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 실습 기간에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의 분석

        차정호,최원수,노태희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4주간의 실습 기간 동안 매주 최소한 2개 이상의 반성저널을 웹 게시판에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최종적으로 23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307개의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제 영역과 반성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반성저널은 대부분 수업 준비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과 같이 과학 수업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었으며, 실습 진행에 따라 점차 빈도가 증가하였다. 과학 수업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179개의 반성저널의 반성적 사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반성적 사고가 포함된 반성저널은 53개(29.6%)였는데, 상위 수준의 반성적 사고(전문적 반성과 비판적 반성)는 매우 적었지만,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웹기반 반성저널 쓰기 활동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교육실습 활동의 기록을 남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In this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b-based reflective journals were analyzed. During four weeks teaching practicum, they were guided to post at least two reflective journals in a week on the Web bulletin board system. Finally, 307 web-bas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23 pre-service teachers were selected, and the domain and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were mostly related with teaching science, i.e., preparing and reflecting their own instruction, and the frequencies of these domains increased with the process of teaching practicum. Reflective journals about school administrative system, informal teaching practice, student guidance, and personal feeling were also included.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of 179 journals about teaching science were analyzed further. There were 53 (29.6%) journals including reflective thinking, but the higher level of reflection (professional reflection and critical reflection) was rare.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web-based reflective journal writing were also surveyed.

      • KCI등재후보

        반성적 사고경험에 나타난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

        권정숙(Kwon JungSook),최석란(Choi SukRa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 나타난 반성적 사고과정과 반성적 사고 과정 시 문제 상황을 인식하는 단서와 단서의 해석 시 사용하는 지식을 밝히고자 5명의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4가지의 반성적 사고경험(저널쓰기, 자기-반성적 사고, 동료장학에 의한 반성적 사고, 개별 장학)을 제공한 후 그 과저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의 반성적 사고과정은 단서인식하기, 시도하기 보완하기의 과정으로 나타났고, 자신의 교수활동에 교육학적 지식을 통합시키려는 변화와 관점의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의 시선과 반응'을 단서로 반성적 사고를 하였고,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더 많은 단서로 반성적 사고를 하고 있었다. 단서를 해석하는데 사용한 지식은 교사 자신과 유아, 교육학적 지식, 교육내용, 사회적 맥락에 대한 지식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hat are the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2. Were there some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us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3. What kind of knowledge does the kindergarten teacher use in interpreting the reflective information as sources? Five kindergarten teachers were participated. They were asked to write journals, self-reflective thinking about their teaching. And they were supervised about their teaching using the video tapes with the supervisor and colleagues.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y found that reflecting thinking proces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recogniz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trying to practice the decision, and fixing the action the during the reflective experienc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experienced teachers and novice teachers, in using the source of reflective information. Experienced teachers seemed to use more reflective informations than others. The teacher used their knowledge about self, children, pedagogy, curriculum in class and social context in interpreting the reflective information as sources.

      • KCI등재후보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기반한 실과 수업 방안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7 實科敎育硏究 Vol.13 No.4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al considerations to improve the reflective Instruction skills for teachers, and investigate the acknowledge why reflective thinking is essential in practical arts education. Reflective thinking has been proposed as efficient teachers. Instruction designing activities can be said as highly complicated but dynamic profession. What matters mos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lies on the reflective thinking or reflective practice with which instructional designers or field practitioners can diversely understand problem situations and explore possible solutions to meet fields learning needs. This paper suggests an alternativ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tructional designers in terms of reflective practice perspectives and drew out some implications of five major learning principles and a feasible circular instructional designing process(exploring ill-structured problematic situation, visualizing problems, expressing problem solving activities, implementing keen observation and finally recursive revising). Teacher should be used their reflective thinking through their various classroom situations and offered several strategies to promote the ways of reflective thinking for high professionalization.

      • KCI등재

        헤겔철학에서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관하여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권영우 ( Young Woo Kwo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연구 Vol.0 No.52

        이 글의 목적은 규정하는 반성과 모순을 중심으로 헤겔철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반성개념과 반성운동의 중요한 특징을 해명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반성은 광학적인 의미에서 지속적인 동일한 반사와 반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반성은 동어반복적 반복과 순환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성에 따라 이념이 자기운동을 한다면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변화와 운동은 오로지 동어반복적 자기동일성 안에만 갇혀 있게 될 것이며 새로운 것이 없이 무한히 반복되는 단조로운 운동이 될 것이다. 하지만 헤겔이 말하는 반성운동은 이러한 단조로운 반복순환운동이 아니다. 헤겔의 반성이 자기동일성에서 자기외화를 거쳐 자기로 복귀하는 무한한 과정임에도 그것이 동어반복적 동일성에 함몰된 단순한 순환과 반복이 아니라 끝임 없이 새로운 것으로 스스로를 규정하는 운동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헤겔이 말하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비대칭성 때문이다. 그리고 헤겔은 타자로의 이행이 부정적 자기관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운동, 즉 반성이라는 점을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반성적 자기관계는 유한성 속에서는 결코 멈춰질 수 없는 무한한 역동성을 지니게 된다. 바로 이러한 반성적 자기관계성 속에서 이념은 논리적인 개념으로 그리고 실제적인 자연과 ‘역사와 학문을 포함하는 정신’으로 전개하고 발전한다는 것이 헤겔철학의 중요한 핵심적 요지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반성적 자기관계의 무한성과 비대칭성에 초점을 맞춰 반성개념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Das Ziel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mittels der Erklarung der bestimmenden Reflexion und des Widerspruchsbegriffes die wichtige Charakteristik des Reflexionsbegriffes als des wesentlichen Begriffes in Hegels Philosophie und die der reflektierenden Bewegung zu erlautern. Reflexion wird zumeist im Sinne der Optik als Wiederspiegelung verstanden, in der das gleiche Licht unendlich ab- und zuruckstrahlt. Also konnte die Reflexion als ein tautologisch wiederholender Zirkel angesehen werden. Wenn sich die Idee auf die Weise der tautologischen Reflexion bewegte, waren alle Verwandlungen und Bewegungen jedes Seienden nur die banal unendlich sich wiederholende Bewegung, in der nichts neues entsteht und die in der tautologischen Identitat eingeschlossen ist. Aber die Reflexion bei Hegel ist keine solche tautologische Wiederholungsbewegung. Die Hegelsche Reflexion ist doch eine sich von sich unterscheidende und zu sich ruckkehrende Bewegung. Trotzdem fallt sie nicht in die tautologische Identitat, sondern sie wird die sich endlos als Neues bestimmende Bewegung wegen der asymmetrischen Charakteristik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Hegel erlautert, dass der Ubergang in Anderes im tieferen Sinne die Selbstbewegung respektive die Reflexion ist, die auf der negativen Selbstbezuglichkeit beruht. Die reflexive Selbstbewegung hat die unendlich sich dynamisierende Fahigkeit. Der Hauptpunkt der Hegelschen Philosophie besteht darin, dass sich die Idee kraft ihr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als Begriff, Natur und Geist, in den Wissenschaft und Geschichte gehoren, entwickelt. In Hinsicht auf die Unendlichkeit und Asymmetrie der reflexiven Selbstbeziehung wird dieser Text die Bedeutung der Reflexion bei Hegel erlautern.

      • KCI우수등재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 반성의 수준 변화에 따른 다문화 관련 인식을 중심으로 -

        전귀자,조덕주 한국교육학회 2015 敎育學硏究 Vol.53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성’에 초점을 둔 ‘반성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반성 수준의 변화 및 반성 수준 변화에 따른 그들이 인식 내용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반성적 다문화교육에서의 반성의 개념, 절차, 수준, 교수학습 방안, 다문화 교육내용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15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한 학기 동안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변화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서 반성적 글쓰기를 쓰도록 하였고 필요한 경우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시작할 때 자기 자신에 대하여 반성적이지 않은 간단한 ‘기술적 작문’ 단계에서부터, 점차 자신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타인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대화적 반성’ 단계를 거쳐 15차시를 마칠 무렵에는 타인의 상황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제시하려는 ‘비판적 반성’의 수준으로 향상되어 갔다. 따라서 직면하기, 돌아보기, 재구성하기, 실천의지 다지기 등으로 이루어진 본 반성적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반성의 수준 변화를 토대로 다문화 관련 인식 변화를 가져오는데 효과적이며 심층적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based on the levels of reflection through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emphasized on students' reflection. This program which was composed of 15 lessons,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ion of reflection, the procedure of reflection, the levels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was implemen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aterials for data analysis were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flective levels about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improved from the level of 'descriptive writing' which could not be found any reflective thinking to the level of 'critical reflection' which could be found critical evaluation of students' their own multicultural experiences.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this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to make change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more critically.

      • KCI등재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김순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최근 교사교육 분야에서 수업 전문성의 주된 자질로 반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이러한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논의는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반성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반성적 수업 실천의 의미를 명확히 하고, 도출된 내용을 토대로 기존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제도적 접근에 대해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 방안으로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교사의 반성에 관한 선행 연구의 검토 결과, 반성은 행위와 긴밀한 관련을 가진 사고과정이라는 점과 그것은 기술적, 해석적, 비판적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더불어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해서는 실제 수업의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능동성을 전제한 탐구의 장과 학습공동체를 통한 상호협력이 기본적인 조건으로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도출된 반성의 의미와 조건을 중심으로 실제 논의되고 있는 제도적 접근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업장학 및 평가는 능동성과 상호협력을 전제한 탐구의 장을 제공하는데 일정부분 한계를 드러냈다. 반면, 대안적인 접근 방식으로 불리우는 수업컨설팅, 실행연구, 수업비평은 능동성과 상호협력을 전제한 탐구의 장을 제공하는데 일정부분 가능성을 보였다. 그러나 실제 운영 및 현실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제한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해서는 교사의 행위에 대해 대안적인 접근 방식의 관점을 취하되 반성의 질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quiry schemes of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I analyzed concept, process, pattern and level of reflection through preceding studies. Basic conditions is deduced for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Those are active area for inquiry and mutual collaboration. This results as follows:Supervision and evaluation of teaching wasn't appropriate for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Alternative approaches were appropriate. Teaching consulting, action research, criticism of instruction concluded basic conditions for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But they had limitation on operation and application.In spite of limitation, I found possibility on criticism of instruction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classroom instruction.

      • KCI등재후보

        반성의 역설에 대한 고찰

        박은주(Park Eun Ju) 한독교육학회 2018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3 No.1

        이 연구는 전통적 교사관의 기술적 합리성(technical rationality)에 대한 대안으로 부상하였던 반성적 교사관의 반성개념이 오늘날 교사들이 습득해야 할 또 하나의 기술로 전락한 반성의 역설 문제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하나로 대두되었던 반성개념이 교사들이 습득해야 할 기술로 되었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로 프로네시스(실천적 지식)가 테크네(기술적 지식)로 변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원인을 고찰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반성적 교사관과 그것의 문제의식, 그리고 한계를 개관함으로써 오늘날 반성개념이 직면한 역설이 무엇인지를 개관한다. 이와 같은 반성의 역설은 프로네시스가 테크네로 변한 것에 있다는 진단 하에, 3장에서는 반성개념이 기초하고 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개념을 면밀히 살펴본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개념적 구분에 기대어 4장에서는 반성의 역설이 초래된 원인을 짚어보고 이에 대한 대응을 살펴본다. 연구결과, 프로네시스는 공동체의 선을 지향하는 가치지향적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실천가의 내면의 덕과 관련된다. 따라서 반성이 테크네가 아닌 프로네시스로 되려면, 이 두 가지 가치지향성의 원천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교사의 실천을 단지 문제해결의 틀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전체를 볼 수 있는 안목과 결부되고, 다른 한편으로 교사의 내면이 가치로운 것을 지향하는 덕의 상태를 갖출 때, 교사의 반성이 교육적인 것으로 될 수 있다. 여기에 반성담론이 배제하였던, 혹은 간과하였던 이론적 지식을 통한 세계와의 연결가능성과 함께, 현장에서의 경험과 실천을 통한 덕스러운 소양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at causes a teacher’s reflection to be treated as another technic to be learned. It means that the reflection turns out to be a technē rather than phronēsi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mpts to give an overview of the paradox of teacher’s reflection in chapter II. In this chapter, I explore the concept of technical rationality which reflective teachers have criticized, the teacher’s reflection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he discourse of reflective teaching, and its difficulties, so-called, ‘the paradox of reflection’. Next, I trace the origin of reflection in the concept of Aristotle’s phronēsis in comparison with the concept of technē in the Nichomachean Ethics. Drawing upon this conceptual framework, I analyse the cause of the paradox of teacher’s reflection. From this discussion, I suggest that phronēsis is related to the value-oriented praxis. Therefore, in order for reflection to be phronēsis not technē, it is necessary to restore two sources of value-orientation. On the one hand, teachers need to access their practice in light of larger context, for example, whether it is ‘educational’ or not for the whole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restore the inner virtues of the teacher because it is the core basis of phronēsis. Only by doing this, the meaning of the phronēsis can be restored.

      • KCI등재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이소영(So Young Lee),오정준(Jeong Joon Oh)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동일한 수준에 있는 네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교수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교수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교수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different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Four pre-service teachers in the same level were selected through the first simulated instruction, Then, different reflective methods were given them to carry out the reflection. Afterwards, they carried out their second simulated instruction. The change of averag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was analyzed through the peer reviews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first peer review score were compared with second peer review, average score of all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But, pre-service teachers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a specialist had the widest variation in the increase level of average score comparing to those without reflection or reflective journal writing. Seco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rough self-reflection led to their reflective thinking, but it did not induce them to reflective practice. Finally, pre-service teacher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experienced teachers go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PCK through the T-test. In particular, it had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 in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contextual section could be improved by self-reflection or repetitive class practices, while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needed consulting by assista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모의수업에 대한 실행연구

        박성덕(Park, Sung-Duck),김은정(Kim, Eun-Jung),김경철(Kim, Kyung-Ch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반성적 모의수업을 개발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을 한 학기 동안 가르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로, 1차적으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는데, 2차적으로는 연구자의 교육실천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자는 A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68명과 함께 반성적 모의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행과정 속에서 연구자와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저널과 수업동영상, 면담 일지, 연구 일지 등을 수집하고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반성적 모의수업의 실행과정은 첫째 계획 단계로 기존의 모의수업에 대한 반성과 수정을 거쳐 재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졌다. 둘째는 실행 단계로, 수업 준비, 수업 및 촬영, 평가 및 피드백, 자기반성, 수정 및 재수업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셋째는 관찰 단계로 반성적 모의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의 의미 분석이 이루어졌다. 넷째는 반성 단계로 실행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반성적 모의수업의 수정과 재계획의 수립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반성적 모의수업은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수업전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본 실행연구 과정은 예비유아교사 뿐 아니라 교사교육자인 연구자에게도 자기반성을 통해 전문가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action study of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in an effort to facilitate the improve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this researcher"s own educational practice. It"s specifically meant to develop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and to research its process and outcome after teach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it during a semester.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conducted by this researcher and 68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at a college. The reflective journals of this researcher and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video clips of the instruction, interview data and research daily were all gathered during the process of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and then an inductive analysis was made. The first stage of the reflective stimulated instruction was planning, where an instructional plan was mapped out after reflecting on existing simulated instruction and by modifying it. The second was a stage of acting out, which consisted of preparing lesson plans, producing teaching aids and materials, videotaping the instruction, evaluating/feedback, self-reflection, modification and re-instruction. The third was a stage of observation, whe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ed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analyzed. The fourth was a stage of reflection, where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modified and a new plan was pre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struction. As a result, it was possible for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to boost the reflective thinking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반성적 교사교육이 전통적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반성적 교사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반성적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Schn의 반성론을 고찰하고, 둘째 전통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대두된 반성적 교사교육이 지향하는 교사교육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를 고찰하고, 셋째 최근 반성적 교사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