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편집양식의 해석적 확장에 관한 고찰 - 교차편집과 평행편집의 세분화를 중심으로

        정승욱 한국영상학회 201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9 No.3

        편집에 있어서 시·공간의 생략과 새로운 위치로의 이동은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핵심적인 행위이다. 편집 의 재구성을 통하여 영화는 영화 안에서 응축되고 다양한 시간과 공간의 의미를 생산한다. 시간과 공간의 재구성으로 가장 대표적인 기법이 바로 ‘교차편집’과 ‘평행편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연구에서 일반 적으로 교차편집과 평행편집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단편적 해석을 제공하여 기법의 혼란 을 야기한다. 이에 현대 영화영상의 다양성에 비추어 구조의 미학을 깊이 있게 바라보기 위한 고찰을 필 요로 한다고 판단된다. 그런 이유로 본고는 재현과 해석의 차원에서 교차편집과 평행편집의 세분화를 통 하여 영화구조의 해석적 확장을 제안하고자 한다. 형식적인 면에서 교대로 보이고 있다는 단편적 진술로 인하여 스스로 축소되고 있는 편집 구조를 고찰하는 것은 그 자체로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In editing, skipping of time/space and drift to a new spot are essential and critical processes. Throughout reconstruction of editing, films are condensed; further they produce diverse meanings of time and space. Typical techniques for reconstruction of time and space are Cross-Cutting and Parallel-Cutting. However, the two different techniques are being used the same meaning in film studies, which causes confusion by its fragmentary interpretation. It requires in-depth consideration to look into the film from the aesthetics of structure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modern cinematic films. Thus, this paper suggests an analytic expansion of film structure through subdividing of Cross-Cutting and Parallel-Cutting in terms of re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Since the fragmented and confused editing techniques make the film and editing itself down-valued, it would be meaningful to review the editing structures as well the meaning of film constitution.

      • KCI등재

        편집성향 집단의 자기불일치, 우울, 내면화된 수치심

        조유선,정진복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 재활심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편집증의 하위 유형에 대한 Chadwick의 가설에 따라 편집증을 피해편집증과 처벌편집증으로 나누어 자기 불일치, 우울, 내면화된 수치심에서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 5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으며, 편집척도 점수를 통해 상위 20%는 편집성향 집단, 하위 10%는 통제 집단으로 선발하였다. 편집성향 집단 중 자기개념 척도 점수를 통해 전체 평균 보다 높은 집단은 피해편집성향 집단, 전체 평균 보다 낮은 집단은 처벌편집성향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처벌편집성향 집단이 피해편집성향 집단 보다 실제 자기와 이상적 자기 간의 자기 불일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처벌편집성향 집단과 피해편집성향 집단은 실제자기와 타인이 보는 자기 간 불일치가 통제집단 보다 더 높았으나, 편집증의 하위 유형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처벌편집성향 집단이 피해편집성향 집단 보다 우울, 내면화된 수치심이 더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영상편집 패턴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정태섭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영상편집의 패턴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영상편집은 다양한 쇼트를 중심 으로 쇼트의 구분을 정확히 보고자 함이다. 리니어(Linear) 편집에서 넌리니어(Non-Linear) 편집으로의 전환은 편집에 있어서 새로운 편집보다는 재편집에 대한 기술적 발전을 이루어지게 하였다. 이는 편집기술의 발전은 초창기 생방송을 통해 전파를 보내는 것에서 녹화방송의 개념이 도입이 되었으며, 장비의 발전과 소형 화를 통해 개인 프러덕션이 탄생할 정도로 발전을 하고 있다. 방송제작 환경에서 디지털 환경의 변화는 영상/음향 신호 시스템의 리니어(Linear)시스템에 서 넌리니어(Non-Linear)시스템으로의 변화를 통해 제작인력의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으로 인하 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작양식을 창출해 내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장르의 다양성도 나타나게 되었다. 드라마, 뉴스, 버라이어티 등 다양한 포맷 을 통해 수용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기 시작 했다. 특히 버라이어티 장르는 나날이 발전을 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수용자들에게 전달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쇼트의 구분을 하였다. 그 구분을 통해 색상의 정리를 통해 다양 한 구분을 하였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통해 편집의 쇼트를 22가지로 구분하였으며, 22가지의 영상쇼트에 색상을 정리함으로서 편집의 패턴을 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정리의 한계와 영상편집의 쇼트의 구분을 통해 다음 연구에서는 패턴을 적용하여 어떤 분류와 형식이 존재하는지 연구할 것이다. This study is the pattern for setting editing images based study. Video editing is the distinction between a variety of short shots around the box is exactly want. Linear (Linear) non-linear editing (Non-Linear) Edit to edit the transition to the new technical developments for editing, rather than re-editing was done become. Edit the early days of th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to send radio waves through a live recording from what has bee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broadcasting equipmen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miniaturization of personal development and production is enough to be born. Broadcast production environment,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e video / audio signal of the linear system (Linear) systems, non-linear (Non- Linear) systems through changes in production due to labor than the creativity and artistic sensibility to create various types of production form off and b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the variety of genre appeared. Drama, news, variety of audiences through a variety of formats, including a wider range of choice began. In particular genre of variety from day to day and began to develop a variety of content to be delivered to the prisoners began. Chesterfield this study was the classification of the various short. Through its divisions through a variety of color breaks were clean. In addi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hot compilation was divided into 22 kinds, 22 kinds of colors to organize a short video compilation of patterns by patients. Limit theorem, but the distinction between short and video editing over the next study, which is applied to the pattern classification will study the existence and type.

      • KCI등재

        창작과 편집: 이문구의 편집자 시절을 중심으로

        야나가와 요스케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role of Editor Lee Mun-gu in the 1970s. Lee Mon-gu was well known as an Author and many preceding studies have focused on only his novels. But according to his biographical sketch, he was also an editor of Literary magazines and Publisher as well as writing novels. At the beginning of his work at Wolgan-Munhak, his role was collecting writer’s manuscripts and working small jobs. But after becoming an Editor, his role changed to finding new writers and deceased writer’s manuscripts. Above all, his work on Han Yong-un’s manuscripts begun a new exploration of his thought and work. In his time at Hanguk-Munhak, he was an editor from the first issue. His function was not only finding disputed issues like a debate about descpriptive methods of literary history but also doing practice through an editing. His work also created a culture across the borders of publishers through his human network. Finally, this paper reaches the conclusion that Lee Mun-gu was active in both Creation and Editing. 이 글은 소설가 이문구의 편집자 시절을 중심으로 그의 편집자로서의 역할을 논의한다. 이문구는 <월간문학>으로부터 시작하여 네 번에 걸쳐 문예지 창간에 참여한 한국문학사상 드문 경력을 가진 문인이다. 그가 편집자를 담당하게 된 이유로 대학 시절의 스승이자 <월간문학>과 <한국문학>의 주간을 맡은 김동리의 존재를 들 수 있다. <월간문학> 시절의 경우 그는 업무직원으로 원고수집과 대외업무를 담당하다가 1970년경 편집자를 맡게 되면서 새로운 문인과 작고 문인의 유고의 ‘발굴’ 작업을 하였다. <한국문학> 시절의 경우 그는 창간 당시부터 편집자를 담당하면서 르포르타주나 문학사 서술에 관한 논쟁, 옥중 문인의 수기 등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편집방향을 택한다. 이문구는 문예지 편집자로서 ‘편집’을 통하여 ‘실천’을 시도한 문인이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이문구의 편집자로서의 역할이 개별적인 잡지 차원을 넘어 출판사가 모인 청진동을 중심으로 형성된 문화와 관련된 점이다. 이문구는 창작과 편집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주변 문인들에 관한 인물평을 남기며 그가 근무하는 사무실은 문인들의 ‘사랑방’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청진동과 이문구를 중심으로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그것이 <창작과비평>과 <문학과지성>의 대립구조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특색을 지닌다. 이문구의 편집자로서의 위상은 원고 수준을 높이는 개발 편집자가 아니라 기획을 원고로 발전시키는 기획 편집자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문구의 역할은 개별 출판사의 차원에 멈추지 않았으며 그를 중심으로 구성된 인적 네트워크는 ‘청진동 시대’로 불리는 하나의 문화를 형성하였고 편집을 통한 실천을 가능케 하였다.

      • KCI등재

        교환연산을 포함한 확장편집거리 병렬계산

        강대웅(Dae Woong Kang),김영호(Youngho Kim),심정섭(Jeong Seop Sim)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41 No.4

        근사문자열매칭 문제는 컴퓨터보안, 검색엔진, 생물정보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근사문자열매칭에서는 불일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편집거리나 확장편집거리와 같은 거리함수를 이용한다. 알파벳 ∑의 문자들로 구성된, 길이가 각각 m, n인 두 문자열 X, Y의 편집거리는 X를 Y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편집연산의 수로 정의된다. 이 때 편집연산은 삽입, 삭제, 교체연산으로 구성된다. X, Y의 확장편집거리는 X를 Y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 확장편집연산의 수로 정의된다. 이때, 확장편집연산은 편집연산에 교환연산을 추가한 연산들로 구성된다. X, Y의 확장편집거리는 동적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O(mn)시간과 공간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X, Y의 확장편집거리를 최대 m개의 쓰레드를 이용하여 O(m+n) 시간과 O(mn) 공간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병렬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또한 확장편집거리를 계산하는 순차알고리즘과 병렬알고리즘을 각각 CPU와 GPU 기반으로 구현하여 두 알고리즘의 수행시간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두 문자열의 길이가 각각 10,000일 때, 병렬알고리즘이 순차알고리즘에 비하여 약 16배 빠른 수행시간을 보였다. Approximate string matching problems have been studied in such diverse fields as computer security, search engines, and bioinformatics. To measure the amounts of errors between two strings, approximate string matching uses distance functions such as the edit distance and the extended edit distance. Given two strings X and Y (?X?=m, ?Y?=n)over an alphabet ∑, the edit distance between X and Y is the minimum number of edit operations to convert X into Y. Edit operations consist of insertions, deletions and changes. The extended edit distance between X and Y is the minimum number of extended edit operations to convert X into Y. Extended edit operations consist of insertions, deletions, changes, and swaps. The edit distance and the extended edit distance between X and Y can be computed using dynamic programming technique in O(mn) time and space. In this paper, we present a parallel algorithm of computing the extended edit distance between two strings. Our algorithm computes the extended edit distance between X and Y in O(m+n) time using m threads where m ≤ n. We implemented our parallel algorithm using CUDA.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runs about 16 times faster than the sequential algorithm when m = n = 10,000.

      • KCI등재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중심으로

        목광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있는 과학기술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학계의 입장은 적극적인 수용론부터 신중론, 그리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과 달리, 사회적으로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가져올 유전질환 치료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적극적으로 이 기술을 수용하자는 분위기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의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기술과 관련된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거쳐 의학적 사용이 현실화되었을 때 나타날 경제적 효과와 치료의 희망으로 인해, 이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적 검토,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한 전임상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논의가 외면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적정한 개념 이해에 근거한 것인지, 유전자 편집기술은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인지, 그리고 유전자 편집기술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하며(Ⅱ.1절), 둘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임상 단계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고(Ⅱ.2절), 셋째, 유전자 편집기술이 발전 과정에서 초래할 리스크는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되어야 한다(Ⅲ절)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나친 낙관이나 과도한 기대보다는 기술적 진보에 대해 냉철한 평가를 해야 하며,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윤리적 연구 과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성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odel for responding to ethical issue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I argue three things. First, I argue that genome editing technology should be differently understood in two senses, its narrow sense and wide sense. The former is a technical sense but the latter is a clinical sense. Through this distinction, we should understand that current researche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are not related to a clinical but only a technical advance. Second, I argue that preclinical researches including animal experimentation should be sufficiently performed and, then, clinical trials about human embryo or human to develop a new treatment can do. Through this claim, we should remember that current requests of clinical trial with human embryo are too hasty and impatient. Third, I argue that 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can effectively respond to ethical issues or risk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is model can dynamically respond to risk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knowledge concerning genome editing technology.

      • KCI등재

        포털 뉴스와 인터넷신문 편집자의 전문가 역할 인식과 게이트키핑 차이 분석

        유봉석(Yoo, Bong-Seok),정일권(Jeong, Ir-Kwon)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9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공간에서 뉴스 유통의 가장 큰 축을 담당하는 포털 뉴스 편집자와 인터넷신문 편집자 간 게이트키핑 차이를 비교·분석했다. 두 편집자 그룹을 대상으로 개인, 관행 관련 게이트키핑 차원과 언론인 의식조사 때 사용하는 전문가 역할개념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비록 응답자 수는(n=74) 많지 않으나 전체 포털 뉴스 편집자의 70%가 응답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수라고 할 수 있다. 분석결과 첫째, 포털 뉴스편집자의 전문가 역할개념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며 주요 역할인지에서 인터넷신문 편집자보다 높았다. 둘째, 두 그룹 모두 편집업무 수행 때 오프라인 매체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개인보다는 관행 관련 게이트키핑 차원이 게이트키핑 행위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했다. 셋째, 편집 품질에 대한 상호 인식과 관련해 포털 뉴스가 인터넷신문보다 품질이 높다고 보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인터넷신문 편집자는 타사 인터넷신문보다 포털 뉴스의 편집품질을 높게 인식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포털 뉴스편집자의 전문성이나 포털 뉴스의 편집품질이 인터넷신문 편집자에 비해 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overview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between portal news editors and internet media news editors who consist of mainstays of online news service. A survey of both editor groups is conducted on individual gatekeeping forces, journalistic routines and professional role conceptions. Although the number of respondents (n=74) is not large, it is meaningful in that 70% of portal news editors in Korea answered. The results reveal: First, the professional role conceptions of portal news editors is considerably high compared with internet media editors. In most of specific dimensions of professional role conceptions, the scores of portal news editors are higher than those of internet media editors. Second, both groups are mos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ff-line media when they are editing news. Also, they are affected by routine level forces rather than by individual level forces. It supports what Shoemaker and Reese noted in 1996. Third, regarding the mutual perception between two editor groups, the quality of portal news-editing is recognized better than that of internet media news-editing. The salient finding of this thesis is that professionalism of portal news editors and quality of portal news service are not inferior to those of internet media.

      • KCI등재

        『사상계』의 편집양식과 담론연구 (Ⅰ)

        김경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70 No.-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out the discourse topography of the Korean intellectuals in the 1950s, which was formed around the magazine media. For this purpose, the 『Sasanggye』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general magazine of the 1950s was selected and, we took issue with the editing direction and an editorial system. 『Sasanggye』, which was in the vanguard of solving intellectual thirst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since 『Sasang』, consistently suggests the editing direction such as public enlightenment and education. The editorial system, which has planned various special features such as society, politics, literature, and economics on every issue, supports the basic editing direction, while the introductory remarks of each issue also emphasizes it. And the『Sasanggye』, which started with elements such as support from the U.S. Information Service, publishers from OSS, and the great majority of the writing staff from north-western Korea, had a particularly strong tendency to anti-Communist and pro-U.S. propensities compared to other media. Also, the editorial staff of the 『Sasanggye』 are both producers and active consumers of the discourse, and their reinforcement and disruption have a character of meaning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Sasanggye』. Therefo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riters including the editors of the 『Sasanggye』 and observing the editing aspects reflecting social trends would be another way to determine the topography of the creation and acceptance of the discourse centered around intellectuals at the time. The scope of the study covered all 205 books of the 『Sasanggye』, but was focused on 『Sasanggye』 in 1950s, that is, from the year, 1952, which 『Sasang』 was begun in, to 1959. As the 『Sasanggye』 in the 1960s was a time when there were big changes in the discourse starting from 4.19 and Korea-Japan conferenc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iscourse topography from the 1950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scourse of the 『Sasanggye』 through understanding major writers of the same weight as the editorial staff as well as an editorial committee members, analyzing trends in the articles they published, and the pattern of the special features discussed in each issue. First of all, it was the bonus gained from the study that were able to correct the errors, that is, the mixed information about the previous study on the 『Sasanggye』 editors. 이 연구는 잡지매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1950년대 한국지식인들의 담론지형을 파악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50년대를 대표하는 종합잡지 『사상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그 편집방향과 편집체계를 문제 삼았다. 당시 한국사회의 지적갈증 해소를 위해 선봉에 섰던 『사상계』는 『사상』에서부터 일관되게 민중의 계몽과 교육이라는 편집방향을 제시한다. 『사상계』는 매호마다 기본 편집방향을 뒷받침하는 사회, 정치, 문학, 경제 등의 각종 특집을 기획하였으며 권두언을 통해 발행호의 편집 특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상계』 잡지는 미공보원의 지원, OSS 출신 발행인, 대다수 서북출신 집필진 등의 요소를 품고 출발하여 타 매체에 비하여 반공과 친미성향이 특히 강했다. 그리고 담론의 생산자인 동시에 적극적인 수용자이기도 했던 『사상계』 편집진은 같은 지역 출신의 비중이 컸던 이유로 결속력이 남달랐는데 편집진의 강화와 와해는 『사상계』의 성장 그리고 쇠퇴와 직결된다. 따라서 『사상계』 편집위원을 포함한 주요 필진을 분석하고 또 편집양상을 살피는 것은 시대를 대표하는 지성종합지 『사상계』를 다른 각도에서 분석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다. 물론 이 분석을 통해 『사상계』로 대표되는 당시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담론의 생성과 수용에 관한 지형 역시 확인이 가능해진다. 연구의 범위는 『사상계』 205권 전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사상』이 시작된 1952년부터 1959년까지 즉 1950년대의 『사상계』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1960년대 『사상계』는 4.19와 한일회담을 기점으로 담론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는 시기이므로 1950년대와는 그 담론지형을 구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사상계』 편집위원과 편집위원에 버금가는 무게로 활동한 주요 집필자에 대한 파악, 이들이 게재한 글의 경향분석, 각호에서 다룬 특집의 양상을 통해 1950년대의 『사상계』 담론을 논하였다. 무엇보다 이전 연구들의 오류 즉 『사상계』 편집위원에 대한 혼선된 정보를 바로잡을 수 있었던 것은 이 연구를 통해 얻은 덤이었다.

      • KCI등재

        한국 출판편집자들의 사회적 지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주리(Han, Ju-Lie)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Publishing firms in recent years have changed tremendously in terms of new institutional practices that include new types of employment, use of ICTs and spatial changes relocation of work places, foreign investment, and so on. Trend of publishing industries worldwide is centralized by several huge conglomerate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Imprint is publishing house within a publishing house. The chief-editor in imprint who was appointed by publishers directly manages to get profit, set book planning, and be in charge of marketing, promoting, and personnel management (Greco, 2005). Then editor-in-chief takes the responsibility on management. Digitalization made the printing process easier than before. These days, content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ublishing process because it affects the quality of book and editors are required to be proficient in planning the competitive books. In Korea, editors can be divided into ‘publisher-editor’ and ‘editor’. Publisher-editor is a president or CEO and editor is an employee who works on editing process but he/she cannot have the right to decide. It means that publishers in Korea usually plan, think, and determine whether which book will be published or not. On the average Korean editor'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is lower than Chinese or Japanese editor's status. According to the Han's study (2006), editors have to be skilled specialists or experienced workers to manage whole process as a coordinator. Their works are very stressful but their labor conditions are not that good enough. In comparison, Chinese publishing is operated by the government or local administrations so that publishing companies are sort of public institutions. Therefore, editors, as public servants, are elevated to a status they share with several pubic officials. In Japan, editors are recognized as elite group and get high payments even though publishing companies are in bad conditions. Hence, the current study result showed that need for enhancing the editor's social status in Korea.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디지털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출판환경의 구조적 변화와 개인 및 조직의 변화를 초래했다. 편집기획자를 중심으로 하는 임프린트 출판형태가 나타났고, 제작환경의 디지털화로 인해 도서제작작업이 간편화되었으며 제작비 절감 및 인터넷 서점의 등장, 마케팅시스템의 도입과 기획사 및 에이전시 등 외부시스템이 발달하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출판 제작환경의 변화로 인해, 콘텐츠가 더욱 중요하게 여겨지는 요즘 출판산업에서 기획자로서의 편집자의 역할 및 능력은 중요한 변수로 떠오른다. 한국에서의 ‘편집자’는 출판 인-편집자(publisher-editor)와 편집자(editor)의 두 부류로 크게 분류된다. 한국출판산업에 있어 전자는 출판사의 경영자이고 후자는 직원이라고 볼 수 있다. 편집자로 활동하다가 전직하거나 은퇴하는 경우도 있지만 편집자가 출판인-편집자로 되는 경우도 많으며, 앞서 언급한 1인 출판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한국 출판계에서 직원으로서의 편집자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는 상대적으로 일본 및 중국의 출판계에 비해 열악하다고 할 수 있다. 한주리(2006)의 연구에 따르면, 유연전문화 과정의 도입으로 출판계에서 개별 편집자에게 갖추도록 요청되는 능력이나 기술은 점차 많아지는데 비해 그에 따른 처우는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출판산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또한 여타 문화산업 분야에 비해 낮아서 출판계로 진출하려는 인력이 많지 않은 면도 있다. 또한 신문기자나 대학교수와 비교해서 훨씬 열악한 처지에 있는 한국의 편집자들이 책을 잘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중국의 경우는 출판이라는 영역을 신문, 방송과 더불어 국가나 지방정부에서 운영하고 있으므로 출판사는 사기업이 아니라 공공기관이고 편집자들도 일종의 문화적 공직자로서 상당한 사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이와나미 쇼뗑(岩波書店), 카게이 쇼보오(影書房) 등의 출판사에서 아무리 사정이 어려운 출판사라도 편집자에 대해서 높은 대우를 해주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 한국의 편집자의 사회적 지위가 보다 향상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논문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16세기 프랑스의 역사 텍스트 편집자 드니 소바주

        이혜민(Lee, Hye-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7 역사문화연구 Vol.62 No.-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편집자는 상업적인 인쇄 출판의 발전과 더불어 출판업계의 중요한 인물로 부상했다. 르네상스기의 편집자는 주로 휴머니스트로서 라틴어와 그리스어 텍스트 및 전문 서적들을 검토, 수정, 편집하는 일을 담당했다. 그런데 고전 텍스트의 경우와는 달리 프랑스어 인쇄본에서는 편집자가 대부분 익명으로 출판업에 종사했다. 이들의 이름과 작업 내용은 16세기 중엽부터 책의 속표지에서 자세하게 소개되기 시작했다. 16세기의 필리프 드 코민의 󰡔회고록󰡕 출 판의 역사에서 보이는 것처럼, 책의 속표지라는 물질적인 차원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프랑스어 텍스트 편집자의 위상 제고라는 시대적인 변화를 단적으로보여준다. 드니 소바주는 16세기 중엽에 두드러지게 부상한 전문 편집자들 중 하나인데, 특히 그는 중세의 역사 텍스트를 편집해서 출판했다는 점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소바주의 역사 텍스트 편집은 르네상스기 프랑스 편집자들의 작업 내용과 방식을 잘 보여준다. 편집자는 텍스트를 단지 배열하고 교정을 보아 인쇄하도록 하는 작업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과 절을 나누면서 각 장의 제목을 붙이거나 내용을 요약하고, 방주와 후주를 통해 관련 사료를 제시하면서 저자의 원 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때로는 저자가 저지른 오류를 지적하고 수정하기도했다. 필사본 원전으로의 회귀를 추구했던 드니 소바주의 프랑스 역사 텍스트 편집 작업은 기존의 주장처럼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영향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고전텍스트를 출판하면서 원전 연구에 몰두했던 전통적인 이탈리아 휴머니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In Renaissance Europe, editors have emerg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printed book market. The editors were mainly humanists who examined and made corrections on Greek and Latin texts, as well as scientific texts. Unlike the editors of classical texts, most editors of the French books worked in the publishing industry anonymously. It was only from the mid-16th century that the French books began to print the names of editors on their title pages and even went on to present their editorial works in detail, ultimately alluding to the elevation of the stature of the French texts’ editors. The 16th-century editions of the Mémoires of Philippe de Commynes, including those of Denis Sauvage well exemplifies this change. The case of Sauvage also presents the editing method of medieval history books by a Renaissance French editor. He not only arranged the text for printing, but also divided it into chapters and sections by titling each chapter, and at the same time summarized the contents. Furthermore, he annotated the text in order to add suggesting comments, occasionally pointing out and correcting errors committed by the author. In fact, his editorial works in pursuit of the original manuscript source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not by the Protestant belief, but by the classical humanist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