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지각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염시창,강대중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44 No.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지각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 검토, 초등교사 면담과 논의, 초등학생의 검토 등의 절차를 거쳐 예비척도 40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96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답하였거나 다변량 정규성을 충족하지 못한 45명의 응답을 제거하고 총 45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분석 기법은 Rasch 평정척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상관분석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지각의 6개 하위요인(준비, 과정, 질문, 향상, 격려, 자기규제)에 대해 먼저 Rasch 평정척도모형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1차 5요인 모형을 최종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지각 척도는 5개의 하위요인, 즉 비계의 준비요인 4문항, 과정요인 4문항, 질문요인 3문항, 그리고 모니터링의 향상요인 3문항, 격려요인 3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각 하위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척도의 하위요인은 기존 척도와의 비교에서 높은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생의 형성적 피드백 지각 척도가 초등학생들의 피드백 지각 수준을 평가하고 학습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염시창,박미경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교목표구조는 학교 숙달목표와 학교 수행목표 구조로 구분된다. 이 연구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 숙달목표구조와 학교 수행목표구조를 예측변수, 학생평가전문성을 결과변수, 교사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산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목표구조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학생평가전문성 수준 또한 높았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평가전문성도 높았으며, 숙달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목표구조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은 낮은 반면,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평가전문성은 높았고, 수행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목표구조가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목표구조를 사회적 비교와 경쟁에 가치를 두는 수행목표구조보다는 개인적 성장과 역량 강화에 가치를 두는 숙달목표구조로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수업 텍스트 평가를 위한 준거 탐색 : 텍스트 정합성과 이해

        염시창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199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4 No.1

        본 논문은 수업 텍스트의 평가를 위한 준거로서 텍스트 정합성(text coherence)의 역할과 그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 정합성 변인과 관련하여 활발한 논의를 하고 있는 텍스트 이해에 관한 구성-통합모형을 개관하고, 이 모형에서 상정하고 있는 이해의 수준에 관해 설명하였다. 둘째, 정합성의 개념을 예를 곁들어 살펴보고, 이 변인과 학습자의 이해수준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셋째, 이 논문은 '정합성 준거에 따라 수업 텍스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의 질문과 관련하여 두 가지 방법, 즉 '정합성 교정법'과 '진단-처치 교정법'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수업 텍스트의 정합성에 관한 아이디어가 텍스트 저작자, 교사 및 학습자에게 주는 시사점을 결론으로 덧붙였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염시창,강대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의 교실수업에서 교사들의 형성적 피드백이 매우 중요한 교수-학습전략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유형 및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각 잠재집단에 적합 한 지원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 374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유형은 세 집단, 즉 형성적 피드백 수 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형성적 피드백 실행 저 집단’(잠재집단 1), 형성적 피드백이 중간 수준인 ‘형성 적 피드백 실행 중 집단’(잠재집단 2), 및 형성적 피드백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은 ‘형성적 피드백 실행 고 집단’(잠재집단 3)으로 구분되었다. 다음으로 ‘형성적 피드백 실행 고 집단’을 참조집단으로 설정하 고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형성적 피드백 실행 저 집단’은 교사 효능감과 숙달목표구조의 수준이 매 우 낮고, 교사-학생 갈등 관계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성적 피드백 실행 중 집단’은 교사 효능감, 숙달목표 수준은 낮은 반면, 교사-학생 갈등 수준은 높은 편이었고, 교사-학생 친밀감 수준은 낮다는 결과를 보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잠 재집단의 특성과 지원 전략을 논의하였다.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had a special interest in issues associated the use of formative feedback as classroom teaching-learning strateg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ative feedback practice and to suggest appropriate support strategies for each latent group based on their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responses from 374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in G metropolitan city.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analysis, there were three latent groups of elementary teachers in terms of their formative feedback practice: “low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latent group 1), “middle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latent group 2) and “high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latent group 3). An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with the “high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as a reference group showed that the “low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had extremely low levels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mastery-goal structure and a high level of teacher-student conflict. On the other hand, the “middle level of formative feedback practice group” had low levels of teachers’ self-efficacy, mastery-goal structure, and teacher-student intimacy but displayed a high level of teacher-student conflict. This analysis discussed th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ative feedback practice and the support strategi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 개발

        염시창,유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 검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9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면접을 시행하여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의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문항을 개발한 다음, 초등교원 및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거쳤다. 또한 G광역시 소재 1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857명을 대상으로 변수중심 검사타당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시험준비전략 및 시험수행전략 검사에서 각각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학습자원관리전략의 3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사용하여 타당화한 결과, 3요인 23문항의 수학 시험준비전략 검사와 3요인 24문항의 수학 시험수행전략 검사가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 수학 시험준비전략과 시험수행전략의 각 요인별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별 전략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he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factors and items of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strategies scales. The subjects were 857 students in 6th grade from 13 elementary schools in G-city. The variable-centered approach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used for validating the sca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he test taking strategies scal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ed of three strategies: cognitive, metacognitive, and learning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respectively. Second, the mathematics test-preparation strategies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rised of three factors and 23 items, and the mathematics test-taking strategies scale three factors and 24 items. The scales could be used to assess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test-preparation and test-taking strategies and to further develop programs for enhancing strategies use.

      • KCI등재

        PISA 2006 과학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 맥락요인의 영향력 분석

        염시창,강대중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curricular context factors within studentand school-levels on the science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158 students nested within 139 high schools in Korea, and the data were from PISA 2006 focusing on science and collected information o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by the OECD. The study used two-level model analyses. The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dummy variables, were centered around the grand mean of each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ales or students whose fathers had higher educational levels showed higher science achievement scores. Among the context factors, self-directed science study time, science interest, and science valu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cience achievement, whereas private tutoring time on science and science activitie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chievement. At the school level, school average ESCS had positive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while the shortage of science teachers showe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qualified science teachers on a national level. Among the curricular context factors, the average time of school science class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cience achievement, whereas other context factors at the school level were not related to achievement. 본 연구는 과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 변수 중 맥락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준의 변수와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인 학교 배경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맥락요인인 과학 수업환경 변수의 과학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OECD에서 주관하여 시행하였던 만 15세 대상의 PISA 2006 자료 가운데 우리나라 고등학교 139개 학교와 이들 학교에 내재되어 있는 4,158명의 학생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또한 2수준 다층모형을 통해서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더미변수 이외의 변수는 모두 전체 학교 평균치에 대한 편차점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의 선행요인 중에서는 남학생, 그리고 부 학력수준이 높은 학생의 과학성취도가 높았고, 맥락요인 변수 중 자기주도적 과학 공부시간, 과학흥미 및 과학가치가 결과변수인 과학성취도와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이에 반해 사교육 과학수업시간과 과학활동 정도는 과학성취도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둘째,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 중에서 학교평균 ESCS가 과학성취도에 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과학교사 부족은 과학성취도에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국가수준에서 자격을 갖춘 과학 교사를 증원하는데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맥락요인의 변수 중에서는 학교평균 정규 과학수업 시간이 과학성취도와 정적 연관성을 보인 반면, 과학클럽활동, 과학전시회활동, 과학경진대회 및 과학주제활동과 같은 맥락변수는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선행요인과 맥락요인의 영향력을 종합하여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염시창,강대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를 개발하고,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반구조화된 설문 조사와 면담 및 토의를 통해 예비문항(50문항)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교사 470명의 응답 자료를 수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09명의 자료에 대해 Rasch 평정척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형성적 피드백 실행의 6개 하위요인(계획, 과정, 질문, 향상, 격려, 자기규제)에 대해 Rasch 모형을 적용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1차 5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는 5개의 하위요인(총 22개 문항), 즉 비계의 계획요인(4개 문항), 비계의 과정요인(6개 문항), 모니터링의 향상요인(4개 문항), 모니터링의 격려요인(4개 문항), 그리고 모니터링의 자기규제요인(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하위요인별 신뢰도가 높았으며, 하위요인 간 상관도 유의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의 하위요인은 기존의 학습을 위한 평가척도(단축형) 및 평가인식 척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사의 형성적 피드백 실행 척도가 초등학교 교사들의 형성적 피드백 실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 성공적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성취평가제와 핀란드의 교육 정책과 관련된 주요 문헌들을 분석한 결과, 평가 목적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외부자의 시선에서 학습에 대한 평가를 이루고자 하는 반면 핀란드는 학생 스스로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 는 학습을 위한 평가를 이루는 데 목적을 두고 있었고, 평가 거버넌스의 측면에서 교과목별 담당 교사가 평가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모두 가지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핀란드는 담당교사가 출제 및 평가한 내용을 외부 사정관이 검토하는 방식의 이차원적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다. 평가 과정의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고정 분할점수 또는 단위학교 산출 분할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지만, 핀란드 는 국가 차원에서 제공되는 명확한 평가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평가 결과의 측면에서 양국은 모두 총괄평가와 형성평가의 합산으로 학생의 등급을 결정하나 대학 입시에서 한국은 상대평가 등급을, 핀란드는 절대평가 등급을 반영하고 있었다. 평가 역량 측면에서 성취평 가제는 교육과정과 평가의 일체화를 도모하는 데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었고, 핀란드는 전문성과 자율성을 보장받는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교사 스스로가 평가역량을 구축해나가고 있었다. 마 지막으로 평가 문화의 측면에서 내신 성적이 대학입시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와는 달리 핀란드는 대학입학시험과 대학별 본고사가 더욱 중요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상 의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의 제언을 이루고자 한다. 첫째, 평가의 신뢰도 회복을 위하여 단위학교 산출 분할점수의 방식을 변형할 필요가 있고, 둘째, 교사 별 평가 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외부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교사의 평가 전문성 제고 를 위하여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해줄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될 필요가 있고, 넷째, 성취평가제의 지속성 유지를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제도에 대한 확고하고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할 필요가 있으며, 다섯째, 대학에서는 고교 내신 반영 방식의 제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형성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학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데 더욱 초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제언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s, interviews and discussions yielded 50 pilot items.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data from 409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Rasch rating scale analyses,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The Rasch model was applied to each of the 6 formative feedback practice factors(i.e., planning, process, questioning, improvement, encouragement, and self-regulation). The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the first-order five-factor model showed reasonable fit. Thus,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sted of planning scaffolding(4 items), process scaffolding(6 items), improvement monitoring(4 items), encouragement monitoring(4 items), and self-regulation monitoring(4 item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ies of the sub-scales were high, and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5 sub-scales of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ub-scales of the assessment for learning questionnaire(short-form) and the conceptions of assessment scale. The formative feedback practice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y be useful for measuring and assess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dback practice in the classroom.

      • KCI등재

        기술적,절차적 텍스트 학습에서 텍스트 정합성, 예 및 개요의 효과성 평가

        염시창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통계학에 관한 기술적·절차적 텍스트 학습에서 텍스트 정합성, 예 및 개요의 제시가 학습자의 이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 사실 그간의 텍스트 처리 이론은 텍스트의 정합성 문제에 큰 관심을 보인 반면, 예나 개요의 역할을 통합적으로 설명하지 못했다. 오히려 후자의 문제는 문제해결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연구자들의 주 관심사였다. 더 나아가 텍스트 이해 모형은 대부분 기술적 텍스트 처리에 국한된 연구에 치중한 나머지 절차적 텍스트를 고려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술적·절차적 텍스트의 인지적 표상에서 텍스트 정합성과 예 그리고 개요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텍스트 처리 모형의 통합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텍스트 이해 모형의 지평을 확장하며 텍스트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결과, 정합성이 높은 텍스트의 제시가, 특히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학습자의 텍스트 기반 이해와 상황모형 수준의 이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위의 결과는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학습자들의 경우 정합성 수준이 낮은 텍스트를 제공받을 때 높은 수준의 정합성을 가진 텍스트를 읽을 때보다 상황모형의 구축이 용이하다는 기존의 텍스트 처리 이론의 가설과 상반된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 개요 및 예의 효과는 제한적인 범위 내에서만 받아들여졌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통합적 모형을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즉 예언변인 듈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기술적·절차적 텍스트 기반 이해와 상황모형 수준의 이해가 차별적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스트 이해 모형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경험적 근거를 부분적으로 제공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text-processing models that have explicitly dealt with both text comprehension and problem-solving aspects, to inform how to help students learn from descriptive and procedural texts of statistics. Text comprehension models have not explained how knowledge is constructed from a combination of text with examples as well as how readers make a cognitive representation from procedural text. Thus,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text coherence, example and outline conditions in descriptive and procedural texts from the responses of 208 Korean undergraduat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viding readers with more coherent and explicit texts overall led to better text comprehension, in particular, for high knowledge readers. However, the prediction that high knowledge readers given the low-coherent text would yield better learning on situation model measure was not supported. The predictions of the role of outline and examples were only accepted within a limit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