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 고등학생 저녁시간 및 야간자율학습시간의 변화

        배한진(Bae, Hanjin),진미정(Chin, Mee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야간자율학습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 고등학생의 저녁시간 사용패턴 및 야간자율학습시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전인 2009년과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인 2014년의 전반적인 저녁시간 사용패턴을 살펴보고, 이중차이분석을 활용하여 학생인권조례의 제정이 야간자율학습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인권조례 제정 여부와 관련 없이 2009년과 2014년 사이 모든 지역에서 고등학생의 학습시간이 줄고 일, 교제 및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학생인권조례 제정지역에서 미제정지역에 비해 야간학습시간이 더 많이 감소하였으나, 학원수강시간과 학교 외에서의 자율학습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교제 및 여가시간의 증가는 제한적이었다. 둘째, 이중차이분석 결과 학생인권조례 제정지역과 미제정지역 간 야간자율학습 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인권조례 제정지역에서 서울을 제외할 경우에는 미제정지역에 비해 야간자율학습시간이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학생인권조례 제정이 야간자율학습시간을 감소시켰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아울러, 학생인권조례의 제정 목적과는 달리 감소된 야간자율학습시간이 여가시간으로 활용된 증거가 미미하므로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which bans compulsory evening study of schools, is associated with changes in the use of both evening time and compulsory evening study time among high school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2009 and 2014 Korean Time Use Survey , we employed difference-in-differences esti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amount of time used for study purposes decreased, while the amount of time used for work and leisure increased between 2009 and 2014. The compulsory evening study time in the regions with the ordinance in effect decreased more than that in the regions with no ordinance. However, the increase of leisure time in the regions under the ordinance was sma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rdin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amount of time spent on compulsory evening study.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any possible associations between reduced study time and the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학원 심야교습시간 제한 조례가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에 미친 영향

        배한진(Bae, Hanjin),진미정(Chin, Mee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학원 심야교습시간을 22시로 제한하는 조례의 개정 이후 고등학생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09년,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조례 개정지역과 미개정지역의 22시부터 24시까지의 학원교습시간, 22시부터 24시까지의 수면시간, 22시부터 08시까지의 수면시간에 대해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조례개정지역과 미개정지역 모두에서 2009년에 비해 2014년의 22시부터 24시까지의 학원교습시간이 감소하여 조례 개정지역에서 추가적인 교습시간감소가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2시부터 24시까지의 수면시간의 경우 조례 개정지역과 조례 미개정지역 모두 2009년에 비해 2014년에 오히려 수면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시부터 08시까지의 수면시간의 경우 조례 미개정지역에 비해 조례 개정지역에서 수면시간 증가폭이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추가적으로 시간대별 학원교습시간 행위자비율과 수면시간 행위자비율을 살펴보고 이중차이분석 결과 조례 개정지역의 학원교습시간 및 수면시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이중차이분석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의 전반적인 학원 심야교습시간은 줄어들었으나 이것이 고등학생의 수면시간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 어려우며, 오히려 고등학생의 아침기상시간 변화가 수면시간 증가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rdinance, which limits hagwon operating hours to 10 p.m., on the late-night study time at the hagwon itself and the sleep time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plish this goal, we compared the regions where the revised ordinance applied and the other regions where it is not focusing on the study hours at the hagwon and sleeping hours from 10 to 12 p.m. and sleeping hours from 10 p.m. to 8 a.m. We employed the difference in differences estimation, using the data harvested from the 2009 and 2014 Korea Time Us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time spent on studying at the hagwon was between 10 p.m. to 12 a.m. and decreased in 2014 in those regions where the revised ordinance has been introduced. There was also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sleep time between the regions with the revised ordinance and the other regions. We also discussed why this ordinance has apparently been ineffective on the study time spent by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possible ways to increase their sleeping hours.

      • KCI우수등재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

        허청아(Cheong-Ah Huh),배한진(Hanjin Bae)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Method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77 fathers and their preschool children (aged 5-7 years, 912 boys and 865 girl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Data from three waves were analyzed us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Results: Our analysis showed that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re moderately stable over time. Second, a reciprocal caus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fa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In other words, fathers’ prior affective parent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reschoolers’ late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and the preschoolers’ pr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fathers’ later affective parenting. Third,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Conclusion: Our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n inter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ing attitude and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Given that preschoolers’ pri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decreases fathers’ later affective parenting, which in turn is likely to worsen preschoolers’ late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we recommend finding ways to make fathers show affective parenting regardless of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 KCI등재

        남편과 부인의 스마트폰 사용시간의 상관관계

        진미정 ( Meejung Chin ),권순범 ( Soonbum Kwon ),배한진 ( Hanjin Bae ) 대한가정학회 2019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7 No.4

        Smartphones are representative multimedia devices capable of various functions that have emer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 The popularization of smartphones has changed the way ICTs media is used; consequnetly, it is expected that smartphones will influence family life by changing family communications and time use. However, there is a gap between the empirical research on ICTs media and family. This study explores any correlations in the amount of time spent on smartphones between a husband and wife. We marged 1,444 married couples’ media diaries from the 8th Korean Media Panel Survey (2017) to analyze 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communications and leisure·shopping using smartphones. The results show that husbands’ time use for communication has increased similarly to wives’ time use. In addition, husbands’ time use for leisure and shopp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wives’ time spent on communications and leisure·shopping. The findings show that the use of smartphones is interrelated within the family and suggested that a family systems approach is needed in ICTs media research. Future studies will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ICTs media and how families are using a variety of ICTs media devices such as smartph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