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교 평준화 정책 논쟁에 관한 철학적 분석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1

          고교 평준화는 1974년 이래로 지금까지 30년 넘게 유지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정책이면서, 그에 대한 찬·반 의견이 크게 대립되고 있다. 지금까지 평준화 정책에 대한 찬·반 논의는 많았지만, 각 주장이 어떠한 논리적 가정 위에 서 있는 것인지를 철학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글의 목적은 평준화 정책 논쟁에서 제기되는 각종 주장들 속에 숨어있는 논리적 가정들을 좀 더 분명히 드러내어 보임으로써 그 주장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할 때 우리가 고려해야 할 점들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교 평준화 정책의 개념과 연혁을 살펴보고, 그것에 대한 찬·반 논란을 쟁점별로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각 주장이 어떠한 논리적 가정들 위에 서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BR>  고교 평준화는 입시경쟁으로 인한 중학교 교육의 파행을 막고, 고등학교 교육의 기회를 보편화하기 위한 정책적 동기에서 도입된 제도이다. 추첨배정을 통한 입학 방식은 고등학교 간의 차이가 없을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므로, 교육당국의 관심은 고등학교 교육의 균질성을 확보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정책적 관심은 고등학교 운영에 대한 획일적 규제로 나타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등학교 운영의 창의성과 다양성이 위축되었고, 나아가서는 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추동력 자체를 약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고등학교 교육은 대학진학을 위한 준비교육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경쟁적 대학입시제도 하에서 학생(학부모)들은 보다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등학교를 찾게 된다. 여기에서 교육의 균질성을 확보하려는 정책당국의 의지와 차별화된 교육성과를 기대하는 학생(학부모)들의 의지 사이에 충돌이 발생한다. 이것이 평준화 정책을 둘러싼 논쟁의 발생하게 되는 구조적 측면이다.<BR>  평준화 폐지론자들은 정책당국이 획일적 규제를 없애고 학교에 폭넓은 자율성을 허용함으로써 고등학교 교육을 다양화하고, 학생들에게 학교 선택권을 돌려줌으로써 자유경쟁을 통해 교육의 품질을 높일 것을 주장한다. 반면에 평준화 주장자들은 학교 선택권과 학생 선발권을 허용하는 자유경쟁원리를 적용하면, 대학진학의 기회가 불균등하게 배분될 것이고 그 결과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삶의 질을 균등하게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가치이지만, 교육의 기회 배분과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어디까지 보장할 것인지 그 최소한계를 정하는 일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일은 우리 사회가 그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평준화 주장자들이 답해야 할 책임이 있다.<BR>  대학교육의 기회가 선별적으로 주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기회 획득을 위한 개인의 창의와 노력을 인위적으로 규제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러므로 개인의 학교 선택권과 학교의 학생선발권은 다양하게 허용될 필요가 있다. 다만, 획일적인 기준에 의한 과열경쟁으로 인하여 소수의 승리자와 대다수의 패배자를 만들어내는 체제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평준화 폐지론자들은 시험성적이라는 단일 기준에 의한 ‘수준의 다양화’가 아니라, 인간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기준의 다양화’를 가져올 방안을 제시할 책임이 있다.

      • 교육학의 변화와 국민대학교 교육학과의 과제

        류성창,안창희,김주영,송지선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논총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의 변화, 교사 및 교육전문가의 변화, 교육학의 변화와 관련하여 국민대학교 교육학과가 미래의 교육과 직업의 변화에 따른 필요를 반영하여 어떻게 하면 추가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지, 특히 구체적인 교육과정, 수업방법, 평가방법 등에 대한 제안을 통하여 어떻게개선될 수 있는지에 대한 탐색에 있다. 미래는 기술발전, 학교환경변화, 정책변화에 따라 교육 역시 변화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으며, 교육학 변화의 경우 사회학, 경제학 등 다른 관련 학문의 변화와 더불어 다각화되며 타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 예측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재학 중인 72명을 대상으로 교육학과에서의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방법 관련 다양한 사항에 대한 만족도, 중요도, 필요도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모든 영역에 걸친 변화의 필요성이 인식됨을 알 수 있었고,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방식 관련 구 체적인 사항에 대한 변화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Emerging Research Methodology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Youngsam Kahng(姜永三)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1986 교육논총 Vol.5 No.-

          1980년대에 들어와서 교육행정학 연구에 새로운 방법이 모색되어 왔음을 미국의 교육행정학 관계 학술 잡지들에서 간파할 수가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종래의 교육행정학 연구방법의 특징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새로운 연구방법이 어떤 것인지를 알아 보았다. 이 글을 쓰기 위한 자료는 주로 1980년 이후에 발표되었으면서 연구방법에 관련된 교육행정학 분야의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하였다.   관계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종래의 교육행정학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압도적이었는데도 모두가 훌륭한 것이라고는 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연구방법은 주로 사회과학과 행동과학에서 널리 활용되는 것을 교육행정학에서 원용한 것이었으며, 이러한 연구방법은 실증주의 철학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서는 종래의 교육행정학 연구방법에 대한 비평이 미국내에서도 가해지면서 종래와는 다른 연구방법을 시도하려고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로서 최근에 발표된 학술논문 가운데 종래와 달리 새로이 교육행정학 연구방법에 원용될 만한 것으로 “에스노그래픽 어퍼로취”(ethnographic approach)와 고차워적 연구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전자는 주로 사회학과 문화인류학에서 후자는 사회과학과 행동과학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교육행정학의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유용하다고 보고 있다. 특히 이들 새로운 연구방법은 定量分析보다는 定性分析에 더 치중하고 있는 특징도 나타나고 있다.   종래의 연구방법에서 탈피하려는 관심은 美國에서보다 美國을 위시한 캐나다나 오스트랄랄리아 등에서 더 일찌기 나타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으나 1980년 이후에는 미국에서도 흔히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교육행정학 연구동향을 간추려 소개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또 우리의 교육행정학 연구에서도 종래의 단순한 定量分析的 차원에서 벗어나 한 차원 더 높은 定量分析的 연구와 定性分析的 연구방법을 모색해 봄으로서 교육행정학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데 의미가 있다.

      •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 탐색

        윤옥한(Yoon Ok Ha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이론적 배경과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의 이론적 배경과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 모형의 경우도 이미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좀더 체계적이고 체제적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탐색을 통하여 평생교육분야에 종사자들에게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자체가 단순성(simple), 실용성(useful), 체계성(systematic)을 추구하였다. 첫째 단순성이란 내용이 단순하다는 것이다. 너무 어렵지 않고 쉽게 접근해 볼 수 있게 구성하였다. 둘째 실용성이란 단순하지만 실제 업무 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현장 적용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셋째 체계성은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논리적 구조에 합당하게 전개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자체는 이 연구를 읽으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모형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 lot of studies have already studied theoretical backgrounds and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model for life long education workers to access more easily by exploring more systemic and systematic models for life lo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is study itself aims to pursue simplicity, usefulness and systemicity. First, simplicity means simple contents. Accordingly, it was configured easily accessible and yet not too difficult. Second, for usefulness, it was focused on field applicability, that is, simple but applicable to actual work fields. Third, simplicity means to deploy program development reasonable to logical structur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tself is focused that readers of this study could fu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 model of life long education program.

      • 중국대학 한국어 학과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 교환학생이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동(Tong, Zhao),윤옥한(Ok-Han, Yoo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논총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교환학생들이 경험한 한·중 양국의 한국어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 향후 중국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중국에서 재학 중인 학생들 중 출신 학교와 출신 지역을 고려하여 5명을 선별하여 심층 면담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과정을 가르치는 교수 중 모국어 교수와 전문가 교수가 부족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재 설명의 정확성과 흥미성이 부족한 문제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법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과정 개설과목 간 연계성이 부족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현실적이고 흥미로운 교육내용으로 교육과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각종 문화체험이나 양국학생들간의 교류 활동을 활발히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experienced by Chinese exchan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o fi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use it as a reference in future Chinese language curriculum development at Chinese univers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fiv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in China, taking into account the school of origin and the region of origi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ack of native language professors and expert professors among professors who teach Korean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problem of lack of accuracy and interest in textbook explanation. Third, we need a teaching method that can induce natural conversation. Fourth,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linkage between curriculum courses. Fif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iculum with realistic and interesting educational contents. Sixth,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ngage in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and exchange activities between students from both countries

      •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사교육 효과 검증

        이기종(Rhee, Kijo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논총 Vol.28 No.-

        대학진학에서 사교육의 효과성에 관해 여러 연구가 나름대로의 사실에 근거해 서로 다른 결과를 내놓고 있다. 앞서의 이러한 연구에 기초해 설정된 가설은, 사교육은 수능과 대학입학에 영향을 미치며, 수능은 대학입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 가설은 한국교육고용패널 자료에서 2005년 대학에 진학한 1,269명 가운데 보호자가 부모인 61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검증된다. PRELIS 2.3을 통한 다연상관이 분석자료로 투입되고 LISREL 8.8의 최대가능법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사교육이 대학입학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며, 수능을 통한 간접적 영향만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수능을 매개로 한 사교육의 간접적 영향도 대학입학에서 그 비중은 크지 않다고 판단된다. 이는 사교육이 수능을 통해 대학입학을 설명하기는 하나 대학진학을 결정짓는 요인은 사교육의 영향을 받는 수능만이 아닌 다른 다양한 교육적 요인이 있으며 그 비중도 작지 않음을 시사한다.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 couple of hypotheses are established: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fect both student's school achievement represented as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college admittance; and student's school achievement affects college admittance. Hypotheses are verified through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based on polyserial correlations from 613 student' data with aids of PRELIS 2.3 and LISREL 8.8. Results show that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ve no direct effect on college admittance and do have indirect via student's school achievement on college admittance. It is implied that there are many ingredients that determine college admittance, except outside-school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s school achievement.

      • 대학의 교육사 교재에 나타난 광복 이후 교육사 서술의 제 문제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대학의 교육사 교재는 전문적인 역사연구서가 아니라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한국의 교육현상에 대한 역사적 통찰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과서이므로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서술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2000년 이후 출간된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재들을 수집하여, 광복이후의 한국교육사에 대한 서술범위, 주요 서술내용, 그리고 서술방식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19종의 교재 중에서 7종은 광복이후의 교육사를 전혀 다루지 않았으며, 1990년대까지 언급하고 있는 교재는 단 4종뿐이었다. 따라서 광복이후의 교육사에 대한 서술은 양적인 면에서 매우 빈약하고 불충분했다. 서술방식에 있어서는 첫째, 대부분의 교재가 역사적 사건들을 구조화하지 못하고 평면적으로 나열하였으며, 둘째, 교육제도와 교육정책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교육이론이나 교육현장의 변화를 소홀하게 다루었고, 셋째, 주로 정부의 시각에서 서술함으로써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활동의 다양한 주체들의 입장이나 시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 이러한 서술방식은 예비교사들에게 우리 교육현실을 바르게 이해하는 역사적 통찰력을 길러주기에는 미흡하다. The 'history of education' textbooks for university students are not for professional historians but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aim of the textbooks is to give prospective teachers some historical insights on Korean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description styles of history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reviewed 19 textbooks of 'history of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 which were published after 2000. The review focus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textbook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the periodical ranges of description, major contents and styles of descriptions are analysed. Among 19 textbooks which were reviewed, 7 entirely omitted to describe that period, and only 4 included recent history of after 1990 period. The quantity of description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was very poor and insufficient. Most textbooks described educational events plainly, without structuring 'courses of events' or 'emplotment.' Main topics of description centered on educational systems and policies; educational theory and movements of the educational field were neglected. Most descriptions wer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authorities, not those of teachers', parents' and pupils'. So the qualities of descriptions o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of education since 1945 were not sufficient to give prospective teachers some historical insights on Korean education.

      • 고등교육 종료 후 교육지속성을 결정하는 배경요인 탐색

        이기종(Kijong Rhee)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문제의식은 교육지속성에 따른 과잉학력화 현상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고 교육지속성을 보이는 이들이 학문적 탐구열정에서인지 또 다른 요인이 있는지 살펴보는데서 출발한다. 연구문제는 고등교육 종료 후 교육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요인을 탐색하고, 교육지속성 여부를 설명해 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모형을 탐색하는 것이다. 교육지속성을 결정짓는 배경변수의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대학원 진학과 미진학의 종속변수와 다양한 독립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고 주어진 독립변수의 수준에서 종속변수인 대학원 진학과 미진학을 예측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출생변수 중에서는 나이변수, 가족의 문화적 변수 중에서는 부의 학력수준, 가족의 경제적 배경변수 중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수준에 대한 인식이 교육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the widespread overeducation phenomenon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inuation, and investigate whether those with such willingness to educational continuation are motivated by academic inquiry or other factors. The research question is defined in a way that explores the background determinants having an impact on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after completing higher education, and then search for an appropriate theoretical model that explains about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degree of educational continuation, the author undertook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ch explains about the relations among the dependent variable of entering a graduate school or not and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predict the value for dependent variable whether the subjects continue their graduate studies or not based upon the independent variables given in the model. The analysis yields that such factors as age among birth variables, negative educational history among family cultural variables, and the perception on socioeconomic status among family 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affected the educational continuation.

      •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래영(RaeYoung Kim),정선영(SunYoung Joung)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논총 Vol.32 No.-

        본 연구는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B 구립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2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5주 동안 14회기로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통제집단에는 인권교육 프로그램에서 추출한 인권의 영역과 가치만을 소개하여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의한 향상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활동중심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인권교육의 활성화를 통한 유아 개개인의 인권 신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on preschoolers'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s the research subjects, twenty five-year-old preschoolers of B Public Nursery School located in N District in Seoul.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was introduced over fourteen sessions for five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only the area and value of human rights extracted from the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were introduced. The pre-and post tests of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were conducted for the preschoolers in each group to compare the improvement degree of the preschoolers' self 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the score of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 improvement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prosocial behavior, and suggests that the activity-based human rights educational program can be used as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human rights of preschoolers. Based on tha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promoting the human rights of the individual preschoolers through the activation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preschoolers.

      • 입학사정관제도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신차균(Chakyun Shin)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논총 Vol.29 No.-

        이 글은 최근에 강조되고 있는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본질과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교육철학적 의미를 검토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세 가지 문제가 검토되었다. 첫째, 입학사정관제도의 유래와 그 도입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입학사정관제도의 기본 가정과 그것이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셋째, 입학사정관제도의 도입은 학교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것인가? 입학사정관제도는 선발의 공정성 보다는 대학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미국 대학교육의 전통에서 생겨났다. 이 제도는 입학사정관에게 광범위한 재량권을 부여하면서, 품성과 지도성 같은 다양한 비학문적 선발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는 기존 대학입시의 폐해를 극복하고 대학의 자율성과 고교교육의 정상화를 동시에 추구하기 위하여 이 제도의 도입을 서두르고 있으나, 아직은 도입과정에 있는 미완성의 제도이다. 다양한 선발기준의 강조에는 우수한 인재의 개념, 인간의 다양한 능력과 그것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대학입시에서 경쟁의 공정성, 객관성, 투명성보다는 대학의 전문성, 자율성, 사회적 책임성이 강조됨을 함의한다. 학교교육의 정상화는 입학사정관제도 도입여부보다는 그 운영방식에 달려 있다. 우수한 인재의 의미나 그 인재를 가려내는 선발기준이 학교교육과정과 무관하게 규정되거나 이해된다면, 새 제도는 학교교육에 대한 재앙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w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and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adopting the system in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For this purpose, three questions are answered. First, what is the origin of the system, and what is the background of adopting the system to Korean educational setting? Second, what are the presupposi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ystem? Third, can adoption of the system improve high school educatio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riginated from the tradi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n USA which emphasizes autonomy of the universities rather than the fairness of selection. The system allows admission officers a free-hand to select students, and to apply non-academic criteria such as character, leadership, family background etc. The Korean government tries to adopt this system for multiple purposes; to relieve excessive competition in entrance examination, to improve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and to recover high school education. The trial is in the beginning yet. Emphasis on ‘the various selection criteria’ presupposes changes in the concepts of ‘excellence’, ‘human abilities’ and changes in the methods of measuring human abilities. It implies that the emphasis of university admission moves from fairness,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to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for society. The recover of high school education depends not on the adoption of a system, but on how it works. If we define the meaning of excellence and criteria of selection without reference to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new system turns out to be disastrous for high schoo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