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polyphenols isolated from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L.) and their role inhibiting a-glucosidase

        서경혜,나지은,이성준,이지혜,김선림,이진환,서우덕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8 No.4

        The extracts and chemical compounds isolated from barnyard millet (Echinochloa utilis) grains were investigated as part of a search for naturally derived antihyperglycemic medicinal plants. Among the five different solvent extracts, the ethyl acetate extract showed the lowest IC50 value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glucosidase (70.2 lg/mL). Chromatography yielded eight phenolic compounds that may have been responsible for this effect. Among them, N-p-coumaroyl serotonin (1, CS), feruloyl serotonin (2, FS), and luteolin (5) potently inhibited aglucosidase with IC50 values of 1.3–17.8 lM compared with those of deoxynojirimycin (DNJ, IC50 = 2.5 ± 0.1 - lM) and acarbose (IC50 = 255.1 ± 15.6 lM). Additionally, for the first time, we found that CS and F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mammalian rat intestinal sucrase (IC50 of 3.0 and 8.2 lM) and reduced glucose content (73 and 52 % at 0.1 mg/wells) in Caco-2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Furthermor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revealed improved glucose tolerance following treatment with the barnyard millet grains extract by retarding the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in vivo.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rnyard millet grain can be used as a natural functional medicine to prevent and alleviate type-2 diabetes.

      • KCI등재

        반성적 교사교육의 허(虛)와 실(實)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3

        반성적 교사교육이 전통적 교사교육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때, 본 연구는 반성적 교사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반성적 교사교육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Schn의 반성론을 고찰하고, 둘째 전통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대두된 반성적 교사교육이 지향하는 교사교육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반성적 교사교육의 원리를 고찰하고, 셋째 최근 반성적 교사교육의 위기를 지적하고 그 문제를 고찰한 후, 마지막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다.

      • KCI등재

        The vision and the reality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n schools

        서경혜,한유경 한국교육개발원 2012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9 No.2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a key ingredient for improving schools. This study investigat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chools in Korea.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guided this investigation. First, to what extent do schools in Korea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econd, is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losely related to teacher, student, and parent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a survey administer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uring the summer of 2010. A total of 1,738 teachers,9,748 students, and 14,397 parents from 265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first, schools in Korea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some extent, though not to the full extent. Second, some characteristics, such as collaboration, tend to be less common in schools in Korea. Third, there are significant school level differences. Elementary schools generally exhibit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an do secondary schools. Fourth,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closely related to teacher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Finally, there is littl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student and parent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urrent school reform effort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수업연구에 대한 실행연구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본 연구자가 협력적 수업연구모형을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을 한 학기 동안 가르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탐구한 실행연구로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협력적 수업연구모형은 협력적 탐구의 개념, 수업연구모형, 마이크로티칭모형 등을 토대로 몇 년에 걸친 현장실험을 통해 개발되었으며, 공동계획, 수업 및 관찰, 평가와 피드백, 자기반성, 수정 및 재수업의 순환적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이 협력적 수업연구모형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실행한 결과 수업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들의 협력적 전문성 개발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심층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교사공동체인 인디스쿨을 사례로 선정하여 인디스쿨에서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는지 탐구하였다. 인디스쿨 웹사이트 관찰, 교사 면담, 교사들의 제작물 수집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원자료 정리, 코드 추출, 주제 생성 등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인디스쿨 교사공동체는 실천적 지식의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 발전시켰다. 교사들은 그들 실천 기저의 암묵적 성격의 실천적 지식을 외현하여 인디스쿨 웹사이트에 게시하였다. 이때 외현화는 자료, 이야기, 문답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교사 개개인의 실천 기저의 암묵지를 외현함으로써 교사 개인 수준의 실천적 지식은 공유 가능한 공적 지식이 되었다. 인디스쿨 교사들은 웹사이트 게시물을 조회하고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하며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였다. 그리고 이 공유지식을 각자 자신의 교실에서 실천에 옮겨 검증하였다. 교사들은 검증 결과를 해당 게시물에 댓글을 다는 방식으로 서로 공유하였다. 댓글이 많이 달린 게시물은 유용한 지식을 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이 지식은 교사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나아가서 교사들은 실천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의 공유지식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공유지식을 자료, 이야기, 문답 등의 형태로 외현하여 웹사이트에 게시,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이러한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인디스쿨 교사들은 그들 개개인의 실천적 지식은 물론 공동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아갔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창의성 관점에서 본 제 7차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 : 규칙성과 함수를 중심으로 Focusing on Patterns and Functions

        서경혜,유솔아,정진영 한국수학교육학회 2003 初等 數學敎育 Vol.7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rom a perspective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study investigated to what extent the activities in the Pattern and Function lessons in the national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promote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was limited in many way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Regarding the activities in Pattern lessons, for example, most activities presented closed tasks involving finding and extending patterns. The lesson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patterns, apply patterns to different situations, or create ones own patterns. In regard to the Function lessons, the majority of activities were about computing the rate. This showed that the function was taught from an operational perspective, not a relational perspective. It was unlikely that students would develop the basic understanding of function through the activities involving the computing the rate. Further, the lessons had students use exclusively the numbers in representing the function. Students were provided little opportunities to use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involving pictures or graphs, explore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various representation methods, or to choose more effective representation methods in particular contexts. In conclusion, the lesson activities in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were unlike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 KCI등재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2

        전통적인 교사 연수의 한계에 문제제기하며 최근 학교를 교사 전문성 개발의 중심지로 만 들기 위한 노력이 일고 있다. 학교중심의 교사 전문성 개발이 사실 새로운 것은 아니다. 비록 기관중심의 교사 연수가 주를 이루어왔지만, 단위학교중심의 교사연수제가 시행되어왔고 교 내 연수도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들 연수는 대체로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던 연수 를 학교 안으로 가져온 것이었다. 외부에서 기관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획일적 연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전통적인 지식 전수·적용식 교사 연수의 한계를 안고 있다. 최근의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은 학교의 교사들이 학습공동체를 형성, 서로의 교 육실천을 공개, 공유하고 함께 더 나은 교육실천을 탐구, 학교의 교육실천을 협력적으로 개선 하며 교사 개인의 전문성은 물론 집단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아가는 것을 핵심 특징으로 한 다. 본 연구는 이같은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고, 특히 교직을 협 업적 활동으로 재개념화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협업관계 속에서 형성, 발현, 진화하는 역동적 성격의 집단역량으로 재개념화한 대안적 관점과 학교의 교육실천에 대한 공동탐구를 통한 협 업적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나아가서 그 실제 사례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 들을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사례연구를 계획, B학교의 공동수업개발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중심 교사 전문성 개발 노력이 협력을 넘어 실천 수 준의 협업으로 그리하여 집단 수준의 전문성 개발로 나아가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school has traditionally been a place where the knowledge developed by outside scholars and researchers was applied. Teachers learn the theoretical knowledge outside of the school and bring in to the school and apply it to their practice. This kind of traditional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because its decontextualized and standardized approach failed to respond the diversity of students.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much efforts to rebuild the school as a place for learning, not only for the learning of students, but also the learning of teach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effort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First,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eachers’ collective expertise and inquiry-base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Also, the case studies on the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examined. The case studies provide an insight into the pos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collaborative inquiry on the school practice, but raise the critical issues, such as teacher collaboration at the practice level and collective expertise at the school level.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se issues, the implications of school-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전통적 접근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의 개념을 고찰한 후,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교사학습공동체의 대안적 접근을 고찰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제 사례, 예컨대 National Writing Projects, Critical Friends Groups, Lesson Study, 협동학습연구회 등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 활동을 살펴보고, 교사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전문성 개발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교사학습공동체를 둘러싼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 그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협력과 자율성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시사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first, the concep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Third,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examin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analyzed. Fourth,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eacher collaboration and autonom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