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연구

        부길만(Booh, Gil-Mann) 한국출판학회 2009 한국출판학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하나의 시대구분 시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위한 논의에 앞서, 일반적인 시대구분의 의의와 유형,출판사(出版史)의 연구 영역, 특수사로서의 출판문화사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 출판문화사의 인접 분야에 해당되는 한국 언론사와 한국 문학사의 시대구분을 고찰한 다음, 한국 출판문화사 시대구분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출판문화사의 시대구분을 시도하였는데, 한국 출판문화사가 우리 민족의 정신사와 맞닿아 있다는 점을 중시하였다. 시대구분의 기준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내세웠다. 첫째, 출판의 시대적 역할과 사회적 관련성, 둘째, 출판물을 기획·제작·유통시키는 출판 주체, 그리고 출판수용자에 해당되는 독자층의 문화의식이다. 여기에서 문화의식이란 단순한 문화적 욕구나 수용에 국한되지 않고, 민족 문화를 구성하는 일원으로서 지니게 되는 공동체의식, 역사 발전을 이루어내는 비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한국 출판문화사를 다음과 같이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다. 제1기 14세기 후반 이전 : 한국 출판문화의 시작 제2기 14세기 후반~16세기 : 엘리트 지식인의 문화의식과 금속활자의 활용 제3기 17세기~1883년 : 평민의식의 고양과 독서문화의 확산 제4기 1883년~1945년 : 국민 계몽 및 민족의식의 발현과 출판 (1) 1883~1910 : 국민 계몽 운동 및 근대적 출판의 등장 (2) 1910~1945 : 민족의식의 성장과 출판 제5기 1945년~현재 : 민주의식의 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1) 1945년~1960년대 : 해방 및 전쟁 후유증 극복 (2) 1970년대~1980년대 : 한글세대의 등장과 출판산업의 확장 (3) 1990년대~현재 : 전자출판의 발달과 출판의 국제화 이 글에서 제시한 시대구분은 한국 출판문화사 연구를 위한 사고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을 것이다. 물론 그렇게 되기 위해서도 많은 연구와 함께 활발한 논의들이 지속적으로 나와야 할 것이다. 이 글은 그러한 논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cussion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and to recommend a new way of periodization. Before the discussion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several topics: the periodization of the history in general, areas of study in publis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iodization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journalism and that of Korean literature,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This study then examin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these discussions mentioned so far, this study attempts to recommend a new way of the periodiz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n doing this, it is emphasized tha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piritual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The two criteria are given for the periodization in this study. First, the role of publishing in each period and its relations with the society. Secondly, the culture-consciousness of the two groups: the publishers and the readers. Based on these criteria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culture is categorized into these five periods. The 1st period (before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 beginning of the Korean cultural history The 2nd perio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4th century till the 16th century) : growth of culture-consciousness of the elite intellectuals and the use of metal printing The 3rd period (from the 17th century till 1883) : growth of the common people's consciousness of equality and the expansion of reading culture The 4th period (from 1883 till 1945) :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growth of nationalism (1) 1883~1910: beginning of the campaign for the enlightenment of the people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publishing (2) 1910~1945: growth of nationalism and publishing The 5th period (1945-present) : growth of people's consciousness in democracy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1) 1945~1960s: liberalization and overcoming of the aftermath of the Korean war (2) 1970s~1980s: appearance of the Korean alphabet generation and the expansion of publishing industry (3) 1990s~present: development of digital publishing and the globalization of publishing Further studies and more discussions are needed to use the recommended periodization discussed so far. This study shows the new beginning of th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area.

      • KCI등재

        한중출판학술회의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김진두(Kim, Jin-Doo)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2

        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중국은 지식과 문화를 상호 교류하여 왔다. 한국과 중국은 출판을 통해서 교류하며 한국이 받아들인 중국의 선진 문화와 지식은 한국 문화의 토양이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출판학의 교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은 출판학술회의를 통해서이다. 거기에서 상호 이해를 도모하게 된다. 국가 사이에도 학술회의를 통하여 각국의 출판 발전과 변화를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 점검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다. 1984년부터 시작된 국제출 판학술회의(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의 창설을 통해 출판학 교류가 시작되고, 이는 양국 사이 출판학 교류로 발전하여 한국출판학회와 중국출판과학연구소가 주최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연례적으로 1995년부터 열렸으며, 논문집도 2013년까지 15회에 걸쳐 발간되었다. 이제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창설된 지 20년이 되어간다. 지난 20년 간 15회에 걸쳐 한국과 중국이 상호 개최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학 교류를 상징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해야 한다. 이 논문은 계량적 분석을 통해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제출된 논문의 성격과 연구자 성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중출판학 술회의의 논문 주제가 대부분 출판 현실에 편중하여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고르게 논문을 발표하지 못하고 있고, 디지털화되는 출판 환경을 반영하듯 디지털 출판에 관련된 주제를 많이 선택하고 있는 등 다양한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출판 실무를 논문으로 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출판 실무자와 공동연구를 하거나, 실무자가 직접 논문을 제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Korea and China,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have engaged in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advanced culture and knowledge that Korea has adopted in the course of the exchange through publication have helped laid foundation for Korean culture on which basis Korea could develop its unique culture. The exchange in the field of publishing science has been made through the publishing science symposium instrumental in promoting mutual interest. The international symposiums that bring the countries under one roof have provided a platform for reviewing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publications in respective countries and exploring the measures for development.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dates back to 1984 when 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 was launched. This exchange has developed into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ultimately leading to the launch of annual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co-organized by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Chinese Institute of Publishing Science in 1995, an academic event which has been held to date. In addition, the article collections have been published 15 times until 2013.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Now, it is time to analyze the articles presented in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has been held 15 times over the last 2 decades, co-organized by Korea and China, and to identify and resolve problems. Moreo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sort out the articl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symbolizes Sino-Korean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submitted to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and examine the tendency or inclination of researchers through econometric analysis. As most themes of articles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tend to place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the publishing reality, researches have been unable to present articles of various themes in a balanced manner.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could be identified, such as the selection of many themes associated with digital publication, amid the transition to digitalized publishing environment. Efforts need to be redoubled, such as the joint research with the working-level personnel in charge of publication and encouragement for the working-level personnel to submit the articles direct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most researchers of Korea are unable to handle the publication works through articles.

      • KCI등재후보

        문화 변동과 한국 출판의 변화

        박몽구(Park Mong-Gu)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8

        이 연구의 목적은 문화 변동기 한국 출판의 양상을 비판 검토하는 것이다. 오늘날 한국 출판은 커다란 전환점을 맞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초래한 으뜸가는 원인은 문화 산업과 상품시장의 개방이다. 한국 출판 시장에 대한 외국 자본의 직접 투자는 그 좋은 예이다. 실제로 독일계 출판사인 베텔스만 코리아사는『다빈치 코드』의 직접 출판을 계기로 한국 출판 시장에 진입한 바 있다. 이 같은 상황에 따라 한국 출판은 전지구촌 규모의 경쟁과 맞닥뜨리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상황의 타개를 위해서는, 한국 출판은 무엇보다도 새로운 저자군과 신선하고 튼튼한 기획 수립에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최근 들어 한국 출판은 웰빙 붐의 선호에 따른 생활 관련 서적을 중심으로 한 실용서 붐을 맞고 있는 중이다. 한 가지 특징적인 사실은 이 같은 서적들이 그동안 전혀 알려지지 않았을 뿐 더러 평가가 정착되지 않은 무명 저자들에 의해 씌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 무명의 필자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실용서는 문학 분야의 서적들을 제치고 상업성으로 무장한 채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어 가고 있다. 이들 실용서들은 겉모양보다 실질적인 내용을 선호하고 있기도 하지만, 종종 그것들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비실용적일 경우도 적지 않다. 현실의 삶에서 실행하기 어려운 달콤한 메시지들을 양산해 가고 있는 처세술 서적들의 경우에 특히 그렇다. 프랑스의 정신분석가 겸 철학자 자크 라캉의 관점에 따르면 이것들은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적나라하게 반영하고 있음에 다름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들 실용서들을 비판적인 안목으로 읽지 않으면 안된다. 예기치 못한 새 밀레니엄 시대의 사회적 변동에 직면하여, 이들 실용서들은 우리들로 하여금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하게 한다. 한편으로 우리들은 이들 공허한 메시지들이 한국 사회와 얼마나 잘 어울리는지를 검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울러 이들 메시지들은 한국 사회를 능동적으로 바꿀 수 있는 내용으로 개편되어야 하며, 또한 새로운 출판의 연대에 즈음하여, 목마른 한국의 독자들을 깨어나게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오늘날 한국 출판은 전자책의 등장과 함께 목하 퓨전 출판 시대를 맞고 있다. 따라서 영상 시대에 익숙한 새로운 독자에 대한 애정과 함께 새로운 독자군의 취향에 맞추어 나아가야 한다. 나아가 한국 출판은 균형 잡힌 퓨전 출판, 즉 종이책과 전자책의 공존 시대에 걸 맞는 패러다임의 창출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리드해 나가야 한다. This study's aim is to research Korean publishing on cultural changing age. Korean publishing has met big changing point. Above all its first cause market opening of cultural products and industry. Direct investment to Korean publishing market of foreign capital is a good instance. As the facts, Random House has reach a Attainment of a proposed object through publishing on Da Vinci Code etc. Following these situations, Korean publishing must be to accord with new global competition system. Above all, they must endeaver to seek new author and to make a strong plan. The most recent, a immense change that Korean publishing has been confronted is boom of practical book publishing book centering on books of the art of living. A special characteristics is that these books of the art of living is written by unknown authors that is not appraised. According to the entrance on the stage of these unknown authors, at the Korean publishing world, the practical book has overwhelmed the literary book and other field on kinds and merchandising quantity. These practical books prefer to reveal the substance than the designation. Sometimes that message is impractical. According Jacques Lacan's view, it has reflect human endless desire. Therefore we must read these books with critically. Confronted unexampled social change, books of the art of living that well-matched new paradigm are needful publications above all. But we need a message that nicely paired with the realities of life on Korean society than message of hollowness. And they must be changed to contents heading toward positive humanity with an appreciative eye that looking squarely the root cause of social contradiction. So, recovering original function of publishing, the future of Korean publishing is brightened more. At the same time, Korean publishing has met fusion publishing age according to the developing of internet and appearing of e-book. Therefore they provide new contents adapting with new readers that living culturing age. After all between paper books and e-book to be made good connection, through creating new readers and introduction on drawing skill and moving pictures and animation.

      • KCI등재

        A Study on the Spread of Publish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over 60 Years

        Kim, Jeong-Suk(김정숙)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2

        2010년은 한-스페인 수교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각계에서 60주년 기념 교류행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반면에, 출판계에서는 100년에 달하는 스페인 번역출판의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혀 언급이 없는 관심의 부재를 보이는 형편이다. 더욱이 ‘세계 책의 날’제정배경이 스페인의 출판문화에서 유래된 만큼 한-스페인과의 문화교류에서 출판문화의 교류는 빼놓을 수 없는 분야이자 주요부문이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한-스페인 간의 출판상황을 더듬어보면서 양국이 처한 출판문화의 좌표에 따라 양국 간의 출판교류 가능 영역을 타진해보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한-스페인 간의 출판교류의 역사는 한국출판연감이 발행된 초창기에 비로소 그 흔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 소개된 스페인 문학은 최남선이 발행한 잡지 ≪청춘≫(1915년 1월호)에 작품 ‘돈키호테’와 작가 세르반테스를 소개한 것이 효시라 할 수 있다. 이후에 번역자 양성에 기여한 한국외국어대학의 스페인어학과 설립과 함께 정부와 번역문화원의 지원으로 스페인 번역문학이 활성화되었으나, 한국문학을 스페인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데에는 그다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 대중문화의 스페인 파급, 즉 한류의 스페인 착(着)으로 인한 한국어 붐이 일고 있는 현상을 통해 한국 출판문화의 스페인과의 교류에 대한 활성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이와 같이 양국 간의 문화적 관심이 제고되는 고무적 현상 앞에 출판문화 교류에 대한 관심을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움직임에 앞서 한국과 스페인의 출판문화 위상을 점검해보고 양국 간의 좌표가 제시하는 출판의 흐름을 간파함으로써 양국 간의 출판문화 교류확장을 위한 정책적 대안 및 출판분야 내의 내적 인프라적 교류에 대한 대안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 year 2010 is a special year for Korea and Spain, because it has been 60 years since both had a treaty of amity. Thus, we can see occasionally some cultural exchange programs this year in various fields. However, publishing field has not shown any exchange programs, although it has been around 100 years since Spanish literature has been introduced in Korea. Spain has had a long history concerned with the publishing culture. April 23rd, which had before been Spanish Book Day, has been legislated and commemorated for ‘The World Book Day’ by UNESCO. This suggests that Spain is a nation with a historic background of publishing culture. That's why we never talk about excluding ‘books’ and ‘publishing’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Therefore, I discuss about these topics in this thesis. Especially, Spanish publishers have some concern with Korean books. Because they are faced with a phenomena, - a kind of booming Korean wave (“Hallyu”) relating to the Korean language gradually. This will offer some ideas that may activate the publishing Hallyu in Spain. In this thesis, I explain the publishing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from the introduction of ≪Don Quijote≫ in the early 20th century up to some latent new books. To analyze and create publishing indices, I used some statistical data. Through this methodology, I could read the coordinates and phases of Korean & Spanish publishing culture. And then I tried to offer some problems, alternative suggestions, and our tasks, in order to help activate publishing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Spain.

      • KCI등재

        U-시대 한국 인터넷출판 현상 분석

        김정숙(Kim Jeong-Suk)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9

        전자출판의 새로운 화두로 등장하고 있는 U-출판 및 U-북은 U-시대의 패러다임을 기저로 다원화된 사회현상 및 변화를 수반함에 따라 새로운 해석틀이 요구된다. 본연구에서는 현상에 기반한 이론적 설명틀 모색과 함께 분석을 통해 불확실성을 내포한 출판현황에 미래적 인식을 기하고자 한다. “인터넷 초강국”으로 일컫는 한국적 상황인만큼, 이 연구에서 유출해내는 인터넷 출판, U-북에 관한 설명틀은 보다 독창적이며 선구적일 수밖에 없다. 유연한 신관계주의와 자아지향적 심리기제를 특성으로 하는 유비티즌에게 네트워킹 독서하는 인터넷 북의 역할은 UT (ubiquitous technology)를 계기로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 출판 콘텐츠와 서비스는 다원화, 활성화를 추동하고 있다. 본연구에서는 이렇듯 급변하는 출판현상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과 현황분석을 통해 출판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한 분석틀내에서 인터넷 북이 U-출판의 중심테제임을 확인하였고, 업계별 현황조사에서도 전망을 예측할 수 있었다.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환경적 정책적 문제와 더불어 적지 않은 문제점과 해결과제가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한국 인터넷 출판에는 한국적 인터넷 문화가 생성되고 진전되는 배경이 있었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에는 미래의 출판이 갖는 방향성을 담지하고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지향적 제언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era of ubiquitous publishing and ubiquitous books which are frequently mentioned nowadays as a new terms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requires new methodology and explanation frame based on ubiquitous paradigm with multiple societal phenomena and radical change. I try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o analyze ubiquitous paradigm based on the present state of Korean internet publishing in order to suggest futurama of publishing. The explanation of internet publishing and ubiquitous books extracted in this study would be new and creative, because this item is concerned with the present of Korea which is called ""the Superpower of Internet"" With UT (Ubiquitous Technology) as a momentum, the role of internet books will be expanded, especially for networking readers as ubitizens whose characteristic can be explained through neo-relationalsim, self-directed psychological mechanism, and so on. Therefore, the contents and services of internet books will cause acceleration of multiple supplement and activation. I verified that internet books are centered theme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through this research. Otherwise, I also extracted some problems, on which I suggested some expected problems and alternative solution. Most of all, I examined the context on occurre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internet culture. From the context, I could extracted the orientation and future of Korean publishing.

      • KCI등재

        한국 대형 출판기업의 그룹화와 브랜드 다각화 분석

        이건웅,최준란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1

        현재 한국의 총 인구는 5천만 명에 불과한데 출판사 수는 2013년 6월 기준, 4만 6,395개에 달한다. 단순 수치 비교상 대략 인구 천 명 당 하나꼴이다. 출판사 수는 급격히 늘어났지만 독서율은 반대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며 여기에 디지털 출판의 도래, 글로벌 출판 시장의 경쟁력 강화 등으로 인해 출판 내수시장은 더욱더 열악해지고 있다. 출판 시장의 불황은 전국적인 동네 서점 수의 감소로 인해 일반인들의 피부에도 와닿고 있다. 이런 어려운 환경에서 한국의 대형 출판기업은 브랜드 다각화를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있으며 그룹화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이끌어 내고 있다. 한국은 1990년대 후반부터 브랜드의 다각화를 통한 자회사 제도, 분사 제도, 임프린트 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출판의 그룹화를 이루었다. 이는 서양의 인수합병 방식과는 다른 패턴이며,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출판개혁조치와도 또 다른 형태이다. 2000년대 이후 활발해진 출판의 전문 분야를 특화해 나가는 자회사 제도나 조직원 간의 수평적인 관계를 중시하는 분사 제도, 뛰어난 기획편집자를 기용해 독립 사업체를 운영하도록 돕는 임프린트 제도 등의 활용은 우수한 기획편집자에게 독립성과 막강한 권한을 기반으로 양질의 콘텐츠를 개발하도록 독려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민음사는 출판기업이 대형화되자 사이언스북스, 황금가지, 비룡소, 민음인 등 여러 전문 브랜드로 분화했으며, 모기업과 자회사의 개념으로 출판그룹이 형성되었다. 이처럼 브랜드의 다각화를 통해 출판기업의 그룹화에 성공한 길벗, 대교, 미래엔, 웅진씽크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대형화된 한국 출판 기업은 내수시장이 아닌 해외 시장에도 눈을 돌려 중국, 타이완, 태국 등 해외진출을 통한 출판한류까지 도모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급속한 기술의 발전에 발맞춰 디지털 출판에 인적·물적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문화산업으로서 출판의 위상을 높여 콘텐츠의 OSMU를 활용하는 등 출판산업의 진흥에 힘쓰고 있다. 이들 출판기업의 성공 요인과 출판시스템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출판기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해보았다. Publishing environment has seen a great change in Korea, Japan and China since the three countries joined the World Trade Organization(WTO). Even though each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has distinct publishing industry, the fundamental goal seems to be the same: all aim to expand the business into a cultural industry, going more global and digital. In China, there was conglomerate integration in Shandong Publishing Group, which combined newspapers, magazines and publishers including: Shandong People's Publishing House; Tomorrow Publishing House(children's books); Shandong Literature & Art Publishing House; Shandong Press; and Shandong Magazines. In Korea, the trend was reverse. When a Korean publisher of Minumsa grew big enough, it diversified its business with specialized brands including: Science Books; Goldenbough; BIR; and Minumin - it became a publishing group with parent-affiliated company relationship. In Japan, a parent publishing company plays a pivotal role in business diversification using OSMU(one-source multi-use) concept, in such fields as broadcasting, games, comics and magazines as well as publication. Korea started to see big publishing groups from the late 1990s, as the industry actively embraced various models including affiliated companies, spin-offs and imprints. These models a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merger and acquisition of the West or from the government-led reform of China. Affiliated company model is about specializing the area of publication; spin-off is about valuing the horizontal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imprint is about hiring competent editors and enabling them to manage independent business. Since the 2000s, such new brand strategies encouraged talented editors to develop quality contents based on independence and authority. The way forward for Korean publishing groups from 2010 and onward should be global and digital. Korea has a population of 50 million and the number of publishing companies has totalled 46,395 as of 2013; the domestic market has already been saturated. Big publishing groups are naturally looking at foreign markets and China is the most suitable one for their overseas expansion. Despite the strong regulations and distinct cultural differences, this market cannot be easily let go.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for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China.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publishing groups, whose integration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models appeared in Japan and China and looks into the future of the publishing business.

      • KCI등재

        북한출판물의 민족문화유산 편입 연구

        박몽구(Park Mong Gu)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2

        한글 공동체로서의 북한 사회는 우리와 같은 언어 공동체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이념의 갈등으로인해 그 문화유산을 한국 문화의 본류에 포함시키는 데 장애가 적지 않았다. 그런데 장차 통일에 대비하여서는 북한의 출판물들을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관심사이다. 분단시대북한의 출판물은 체제 수호와 주체사상의 선전 선동 등을 당면의 목표로 삼고 있지만, 곰곰이 살펴보면탈이데올로기의 관점에서 민족 공통의 유산이 될 만한 것들도 적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 지역 한국학의 성과 가운데서 이념적 편향을 사상(捨象)하고 민족의동질성을 뒷받침해 주는 부분을 중심으로 그 지평을 넓힘으로써 통일 시대 민족 문화의 창달에 기여할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른바 주체사상의 주입을 위해 만들어진 도서 및 김일성 일가에대해 일방적 찬양 고무하는 내용 위주의 이념 서적은 제외한 고대 신화, 구비문학, 고전소설, 한문고전의 국역(國譯) 출판물 등은 충분히 우리 민족 문화 자산으로 편입할 여지가 적지 않다고 본다.이를 통해 우리 문화 영역을 확장하고 출판문화 유산의 양과 질을 크게 일신하는 계기가 마련될 수있으리라 전망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출판인들은 오랫동안 분단과 냉전의 분위기에서 출판 행위 자체에 제약이 따르는 가운데한민족의 한국학관련 출판물을 어렵게 기획하고 확충해왔다. 즉, 이념과 법적인 제약의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간헐적으로 북한지역의 일부 한국학 관련 국내 출판이 이루어져 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한민족의 출판과 출판 연구에 따른 출판문화 토대를 광범위하게 준비하고 논의하기가 쉽지 않았다. 출판학은인문학이나 정치경제학 등 다른 분야의 학문에 비해 이를 실질적으로 종합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있어서는 이러한 제한적 요소들로 인해 만주와 북한지역으로 영역을 제대로확대하여 논의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므로 이념과 국적을 넘어 한글 상용의 공감대를 아우른 한글 출판물에 대한 조사연구, 특히 한국학 관련 출판물에 대한 발굴 조사는 지금까지의 제한적이었던 한민족출판문화 역량을 새롭게 검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무엇보다 적대의식을 청산하고 한민족이라는 공 통의 의식을 함께 하면서, 위에서 보았듯탈이데올로기의 견지에서 북한 출판을 새롭게 볼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남북 양측이 저작권 교류를활성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 전래의 고전 및 민속, 그리고 한문 고전, 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담은문학 작품들이 풍부하게 창작되고 출판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근대 민족선각자들이 민족정기를 일깨우기 위한 방편으로 잡지를 발행했던 동기에서 보듯, 출판은민족의 정신을 일깨우고 후대에 그것을 접목시키는 보이지 않는 교사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근대 이후 출판을 통한 우리의 정신사를 새롭게 정립함으로써 진정한 이해를 통한 사회 통합의 기틀을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 시대를 향한 민족적 자부심을 높이면서 민족 공통의 문화 유산을 어떻게확장할 것인가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North Korea is a language community for a long time. But due to the conflict of ideologies, Korean people have failed to include the cultural heritage of Korea in mainstream culture. So, what you see on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is a major concern of this paper. North Korea makes its era division of the publication of the propaganda system with the goal of defending the Juche idea. But not a few things that will catch peoples common heritage in off-ideology. In this study, eliminating the ideological biases among those picked North Korean publications that support the homogeneity of the nation. Through this plan, we tried to draw channel to contribute to the unification of national culture era. We have thought that, ancient myths, oral literature, classic novels of ancient publications has considerable room to fully incorporate into our national cultural assets. Through assuming, we expected to expand our cultural area, and can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significantly renovate the quality. So, we must try clearing a hostile consciousness and a common consciousness Korean. From the perspective of ideology, we need to ride newly published in North Korea. By establishing our newly published by mental history, we will be able to provide a framework for social cohesion. In preparation for the reunification era, the goal of this research will enhance national pride to what extend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the nation.

      • KCI등재

        중국 출판 관련 연구경향 분석

        황민선(Hwang Min Sun) 한국출판학회 2016 한국출판학연구 Vol.42 No.1

        본 연구는 한국내에서 이루어진 중국 출판 연구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주제는 출판이론과 출판산업, 국제출판 분야라 할 수 있으며, 출판교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적게 이루어졌다. 이중 중국출판이론에 대한 연구는 중국학이나 중국문학 전공 학자들에 의해 많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출판 산업 분야와 국제출판 연구 분야는 출판학 전공자들에 의해 대부분 이루어졌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 유형별로는 학위논문이 17편, 학술지 논문이 57편이었으며, 석사학위의 경우 다양한 전공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한국내 중국 출판 연구 수록 학술지는 총 21개였으며 그 중 가장 많은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실린 학술지는 <한국 출판학 연구>였다. 이와 같이 <한국 출판학 연구>는 중국 출판 연구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학술지이다. 그러나 학술지 주제분야 분류로 보면, 인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32편이었으며, 특히 ‘중국어와 문학’ 분야의 학술지에 많은 수의 중국 출판 관련 논문이 발표되었다. 이는 출판학이 학제간 학문임을 방증하는 결과라 할 수 있으며, 해당 학회와의 상호 연구 교류가 필요함을 증명한다. 즉 중국 출판학에 대한 연구는 출판학 전공자와 중국학 또는 중국문학 전공자의 공동 연구 또는 상호교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s conducted in Korea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research topics dealt with the most are publication theories,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and education on publication is studied the least. Particularly,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theories is mostly performed by majors of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Also,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dustry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is mostly conducted by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Concerning the types of research, there are 17 dissertations and 57 journals. Masters’ theses are written in many areas related to the majors. There are total 21 journals contained in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in Korea, and the journal containing the most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is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t implies that <Research on Publishing Science in Korea> is a journal equipped with an unrivaled position in terms of research on Chinese publication. Regarding the topics of journals, however, 32 theses are contained in journals of literature, and particularly, journals of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present a number of theses related to Chinese publi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ublishing science is one of the interdisciplinary sciences, and it is necessary to exchange studies with the academies.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in research on Chinese publishing science, it is needed to perform collaborative research or mutual exchange among the majors of publishing science, sinology, or Chinese literature.

      • KCI등재

        국내 전자책(e-Book) 및 전자출판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 연구

        강진숙(Jin-Suk, Kang) 한국출판학회 2011 한국출판학연구 Vol.37 No.2

        전자책과 전자출판에 대한 화두는 학계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 왔고, 10여 년 전에 개념 정의에서 시작된 전자책 연구는 현재 전자책 산업구조 분석과 수익모델 창출방안 등 다각도의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전자책 및 전자출판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기존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의 경향과 학문적 정향성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 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메타분석 범주 중에서도 연구 주제와 이론, 그리고 방법론의 범주들을 기본 분석범주로 설정하여 국내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의 접근 경향과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한국출판학회의 등재학술지인『한국출판학연구』를 선정하여, 학회 검색창에서 추출한 ‘전자책과 전자출판’ 관련 논문 23건의 주제, 이론, 방법론적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선행 전자책과 전자출판 연구에 대한 연구, 즉 메타 연구의 방법론적 개발과 적용을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의미를 두고자 한다 Talking point for the e-Books and electronic publishing in the academic filed has been treated significantly. About 10 years ago, the beginning of the e-Book studies was mostly focused on the definitions or the concepts. However, current studies approach in various ways like analysis of the industry structure or generating revenue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tendency of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and also the direction of academic by using meta analysis about themes and methodologies of the domestic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he thesis, theory, and methodology among the various category of meta analysis to analyze the approach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Book & electronic publishing. The 23 subjects which were extracted by the searching system of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Research』-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are analysed by thesis,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methodology. This study has the academic importance as the pre-study for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and the application of meta analysis related to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of the e-Book and electronic publishing study.

      • KCI등재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윤세민(Yun, Se-Min) 한국출판학회 2010 한국출판학연구 Vol.36 No.1

        이 논문은 (사)한국출판학회의 학회지로 2000년에서 2009년까지(통권 42-57호) 발행된 『한국출판학연구』를 중심으로 2000년대 출판학 연구의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출판학의 대상과 분류를 ①출판이론, ②출판역사, ③출판교육·미디어교육, ④출판생산, ⑤출판유통, ⑥출판수용, ⑦출판상황과 환경, ⑧출판산업과 경영, ⑨출판 법제와 윤리, ⑩전자출판과 뉴미디어, ⑪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 ⑫국제출판 등 총 12가지 분류로 새롭게 완성하였다. 이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의 장단점을 분석·차용하고, 가능한 출판의 학문적, 실천적 영역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의의를 가진다 할것이다.위의 분류에 따라 2000년에서 2009년까지(통권 42-57호) 발행된 『한국출판학연구』에 수록된 논문들의 출판학 분류별 구성은 몇몇 분야를 제외하고는 분야별로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 구성 비율은 위에서부터 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14.3%)-국제출판(14.3%), 출판상황과 환경(12.1%), 출판수용(11.5%), 전자출판과 뉴미디어(11.0%), 출판생산(7.7%)-출판산업과 경영(7.7%)-출판역사(7.7%), 출판교육.미디어교 육(5.0%), 출판이론(3.8%), 출판유통(2.7%), 출판법제와 윤리(2.2%) 순으로 나타났다.향후 출판학 연구는 학회와 연구자 차원에서 대담한 개혁 의지가 없다면 2000년대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큰 변화 없이 흐를 것으로 전망된다. 즉, 신문잡지 및 기타 매체론,국제출판, 출판상황과 환경, 출판수용, 전자출판과 뉴미디어 분야 등이 연구를 주도해 나 갈 것이며, 출판이론, 출판유통, 출판법제와 윤리 등의 분야는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판학 연구는 위의 동향과 특성 분석 결과에서 보듯, 그 동안 출판학의 외연과 양적 연구 역량은 크게 발전해 왔지만, 정작 출판학 정립과 정체성 수립에는 적잖은 과제를 노정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학회와 연구자들은 이를 속히 개선해 출판학 연구의 진정한 정립과 발전을 꾀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described the trend and prospective in Publishing science from 2000 to 2009(Vol.42-57) focused on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in the journal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As a researcher, I newly completed the objects and classification of publishing science by way of 12 classifications:①Publishing theory ②Publishing history ③ Publishing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④Publishing production ⑤Publishing distribution ⑥Publishing demand ⑦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⑧Publishing industry and management ⑨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 ⑩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 ⑪News, Magazine and other media ⑫International Publishing.It is analyzed and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had good and bad things. As a result, it will have new meaning in publishing considered practical as well as academic point of view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the publishing science component ratio by the papers of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from 2000 to 2009(Vol 42-57) showed as having a pretty even distribution except some fields.The component ratio showed from the high - News, Magazine and other media(14.3%)-International Publishing(14.3%), 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12.1%), Publishing demand(11.5%), 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11.0%) Publishing production(7.7%)-Publishing industry and management(7.7%)- Publishing history(7.7%), Publishing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5.0%), Publishing theory (3.8%), Publishing distribution(2.7%), 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2.2%). Upcoming Studies of Publishing Science is forecasted without big changes from the viewpoint in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years 2000 if the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researchers didn't have great resolution to make a new chang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s like News, Magazine and other media, International Publishing, Publishing condition and environment, Publishing capacity, Electronic Publishing and New Media will lead, whereas Publishing theory, Publishing distribution, Publishing law system and ethics will have a tough time in the upcoming. As the above analysis of Studies on Publishing Science trend and the result of characteristics indicated, the appearance of Publishing and quantitative study capability has made greatly progress in the meanwhile. Both the establishment of publishing and identity founding are also needed. Therefore the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researchers will try to develop the establishment of publishing and identity founding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