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sub>2</sub>-공기와 CO-공기의 예혼합화염의 화염소화에 있어서 화학적 상호작용의 효과

        정승욱,박정,권오붕,길상인,윤진한,Jung, Seongwook,Park, Jeong,Kwon, Ohboong,Keel, Sangin,Yun, Jinhan 한국연소학회 2013 한국연소학회지 Vol.18 No.4

        Important role of chemical interaction in flame extinction was numerically investigated in downstream interaction among lean(rich) and lean(rich) premixed as well as partially premixed $H_2$-air and CO-air flames. The strain rate varied from 30 to $5917s^{-1}$ until interacting flame could not be sustained anymore. Flame stability diagrams mapping lower and upper limit fuel concentrations for flame extinction as a function of strain rate are presented. Highly stretched interacting flames were survived only within two islands in the flame stability map where partially premixed mixture consisted of rich $H_2$-air flame, extremely lean CO-air flame, and a diffusion flame. Further increase in strain rate finally converges to two points. Appreciable amount of hydrogen in the side of lean $H_2$-air flame also oxidized the CO penetrated from CO-air flame, and this reduced flame speed of the $H_2$-air flame, leading to flame extinction. At extremely high strain rates, interacting flames were survived only by a partially premixed flame such that it consisted of a very rich $H_2$-air flame, an extremely lean CO-air flame, and a diffusion flame. In such a situation, both the weaker $H_2$-air and CO-air flames were parasite on the stronger diffusion flame such that it could lead to flame extinction in the situation of weakening the stronger diffusion flame. Particular concerns are focused on important role of chemical interaction in flame extinction was also discussed in detail.

      • KCI등재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

        정승욱,최창근 해양환경안전학회 2020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6 No.2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scuba diving activity between May 2017 and June 2017 in order to analyze spring marine algal community structure at Gijang-gun, Busan. A total of 121 species including 13 (10.7%) Chlorophyta, 18 (14.9%) Phaeophyta, and 90 (74.4%) Rhodophyta were identified. The species count in the subtidal zone (110 species) was twice as high as in the intertidal zone (56 species). In terms of regions, 88,76, and 75 species were found in Mundong, Gongsu, and Daebyeon, respectively. Mean biomass for the whole study area was 1,501.5 g·m⁻², higher for the subtidal zone (1,869.4 g·m⁻²) than for the intertidal zone (1,133.5 g·m⁻²). Mean biomass by region values were 2,234.0 g·m⁻², 1,228.1 g·m⁻², and 1,044.4 g·m⁻² for Mundong, Gongsu, and Daebyeon, respectively.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and Corallina pilulifera had high biomass in the intertidal zone, while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and Phycodrys fimbriata had high biomass in the subtidal zone. The composition ratio of marine algal functional forms suggests that the entire study area had 'Low' status, and all sites fell within 'Low' to 'Moderate' status. Results indicate that opportunistic species are wide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Gijang-gun coast, hence potential effects of disturbanc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should be considered. Seaweed farming in particular - a major activity along the Gijang-gun coast -, together with effects of other anthropogenic activities such as national fishing port development and the coastal improvement project, could have long-term effects on marine algal communities. Therefore, long-term monitoring and management plans for marine algal communities will be required. 본 연구는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춘계 해조 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6월까지 스쿠버 다이빙(scuba diving)을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녹조류 13종(10.7%), 갈조류 18종(14.9%), 홍조류 90종(74.4%) 등 총 12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조간대에서 총 56종, 조하대에서 총 110종으로 조하대 출현종이 2배가량 많았으며, 해역별로는 문동 88종, 공수 76종, 대변 75종 순으로 높았다. 연구 해역의 평균 생물량은 1,501.5g·m⁻²로 확인되었으며, 조간대 1,133.5g·m⁻², 조하대 1,869.4g·m⁻²로 조하대가 더 높았고, 해역별로는 문동 2,234.0g·m⁻², 공수 1,228.1g·m⁻², 대변 1,044.4g·m⁻² 순으로 높았다. 높은 생물량을 나타낸 종은 조간대에서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조하대에서 Sargassum macrocarpum, Undaria pinnatifida, Phycodrys fimbriata로 확인되었다. 해조류 기능형군별 피도 비율에 따라 군집 상태를 분석한 결과 연구 해역 전체는 ‘Low’, 집단별로는 ‘Low’~‘Moderate’ 상태를 나타내었고, 이는 기회종(opportunistic species)이 기장 해역 전체에 걸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교란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고려된다. 특히 기장 해역은 해조류 양식이 주를 이루고 있어 양식장 조성과 국가어항개발 및 연안 정비 등의 연안개발로 인한 인위적인 영향이 해조 군집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며, 해역 전반에 걸친 해조 군집의 장기 모니터링과 우수한 해조 군집에 대한 관리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제품 서비스 향상을 위한 가상 콘텐츠 인터페이스 연구 -프린터 AR 어시스턴트를 중심으로-

        정승욱,김후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printer services by applying toner cartridge replacement and repair in the maintenance and repair stages to the service center during installation, operation, maintenance, and repair stages, which are difficult to use, not the current manual-based physical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rtual interface characteristic elements of printer products in AR environments, suggest a service-based interaction method with improved accessibility and usability from a user’s point of view,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advanced design concept.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virtual contactless interfaces and identified the most difficult maintenance and repair items to solve when using the printer to derive printer UX utilization plans and implications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Next,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with in-depth interviews, heuristic evaluation check list, and a Likert 5-point scale of twenty office workers using printers to determine whether the derived design process and results contain significant possibilitie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e possibility of greatl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in the service process as the response to failure and repair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easily in the interface of the AR technology environment. Second, the virtual method of gesture control and voice interface made it easy to understand the function and usability of numerous components. Third, by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oner remaining and toner replacement methods through a three-dimensional virtualization plane, it was an opportunity to study service items that can be applied to useful concept products in virtual space and predict related technologie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study and analysis of the usefulness of virtual interfaces, it is inferred that the user experience will be developed more easily and intuitively in the AR environment. Based on this, the virtual interface method will be expanded to reduce service cost and time and increase user convenience. 본 연구는 프린터 사용 단계의 설치, 조작, 유지 및보수 단계 중, 사용자가 어려워하여 서비스센터에 도움 요청이 많은 유지(Maintenance) 및 보수(Repair) 단계의 토너 카트리지 교체와 수리 과정을 지금의 사용 설명서 기반의 피지컬(Physical) 방식이 아닌,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버츄얼(Virtual) 인터페이스 방식으로적용 시 나타나는 프린터 서비스의 개선 효과와 평가결과를 연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R 환경에서 프린터 제품의 가상 인터페이스 특징적 요소를살펴보고,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성과 사용성이 향상된서비스 기반의 인터랙션 방법을 제언하고 선행 디자인 콘셉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는 피지컬 인터페이스와 가상의 버츄얼 인터페이스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프린터 사용 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유지 및 보수 항목을 확인하여 버츄얼 인터페이스 사용 환경과 연계한가상현실 환경에서의 프린터 UX 활용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출된 디자인 프로세스와결과물이 유의미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프린터를 사용하는 20명의 사무직 직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휴리스틱 평가 체크 리스트, 그리고 리커트(Likert) 5점 척도를 통해 만족도 조사를 했다. 이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프린터 사용 시 고장, 수리에 대한 대응이 AR 기술 환경의 인터페이스에서 더욱더 효율적이고 이해하기 쉽게 사용될 수 있어 서비스 과정에서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을크게 줄일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제스처 컨트롤(Gesture Control)과 음성 인터랙션(Voice Interaction) 의 버츄얼 방식은 수많은 부품의 기능과 사용성을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 3차원 가상화면을 통한 토너 잔량 확인 및 토너 교체 방법의 이해도를 평가하여 가상공간에서 유용한 콘셉트 제품에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 항목에 관한 연구와 실제 구현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을 예측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버츄얼 인터페이스의 유용성에대한 고찰과 분석을 통해서, AR 환경에서 사용자 경험이 더 쉽고 직관적으로 발전될 것이라는 근거가 유추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버츄얼 인터페이스 방식이 제품으로 확대 적용됨으로써 서비스 비용과 대기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혁신적으로 증대되는 방법적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있으며, 전통적인 제조 산업에서 AR을 활용한 업무프로세스로 개선과 질적 향상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KCI등재

        하이퍼리얼리티 영화의 시각적 유희에 대한 담론의 재구성 : CGI(Computer Generated Imagery) 기반 영화를 중심으로

        정승욱 한국영상학회 201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9 No.1

        오늘날 영화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은 시각문화의 수용형태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영화의 본질 은 지각을 통한 환영에 있으며 현실의 재현을 통해서 착시와 환상의 세계로 관객을 이끄는 데에 있다. 욕망 의 시각 적 재현은 영화기술을 기반으로 상상하는 그 이상의 환영을 생산하고 있으며 물리적 접근 방식 의 변화를 가지고 왔다. 결과적으로 관객은 스크린에 재현되는 하이퍼리얼리티에서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찾지 못하 게 되었다. 벤야민은 기술 복제로 인한 예술의 ‘아우라 상실’에서 사회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을 보았지만 그 이상의 예술과제를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완벽한 시뮬라크르 세계인 하이 퍼리얼리티 영화가 생산하고 있는 디지털 이미지들은 새로운 의식세계로서 ‘심리적 아우라’를 만들고 있다. 이제 영화 는 사실적 재현을 위하여 현상을 기록하는 장치로서 서사를 통하여 인간의 욕망을 표현하는 예 술 활동에 서 더 진화하고 있다. 하이퍼리얼리티 영화를 통화여 완성되고 있는 사실감은 형식주의적 표현 의 한 영역 으로부터 확장된 새로운 미학의 텍스트로서 환영을 통한 ‘지각적 아우라’를 복원하고 있다.

      • KCI등재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표현 요소와 선호도 평가 연구 -제품 시각적 평가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정승욱,김후성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1

        Looking at the recent design flow from the perspective of morphology, changes in the formative expression of products appear based on organic concepts, and changes in the paradigm are emerging as they are also related to usability UI. Just as a flexible organic user interface appears in smart devices beyond the standardized structure, industrial design will innovate usability in a different form and structure in the future, and major changes are expected in design elements such as patterns and graph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lement designs of preceding products using the nature of generative design and related computer programs, evaluate user acceptance, and study ways to apply generative formability to design. As for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in order to develop an organic form of element design,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and preceding pattern design through computer programs were conducte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non-linear and organic was examined, and the theory was reviewed on the general design linked thereto to derive methods an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elemental designs such as patterns and graphics. Next,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he derived design results contain significant possibilities, 34 academic and practical experts and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nonparametric tests of medi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users had a higher preference for the presented element design than the expression elements appearing in the existing design. It is believed that the organic form based on generative design shows the possibility of applicability as a new formative element and expansion into design trends. Second, it is thought that data optimiz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variables options and various design elements can be created in a given design area to be used in the method of establishing design formative trends of preceding products. Third, it is possible to present a solution by using optimal options for program problems that occur after mass production and release. Generative-based element desig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utomobile, and product design, and when designers’ creative thoughts are applied to formative expression and design, a new paradigm will emerge in which nonlinearity and organic elements develop into product and UI design. 최근 형태학(Morphology) 관점에서의 디자인 흐름을 살펴보면 유기론적 관념 기반으로 제품의 조형적표현에 변화가 나타나고 사용성 UI에서도 연관되어패러다임에 변화가 대두되고 있다. 정형화된 구조를벗어나 유연한 형태 기반의 오르가닉 유저 인터페이스(Organic User Interface)가 스마트 디바이스에서나타나는 것처럼 향후 산업 디자인은 지금과는 다른형태와 구조로 사용성에 혁신을 가져올 것이고 패턴, 그래픽 등의 디자인 요소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본연구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의 본질과 이와 관련된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한 선행 프로덕트의 요소 디자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를 하여 제너레이티브 조형성을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범위와 방법으로는 유기론적 형태의 요소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해서 문헌 연구와 사례조사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선행 패턴 디자인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비선형(Non-liner) 과 유기체(Organic)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와연계된 제너레이티브 디자인에 대해 이론을 고찰하여패턴, 그래픽 등의 요소 디자인의 활용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도출된 디자인 결과물이유의미한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34명의 학계 및 실무 전문가 그리고 디자인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와 비모수적 통계방법(Nonparametric tests of medians)을 통해 만족도 조사를 했다. 이 과정을 통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들은 제시된 요소 디자인에 대해 기존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표현 요소보다 선호도가 높았다. 이는 제너레이티브 디자인 기반의 유기론적 형태가 새로운 조형 요소로써의 적용 가능성과 디자인 트렌드로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둘째, 개발 변수나 옵션에 따른 데이터 최적화 및 주어진디자인 영역에서 다양한 디자인 요소를 생성하여 선행제품의 디자인 조형 트렌드 구축 방법에 활용될 수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양산 및 출시 이후에발생하는 프로그램 문제에 대해서 최적의 옵션을 활용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처럼 제너레이티브 기반의 요소 디자인은 건축, 자동차 그리고 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생각을 조형형태의 표현 및 설계에 적용 시 표현 요소의 선호도에 따른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해 주는 방법이 구축되며, 비선형성과 유기체적 요소가 제품과 UI 디자인의개념으로 발전이 전개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타날것이라고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