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개발자 윤리

        목광수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n artificial intelligence(hereafter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realize AI ethics and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effective and relevant. In the current AI boom, a lot of AI ethical guidelines has been release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some meta-researches which analyze and compare these guidelines, these ethical guidelines do not have an actual impact on AI professionals’ ethical decision-making to realize an ethical AI such as artificial moral agents. For this reason, some scholars criticize that the current AI ethical guidelines are only to support the self-justification of AI industry as ‘ethics washing’ in order to claim that outside regulations such as monitoring are unnecessary. In my analysis, the relative ineffectiveness of these guidelines result from the lack of ethics for AI professionals, which contributes to motivate their normativity in the first-person perspective. In order to compensate for weaknesses of AI ethical guidelines, I argue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should be constructed to be effective as well as justifiable in the cooperation wi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theoretically possible and necessary for ‘ethics realizing.’ In order to catch some ideas, I examine Robert Pennock’s scientific virtue model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n ethical impact on scientists. In order to make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at the theoretical level, we should ask “What is the purpose of AI technology?”, “What is the vocational virtue of AI professionals?”, “What is the list of AI virtues which AI professionals should cultivate?” etc. When these questions are answered in the discussion with AI professionals and theoretical researches,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can be construct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ethical problems caused by AI.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윤리 논의에서 결여되어 있는 AI 개발자 윤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AI 개발자 윤리로 덕성(virtue) 기반의 모델이 적합함을 보여 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AI는 고정된 과학기술이 아니라 발전 노정에 있는 동적이라는 특성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에서 AI를 만든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재귀적 특성이 있는 과학기술이다. 이러한 AI의 특성으로 인해, AI가 초래할 리스크에 대응하려는 AI 윤리는 발전 과정에 따라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실천을 도모하는 동기부여의 구조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 도덕의 형식적 특징인 1인칭, 2인칭, 3인칭 관점이 통합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최근에 활발하게 제시된 많은 AI 윤리 지침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현재의 지침으로서의 AI 윤리 논의들은 1인칭 관점의 동기부여가 없는 3인칭 관점에만 한정되어 실질적인 ‘윤리 실현’(ethics realizing)을 도모하기에 취약하다. AI 윤리 지침 자체가 추상적이고 모호할 뿐만 아니라, AI를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윤리 세탁’(ethics washing)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AI 개발자들이 AI 윤리를 내면화하여 규범적으로 실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AI 개발자 윤리가 필요한데, 본 논문은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윤리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모델은, 과학적 덕성 모델(scientific virtue model)이 그랬던 것처럼 AI 개발의 목적이 무엇인지, AI 개발자들의 전문직 덕성(vocational virtue)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덕성을 함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의 이론 연구와 AI 개발자들과의 소통을 토대로 하는 경험 연구의 결합을 통해 실천적 차원의 모델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이론적으로 제안하는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윤리가 추후 한국 사회의 경험 연구를 통해 실천적 차원의 모델로 구체화되어 AI가 초래하는 윤리적 문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AI의 혜택이 풍성히 향유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롤즈의 정의론과 기본소득

        목광수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연구 Vol.0 No.59

        본 논문은 기본소득의 도덕적 정당화의 토대를 롤즈(John Rawls)의 정의론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롤즈의 정의론은 현대의 대표적인 정의관일 뿐만 아니라 기본소득의 도덕적 부당성을 역설하는 논의일 수 있다는 점에서, 롤즈의 정의론이 기본소득을 정당화한다는 논증이 설득력을 갖는다면 기본소득의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다른 논의들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많은 논의들이 롤즈 정의론을 통해 기본소득을 정당화하려고 시도해왔지만, 그러한 논의들의 대부분은 롤즈 정의론이 기본소득 논의와 양립 가능하다거나 정의론의 일부 내용이 기본소득을 정당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제한적 논의에 불과했다. 더욱이, 이러한 논의들조차 롤즈 정의론의 토대가 되는 상호성(reciprocity) 논의와 노동(labor) 또는 일(work)과 관련된 사회협력체계(social cooperation) 논의, 그리고 여가(leisure) 논의 등에서는 여전히 롤즈의 정의론이 기본소득에 배타적일 수 있음을 회피하거나 묵인해왔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들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여, 롤즈 정의론의 상호성, 일과 여가 개념에 대한 논의를 통해 롤즈 정의론이 기본소득을 거부한다는 오해를 해소하고, 이러한 개념들을 기반으로 하는 재산소유 민주주의(property owning democracy) 논의를 통해 볼 때 롤즈 정의론이 기본소득 논의를 정당화하는 효과적인 이론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John Rawls’s theory of justice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moral justification for basic income. If this paper shows that Rawls’s theory of justice morally justifies basic income, it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other theories to support basic income. This is because Rawls’s theory of justice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theory among theories of modern social justice, but also seems to be an influential theory against basic income.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justify basic income through Rawls’s theory of justice. However, their attempts are limited in that they only show that some parts of Rawls’s theory of justice support basic income or they are 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basic income. Moreover, they intentionally disregard Rawls’s concept of reciprocity or work, which seems to oppose basic income. This paper analyses and interprets Rawls’s concept of social cooperation and reciprocity, work and labor, and leisure in detail. Through this analysis, I argue that Rawls’s theory of justice does not oppose basic income and Rawls’s property-owning democracy, which is based on these re-interpreted concepts, effectively justifies basic income.

      • KCI등재

        생명의료 영역에서의 넛지 전략과 관계적 자율성: 환자와 의사 관계를 중심으로

        목광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22 생명윤리 Vol.23 No.2

        Nudge strategies, which result from insights from behavioral economics on human cognitive abilities and psychology,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ublic policy field. This is because a nudge is a strategy of libertarian paternalism that steers individual decision-making of benefits, while preserving freedom of choice and autonomy.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nudge strategies, which have been restrictively used in the public health, also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of clinical context. This is because nudge strategies are expected to solve the dilemma between paternalistic beneficence and respect for autonomy which physicians have often faced in the clinical contex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nudge strategies can be ethically justified or permissible i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nd to explore how they can d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nudge strategies as libertarian paternalism can be ethically used for a limited purpose to correct the bias that distorts patients’ relational autonomy. However, when these are used to induce a judgment beyond this purpose, they amount to manipulation in dispute. This paper argues that such manipulation is ethically permissible in the clinical context of ordinary treatments premised on verbal consent. This is because a kind of paternalistic influence is inevitable among most interactions including nudge strategies in the patient-physician relationship and, in nudge strategies of ordinary treatments, the patient's expected damage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patient's expected benefits. However, this paper also argues that such manipulation is not ethically permissible in the clinical context of high values and high stakes, requiring written consent including informed consent. This is because, despite the paternalistic specificity of clinical context, the patient's expected damage is relatively severe compared to the patient's expected benefit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nudge strategies should be carefully used in the clinical context, considering the guarantee of relational autonomy, 인간의 인지와 심리에 대한 행동 경제학(behavior economics)의 통찰을 토대로 제시된 넛지(nudge)는 공공 정책 영역을 포함해 다양한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넛지는 행위자의 자유 또는 자율성(autonomy)을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혜택을 도모하도록 의사결정을 유도하는 자유주의적 간섭주의(libertarian paternalism) 전략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생명의료 영역의 공공 의료(public health) 정책 영역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던 넛지 전략이 최근 들어서는 생명의료의 환자와 의사 관계에도 도입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활발히 제기되고 있다. 왜냐하면 환자와 의사 관계에서 의사들이 종종 직면하는 자율성 존중의 의무와 환자에게 선행을 베풀어야 한다는 의무 사이의 딜레마를 넛지 전략이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공공 의료 영역을 포함한 공공 영역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넛지 전략이 생명의료의 환자와 의사 관계라는 임상 영역에서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자유주의적 간섭주의인 넛지 전략이 환자와 의사 관계에서는 환자의 관계적 자율성을 왜곡하는 편향성을 교정하여 관계적 자율성을 보장하려는 중립화의 제한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중립화를 넘어서서 환자의 선택을 유도하게 하는 것은 조종(manipulation)에 해당한다고 분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종이 구두 동의를 전제하는 평범한 치료의 임상 맥락에서는 허용할(permissible) 수 있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환자의 의사 관계 자체가 간섭주의적 성격이 있어 넛지 전략의 수용이 다른 개입과 크게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평범한 치료의 임상 맥락에서는 넛지 전략 수용으로 인한 환자의 손해가 환자가 얻게 될 치료 혜택과 견주어 볼 때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논문은 서면 동의를 요구하는 중대한 결정의 임상 맥락에서는 이러한 조종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비록 환자와 의사 관계 자체에 간섭주의적 성격이 있지만, 중대한 결정의 임상 맥락에서는 넛지 전략 수용으로 인한 환자의 손해가 환자가 얻게 될 치료 혜택과 견주어 볼 때 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공 의료 영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넛지 전략이 환자와 의사 관계라는 직접적이며 간섭적인 관계에서는 이러한 구분에 따라 제한적으로 사용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윤리적 대응: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중심으로

        목광수 한국생명윤리학회 2017 생명윤리 Vol.18 No.2

        현재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있는 과학기술 중 하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학계의 입장은 적극적인 수용론부터 신중론, 그리고 모라토리엄을 선언해야 한다는 입장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학계의 다양한 입장과 달리, 사회적으로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가져올 유전질환 치료와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로 인해 적극적으로 이 기술을 수용하자는 분위기이다. 한국 사회는 한국의 과학자가 유전자 편집기술과 관련된 세계적인 논문을 발표하면서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편승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사회의 분위기는, 유전자 편집기술이 전임상 연구와 임상 연구를 거쳐 의학적 사용이 현실화되었을 때 나타날 경제적 효과와 치료의 희망으로 인해, 이 기술 자체에 대한 윤리적 검토, 그리고 이 기술을 통한 전임상과 임상 연구 과정에서의 윤리적 논의가 외면되는 듯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적정한 개념 이해에 근거한 것인지, 유전자 편집기술은 어떤 과정을 통해 도입되는 것이 윤리적인 것인지, 그리고 유전자 편집기술이 초래할 리스크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를 명확히 구분하여야 하며(Ⅱ.1절), 둘째, 유전자 편집기술은 이러한 구분을 토대로 전임상 단계의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임상 단계의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고(Ⅱ.2절), 셋째, 유전자 편집기술이 발전 과정에서 초래할 리스크는 ‘동적이며 다층적인 리스크 모델’을 통해 효과적으로 대응되어야 한다(Ⅲ절)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따르면, 유전자 편집기술의 발전에 대해 지나친 낙관이나 과도한 기대보다는 기술적 진보에 대해 냉철한 평가를 해야 하며, 유전자 편집기술에 대한 전임상 단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윤리적 연구 과정을 준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간성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odel for responding to ethical issue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I argue three things. First, I argue that genome editing technology should be differently understood in two senses, its narrow sense and wide sense. The former is a technical sense but the latter is a clinical sense. Through this distinction, we should understand that current researche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are not related to a clinical but only a technical advance. Second, I argue that preclinical researches including animal experimentation should be sufficiently performed and, then, clinical trials about human embryo or human to develop a new treatment can do. Through this claim, we should remember that current requests of clinical trial with human embryo are too hasty and impatient. Third, I argue that dynamic and plural risk model can effectively respond to ethical issues or risks of genome editing technology. This is because this model can dynamically respond to risks according to the advance of knowledge concerning genome editing technology.

      • KCI등재후보

        전지구 사회에서의 생명의료윤리: 역량 접근법을 중심으로

        목광수 한국윤리학회(8A3209) 2019 윤리학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and,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to search for a relevant theoretical foundation of global biomedical ethics, which is theoretically justifiable and effectively responds to biomedical issues in the global socie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paper, the ethical issue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are in the cross section of global ethics and biomedical ethics, but they cannot be reduced to each area and should be dealt with beyond both areas. For these reasons, global biomedical ethics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an academic independence to capture and respond to these ethical issues. However, the rights-based theory, which is considered as an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of global biomedical ethics, is weak in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This is because the rights-based theory itself, despite its normative and popular status, does not provide a justifiable ground and does not effectively respond to the conflict of rights. Thus, this paper argues that capability approach can be a relevant theoretical alternative of global biomedical ethics, because it not on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rights-based theory, but also can be strong in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본 논문의 목적은 최근 들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의 특 성이 무엇인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생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토대 로 적합한 논의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전지구 적 생명의료윤리의 윤리적 사안들은 전지구적 관점과 생명의료윤리의 관점이 교차 하는 영역에 있으면서도, 양자의 논의에 환원될 수 없는 확장된 성격을 갖는다. 이 런 이유로 인해,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학은 학문적 독자성을 가지고 성립하여 이 러한 윤리적 문제들을 포착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지구적 생 명의료윤리학의 이론적 토대로 주목받고 있는 권리 중심적 논의는, 정당성과 실효 성에서 취약하다. 왜냐하면, 권리 논의 자체가 권리 정당화에 근본적으로 취약하며 권리들 사이의 충돌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 문은 권리 중심 논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정당 성과 실천성을 담보하는 역량 접근법이 전지구적 생명의료윤리의 이론적 토대로 적 합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역량 접근법의 역량 개념은 건강 또는 보건의료 개 념이 갖는 중층적 성격을 포착하기에 효과적이며, 역량 접근법은 보편성과 특수성 이 함께 요구되는 전지구적 성격을 반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권리 중심 논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제도적, 비제도적, 개인적 차원의 통합적 구조를 통해 건강 또는 보건의료 역량 증진에 효과적인 실천적 논의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방안모색: 동의가 아닌 합의 모델로의 전환

        목광수 한국의료윤리학회 2019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biomedical big data might be used in an ethically appropriate way. Biomedical big data is currently expected to create tremendous economic value as well as social value.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ctive debate among biomedical ethicists about which model of consent is most appropriate and efficient in this context. At first glance, the model of dynamic consent seems to be both justifiable and feasible, not only because it is based on the spirit of informed consent, but also because it allows for an additional process of consent through on-line platforms. However, it is doubtful that this model could be used in the context of biomedical big data since it is vulnerable to privacy protection and insensitive to ownership issues. Therefore, I argue that the most appropriate model of consent is an agreement model, which can reflect a fair distribution of the benefits from the use of biomedical big data and the privacy risk management. This agreement model not only promotes the autonomy of information givers, but also facilitates the long-term sustainable use of biomedical big data. 현재 인공지능 시대에 어떤 동의 모델이 보건의료와 같이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 활용을 위해 적합한지에 대한 논쟁이 한창이다. 이러한 논쟁은 적절한 동의 모델이 제시되면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윤리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제에 근거한 것인데, 이러한 전제가 정당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만약 정당하다면 적절한 동의 모델을 모색하면 될 것이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빅데이터의 윤리적 활용을 위한 새로운 모색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윤리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소극적이고 수동적 차원에서 피험자 보호에 초점을 두고 제시된 동의 모델은 적절하지 않으며, 이러한 동의 모델에서 강조하는 자율성뿐만 아니라 프라이버시 가치를 포함하여 정보 제공자의 소유권 또한 적극적이며 능동적으로 보장하는 공정한 합의(fair agreement) 모델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활용은 연구를 넘어 상업적 활용까지 포함하는 활용이라는 점에서 연구에 기반을 둔 동의 모델은 부적절하며(II.1절), 둘째, 동의 모델은 이러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서 비효율적(II.2절)이라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동의모델에서 효과적이며 정당한 활용을 위한 공정한 합의 모델로의 전환을 주장한다(III절). 공정한 합의모델은 상호 이익을 포함한 상호성 정신을 토대로 제시되어 프라이버시 리스크에 대한 관리와 활용으로 인한 혜택에 대한 공정한 분배를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합의 모델은 정보주체의 자율성을 증진할 뿐만 아니라 정보 거버넌스(governance)를 통한 수집처의 책임을 강조하여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활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 KCI등재

        현대 다원주의 사회에 적합한 자율성 모색: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관계적 자율성과 다형적 모델을 중심으로

        목광수,류재한 한국의료윤리학회 2013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 justifiable concept of autonomy that feasibly applies to bioethics and, based on this inquiry, suggest a practical model in a modern pluralist society. For this purpose, we classify personal autonomy into ‘metaphysical autonomy’ as the ideal theory guiding practical theories and both ‘narrow bioethical autonomy’ and ‘wide bioethical autonomy’ as non-ideal theories. We criticize narrow bioethical autonomy theories such as those posited by Tom Beauchamp and James Childress. Not only do they fail to flesh out metaphysical autonomy theories such as Harry Frankfurt’s, but they are not feasible because they ignore patient relationships and circumstances. We argue that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compliments the feminist concept of relational autonomy. Not only can this combination overcome the weaknesses found in narrow bioethical autonomy theories, but it allows for a practical framework to remove injustice and support autonomy. We call this combination ‘relational autonomy based on the capability approach’ and classify it as a theory of ‘wide bioethical autonomy.’ Based on this inquiry, we suggest a ‘plural forms model’ in a reasonable pluralism, which can reduce many of the autonomy-related conflicts. This model is useful in medical institution reform for explaining the plurality in both physicians’ identities and cases of patients’ autonomy (such as ambivalence) while it enhances patient autonomy through institutional and non-institutional reforms.

      • KCI등재

        Revising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to education for ethical development

        목광수,정원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can suggest an appropriate theory of education for ethical development. Many advocates of Sen's capability approach insist that his approach is superior to rival theories of education, including the human capital theory. This is because Sen emphasizes the purpose and various roles of education for achieving substantial freedom while rival theories focus on the instrumental aspects of education. A focus on rival educational theories often results in the negative effects seen occurring in colonial education. In principle, we agree with the advocates of Sen’s capability approach. However, we doubt that Sen’s emphasis is sufficient for guaranteeing that his capability approach is the appropriate theory of education for application in the context of ethical development. It does not have theoretical completion, and it gives no guidance as to conflict resolution concerning the roles, or value, of education. Nor does it give guidance as to how to implement pedagogical strategies. This incompletion allows economically instrumental values to dominate intrinsic values and non-economically instrumental values, as seen with the educational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This prioritization is what has occurred in colonial educ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human capital theory. We suggest that in Sen’s capability approach, firstly, the meaning of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should be clarified; secondly, the non-economically instrumental roles of education should be explicated in the context of development; and finally, the priority of the intrinsic and the non-economically instrumental roles of education value should be taken over the economically instrumental values. In this revised theory, people’s substantive freedom is achievable through education, people’s aboriginal identities and values remain intact, and developing countries take seriously pedagogical strategies.

      • KCI등재

        인공 지능 시대의 정보 윤리학: 플로리디의 '새로운' 윤리학

        목광수 한국과학철학회 2017 과학철학 Vol.20 No.3

        Luciano Floridi shows that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such as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cannot respond to new issues such as artificial evil, which happens in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poses that his ethics of information can do effectively. Floridi argues that his ethics of information is effective to find out new issues through the method of (levels of) abstraction and proposes ethical principles, in which metaphysical entropy should be prevented or removed and information entities should be flourished. Florid's ethics of information is a patient-oriented, ontocentirc macroethics,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paper is to examine critically whether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is morally justifiable. I doubt that Floridi's theory of ethics is morally justifiable in that his theory is not only vulnerable to the critique of moral relativism, but also is hard to escape from the problem of the naturalistic fallacy. In order to respond to these critiques, I recommend that Floridi's theory of information should include a concept of morality which can effectively support his theory from a normative perspective, that his theory should argue which level of abstraction is appropriate to his theory of ethics, and that his theory should try to explicate how his theory can relate to established theories of ethics. I argue that if Flordi's theory of ethics is supplemented through these recommendations, it could be an appropriate ethics of information in an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플로리디는 인공지능 시대의 정보 사회에서 나타나는 인공적 해악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들이 기존의 윤리학을 통해 적절하게 대응될 수 없다는 것을 보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자신의 정보 철학에 토대를 둔 정보 윤리학을 제시한다.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기존의 철학과 윤리학에서 포착되기 어려운 윤리적 문제와 존재들을 추상화 방법론을 통해 효과적으로 포착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형이상학적 엔트로피를 줄이고 정보 환경과 정보 유기체의 번영을 도모해야 한다는 정보 윤리의 원칙을 제시한다. 이러한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기존의 윤리학과 차별되는 피동자와 존재 중심적인 거시 윤리학이다. 본 토론 논문의 목적은 이렇게 제시된 플로리디의 윤리학이 이 시대에 적합한 정보 윤리학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윤리학이 될 수 있을지를 검토하고, 이러한 목표를 위해 보완할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제시하는 인식론적 방법과 논의가 사실과 가치를 구분하지 못해 야기되는 자연주의적 오류로 인해 도덕적 차원에서는 정당화될 수 있을지 의심스러울 뿐만 아니라, 상대주의적 비판에도 취약하다고 분석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은 이론의 토대가 되는 도덕성 또는 규범성 개념에 대한 설명을 보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정보 윤리학이 작동하는 추상화 층위를 도덕적으로 정당화할 필요가 있으며, 정보 윤리학이 기존 윤리학을 대체하거나 포괄하기보다는 기존 윤리학과의 협력적 관계 설정을 통해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