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초 4에서 고 1

        박상현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for 1st(2010, 4th grade, primary school), 4th(2013, 1st grade middle school) and 7th(2016, 1st grade, high school) year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d 1,645 adolescen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T1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2 ego-resilience. Also, T2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3 ego-resilience. Namely,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later ego-resilience. Second, the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table across six year. Finally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student's ego-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for our classroom settings were discussed. 연구배경 및 목적환경의 스트레스와 변화에 대한 적응성을 반영하는 개별적 특성인 자아탄력성(Block & Block, 1980)은 적응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변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은 환경의 변화나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더 잘 적응하고, 필요에 따라 행동을 변화시키며, 문제해결 전략을 유연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는 반면 자아탄력성이 낮은 학생들은 상대적으로 적응 능력이 낮으며, 스트레스 조절에 어려움이 있고, 정신적 충격 등에 의한 회복이 늦다(Block & Block, 2006; Taylor & Jones, 2019; Taylor, Sulik, Eisenberg, Spinrad, Silva, Lemery‐Chalfant, & Verrelli, 2014). 삶의 만족은 자아탄력성과 긍정적 관계를 보이는 변인이고, 청소년기의 삶의 만족은 이 후의 사회적 행동 및 삶의 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Gilman & Huebner, 2006; Goldbeck, Schmitz, Besier, Herschbach, & Henrich, 2007), 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관심이 필요하다. 자신의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의미하는 삶의 만족(Diener, & Diener, 1996; Pavot & Diener, 2008)은 신체적, 심리적 건강(Grant, Wardle, & Steptoe, 2009; Pavot & Diener, 2008), 사회적 관계(Diener & Seligman, 2002) 등과 정적 관련을 보이고 있는 것과 같이 삶의 다양한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으나 대부분이 횡단연구로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 상호 관계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을 예측하는 변인이라는 주장(Cohn et al., 2009)로 볼 때, 삶의 만족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한 고려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며, 특정 학교 급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학교생활에 있어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이 필요하고, 이러한 적응력의 기반으로 볼 수 있는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에서 큰 역할을 할 수 있기에 초‧중‧고등학생으로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안정성 또는 변화경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시간 흐름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고, 각 변인의 안정성 또는 변화 경향을 파악하여 학생의 자아탄력성 또는 삶의 만족의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1. 연구대상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1차(4학년, 2010년)과 4차(중학교 1학년, 2013년) 및 7차(고등학교 1학년, 2016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응답대상은 총 2,378명이었으나, 결측치 또는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최종 1,645명(남: 50.9%, 여: 49.1%)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분석방법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와 각 변인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먼저, 종단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종단적 측정모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이때 요인분석을 통해 자아탄력성의 문항군을 형성하였으며, 자아탄력성은 4개의 관찰변수로, 삶의 만족은 3개의 문항 각각을 하나의 관찰변수로 구성하였다. 이때, 각 측정시점별 동일 관찰변수 간 오차공분산 경로를 설정하였다. 다음으...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현주,함경애,천성문,주동범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을 조사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18.0과 AMOS 7.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애착회피차원, 애착불안차원 모두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성인애착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로 나타났다. 중학교 교사는 성인애착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이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성인애착은 쉽게 바꿀 수 없는 특성으로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애착에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자아탄력성에 초점을 맞춘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서 애착관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자아탄력성 증가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쌍이(Ssang-Lee Lee),이수진(SuJin L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상하 수준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비교해 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업스트레스가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3.47, p<.001), 학업스트레스 하위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 상하 수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정도를 비교해보면,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전체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t=13.31, p<.001) 학교생활적응의 하위 요인들 역시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부적 상관(r=-.24,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교생활적응과 매우 높은 정적 상관(r=.68, p<.01)을 보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스트레스에 대처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verify the importance of self-resilience by examining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resilience upon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elected 300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attending six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Thereby, this paper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comparison of self-resilience, academic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by sex, it was shown that self-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did not differ by sex and girls indicated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comparison of academic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showing high self-resilience indicated lower overall academic stres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3.47,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lower scores in the subfactors of academic stress. Third, in the comparison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resilience, it was shown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received a high score in overall school life adapt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3.31, p<.001), and the group with high self-resilience also gained high scores i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 adaptation. Fourth, since children’s self-resilience had a significantly high negative correlation (r=-.24, p<.01) with academic stress in general, as self-resilience is higher, academic stress gets lower. And children’s self-resilience exhibit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68, p<.01) with school life adaptation, so as self-resilience i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becomes better.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self-resilience in the preventive dimension to relieve academic stress and support school life adaptation and als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variables affecting self-resilience.

      • 간호대학생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서혁수(Hyuck-soo Seo),이정식(Jung-si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에서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아탄력성의 효용성을 증명하고,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아탄력성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 서울, 경기도, 강원도, 대전 소재의 간호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아탄력성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을 평가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Pearson 상관관계분석, Independent t-test, 정준상관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결 과 : 자아탄력성이 높은 군과 낮은 군에서 심리적 안녕감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자아탄력성이 낮은 군은 정서중심적 대처를더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예측력이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에서는 정서중심적 대처가 가장 예측력이 높았다.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 중 자신감, 낙관적 태도가 심리적 안녕감에 높은 예측 력을 보였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 자아 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이 자아탄력성에 높은 예측력을 나타냈다.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대처, 정서중심적 대처가 심리적 안녕감에 예측력이 있었고,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 중에서는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통제, 삶의 목적이 예측력이 있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해 자아탄력성과 삶의 질을 반영하는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자아탄력성이나 심리적 안녕감에 정서중심적 대처가 상당히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서중심적 대처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uthenticate the usefulness of ego-resilien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ind out the ways to enhance ego-resilienc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Method :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200 undergraduate students who live in Seoul,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Daejeon. The data of the study was collected by measuring ego-resilience scale, stress coping strategy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data of the study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and Canonical correlation.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ego-resilient groups i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low ego-resilient group tended to use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The confidence among four sub-variables of ego-resilienc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stress coping strategies. In comparison, the emotion-focused strategy among four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ego-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confidence and optimistic attitude were more significant factors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and purpose in life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b-variables had more predictive power to ego-resilience. Th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strategies among four stress coping strategy were significant factor in predic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elf-acceptanc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urpose in life had predictable power to stress coping strategy. Conclusion : The study verifi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reflecting the quality of the life. We also validated that the emotion-coping strategy was related with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enhance ego-resilience, reducing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c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

        이다경,염시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 614명(남학생 264명, 여학 생 350명)이 애정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 척도에 응답한 자료를 분석하 였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통해 애정적 양육태도가 자아탄력성과 우울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우울 각각의 매개효과 및 자아탄력성과 우 울의 중다매개효과를 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애정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 과 공격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자아탄력성은 높았으나, 우울과 공격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우울 과 공격성은 낮아졌고, 우울이 높을수록 공격성은 높아졌다. 또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 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자아 탄력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정적 양육태도와 공 격성의 관계를 자아탄력성과 우울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의 경로가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을 구분하여 관계모형 분석을 실 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일부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애정적 양육태도, 자아탄력성, 우울과 공격성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공격적인 청소년을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장면에서 청소년의 공격성 예방 및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aggression. This study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614 middle school students (264 male students and 350 female student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Bootstrapping procedure was applied to test the mediated effects an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the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ag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Analyses on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ego-resiliency, depression and aggression showed that as the affectionate parenting scored higher, ego-resiliency also increased. However, affectionate parent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When ego-resiliency was high, on the other hand, depression and aggression decreased, and when depression was high, aggression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 mediated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 of affectionate parenting and aggressiveness was insignificant, th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the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were evident. An additional analyses need to be conducted on each of the male and the female groups,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and aggression with ego-resiliency and depression as media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several gender differences in paths within the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how affectionate parenting could affect adolescent ag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not only a more concrete and empirical explanation on the mechanism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and aggression but also a solid knowledge base for the intervention programs for aggression reduction and parent education on adolescent aggress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현영,서현아,엄세진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0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및 교수효능감을 알아본 후, 각 변인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더불어 예비유아교사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유아교 육과에 재학 중인 312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노표현, 자아탄력성, 교수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한 후,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노표현이 높을수록 자아탄력성과 교수효능감은 낮아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교수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대한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과 자아탄력성 전체가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현 과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ger-expression, ego-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the relationship among those three variables; and lastly, fou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on their 'teaching efficacy'. 312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questionnaires using research instruments of each of those three variables.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cored high on the anger-expression, were scored low on ego-resilience and teaching efficacy; and those pre-service teachers, scored high on the ego-resilience, were scored high on their teaching efficacy. It was also found that the sub-factors' in 'anger-expression' and ‘ego-resilience’ affected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이경숙,김병석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self-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and to clarify whether the stress-coping strategies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For the research, Self-Integration Scale(Jeon Jeong-A, 2006) which Kim Jeong-Soon (1988) had developed and Jeon Jeong-A had modified, Adaptation Flexibility(Im Seong-Suk, Kim Jin-Suk, 2009), Scale about Individual Coping Style, and Stress-Coping Strategies Scale(Yoon Hyeon-Hee, 1994) based on Scale of Kim Myeong-Ja(1991) were conducted on 198 people with their ages over 65 in two community welfare center of Kyeonggi-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Also,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Especially, supportive relationship and positive attitude which are the sub-variances of self-resilienc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elf-integration. Also, passive evasion, problem reestablishment, and coping strategies of emotional expression which are sub-varianc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self-integration. However, there was not any correlation between religious tendency and self-integr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ve effect of stress-cop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The passive evasion, the problem reestablishment,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emotional expression were identified as having mediative effect on the part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but dependency on one's religion had no mediative effect. In conclusion, there was static correlation among self-resilience, stress-coping strategies, and self-integration. The stress-coping strategies could be seen as mediating the relation between self-resilience and self-integration. According to these research results, to improve self-integration, education and consultive intervention are needed. These measures will improve self-resilience of the seniors and change self-coping strategies in better way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자아통합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소재 복지관에서 65세 이상 노인 198명에게, 자아통합감 척도와, 자아탄력성 척도, 그리고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자아통합감 간에도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변인인 지지적 관계와 긍정적 태도는 자아통합감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인 수동적 회피 대처방식, 문제재정립 대처방식, 감정표출의 대처방식은 자아통합감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나, 종교적 성향과 자아통합감은 서로 관련이 없었다. 둘째,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문제재정립 대처방식, 감정표출 대처방식, 수동적 회피 대처방식은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사이에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신앙에 의지 대처방식은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사이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그리고 자아통합감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자아통합감을 높이기 위해 노인의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바람직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 교육이나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이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BAS/BIS, 자아탄력성과 웰빙 간의 관계

        김지연,정봉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No.2

        The mediation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BIS, and well-being were studied. BAS and BIS, ego-resiliency,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well-be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depression were measured. BA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BIS, ego-resiliency,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BI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Ego-resilienc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meaning in lif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but it was negatively related with depression. Resilient individuals were characterized by high scores on BAS and low scores on BI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es showed ego-resiliency has the mediation role between BAS/BIS and well-being. The roles of BAS/BIS, and ego-resiliency in well-be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BAS/BIS와 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대학생 423명이었고, BAS/BIS,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도, 우울,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이 측정되었다. BAS/BIS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웰빙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BAS/BIS 수준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S/BIS와 웰빙 변인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BAS는 BIS, 자아탄력성,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BIS는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심리적 안녕감과는 부적 상관을, 우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탄력성은 삶의 의미,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변량분석 결과, BAS가 높고 BIS가 낮은 사람들이 자아탄력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삶의 의미,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 우울에 대해서 BAS/BIS보다 자아탄력성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BAS/BIS와 웰빙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BAS/BIS가 웰빙 변인들에 미치는 직접 효과보다 자아탄력성의 매개 작용에 의한 간접 효과가 더 유의하였다. 논의에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중요 결과에 대해 논했다.

      • 아동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경희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0 초등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이 이를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충남과 대전의 4-6학년 초등학생 399명을대상으로 스트레스 경험,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및 생활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스트레스 경험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동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은 낮았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은 높았다. 둘째,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부분매개하는 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학교적응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완충하는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초등학생의 교육과 상담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강명희,이수연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4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For this purpose, we had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wi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and utilized 438 students’ answers excluding some mistakenly collected ones. As for the Two-Way ANOVA analysis, we had yielded coefficients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and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hope, ego- 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variables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s as well as between grades. The main effect of gender was shown in academic stress, while the main effect of grade was not significant,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was significant. However, as for hope and ego-resilience, the gender, grade and interac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hope,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found that hop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go- resilienc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Also, ego-resil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stress.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academic stress, it had turned out that hop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academic stress while ego- resilience did hav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it.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optimism and vitality had negative influence, while curios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 had static influence. Ego-resilient adolescents while at the same time to inspire a sence of hope to help cope with academic stress on health so that you can grow in the deve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본 연구는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경남지역의 인문계 고등학생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희망척도, 자아탄력성척도, 학업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438명의 데이터를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희망, 자아탄력성, 학업 스트레스 변인에서 성별이나 학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에 있어서 성별 주효과는 나타났지만 학년별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희망과 자아탄력성에 있어서는 성별과 학년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희망, 자아탄력성 및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희망은 자아탄력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학업스트레스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각각 확인되었다.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희망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희망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 중에서 낙관성과 활력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호기심과 대인관계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학업스트레스에 건강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희망감을 고취시키는 한편 자아탄력적인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개입프로그램 개발에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