발달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고되어 취약계층 아동에게 발달 초기에 지원해야 할 중요한 요소라는 점도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와 실행 기능 발달 간의 관계 연구들을 살펴보면 (1) 주로 북미와 남미에서 이루어져 사회경제적 지위에 인종 요인이 혼합되어 있으며, (2) 대상이 주로 학령전기 후반에서 학령기 아동을 중심으로 국한되어 있고, (3) 상이한 기준으로 아동을 상위/하위 SES집단으로 나누어 비교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발달 초기에 인종이나 다른 잠재적 공변 요인들(특히, 연령이나 어휘력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경제적 요소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 3-6세 한국의 아동 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경제적 지위가 인종, 연령이나 어휘력 등을 넘어 학령 전기 아동의 실행 기능 발달에 고유한 영향력을 끼치는지, 끼친다면 어떤 사회경제적 지표가 관련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연소득에 비해 부모의 교육 연수는 아동의 연령, 어휘력을 통제하여도 유의하게 억제 능력의 발달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교육 수준은 학령기 이전부터 실행 기능 발달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인생과정 조망과 성인기 발달

        장휘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about life-course perspecive as an new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al psychology. Life-course perspective being appeared in the 1970s encouraged the study of personal life in the changing contexts, valued the interactions between person and contexts, and took interest in the social structure, organization and reorganization of life course. Traditionally developmental psychologist was concerned about personal changes across time but not the effects of contexts. To apply life-course perspective to developmental psychology was expected to play the hightening the level of the developmental study. 이 개관논문은 연령관련적 변화로써 전생애 발달을 설명하는 전통적인 발달적 조망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인생과정 조망을 설명하고 발달심리학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0년대에 출현한 인생과정 조망은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맥락 속에서의 개별적 삶에 대한 연구를 격려하고, 사람과 맥락간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며 사회구조와 인생경로의 조직화 및 재조직화에 관심을 갖는다. 전통적으로 발달심리학자들은 시간에 따른 개인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므로 발달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에는 큰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 결과 발달적 조망에서의 맥락은 단순히 개인이 통과해가는 과정이나 상황으로 인식되었을 뿐이었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하여 결혼과 자녀출산이 지연되고 무자녀 가족이 증가하였는가 하면 직업에서 은퇴하는 연령도 다양해짐으로써, 연령에 기초한 발달적 연구만으로 전생애 동안의 발달을 설명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때 사회적 경로와 누적적 연속성, 발달궤도 및 전환점을 중요시하는 인생과정 조망의 활용은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맥락적 변인들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달심리학 연구를 한 차원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초기 언어 발달에서 환경적 요인들의 역할 - 음소지각, 어휘 습득, 구문 발달을 중심으로 -

        정지은,최영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2 No.2

        Language development has largely been considered a domain in which inborn capacities play fundamental roles because its development proceeds rapidly and automatically to a large extent. However, in recent years, the various roles that environmental input plays i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have received much interest not only in vocabulary development, but also in speech perception and grammar acquisition. In this paper, we reviewed recent literature demonstrating the various roles of environmental input i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This review revealed that the more diverse and detailed aspects of environmental input have been considered, including fine-grained acoustic properties of input provided by caregivers,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verbal and nonverbal aspects of input, and differences in social interactions and social cues. These diverse aspects of input also play a variety of roles across multiple language development areas, such as the development of speech perception abilities, vocabulary growth, and the ability to produce more complex and sophisticated utterances. 언어 발달은 매우 자동적이고 빠른 과정으로 생득적인 요인들의 역할이 보다 크게 인식되어온 발달의 영역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적 요인과 밀접한 어휘 습득 이외에도 음소지각 능력의 발달이나 통사론 발달에서 환경적 요인의 역할이 보다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관련 최신 연구들을 중심으로 환경적 요인이 다양한 언어 발달의 영역에서 가지고 있는 역할을 고찰하여 보았다. 최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기존에 환경적 속성을 부모가 제공하는 언어적 속성이나 습득 대상의 언어로 상정해왔던 것에 비해 최근에는 사회적인 맥락의 차이, 상호작용적 방식의 차이, 그리고 한 언어 내에서도 세분화된 언어의 양적, 질적 특성과 다양한 음향학적 속성의 차이에 이르기까지 환경적 요인의 범위가 보다 확대되고 세분화되어 연구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개괄을 통해 언어 발달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환경적 요소의 역할을 소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