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의 비판적 탐색

        정혜령(Jung, Hye Ry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의미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의 한계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의 한계를 검토하여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Bourdieu, Coleman, Putnam의 논의를 중심으로 사회적 자본 개념의 전개양상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에서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의 의의를 도출하였다. 즉,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은 인적자본론의 한계를 보완하고, 지역의 통합적 발전을 강조하고 시민의 중요성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 개념은 불평등한 권력관계를 간과하고 있고, 순환논리의 오류에 직면해 있으며, 시민의 주체성을 소홀히 다루고 있다는 측면에서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평생교육이 이러한 한계를 면밀히 검토하지 않을 경우 사회불평등 재생산 기제로, 사회통제 장치로, 주체적인 참여의 내용과 과정을 간과하고 피상적인 시민참여 행동만을 강조하는 평생교육으로 기능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평생교육의 근본 목적과 사회적 맥락과 과정에 초점을 두어 평생교육에서 사회적 자본 논의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ritically the approach to social capital in lifelong education. For doing this, examining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nalyzed by Borudies, Coleman, and Putnam,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s of social capital in human capital, emphasizes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through social inclusion, and makes pay attention to citizenship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owever, the dominant discourse of social capital has limitations in terms of overlooking unequal power relationships in the existing society, focusing only on consent for social inclusion, and not paying attention to civic subjectivity. Scholars and policy maker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have not note the limitations of social capital. That could lead that lifelong education for increasing social capital play the role as a important instrument in reproducing unequal power relationships and controlling the existing soci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social capital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explored critically and respectively in terms of the fundamental purpose of lifelong education, the understanding of power relationships, and the dynamic process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 :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어유경 ( Eo Yu Gyeong ),김순은 ( Kim Soon Eu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6 地方行政硏究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을 사회적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질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노인문제 대응의 주요 주체인 공동체와 지방정부의 사회자본을 대상으로, 적극적 노인집단과 소극적 노인집단의 문제에 대응하는과정을 분석하였다. 상세한 맥락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북구라는 단일 지역을 대상으로 단일사례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자본의 단위와 노인집단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사회자본이 다양한 경로를 거쳐 노인문제에 대응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극적 노인집단의 문제에는 노인공동체 내부의 약한 결속형 사회자본, 지방정부와의 강한 연결형 사회자본이 대응하였다. 그러나 적극적 노인이 주민공동체 참여를 통해 문제를 의제화시키기는 어려웠다. 소외된 노인집단의 문제에는 주민공동체 내부의 강한 결속형 사회자본과 거버넌스형 복지공동체의 강한 가교형 사회자본이 대응하였다. 이러한 협력에는 공동체-지방정부간 연결형 사회자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가 제공하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인집단은 분리되어 있으며, 소외된 노인집단의 사회자본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소외된 노인 간의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지역의 심각한 노인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노인과 주민과의 사회자본, 공동체 간의 사회자본이 더 중요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동체간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지방정부가 초기에 적절한 제도를 설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amine the function of local social capital in addressing the problems of the elderly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ism. Towards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social capital of communities and a local government and analyzed how social capital responds to them.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xts and the paths of social capital in detail, this study chose Seongbuk-gu as a target of single subject research. As a result of analysis, it is found that diverse types of social capital work to address the problems of the elderly in many ways, which are determined by units of local social capit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group of the elderly. For the problem of a group of the active elderly, weak bonding social capital in the community of the elderly and strong linking social capital between the elderly’s community and local government responded to it. However, it was difficult for the active elderly to make their problem a local agenda by participating in a community of residents. On the other hand, for the problem of a group of the excluded elderly, strong bonding social capital of a community of residents and strong bridging social capital of ‘welfare community’ responded to it. This study provides a few implications for policy design. First, since a group of the elderly is actually divided into several subgroups,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support the excluded elderly in developing their own community in order to recover their social capital. Also, for responding to serious problems of the excluded elderly, social capital between the elderly and residents, or social capital between communities might be more important. At last, it is suggested for a local government to set up an appropriate institution or norm at the beginning in order to improve cooperation between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학교공동체용 사회자본 측정도구 개발

        김태선,김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8 교과교육학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공동체를 위한 사회자본이 어떠한지를 밝히는 목적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개념과 구성요소(신뢰, 네트워크, 규범)를 고찰해 보고, 그간 수행된 교육부문에서의 사회자본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학교공동체를 위한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국내외 연구자들의 문헌 분석, 선행연구 검토 그리고 수차례에 걸친 의견수렴과정을 통하여 우리나라 학교공동체에서 요구되는 사회자본의 범주로서 3개의 하위영역 신뢰, 네트워크, 규범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구성요소를 기초로 신뢰는 사람에 대한 신뢰와 제도에 신뢰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10개, 네트워크는 의사소통, 학교참여, 사회적 관계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28개, 규범은 호혜성과 사회적 통제로 구성하고 측정하는 문항은 12개로 총50개였다. 이렇게 개발된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학교에서 어떤 사회자본이 부족한지 알아낼 수 있고, 부족한 요인 에 대한 육성방안과 실천적인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해 필요한 사회자본 요인이 무엇인가를 밝힘으로써 부족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형성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책적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전북지역에 있는 학교구성원들에 한정해서 조사되었다. 사회자본의 육성은 학교를 중핵으로 하여 가정, 지역사회 등이 서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역할 분담을 통하여 육성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과별로 부족한 사회자본을 어떻게 형성시킬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실천전략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ormation of social capital for a school community. Social capital can be defined as a shared norm, trust and value, and a network among people to promote cooperation from a variety of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 on the social capital part of education and interviewed experts in this field and teachers. As a result of this progress, seven factors social capital were determined: trust (personal trust and system trust), network (communication, school participation, social relationship), norm (reciprocity, social control). The factors of social capital consists of 50 items. The trust factors consist of 10 items, the network factors consists of 28 items, the norms factors consists of 12 items and 50 items respectively.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research trends, developing a social capital questionnaire for a school community. It is imperative that we establish a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for a breakthrough in times of the crisis. It is very important to change the school community spirit from private faith.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s necessary to improve partnership in a school community. To foster social capital, the function of school education must be emphasized. We need to draw an all-agreeable definition of social capital by constructing a theoretical framework and developing more objective and accurate tools for social capital measurement in the future.

      •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정아,조흥식,장주희,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학교적응에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미치는 영향력에 주목한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 2차년도 데이터의 중1패널(중학교 2학년에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사회자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학교적응, 사회자본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가족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위계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HLM 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방임을 적게 경험할수록, 학대를 적게 경험할수록, 부모가 자녀의 친한 친구들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잘 알수록 자녀가 학교에 더 잘 적응함을 알 수 있었다. 통제변인과 관련해서는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학교에 잘 적응하였다. 둘째, 학교적응에 대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공동체의식이 높은 지역사회일수록 청소년이 학교에 더 잘 적응하였다. 통제변인과 관련해서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아버지들의 평균 학력이 높은 지역사회일수록 청소년들이 학교에 잘 적응하였다. 셋째, 가족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동시에 살펴본 결과 가족 사회자본과 관련하여 방임을 경험한 경우가 적을수록, 학대를 경험한 경험이 적을수록, 부모가 자녀의 친한 친구들에 대해 관심을 가질수록, 지역사회의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이 학교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정책제언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youth’s adapting to school. By utilizing the second year data of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panel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2010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successively on 2056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93communities, 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amined. First, what influence does family social capital exert on youth’s adapting to schools? Second, what influence does community social capital exert on youth’s adapting to schools? First, 6.1% of the entire variables of school adaptation wer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communities, and the remaining 93.9% wer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among the individual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showed that the less neglec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less abus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better the parents knew about their children with the greater interest, the better their children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mmunity social capital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ty spirit the communities had, the better the young students in the communitie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Fourth, the results of examining famil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in relation to family social capital, the less neglect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less abus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greater interest the parents had in the close friends of their children, the better the young student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And in relation to community social capital, the level of community spirit was still found to exert positive effects on young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차별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을 중심으로

        우정자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20 시민사회와 NGO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the social capital of peer, and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affect adolescents' the acts of discrimin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70 second graders of middle school who responded to the fifth survey of the first panel of the Children's Panel Survey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the social capital of peer, and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The dependent variables are acts of discrimination. The control variables are gender, family economy level, and experiences of being discriminated. The analysis methods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ASW Statistics 1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capital of family and the social capital of peer do not affect discrimination acts. Second, as the social capital of community increases, the act of discrimination decreases, and the social capital of norms and trust is identified as a factor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adolescents' act of discrimination. Adolescents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ommunity-centered participation programs that increase community social capital of norms and trust in order to decrease the act of discrimin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 사회자본, 또래 사회자본, 지역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1기 패널의 5차 조사에 응답한 중학교 2학년생 370명이다. 독립변수는 가족 사회자본, 또래 사회자본, 지역 사회자본이고, 종속변수는 차별가해 행동이다. 통제변수는 성별, 가정경제 수준, 차별피해 경험이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 사회자본과 또래 사회자본은 차별가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사회자본이 증가할수록 차별가해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과 신뢰의 지역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 감소에 기여할 수 있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다. 청소년의 차별가해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 규범과 신뢰의 지역 사회자본 증가에 도움이 되는 지역사회 중심 프로그램의 개발과 청소년의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한다.

      • KCI등재

        탄자니아 공동체의 참여와 사회자본에 대한 실증 분석

        조창현,주영규,한상일,최무현 한국국정관리학회 2015 현대사회와 행정 Vol.25 No.2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한 탄자니아 리아뭉구 농촌지역을 대상으로 공동체의 활동과 모임에 참여하도록 영향을 주는 사회자본의 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지역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활동과 모임들 중 각각 다른 네 가지 유형의 활동 모임에 참여하도록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사회자본 변수는 각기 다르다. 이웃친목모임의 경우 개인의 친밀감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적 사회자본이고, 농민회모임의 경우 좀더 상대적으로 공식적인 활동인 외부적 사회자본이며, 가장 제도적이고 공식적인 활동인 지역정당의 경우 외부적 사회자본이고, 반면에 취미활동모임의 경우 개인적인 취향과 인적 네트워크에 의해서 내부적 사회자본과 외부적 사회자본이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지역발전을 위한 주민 참여의 증진과 활성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친밀감을 기반으로 하는 내부적 사회자 본을 활용한 공동체 조직 활동의 가입 확대와 활성화가 필요하다. 셋째, 개인적 친밀감과 신뢰를 넘어서서 공식적이고 제도적인 활동에 대한 사회 규범과 신뢰, 협력, 네트워크 등의 외부적 사회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 리아뭉구 지역의 사회자본은 사회적 활동과 참여의 활성화를 촉진하기에 역부족인 상황이기 때문에 사회적 자본의 역할을 충분히 강화시킬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새마을 정신 처럼 지역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하여 시장경제체제에 적합한 농촌지역 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지역주민의 공동체 정신을 제공하는 제도적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소비자의 인적자본 및 사회적 자본이 노동시장 참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영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6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안정적인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 노인들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자원을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와 대상은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KLoSA)이며 기본 자료의 60세 이상 노인 5,545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평균간 차이 검증, 다항로짓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 유형을 임금근로자, 자영업자, 무급가족봉사자, 비경제활동자로 구분하여 노인이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본(교육 및 건강)과 Berkman의 사회네트워크 인덱스개념을 활용한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고 이들이 각기 노년기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 유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적자본은 노년기 노인들이 유급 근로를 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축적된 자본의 형태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노동시장 참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와 건강, 경제, 가족(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만족도를 총합 평균하여 제시한 삶의 영역 만족도를 활용하였다. 인적 및 사회적 자본이 이러한 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은 인적자본 중 일상생활수행능력이 부족한 경우에 가장 크게 삶의 만족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이 많을수록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노력이 절실한 시점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uman and social capital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nd to discuss ways to use variety resources in order to lead their successful later life. Data for this study is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5,545 of the elderly who are 60 years and olde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nominal Logit analysis were used in order to explain the level of human and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s well as to estimate the effect of those capitals on the labor force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uman resour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whether or not the elderly work through the paid work. Second, social capital affects different types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for different kind of accumulated capital. Third, The influence of human resource and social capital on the quality of life of seniors was found to break down the greatest satisfaction in life if there is insufficient capacity to perform daily living. Furthermore, more social capital shows a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stitutional support is desperate time and effort to lead a successful life after retirement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nstitutional support and desperate effort would be need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o lead a successful aging at their later life.

      • KCI등재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장성희(Jang, Sung-Hee),이경탁(Lee, Kyung-Tak) 한국창업학회 2017 한국창업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기업과 사회적 자본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성과,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사회적 자본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사회적 가치지향성,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으로 분류하였고, 사회적 자본은 구조적 자본, 인지적 자본, 관계적자본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연구모형은 111명의 사회적 기업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자본과 인지적 자본은 관계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계적 자본은 사회적 기업의 성과(공익성과와 고용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기업가와 정책입안자들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키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면서 지역사회와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수립에 유용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influencing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of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This model tests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capital. Social entrepreneurship is classified into social value orientation,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And social capital is classified into structural capital, cognitive capital, and relational capital. The proposed model is analyzed to target 111 social entrepreneur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social entrepreneurship positively influences structural and cognitive capital. Second, structural and cognitive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relational capital. Finally, relational capital positively influences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public performance and job cre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s social entrepreneurs and policy-makers with useful implications for setting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promoting shared growth with the community.

      • 도시 인프라 구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혜미,최준규 한국미래행정학회 2014 한국미래행정학회보 Vol.3 No.1

        지금까지 사회자본의 측정 혹은 그 영향요인을 도출하는 많은 연구들은 참여나 네트워크와 같은 개인의 행태적 차원을 종합하여 연구를 진행해왔다. 일부 사회자본 이 가지는 구조적·물리적 부문을 강조하고 있는 연구에서 조차도 영향요인을 구체화 하지 못하거나 규범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도시의 물리적 요 소, 인프라 구조 등은 도시 거주민들의 행태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러한 영향관계는 지역 커뮤니티의 사회자본에 있어서도 밀접한 상관관계 를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의 공간적 요소가 사회자본 형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도시현황 지표를 활용하여 사회자본에 대한 도시 인프라 구조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사회자본의 개념을 정리하고 현재까지 사회자본의 영향요인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 를 검토하였다. 특히, 도시의 공간적 요소와 관련된 사회자본의 물리적 영향요인을 검토하고 주요 지표를 도출하여, 도시의 인프라 구조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적으로 제시된 실증분석 결과는 대부분 유의미한 결과를 산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변수가 가지는 수준과 특성의 문제, 내용적 타당성의 문제, 표본의 크기 문제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향후 사회자본 연구에 있어서 도시지표의 활용 가능성 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In many research related to the social capital, those studies focused on the behavioral dimens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private network,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The structural perspectives of social capital have been relatively less emphasis than the behavioral or cognitive perspectives. So far, although the physical elements and infrastructure of the city have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change the behavior of the inhabitants of the city, those factors are not treated as significant ones in local communit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the urban physical factors could be key elements of social capital and examine the impact of urban infrastructures empirically.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s the theoretical part of generally discussed concept of social capital, and arranges a variety of factors. Especially the analysis presents spatial indicators related to social capital among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we empirically conduct the exploratory analysis on the impact of urban infrastructure on social capital.

      • 사회자본의 경제안정화 효과 분석

        김정훈,유경원,이다겸 경기연구원 2017 경기개발연구원 기본연구 Vol.- No.-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사회자본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사회자본의 주요 지표들과 경제안정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아울러 주요 사회자본의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과 OECD 국가 간 비교 · 분석을 통해 앞으로 우리사회의 발전과 경제안정을 위해 강화해야 할 사회자본 요소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의 경우 정부신뢰도, 주요기업신뢰도, 공정성, 종교활동 등의 사회자본 지표는 OECD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신뢰도, 의회신뢰도, 부패지수(청렴도)등은 OECD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편, 2001~10년 동안 한국 사회자본 지표들은 대체적으로 높아지는 추세에 있으나 일반신뢰도, 의회신뢰도, 공정성은 최근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패널회귀 분석과 패널분위회귀 분석을 통해 사회자본의 경제안정화 효과에 대한 영향을 실증분석한 결과, 여러 사회자본 지표의 경우 경제성장률 변동성에 비해 고용률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보다 유의하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만을 비교할 때에는 경제성장률 변동성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가 고용률 변동성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 지표는 공정성과 부패수준(청렴도)인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한국의 경제 및 고용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자본 확충의 측면에서 일반신뢰도(포괄적 신뢰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의회신뢰도를 높이고 부패수준을 낮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social capital on national economy in theoretical aspec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indices of social capital and economic volatility through panel regressions. By using the data of the World Values Survey, we find that in Korea, the levels of confidence in the government, fairness and religious activity out of the indices of social capital are higher than those averages of OECD countries, but the levels of generalized trust, confidence in the parliament and corruption index (Transparency International) are lower than the averages of OECD countries. Empirical results of panel regressions and quantile panel regressions show that higher indices of social capital are associated with lower employment volatility and lower growth volatility; in particular, fairness and corruption indices have stronger impacts on economic stability. Thus, the government needs to perform various policies to enhance social capital in order to lower economic volat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