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최미선 한국생명윤리학회 2019 생명윤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sciousness of bioethic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as a practical method of bioethics that can be used in nursing workplace. This researcher designed the 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PBEP) composed of two hours a week for 4 weeks as a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 concepts and the essential of personalist bioethic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educational goals include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bioethics and personalist bioethics in the first class,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the concepts of life beginning and life respect ethics in the second class,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the concepts of life ending and bio-medical ethics in the third class, and lastl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processes of life and biotechnology ethics in the fourth class. The teaching method is a workshop for adults that includes lectures, reviews, activities, reflections, etc. consisting of the beginning (20 minutes), deployment (90 minutes), and termination (10 minutes). And, finally, consciousness of bioethic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designed has been validated by five bioethics experts(CVI=1). The applic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training program for nurses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of the bioethics consciousness of nurses, and in particular, will help expand the horizon of knowledge on personalist bioethic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명윤리의 한 실천 방안으로써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존재론적 인격주의 생명윤리를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인격주의 생명윤리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학습 과정으로, 주 1회 2시간씩, 4주간의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 프로그램(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PBEP)을 설계하였다. 구체적 교육 목표는 1차시 ‘생명윤리와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개념을 이해한다.’, 2차시 ‘생명의 시작과 생명존중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 3차시 ‘생명의 끝과 생명의료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 4차시 ‘생명의 과정과 생명공학윤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워크숍으로 강의 및 리뷰, 활동, 성찰 등이 포함되며 시작(20분), 전개(90분), 종료(10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설계된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은 5명의 생명윤리 관련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정 받았다(내용타당도 계수 CVI=1). 추후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은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확립 및 증진에 기여할 것이며, 특히 인격주의 생명윤리에 관한 앎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

        맹광호(Kwang-ho Meng) 한국생명윤리학회 2007 생명윤리 Vol.8 No.1

        2004년과 2005년도에 세계적인 종합과학잡지, Science 지에 두 차례에 걸쳐 실린 황우석 교수 연구 논문의 생명윤리 위반과 연구조작 사건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를 놀라게 한, 참으로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이 사건을 통해서 이런 연구나 개발 활동은 반드시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규칙을 준수하면서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아주 소중한 교훈을 얻었다. 그리고 생명과학분야 연구와 기술의 업적은 오로지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 것이지 이런 업적을 자신의 치적으로 삼으려는 정치가나 이런 연구와 기술개발을 통해서 돈을 벌기위한 기업가들의 소유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확인 했다. 우리나라의 생명과학분야 연구와 기술 발전을 오히려 저해하고 이 분야 연구자들을 수렁으로 몰아넣는 이런 부도덕한 일들을 막는 일은 오로지 과학기술과 생명윤리에 대한 국민 모두의 올바른 인식이며, 이런 인식은 생명윤리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교육, 그리고 건전한 소통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우리나라의 생명과학분야 연구와 기술개발 잠재력을 키우고 나아가 이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획득하여 인류의 생명과 건강증진에 우리나라가 앞장서 기여하는 날이 하루 빨리 오기를 기대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국민이 어려서부터 생명윤리에 대한 기본 교육을 받도록 해야 하고, 생명과학분야 종사자들에게는 이에 관한 전문교육을 제도화해야 하며, 대중 매체는 우리가 연구하고 개발해 내는 생명과학기술의 윤리 문제를 국제적 생명윤리 규범에 입각해서 건전한 공론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Hwang, Woo-Suk, a Korean veterinarian biologist surprised the world by publishing a scientific article in the Science journal in 2004 on a stem cell line he his colleagues established from a cloned blastocyst. Another breakthrough of the next year made him a national hero with an article on the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During these time periods, there were, of course, several backlashes to the Hwang's researches from the Catholic Church, NGOs on science and society, and a group of bioethicists mainly on the ethical issues involved in his researches. However, the Korean public were not listening to these criticisms mainly because media failed to turn the discussions to public debate, and because of this, there have been no debates on ethical issues involved in obtaining the ova and experimenting on them. The socio-political context seemed to be much more important than philosophy or religion in the problem of stem cell research in Korea. This public sentiment continued even after the Hwang's researches were later shown to be fraudulent. Biased media reporting undermines the quality of the public debate on the ethics of the biomedical researches. If the citizenry is to develop informed opinions on bioethical issues, without imposing the unrealistic expectations that they be trained as scientists, the media must ensure that scientific findings are accurately and objectively reported. The public must be made aware of the importance of bioethics in any biomedical researches through proper informatio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For this, general population should receive basic education on biomedical researches and bioethics during their school lives, and there must be well organized curricular on biomedical ethics for the researchers in the field of biomedical sciences. Moreover, the popular media should enrich the public debate by reporting accurately and without bias on the advances being made in biomedical scienc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자율성과 공동체주의적 생명윤리

        유수정(Yoo, Sujung),최경석(Choi, Kyungsu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이 글은 생명윤리 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온 자율성 존중의 원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자율성의 근대적 이념을 부정하지는 않지만, 생명윤리담론에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사실상 자유 존중의 원칙에 가까운 것이었다고 비판한다. 자율성이 지나치게 강조되었던 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가 사회이념으로 자리 잡는 사회상의 반영이기도 했다. 그러나 자율성을 중심으로 한 기존의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적 생명윤리 담론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이 지닌 사회적 측면에서의 문제들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게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으로서 공동체주의에 주목한다. 이 글에서 지지하는 공동체주의는 권위주의적 공동체주의가 결코 아니며, 자율성이라는 개인선과 공동선의 균형을 추구하는 공동체주의이다. 칼라한의 견해에서 주목할 수 있듯이, 공동체주의는 첨단 의·생명과학기술들의 수용과 관련하여 “그 기술이 우리 모두에게 무엇을 의미할 것인가?”라는 질문부터 제기함으로써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법을 제시한다. 이것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자들이 어떤 새로운 기술이 단지 개인들에게 유용하다거나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 그 기술의 수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과는 다른 접근이다. 아울러 칼라한은 자유로운 선택 중에서도 무엇이 좋고 나쁜 선택인지 구별하는 것까지 자율성 개념이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공동체주의가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해 어떤 새로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생명윤리적 쟁점을 형성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동체주의는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따라서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는 생명윤리학에서 답해야 하는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들이 지금과는 다르게 해결되어야 함을 공동체주의는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considers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which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ioethical discourse. Although not rejecting the modern ideal of autonom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no more than that of respecting freedom. The overestimation of autonomy reflects the social atmosphere in which liberal individualism had become an ideology. However, liberal individualistic bioethical discourses based on autonomy has their limitation in that it does not fully deal with social problems embeded in bioethical issue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we need to explore a new approach to bioethical issues and to note a communitarian approach as a new one. Communitarianism this paper supports is not an authoritarian one, but responsive one that pursues the balance between individual good like autonomy and common good. As Callahan points out, communitarianism suggests a new approach by raising the question, “What will a new technology mean for all of us together?” This is different from liberal individualistic approach that raises whether a new technology is useful for an individual and what it means for him/her and decide whether to adopt it. In addition, Callahan argues that autonomy should be broaden to encompass an analysis of what constitutes morally good and bad free choices. This shows that communitarianism worries about the position in which the principle of respecting autonomy is understood to be that of respecting freedom. Communitarianism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new approaches that forms bioethics issues, although it produces a new concrete solution. Communitarian perspectives suggest that different bioethical issues may be raised and we may solve them differently.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와 철학 :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최경석(Choi, Kyungsuk)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2

        이 논문은 생명윤리학을 단지 윤리학의 한 분과영역으로 이해하지 않고, 학제적 학문으로 이해하면서, 생명윤리학을 응용윤리학으로 이해하였던 기획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나아가 학제적 생명윤리학은 철학, 의학, 생물학, 법학 등과 같은 기존 분과학문이 전제하고 있는 기본적 개념들과 지향점들에 대해서도 다루어야 함을 강조한다. 학제적 학문으로서의 생명윤리학 내에서 철학 또는 윤리학이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해 명확한 윤리적 해답을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했다면 그것은 과도한 기대이며, 철학은 사회적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논의되고 검토되어야 하는 다양한 시각과 사고방식 및 논증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생명윤리적 개별 사안에 대한 자신들의 윤리적 견해를 정당화하는 주장만을 펼치는 데 그쳤던 기존 생명윤리학의 연구방식이나 담론방식은 변화될 필요가 있는데, 우리가 필요로 하는 생명윤리학은 다원주의 사회에서, 특히 유일한 하나의 규범윤리학 이론이 존재하기 어려운 사회에서 작동될 수 있는 생명윤리학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해 철학은 사회적 합의 도출과 관련된 철학적 문제들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예를 들어, 이성적 불일치의 판단 기준부터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집단적 의사소통이 윤리적으로 정당한 또는 윤리적으로 참인 믿음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달하게 된 윤리적 믿음의 지위에 대한 철학적 탐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철학은 생명윤리학적 담론에서 자주 논의되는 인간 존엄, 인간 생명의 존중 또는 신성성, 생명의 가치, 삶의 질, 인간 정체성 등과 같은 기초적인 개념에 대해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This paper points out the difficulties of the project which considered bioethics as an “applied ethics” as well as on the identity of bioethics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rather than as a division of ethics. Further this paper emphasizes that bioethics should deal with fundamental questions about some basic concepts and orientations presupposed in a discipline relevant to bioethics, such as philosophy, medicine, biology and jurisprudence. For bioethics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it is an improper expectation that philosophy will provide the definite ethical answers to bioethical issues. Philosophy plays a role to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ways of thinking, and argu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nd reviewed for a social consensus. The ways of discourse in which philosophers argue their argument for their own ethical opinions on particular bioethical issues should be changed because we need bioethics that may work in a pluralistic society where there is not the only right theory of normative ethics. Philosophy should deal with philosophical issues relevant to reaching a social consensus for a new bioethics working in a pluralistic society. Philosophy should inquiry criteria to discern reasonable disagreement from other disagreement, methodologies to make our group communication and discourse reach ethically true or justified beliefs, and philosophical status of such beliefs. In addition, philosophy has a task to study basic concepts such as human dignity, respect for human life, the value of life, the quality of life, human identity, etc.,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bioethical discourses.

      • KCI등재

        생명윤리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 인식, 죽음 태도,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차이

        이윤정,김윤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본 연구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 여부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태도, 생명의료 윤리 의식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생명윤리에 대한 교육과 죽음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생명의료 윤리의식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 간호대학 재학생 253 명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사망에 대한 태도,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및 서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죽음에 대한 인식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생명윤리 교육 비 이수군은 죽음에 대한 중립적 수용이 더 높았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죽음에 대한 접근적 수용이 더 높았다.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죽음에 대한 탈출적 수용, 중립적 수용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죽음 회피, 죽음 공포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신생아 생명권, 장기이식 영역에서 생명윤리교육 이수군의 생명윤리 의식이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 종교, DNR 교육 여부, 죽음 경험, 가족에게 DNR을 시행여부, 본인에게 DNR을 시행 여부에 따라 생명의료 윤리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죽음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태도의 형성,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향상을 위한 생명 윤리 교육을 이수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 구성 시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유의미한 종교, 죽음에 대한 태도, DNR 찬성 여부가 포함되도록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bioethics education on death perception and attitude and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53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Research tools measuring perception of death, attitude to death, awar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use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t-test, ANOVA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In the perception of death, the students who received education on bioethics were more positive about death (p=.014). In the attitude towards death, the non -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for death (p=.022). In the right to life of fetus (p=.040), artificial arbortion (p<.001), right to life of newborn (p=.021), organ transplantation (p=.049), the bioethics education group had the higher awareness of the biomedical eth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medical ethics perception depending on grade, religion, DNR education, death experience, whether DNR will be administered to the family, and will DNR would be administered to them. Conclusion: Study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take bioethics education to form positive attitude and attitude toward death and improve the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Suggest that the bioehtics education program needs to include religion, attitude toward death, and opinion about DNR on terminal patients.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인순(Kim, In-S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본 연구는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생명윤리교육 방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1개 대학 1학년 학생으로 2012년 1학기에 핵심교양으로 개설된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 86명과 비 수강학생 83명이며,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생명윤리의식은 생명윤리교과목을 수강한 학생과 비 수강학생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생명윤리의식의 하위영역에서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과 비 수강학생 모두에서 낮은 순위를 보인 영역은 인간생명과학, 인공임신중절과 안락사이었다. 생명윤리의식의 예측변인으로 개인 도덕성만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나 생명윤리교육이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생명윤리교육 방법에 변화가 요청되며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oethics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freshman nursing and health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bioethics education.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ubjects were 86 bioethics class students and 83 non-bioethics class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average scores for consciousness of bioethics in bioethics class students was 3.05, and in non-bioethics class students, 2.98. When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bioethics class students and non-bioethics class students were compared, human biotechnology, euthanasia, artificial abortion were equally lower rank. Variable which influenced consciousness of bioethics was individual mortality.

      • KCI등재

        [연구논단 1]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분석

        권오용(Oh-Yong Kwe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7 생명윤리 Vol.8 No.2

        유네스코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은 생명과학과 의료에 관한 일반적인 윤리원칙으로서 뿐 아니라 국제인권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윤리적, 법적 의미와 효력을 검토하고, 이에 비추어 한국의 생명윤리법제와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현행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 뿐 아니라 입법예고 된 개정안은 모두 선언의 원칙에 반하고 위헌의 소지도 있는 조항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생명윤리와 인권 보편선언의 내용을 반영한 생명윤리기본법과 함께 생명윤리의 각 분야별로 개별법들을 제정하는 입법안을 제안한다. UNESCO's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UDBHR) is expected to develop as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S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viewing on UDBHR in respect to legal meaning and effect to seek the direction of Korea's legislation to go. UDBHR is not international law itself and does not have binding force. But it can become international customary law and at least can be a guidance in the area of bioethics even now. In the light of UDBHR, both the present Korean legislation on bioethics and the amended bill have serious defects against the principles of UDBHR or Korean constitutional law. I suggest a new legal system on bioethics including a fundamental bioethics law and branch legislations.

      • KCI등재후보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문미영(Moon, Mi-Young),전미경(Jeon, Mi-Kyung),정애화(Jaung, Ae-Hwa)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고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부영역과 직무만족도 및 간호수행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전문직 간호사로서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확립과 직무만족, 간호업무의 적절한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D지역에 소재한 C대학병원과 H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6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하였다. 본론 :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평균 평점은 3.01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은 영역은 신생아의 생명권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안락사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평점은 2.93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동료간의 상호작용이었으며,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평균 평점은 4.08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직에 대한 인식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결과에서는 간호직에 대해 최고의 직업이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3.1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업무 수행수준과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에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태아의 생명권 외 10개 전체 변수의 33%로 설명하고, 안락사, 임종간호, 간호업무수행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고취는 전문직이라고 자부하는 높은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직무만족도는 간호업무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는 많은 상관변수가 존재하며 효과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방안은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이 필수적이다. 이와 더불어 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안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생활이 안정되고 확립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relationship among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nurses’ ethical recogni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196 registered nurses who we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 over 100 beds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30, 2012 by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average point were the biomedical ethics 3.01, Job satisfaction 2.93 and nursing performance 4.08. As a result of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due to nurs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 who answered nursing was the best job was 3.16 in biomedical ethics. The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11 factors of job satisfaction explained 33%, and the influence factor of job satisfaction were Euthanasia, Hospice and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 Nurses made recognised that nursing was the best job in order to improve of job satisfaction and biomedical ethics. The factor among biomedic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relationship.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take efforts as a whole to increas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ith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김준혁 한국생명윤리학회 2023 생명윤리 Vol.24 No.1

        Is philosophy necessary for biomedical ethics? Traditionally, ethics has been considered a field within philosophy, but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applied ethics, as a subset, also falls under the umbrella of philosophy. At least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biomedical ethics, it's challenging to suggest that it should be practiced exclusively as a philosophical endeavor. One paper summarizes three reasons why philosophy remains important to bioethics. First, bioethics is still pervaded with philosophical concepts. Second, new developments in biomedical science demand philosophical consideration. Third, novel theories emerging from philosophy continually renew bioethics. While these arguments demonstrate the contributions philosophy can make to biomedical ethics, they do not prove its essentiality or secure its place within the field. In this context, philosophy is but one of many components that comprise bioethics. We propose that the task of philosophy should be to critique biomedical ethics, particularly its conceptions of biology and medicine. We illustrate this with an argument from philosophical posthumanism. This task is unique to philosophy and cannot be substituted by any other discipline, thereby establishing its indispensable role in bioethics and empowering it to address questions that we currently face. 오늘날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이 필요한가? 전통적으로 윤리학은 철학에 속하는 분야로 여겨져 왔으나, 응용윤리 분야 또한 철학에 속하는지는 점검이 필요하다. 적어도 생명의료윤리 분야의 현재 상황을 볼 때, 해당 분야는 반드시 철학으로만 수행되어야 한다고 보기 어렵다. 한 논문은 이런 상황에 있어 여전히 철학이 생명의료윤리에서 중요한 이유를 세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생명의료윤리는 여전히 철학적 개념으로 편만하다. 둘째, 의과학의 새로운 발전은 철학적 고찰을 요구한다. 셋째, 철학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이론들이 생명의료윤리를 쇄신한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주장이 비록 여전히 생명의료윤리에 철학이 할 수 있는 기여를 보여준다 해도, 철학의 필수성 또는 자리의 확실성을 증명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때, 철학은 생명의료윤리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가 될 뿐이다. 오히려, 철학은 생명의료윤리, 특히 그 생명과 의료 개념을 비판하는 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이 논문은 주장하며, 그 예로서 철학적 포스트휴머니즘을 경유한 비판을 제시하였다. 이 과업은 다른 학문이 대체할 수 없는 철학 고유의 것으로서 생명의료윤리에서 철학의 위치를 불가결하게 만듦과 동시에 현재 우리가 겪고 있으면서도 아직 분야가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문제를 다룰 수 있는 힘을 부여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