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nderstanding of a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through analyzing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teaching practice

        조덕주,박수경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9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which is expressed through a curriculum perspective. Researchers analysed a teacher’s autobiographical journals and interviews to understand her/his identity and re-interpreted this identity based on an analysis of her/his actual teaching behaviour. By analysing her autobiographical journal and her interview to explo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e teacher understood in depth that she was following a learner-centered perspective. By analysing her teaching practice, she could clarify her viewpoint better, develop a new perspective, and experience a reconstructing of herself while realizing, with a sense of embarrassment, that her behaviour in classroom practice was different from her own perspectiv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a teacher education program using the autobiographical method to reinterpret one’s classroom behaviour to become aware of one’s professional identity more clearly and deeply.

      • KCI등재

        교직과목에 대한 현장기반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조덕주,박종효,양성관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이 연구는 예비교사를 적응적 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한 주요 방안으로 교육학 하위 개념에 대한 연계적 이해와 실제 현장에 대한 이론의 복합적 적용을 토대로 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Drake의 통 합설계방안을 활용하여, ‘갈등관리’를 주제로 교육행정, 교육심리, 교육과정의 일부 성취기준 과 현장의 문제를 연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이를 대학 교직과목 강의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 교직과목 이수 학생들은 각 과목의 주요 개념에 대한 이해를 잘 하였고, 세 과목을 통합하여 학습함으로써 실제적으로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하였으며, 갈등대처유형 과 대처법을 토대로 프로그램에서 주어진 갈등과제를 원만하게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 었다. 또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앞으로 이러한 현장 이슈 중심의 통합 과목이 개설되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발, 현실에 적용하는 데에는 통 합의 내용, 통합의 범위, 현장 이슈의 선정 등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는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ementation of a program developed under the goal of nurturing student teachers into adaptive experts. The program emphasizes a connected understanding of concepts in educational studies and the complex application of educational theory to real situations at schools. The study uses Drake's integrative design method to develop a program on conflict management that the researchers later administered in college-level teacher preparation courses. In particular, it integrates real conflict situations on the fiel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psychology, and curriculum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tudents reacted positively to the program, responding that they have understood well the major concepts in each subject, that the integrated study of administration, psychology, and curriculum has assisted them in real situations, and that they were able to deal with their given conflict tasks through an application of the program's materials on conflict-coping styles and coping methods. They also gave high satisfaction scores to the program, commenting that they would want more integrated courses centered on school/field issues to be opened in the future. Challenges to the actu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include difficulties in designating the scope and content of integration and in the selection of field situations.

      • KCI등재

        자기성찰을 위한 교사 공동체 안에서의 자서전 쓰기 과정에 따른 교사들의 경험

        조덕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서로 다른 교사들이 교사공동체 안에서 자신에 대해 성찰해 보는 과정은 바람직하다는 이론을 토대로, 자기 성찰을 위한 공동체 모임에서 교사들이 자서전을 쓰고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는 가운데 어떤 경험을 하게 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사들의 자기 성찰을 위해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였고 총 9명의 교사가 자서전 주제에 따라 글을 쓰고 발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 대한 관찰, 면담, 후기 등의 다양한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교사들의 경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 명료화 점차 심화시키기’, ‘이해의 폭과 공감 깊이 더하기’, ‘상호간 분석적 상호작용 시도하기’ 등의 경험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각 특징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비판적 돌봄 공동체’가 되기 위해 필요한 ‘상호간 분석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과 관련하여 공동체의 리더의 역할, 비판을 위한 교사의 조건에 대해 기술하였고 앞으로 실제 수업에 대한 비평도 교사의 관점과 실천과의 일관성 등을 토대로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Based on the argument that self-reflection can stimulate greater insight and perspective, especially if narratives are shared,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xperiences that they have while they are sharing their own journals each other in the teacher community. 9 teachers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ir journals written by teachers according to the autobiographical themes, observation records, interview records and SNS .text messages are collected and analyzed. 'Understanding and sympathy become deeper', 'self-understanding becomes clearer', and 'attempt to analyze and criticize their journals and presentation each other' are extrac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xperiences in the teacher commun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suggested as further researches, such as 'the inquiry of the factors to make a caring and critical teacher community that can not be found in this teacher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반성적 교육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 탐구

        조덕주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2

        이 연구는 교사교육에 있어 주요 주제인 교사의 ‘반성’에 대한 제 접근을 고찰하여 반성의 적극적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추출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다. 지금까지 반성과 관련하여 언급되던 세 가지 연구 접근을 반성의 유형, 반성의 절차, 반성의 단계로 구분하고 반성적 실천가의 양성을 위해 세 접근의 연관을 탐색하였다. 반성의 유형은 행위 중 반성과 행위 후 반성으로 구분 하였는바, 이 중 행위 중 반성이 전문가의 실천적 지식 함양에 보다 중요한 시사를 줄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단, 행위 중 반성의 구체적 실천은 반성의 절차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절차적 모형의 한계인 반성 내용 평가에 있어서의 어려움은 반성의 단계를 통해 보완될 수 있음을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Korthagen이 주장한 핵심 반성을 토대로 반성의 유형과 반성의 절차, 반성의 단계 등을 종합하여 실천적 맥락상에서 행위 중 반성을 위해 구체적인 반성의 절차 및 반성의 내용 등이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이를 토대로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참조될 수 있는 시사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A study on three approaches to the teacher's reflection Cho, Duk-joo(Konk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oretical approaches to the teacher's reflection for develop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their practical knowledge. Three approaches-the type, the procedure and the stages of reflection-are explored. Also, the relations among these approaches are analyzed. The types of reflection are classified by the element of time; It is 'reflection-in-action' and 'reflection-on-action'(Schön, 1983). Schön emphasized that 'reflection-in-action' had more important implication to develop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han 'reflection-on-action'. Accepting his argument, this article regards reflection-in-action as a more important conception to develop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real classroom situation in this article. And 'reflection-in-action' can be actually activated in classroom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reflection(ALACT cycle, Korthagen, 2001). The contents of reflection(what is teacher thinking now?) can be understood by using the stages of reflection. The types and procedure and stages of reflection can be integrated on the basis of the Korthagen's core reflection theo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three approaches to the teacher's reflection, the suggestions 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period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re made.

      • KCI등재
      • KCI등재

        ‘내가 되고 싶은 교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 분석

        조덕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teacher image of prospective teachers from 2010 to 2020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teacher image,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163 journal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early and late 2010s, and analysis based on the criteria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 image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for the teacher image of prospective teachers, it was found that interest in student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teacher's own personality, followed by teaching competency. Interest in teachers’ role in preparation for social change was found to be very low. In the analysis based on criteria,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and late 2010s. As a result of language network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words used in the early and late teacher image descrip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mantic network,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sub-words constituting the cluste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implications such as cultivating teachers' competency for the future society, cultivating a more diverse and novel teacher image, and providing a curriculum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al change of prospective teacher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예비교사들이 지향하는 교사상 기술 내용을 통해 이들의 교사상 변화 내용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2010년대 전기와 후기로 구분하여 총 163개의 학생들의 글쓰기를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토대로 추출한 준거에 의한 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준거에 따른 교사상 분석 결과, 예비교사의 교사상은 학생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았고, 교사 자신의 인격에 대한 관심도가 높으며, 이어서 수업 역량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사회변화에 대비한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전반적으로 전기와 후기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 전기와 후기 교사상 기술에서 사용하는 단어는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의미연결망도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군집을 이루는 하위 단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미래 사회에 대비한 교사의 소양 배양, 보다 다양하고 참신한 교사상의 배양, 예비교사들의 세대 변화에 대응한 교육과정의 제공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국내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조덕주,진석언,한화진,최연주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South Korea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orientation of the related research in the future. A total of 457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scholastic journals from 1992 to 2018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basic analyses were conduct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research methods, school levels, and subjects matters of the selected articles. And, the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about the research themes of the articles. The results by the basic analyses indicated the followings: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each year gradually increased, literature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most under the research method, elementary schools were the most targeted at the school level, and there were a lot of papers on the reconstruction over multiple subjects.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theme of the published articles showed that it covered the themes such a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reconstruction experiences,' 'teacher professionality,' and philosophy·concept and that,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research theme wa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related to curriculum reconstruction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재구성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조망하고 앞으로 관련 연구의 방향성 설정에 깊이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6차 교육과정이래 학술지에 발표된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 중 총 457편의 연구가 분석되었으며 기초분석으로 시간별, 연구방법별, 학교급별, 단독/다수/교과외별 분석이, 추가적으로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주제 분석이행해졌다. 기초분석 결과, 연도별 재구성 관련 연구는 점차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상으로는 문헌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고, 학교급으로는 초등학교가 가장 많이 대상이 되었으며 다수교과를 대상으로 한 재구성 관련 논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분석 결과, ‘프로그램 개발·적용’, ’재구성 경험‘, ’교사의 전문성‘, ’철학·개념이란 주제가 추출되었고 ’프로그램 개발·적용‘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발표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제 관련 하위 내용이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추후 교육과정 재구성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