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장애인의‘지역사회적응훈련’활성화에 대한 연구

        박선영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역사회중심의 거주지에 살고 있는 정신지체인들의 지역사회적응 문제는 탈시설화 이후 현재까지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정신지체인의 지역사회접근과 참여는 정상화의 목표로서 분명히 표명되고 있지만, 이것과 관련한 성과측정은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적응훈련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조사로써 현재 센터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역사회적응훈련'에 대한 부모의 만족, 필요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더 나은 프로그램으로의 개선을 부각시키고, 구체적인 개별평가가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하는 주간보호센터 내에서 '지역사회적응훈련'에 참여하고 있는 정신지체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며, 기간은 2002년 4월 10일부터 5월 3일까지 센터 15곳을 무작위 표집하여 연구자가 직접 설문을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이와 같이 회수된 설문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자녀가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과 소득의 차이가 부모태도에 영향을 미쳐 미래지향적 성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부모의 교육적 태도에 따라 CBI만족, 필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자녀가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부모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센터 프로그램의 나아가야 할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들은 자녀와 지역사회에 잘 참여하고, 접근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나, 지역사회적응훈련 만족, 필요성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지역사회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로 자녀의 능력부족과 안전에 대한 걱정이라고 응답해 외부적인 환경의 탓보다 자녀와 부모 개인 내적인 탓으로 돌리고 있었다. 이로써 지역사회적응훈련이 원래 취지인 지역사회통합에 효과적이지 못함을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셋째, 한달에 2-3번 지역사회적응훈련을 시행하는 경우보다 일주일에 1-2번 하는 경우일수록 더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즉 부모가 지역사회적응훈련을 많이 경험해 볼수록 필요 욕구도 높았다. 따라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지역사회적응훈련의 횟수를 늘일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센터를 이용하는 기간에 따른 결과, 1년 이하가 3년 이상 보다 만족성향이 더 높았다. 이로써 시간이 지날수록 센터가 부모의 기대에 못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센터와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는 센터의 발전이 프로그램의 발전과 연관이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이 요구됨을 뜻한다. 여섯째, 어디서 지역사회적응훈련을 교육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결과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자녀의 연령이 초등생일수록 '학교'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19세 이상의 성인일수록 '센터'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학교를 벗어날 무렵, 자녀를 보호하고 재활 시키는 곳으로 센터에 대한 수요와 기대 욕구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교사들은 '부모'가 교육시켜야 한다는 응답이 80%를 차지해 부모와 상이한 결론을 나타냈다. 일곱째, 부모가 자녀를 지역사회적응훈련에 보내는 이유는 '무엇이라도 하는 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에', '지역사회환경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지역시설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움의 기회라서', '대인관계나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라고 응답했다. 따라서 우선 보호의 목적이나 단순외출의 1차적 욕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적응훈련으로 인한 재활의 욕구가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roblem of community adaptation of a mental retardation who lives in residential district of community has been studied since deinstitutionalization. Access to an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of the mental retarded are expressed clearly as target of normalization, but measures related with this has been handled indifferentl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studied parents satisfaction and necessity about CBI which was taken in center as the basic data for revitalization CBI.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emphasized the better improvement of program and propose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can be evaluated separately and specifically. The target population were parents having a mentally retarded children participating in 'CBI'(Community-Based Instruction) in Day Care Center, in Seoul, and was conducted during April 10 and May 3. The data were collected randomly from 15 centers by this researcher. Using a SPSS/WIN 10.0 program data was analyzed and conclusion was made as follows : First, parents showded the future-oriented intention according to a hope of children's improvement and difference of income. Their educational attitudes have influenced on CBI's satisfaction and necessity. Thus, changing parents' attitude is subject to go forward as presenting possibility that children will be more improved. Second, The parents responded that they participated in and approached to the community, but they did not have influence on CBI' satisfaction and necessity inclination. The also responded that they did not utilize community because of children's inability and insecurity, which attributed to inner of children and parents instead of external environment. The research analogized that CBI was not effective as community integration which was the original meaning. Third, The parents felt that it is more necessary to participate in 'CBI' 1-2 times every week rather than 2-3 times every month. Those who experience much CBI needed to lengthen the number of CBI that was enforcing at present, because of the parents' high desire for necessity.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iod using the center, a satisfactory inclination is higher than 1 year or less than 3 years. Hereby, The more time passes, the shorter parents expected about center. Fifth, CBI programs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center. The development of institute is connection with development of program, and thu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ogram is needed. Sixt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age and the place where CBI was taken. The more children's age is primary grade, The more their' expectation about 'School' is high. Adult over 19 years old expected more center. By the time their children left school a demand and expectation desire for the rehabilitation and protecting children is high. Differently from parents, 80% of teachers responded that 'parents' must educate their children. Seventh, Parents responded that the reasons they sent their children to CBI were that it helped children to be accustomed to the community-based environment, gave them an opportunity of learning which can achieve a community institute properly, and developed a personal relations or communication ability.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 purpose of CBI was the rehabilitation, not the protection or simple desire of going out.

      • 장애인복지관의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연구

        김나영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 장애인 복지관에서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운영실태를 기초로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함께 어울려 살아가기 위해 습득해야 하는 지역사회적응훈련의 프로그램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장애인 복지관에서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담당자 8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전국 장애인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운영현황은 간헐적 또는 1명에서 4명 사이의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받아 대부분 사회복지사가 담당하고 있었다. 다양한 장애유형을 가진 정신지체 또는 정서장애를 중심으로 6명에서 15명이내의 집단으로 구성하여 학령기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주1회 실시 하였으며 6개월에서 1년 이내의 기간으로 프로그램을 종료하였다. 둘째, 장애인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공공시설 이용이나 대중교통수단 이용, 문화시설 이용 및 공공기관이용이 주를 이루었고 그 밖에 통신시설 이용이나 의료시설 이용이 간헐적으로 행해졌다. 훈련은 공공시설 이용, 문화시설 이용, 대중교통수단 이용을 가장 많이 훈련 하였으며 훈련 시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영역은 공공시설의 경우 할인마트나 페스트후드점이, 문화시설의 경우 영화관람이, 대중교통수단의 경우 버스타기나 교통질서가 중점적으로 지도 되었고 이 영역에서 효과 또한 가장 높았다. 셋째, 지금까지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은 대체로 현장업무를 담당하면서 알게 된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을 사회복지사들이 기존 프로그램과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평가는 프로그램 진행 후 종결 시에만 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적절한 진행을 위한 학교 및 직장과의 연계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지역사회와의 접근성 및 협력성의 문제로 프로그램 진행에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넷째, 장애인 복지관에서는 대부분 지역사회에 대한 적응능력 신장 및 일상생활 자립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이유로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참여자의 태도가 모두 긍정적이었고 모든 응답자가 참여자 모두에게 프로그램에 효과가 있었다고 하였는데 특히 참여자의 자신감 향상 및 대인관계 향상이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관에서는 전문화된 프로그램 마련이, 지역사회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지역주민의 이해가 우선 개선되어져야 한다고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가 장애인 복지관에서 운영하는 지역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의 향후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는 좋은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효과

        차민하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독립적인 생활을 하고, 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회에 적응을 하며 살아가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지적장애인의 경우 일반인과는 다르게 스스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기술들을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학교나 여러 기관에서 사회적응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들에 대해 학습 및 훈련을 바탕으로 배워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지역사회적응에 대한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K특수학교의 학생들로 3개월에 걸쳐 23회차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분석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모두가 기본생활기술영역에서 증가를 보임에 따라 사회적응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기본생활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또한 4가지 하위 영역 중 기초개념영역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연구결과 사회적응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자립기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자립 영역 중 시간과 측정영역에서 연구대상자 모두가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적장애학생이 사회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지역사회적응능력을 효과적으로 습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응훈련프로그램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고, 일반화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연구결과 사회적응훈련은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생활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직업생활영역의 하위영역인 직업기능과 대인관계 및 여가 영역에서 모두 낮은 지수로 저조한 향상을 보였다. 이것은 23주간의 훈련 기간이 짧은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지역사회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방안 및 연구의 한계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특수학교의 학생들이 중증ㆍ중복화되고 있는 실정에서 지역사회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장애 정도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을 더욱 세심하게 개별화하여 적용 및 활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특수학교의 지리적, 물리적 위치로 인해 지역사회기관 이용의 어려움이 있기에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다양한 시설 이용의 편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지적장애학생의 사회기관 이용을 위한 학습할 수 있는 재활기관 운영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In living in a society, it is important to live dependently and adapt to the society in order to maintain the life. Especially, an intellectually handicapped student, unlike an ordinary person cannot learn skills with which they adapt themselves to society and should learn the various skills necessary for their adaptation to the society at school or various institutions based on learning and training. Thus, this study focused on carrying out a social adjust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amining its effects on them. The samples of the present study are students at K. Special-education School, for whom 23 sessions of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for 3 month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of the analysis were obtained. Firs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ll the subjects showed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ir basic living skills, so it can be said that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basic living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among four sub-domains, the area of basic concepts increased most. Secon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kills of social independence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area of social independence, all the subjects showed a high increase in the domains of time and measurement. To enabl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ffectively learn community adjustment abilities necessary for living in society, a social adjustment training should be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provided and generalized. Thir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ositively affected the vocational life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showed low index of enhancement in sub-domains of the area of vocational life, the domains of vocational func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isu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is was because the training period of 23 weeks was shor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he impacts of the social adjustment training program on the community adjust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mprovement direc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ppear as follows: First, as students in special-education schools are getting severer and more multiple-handicapped, developing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community adaptation behaviors. Secon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ore careful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applied and utilized. Third, due to geographical and physical locations of special-education schools, there are difficulties in using community institutions, so convenience for using various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commun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operations of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learning so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use the social institutions more easily.

      • 출소자의 지역사회 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장완영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Abstract A Study on Determinants of Community Adaptation among the Released Offender Jang, wan-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is research aims to seek role models with which social work practice could deal well in community correction system by looking at several significant factors of how released offender could possibly adapt to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for this, these various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main groups; one is a group of positive factors and the other one is that of negative factors. In this paper, the group of positive factors includes a self-control and social support and opposite group deals with an aggressive personality, a problem of alcoholism and a relationship with confederates. For this research,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released offenders living in all around the country with the full cooperation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To brie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shown that social support set to be the positive factor gives affirmative influence on community adaptation. In contrast, aggressive personality and the relation with the crime colleague that were assumed to be negative were obviously demonstrated to affect released offenders in an unhealthy way. For those of social support and aggressive personality turned out to be more useful variables than other variables for explaining community adaptation. Secondly, by focusing preponderantly on the sub-variable of community adaptation, it was indicated that self-control remained as a variable influencing daily life, way of using community resources and the inter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Furthermore, It was demonstrated that social support was also the variable for the group involvement and th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in the positive way.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with confederates was shown to have the negat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good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friends.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social support is proved to be an essential variable for the explanation of released offenders’ community adaptation.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ervice which could reinforce the support system of local community in the aspect of practicing social welfare. To attain thi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public sectors which are providing the service so far and social welfare organs in the community will be unavoidable. Second, released offenders’ emotional ability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ir adaptation to the local community. Thus, a formation of self-help groups would be one possible way to improve released offenders’ emotional ability. With this in mind, the role of social worker is important as a case manager or mentor. Last, it is needed to put their effort on improving the function of family and utilizing resources fully within the community. This will effectively reduce the negative impacts caused by the relationship with confederates to the community. The adaptation of released offenders to the community is a significant factor to reduce crimes by reconsolidating them into the societ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arry out on follow-up researches on various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community. 국 문 초 록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장 완 영 지 도 교 수 배 임 호 본 연구는 출소자들이 지역사회에 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사회 교정제도에서 사회복지실천영역이 감당할 수 있는 역할들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긍정적인 요인으로는 자아통제력과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았고 부정적 요인으로는 공격적 성향, 알코올 문제, 범행동료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법무보호복지공단의 협조를 얻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전국에 흩어져 있는 출소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긍정적인 요인으로 설정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지역사회 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요인으로 설정한 공격적 성향과 범행동료와의 관계수준은 낮을수록 지역사회 적응수준이 높았다. 이 중 사회적 지지와 공격적 성향은 다른 변수에 비해 지역사회적응을 설명하는 유용한 변수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적응의 하위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자아통제력이 높을수록 일상생활적응, 지역사회 자원활용, 가족 및 친구와의 원만한 만남의 수준이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집단참여와 가족과 친구와의 원만한 만남이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범행동료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가족과 친구와의 원만한 만남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복지실천영역에서 출소자의 지역사회 지지체계를 강화하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공적 영역과 지역사회 복지서비스기관 간의 긴밀한 연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출소자의 정서적인 능력이 지역사회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출소자의 정서적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조모임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별 사례관리자로서 혹은 멘토로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셋째, 범행동료와의 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적응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위해서는 가족기능 강화 및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출소자의 지역사회 적응문제는 출소자를 사회에 재통합시켜 사회 내 범죄문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중요한 부분으로 지역사회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구된다.

      • 이주노동자의 지역별 특성과 지역사회 적응 : 대구시 달서구, 경북 경산시, 구미시를 사례로

        권혁민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6

        한국 내 유입된 이주노동자의 수는 2000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여, 2008년 현재 528,812명에 이르렀다. 이는 전체 체류외국인 1,158,866명 중 45.6%에 해당하는 것으로, 절대적인 수치와 함께 비중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주노동자들이 이같이 증가하는 이유는 경제수준의 향상과 고학력화에 따른 3D업종 기피현상으로 인하여 저숙련 직종의 노동력 부족, 그리고 이에 따른 이주노동자의 고용기회 증가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주노동자는 수적 증가와 더불어 그들이 취업하고 있는 직장과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주노동자의 유입과 지역사회 적응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이주노동자에 대한 논의는 이주과정, 직장과 지역사회에서의 적응 및 특성 등의 측면에서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들은 주로 전국 단위 또는 특정지역에 국한되어 있고, 이들이 실제로 거주하고 있는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도시규모에 따른 이주노동자의 지역별 특성과 지역사회 적응과정을 비교·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규모에 따라 대구시 달서구, 경산시, 구미시를 대도시, 대도시 근교도시, 지방중도시로 구분하여 이주노동자의 특성 및 적응을 비교하였다. 먼저 이주노동자의 유입이 정책적으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그리고 어떠한 흡인-배출요인이 작용하였는지 알아본 후, 취업직장과 지역사회에서의 특성 및 적응이 지역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구시 달서구, 경산시, 구미시의 현황자료 및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좌료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앞으로 지역별 이주노동자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주노동자의 이주요인 및 과정은 지역별로 매우 다양한 응답을 보였다. 이주에 관한 송출국의 요인에서 대구시 달서구 지역 이주노동자의 경우는 ‘낮은 임금’의 비율이, 구미지역 이주노동자의 경우 본국의 ‘불안한 경제상황’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경산지역의 이주노동자들은 ‘해외취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한국이주에 관한 국내요인에서 경산과 구미지역은 ‘다양한 업종선택’으로 나타났고, 경산지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문화역사적으로 비슷한 환경’이 보다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구시 달서구와 경산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노동자는 주로 농촌에서 태어나서 본국의 지방중소도시로 이촌향도 후 현재 거주지역에, 구미지역 이주노동자들은 주로 대도시나 지방중소도시에서 태어나 지방중도시로 이동 후 현재의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둘째, 한국 입국 후 취업한 직장의 특성은 대구시 달서구와 경산지역 이주노동자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사업체 규모, 본국에서의 업종, 고용원인, 근로시간 등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직장 내 이주노동자 고용인원, 월평균 임금과 기술교육 등은 세 지역 모두 비슷하였다. 이주노동자의 직장 내 생산성이 떨어진 이유는 본국과의 다른 직종, 서툰 한국어, 작업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시 달서구와 구미지역 이주노동자들은 비공식적 경로를 통해, 구미지역은 공식적 경로인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비율이 높았다. 세 지역 모두 한국인에 비해 근로시간이 월등히 많았고, 특히 구미지역 이주노동자들은 월 ‘300시간 이상’ 근무하는 경우가 가장 높았다. 이주노동자들은 한국인 동료보다 열악한 조건으로 근무하고 있었지만, 작업생산성만큼은 한국인 동료보다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지역사회 생활은 대구시 달서구와 구미지역 이주노동자들이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주거지 유형, 지역사회 정체성, 소비 및 지출에서 동일한 응답을 보였다. 주거지 선택 이유와 직장에서의 정체성은 세 지역 모두 동일하였다. 지리적으로 근접한 대구시 달서구와 경산지역 이주노동자들의 지역사회 생활이 비슷한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오히려 이주노동자의 국적이 비슷한 대구시 달서구와 구미지역에서 더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지역 특성보다 이주노동자의 특성이 지역사회 생활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에 관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국내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체류외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2006년 「거주외국인지원조례안」을 공시하여, 외국인 이주자를 지원해오고 있다. 하지만 이 조례안에서 지원하고 있는 이주노동자는 미등록(불법) 노동자를 제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색을 배제한 채 획일적인 조례안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어 실질적인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결과, 이주노동자가 취업하고 있는 직장은 그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산업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각 지자체별로 산업특성과 연관된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내에서는 지리적 근접 등의 지역별 특성보다 이주노동자의 민족별․국적별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지역 내 분포하고 있는 이주노동자의의 특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향후 이주노동자 지원 조례안을 제정하는 데 있어 각 지자체별로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적 실정을 반영한 조례안이 설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in Korea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00, and reached up to 528,812 in 2008. This accounts for 45.6% of total foreign habitants(1,158,866 persons in 2008), indicating that both the absolute number and its portion have been increasing. Reasons for the increment of immigrant workers are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y, improvement of economic level, and the lack of work force caused by the phenomenon of evading 3D job due to overeducation. Those phenomenons are driving forces of continuous increment of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It is worthwhile to pay attention to the increment of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because the increment of them has also effects on the workplaces in which they work and a regional communities in which they reside. Recent discussions about immigrant worker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aspects such as immigrant course and adaptation and characteristics in workplace and regional community. Those discussions, however, have been biased to national level or specific regions and thus studies on characteristics at local level in which they actually reside have been limited, it can be argued that and hence we ne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adaptation of each region by comparing immigrant worker's regional units classified by sizes of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compare characteristics and accommodation of immigrant workers in three of different size of cities, that is, large city, suburban city of large city, local small-medium city, which are represented by Dalseo-gu in city of Daegu, city of Gyeongsan, and city of Gumi.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how the infiow of immigrant workers has been changed by policies and what factors of absorption and discharge have work and then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characteristic and accommodation in workplace and regional community in regions. these investigations are based on the data of current state and questionnaires of Dalseo-gu in city of Daegu, city of Gyeongsan, and city of Gumi.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olicy making about immigrant workers of each region in future 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pondents about immigrant factors and immigration courses were highly varied by regions. The most strong immigrant factor in their home countries is 'low wage' for immigrant workers in city of Daegu, whereas the 'unstable economic status' for them in city of Gumi, and the 'preference on the abroad employment' for the city of Gyeongsan. The most strong immigrant factor in Korean is the 'opportunities for various job' for immigrant workers in city of Gyeongsan and Gumi, whereas 'geographical proximity and similarity in culture and history between their host country and Korea' for them in city of Gyeongsan. It is also found that most of immigrant workers in city of Dalsu-gu and Gyeongsan were born in rural region and moved to local medium sized city in their home country before moving to Korea, and most of them in city of Gumi were born in big city or local medium sized city and moved to local medium sized city. Second, It is found that characteristics in workplace in which they work after immigration to Korea were similar between them in city of Dalsu-gu and Gyeongsan, especially in size of company, job in home country, reason for employment, and work hours. There are similarities in the number of immigrant workers in workplace, average wages per month, skill training, and work hours among three regions. It is analyzed that the reasons of low productivity of immigrant workers in their workplace are found to be different in job from that in home country, language problem, and different in work method from that in home country. For immigration channels, the informal one was more preferable for immigrants in the city of Dalsu-gu and Gumi whereas the 'Employment Permission Scheme for Immigrant Workers' was more preferable for the immigration in the city of Gyeongsan. They worked for more hours than Koreans, especially in the city of Gumi, 'work over 300 hours per month' was most frequently responded. Immigrant workers had poorer work condition compared to their Korean companion, however they perceived the work productivity of themselves are higher than of Korean companions. Third, It is found that there were similarity in life in regional community between workers in the city of Daegu and Gumi, especially in the type of residence site, identity of regional community, and consumption and expense, especially there is no difference in reason selection of residence site and identity in workplace. For the life in regional community, unlikely the expectation that there would be similarity between the workers in the city of Daegu and Kyeongsan due to their geographical proximity, it was found that the similarity was higher between the city of Daegu and Kumi due to their similarity in nationality of workers, indicating that their national characteristic more affects to the life in regional communities. The recommendations, based on those findings,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adaptation of immigrant workers by each region are as follows. The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ave been supported the immigrant workers by announcing publicly the 'regulation on the support for foreigner residents'. Those regulations, however excludes the non-registration(illegal) workers from the inclusion criteria. In additi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 has not been considered when they make regulations, resulting ineffective support due to homogeneous reg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owever, indicate that the each autonomous governments should make policies related to industrial characteristic because the regional characteristic are inevitably reflected in the workplace in which they work. The racial and national characteristic should be considered because it was found that their racial and national characteristic affects their life in regional community more significantly than the geographical proximity. It is recommended, therefore, that each autonomous governments should make regulations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immigrant workers who live in their administrative district.

      •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적응, 지역특화형 비자 정책 선호도를 중심으로

        김민주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ocial and reg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preparation of foreign students in non-metropolitan areas, and to examine whether these factors can be complemented through recent systems. To achieve this, we researched the employment requirements of foreign students and proposed support measures that satisfy their "needs" while also being suitable for the local community, enabling stable settlement as local community members. Therefore, we explored how social capital perception and regional adaptation affect job preparation when foreign students prepare for employment 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gion-specific visa support policies on the preference,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supporting the employment of foreign students in the futur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were confirm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based on education. Second,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were confirmed based on participation in early adaptation programs for foreign students amo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soci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mong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native networks and normative factors influenced, while Korean networks and trust did not. Fourth, regional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y identity influenced job preparation behavior, while attachment to the local community did not. Fif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gion-specific visa preference was verified in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job preparation behavior. Sixth,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region-specific visa preference was verified in the impact of regional adaptation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employment and settlement support policies for foreign students should be expande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When foreign cases were examined, support policies that connect all parts of attracting foreign students - staying, nurturing, employment, and settlement - were seen to lead to foreign students trusting and settling in the local community. It is expected that foreign student support policies will not be fragmented policies but a comprehensive policy that leads foreign students to become members of the local community and settle in the region.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is necessary to help foreign students adapt to the local community for employment and settlement in the region. From the perspective of foreign students, there are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ies, so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work together to support foreign students' communicatio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preparation behavior of foreign students and confirm policy directions. This is very important in providing a direction in solving the human resources problem that is gradually deepening in Korean society.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evidence-based data to consider these factors in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for introducing foreign workers and to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s data on policies and treatment for foreign students. 본 연구는 비수도권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준비하는 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역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요인이 최근에 실시되고 있는 제도를 통해서 보완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요건을 연구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안정적인 정착을 할 수 있도록 외국인 유학생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지역사회에도 적합한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사회에서 취업을 준비할 때 유학생의 사회적 자본 인식 및 지역사회의 적응 정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 작용하는 지역특화형 비자 지원정책의 선호도는 어떠한 매개 효과를 보이는지의 탐색을 통해 향후 지역의 외국인 유학생 취업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학력에 따라 큰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유학생 조기적응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국인 네트워크와 규범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인 네트워크와 신뢰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넷째, 지역사회적응은 취업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적응과 지역사회 일체성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사회 애착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자본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선호도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여섯째, 지역사회적응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특화형 비자 선호도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연구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대학에서의 취업과 정주 지원정책이 확대되어야 한다. 외국의 사례를 비출 때, 유학생 유치-체류 및 육성-취업-정주의 모든 부분을 연결하여 진행하는 지원 정책들을 유학생이 믿고 지역에 취업하여 정주하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유학생 지원 정책은 단절된 정책이 아닌 이어진 하나의 정책으로 실시될 때 유학생으로 하여금 지역사회 공동체 일원이 되고 지역에 정착하도록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의 지역에서의 취업 및 정주를 위해서는 유학생이 지역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대학과 지역사회 간의 소통이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 입장에서는 대학 및 지역사회와 소통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대학 및 지역자치단체는 협업하여 유학생이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밝혀 정책 방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사회에서 점차 심화되어가는 인력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가 향후 외국인력 도입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있어서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처우에 대한 자료로서 다각도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출소자의 심리특성이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경아 동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6

        Crime in present day that threatens civilian and social safety is reported to be consistent for last 10 years despite national and local dire effort for its prevention. Especially, according to 2017 statistics, recidivism is becoming a social issue as those who has criminal record of monetary penalty or worse consists of 43.6% of all criminals. Thereby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duce crucial factors of adaptation to community for released prisoners by analyzing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which are respectively negative and positive in adapting to community for released prisoners, based on the fact that reduction in recidivism is closely related to overall decrease in crime and a study result which argued recidivism rate decreases depending on the released prisoners’ adaptation to community. Thus, data from a research service based on 216 released prisoners who had collaborative marriage support from nationwide branch of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1.0. 9 categories of released prisoner’s psychological health scale standardized by Korea Rehabilitation Agency were used for psychological traits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were established as sociodemographic control variables. It was 3-stage model and hierarchi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fluence on released prisoner’s adaptation to community. In summary, first, sociodemographic control variable analysis (model 1) showed that education, marriage, and higher income had a positive influence in adaptation to community, regardless of gender, age, and previous criminal record. Second, analysis on sociodemographic control variable embedded with psychological risk factor (model 2) showed that greater depression and higher interpersonal sensitivity had negative influence in adaptation to community and positive sociodemographic variable was insignificant to adaptation to community. Third, analysis with additional psychological protective factors (social support, self-esteem) (model 3) showed that higher self-esteem reduced risk factors of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showing grea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mmunity, whereas social support did not, revealing that self-esteem has positive influence in adaptation to community. In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self-esteem is the most important psychological factor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community for released prisoner. However psychologic factor alone cannot resolve issues of the prisoner’s self-reliance in community and prevention of recidivism, and it requires successive study and multilateral support. Furthermor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that factors in released prisoner’s psychological health scale validated b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objectively and practically measured of their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mmunity and also in that it can provide evidence for development and support of various programs, and alternative proposals by understanding influence of psychological traits that develop during released prisoner’s adaptation to community. 오늘날 시민과 사회의 안전을 위협하는 범죄는 국가와 지역사회의 절실한 예방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2017년 통계에 따르면 전체 범죄자들 중 벌금형이상의 전과가 있는 자로 확인된 경우가 43.6%를 차지할 정도로 재범률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재범률의 감소가 전체 범죄수의 감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점,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출소자 중 출소 후 지역사회의 적응여부에 따라 재범률이 달라진다는 연구결과에서 착안하여,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에 있어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위험요인과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보호요인 등을 분석함으로써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의 중요한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있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의 지부에서 합동결혼 지원을 받은 출소자 216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용역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심리특성 요인으로 2017년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 의해 표준화된 출소자의 심리건강척도인 9개 항목(위험요인 7개, 보호요인 2개)을 활용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으로 심리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설정하고, 총 3단계 모형으로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 분석(모형1)에서는 최종학력, 배우자 유무, 월수입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성별, 나이, 전과횟수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통제변인에 심리적 위험요인을 투입한 분석(모형2)에서는 우울과 대인예민성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사회학적 긍정적 요인의 영향력은 지역사회적응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보호요인(사회적 지지, 자존감)을 추가 투입한 분석(모형 3)에서는 자존감이 높을수록 위험요인인 우울과 대인예민성의 정도를 감소시켜주어 지역사회적응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자존감이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해보면, 출소자의 높은 자존감은 사회생활의 만족도가 높아지고 심리적 위험요인을 긍정적인 삶의 변화로 촉진시키며, 부정적 상황을 억제하고 성공적인 지역사회적응으로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출소자의 성공적인 지역사회적응을 위해 심리적 요인 중에서는 자존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지만, 생각건대출소자의 지역사회 자립과 재범예방을 위해서는 심리적 요인만으로는 해결 될 수 없기에 관련된 후속연구 및 다각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이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타당화된 출소자의 심리건강척도 요인이 지역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측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출소자의 지역사회적응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특성의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대안 등을 마련하는데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성인 발달장애 자녀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어머니의 돌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미점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시설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자녀의 지역사회 적응을 돕는 돌봄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고 있는 어머니 6명을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본질적 주제와 구성의미 11개, 의미 있는 진술 45개로 축약하였다. 이를 통해 형성된 4개의 본질적 주제는 ‘종식되지 않는 전쟁’, ‘가족 이라는 이름’, ‘새로운 과제: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지역사회 적응시키기’, ‘그러나... 희망을 노래하다’이다.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돌봄 경험의 의미구조는 성인이 된 자녀가 부모 사후까지 그 범위를 넓혀 나가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돌봄 경험은 어머니의 삶의 모든 것이 장애자녀로 연결되어 ‘사랑과 증오사이: 그 애매한 경계 속 어머니와 자녀’, ‘돌봄의 무게: 365일 어깨위 쌀가마니’, ‘나이 듦: 막혀 있는 문’으로 ‘1. 종식되지 않는 전쟁’이 구성되었고, ‘시댁과의 갈등’, ‘분리된 가족’, ‘든든한 힘! 비 장애자녀와의 동행’이 2. ‘가족 이라는 이름’으로 구성 ‘안에서 버티기’, ‘밖에서 버티기’, ‘사회의 시선’은 3. ‘새로운 과제: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지역사회 적응시키기’로 구성 ‘인간다운 삶이 보장되는 시설’, ‘지역사회 자원 이용하기’, 는 4. ‘그러나... 희망을 노래하다’로 구성하여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돌봄의 경험으로 도출되었다.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오랜 돌봄으로 지쳐가고 제도권 서비스로부터 전달받지 못하는 정보와 점점 복잡해지는 돌봄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지쳐가며, 최소한의 울타리가 필요하다는 의미에서 일괄적인 탈시설화는 반대하고 있었다. 이에 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지역사회적응 방안에 고심하고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지지 망 구축과 개별특성에 맞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돌봄 체계 구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meaning and nature of caring for mot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ulthood, not in facilities, to help their children adapt to the community. Participants in the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of six mothers caring for childr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ccordance with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procedure. The study summarized four essential topics and 11 meaningful constructions and 45 meaningful statements. The four essential themes formed by these are 'War of Unterminated', 'Name of Family', 'New Challenges: Adaptation of Childr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Communities', 'However... It's 'Singing Hope'. The semantic structure of a mother's care experience with children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can be said to have homework that an adult child should expand its scope until the death of his or her parents. A mother with an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s experience of community adaptation led to a disabled child whose everything in life consisted of 'between love and hate: mother and child in its vague boundaries', 'weight of care: 365 days a year' and 'age: blocked door', 'conflicts with in-laws', and 'strength! Accompanied by non-disabled children 2. 'Stay inside', 'Stay outside', and 'Social gaze' are 3. 'New task: Adapting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e Community', 'Use of Community Resources' 4. 'However... It consists of 'singing hope' and is derived from a mother's experience of caring for he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the community. Mother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opposed to the collective de-facilization in the sense that they were tired of long-term care and that they felt tired of information and increasingly complex care. He was considering ways to adapt to the community to replace the facilities.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establish a support network using various resources in the community and establish a care system for community adaptation tailor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숙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10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경험의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사회적응경험이 있는 결혼이주여성 베트남, 중국, 필리핀, 일본, 몽골출신의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54개의 의미단위, 103개의 주제, 33개의 주제모음, 4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응경험에서 핵심범주인 이주동기, 생활적응, 직업적응, 지역사회적응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며 사회적응에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첫째, 이주 동기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으로의 이주가 더 나은 삶을 보장해주고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해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이주를 선택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과 한국남성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가 한류의 영향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상당수의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사회와 한국남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상태에서 매체에 비친 환상을 꿈꾸며 이주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은 결혼이주여성이 이주 후 정보차이로 인한 혼란과 갈등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이주 전 정확한 정보제공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생활적응은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생활적응에 한국가족의 적극적 지원과 본국가족의 도움과 협력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에 한국가족뿐 아니라 본국가족과의 친밀한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가족과 긍정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초국가적 연결망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반면에 한국가족과 갈등관계에 놓여있던 결혼이주여성들이 고된 삶을 살거나 가족이 해체되고 있다는 사실은 가족이 한국생활의 토대를 무너뜨리는 기능도 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어구사능력의 한계와 배려 받지 못하는 종교는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기에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부족한 한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학습지원방법이 강구되어져야 하고, 종교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져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직업적응은 결혼이주여성들이 본국에서의 학력이 높고 직업경력이 있으며 직업에서 요구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인적 노력을 기울일 때 구직하기에 용이함을 시사한다. 또한 직장동료로부터 직업능력을 인정받고, 자국공동체의 정체성 유지를 위한 화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도 개인적 노력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이 부각되었다. 반면에 직업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결혼이주여성들은 경제적 어려움, 한국어능력의 부족, 자국어활용의 불안정, 차별적 환경 등의 개인적 노력만으로 해결되기 어려운 현실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결혼이주여성이 직업적응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확보하고자 하는 개인적 노력도 중요하지만, 정부와 지자체의 긴밀한 상호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해결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넷째, 지역사회적응은 결혼이주여성이 사회구성원들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경우는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이 변화되고 있는 반면, 직접적 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한 구성원들의 인식은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문화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인식교육이 강조되는 다문화교육보다 서로에 대해 알고 배우는 실천적 노력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에 상호접촉의 기회를 적극 확대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을 위한 수준에 머무는 다문화행사보다 지역사회행사로 전환하여 지역주민으로서의 소속감을 갖게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경험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이주민들과의 공생에 필요한 실천적 태도를 성찰하게 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이미선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7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communit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to the commun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difficulties did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local community? Second, what is the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elected. Ten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ir 30s or early 50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ho had entered South Korea and liv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more than 6 year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to September 2022. According to Giorgi's data analysis method, 37 meaning units were derived from difficult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community and 30 meaning units from their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by repeatedly reading the interview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find out important elements in the researcher's academic perspective and practical process, focusing on the part where meanings change in thei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st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community, but they formed a continuous and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same learners, instructors, and professors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to learn and understand language and culture naturally. Second,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ed from the prejudice that they were social welfare beneficiary from local residen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getting job with licenses acquired through lifelong education, they became taxpayer at work, not beneficiary of social welfare, and their pride as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increased. Third, North Korean defectors who felt like strangers in the community suffer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by loneliness in a foreign country in the early days of settlement and memories of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North Korea. Through lifelong edu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have grown into healthy citizen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O.K, who live a life of service by adapting to Korean culture, being recognized as Koreans, and recovering their self-esteem. Fourth, mos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ent to university to adapt to the local community of South Korean society, and acquired new licenses necessary for employment, acquiring Diploma and certificates required in South Korean society. Fifth,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d by parent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e local community played a role in preparing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to the local community. Finally, I’ like to propose a lifelong educa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a counseling program on emotional anxiety and trauma caused by defection, which is the biggest feature of North Korean defectors. Counselors from North Korean defectors who can understand the speci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embrace the problems they face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participated in as a family unit according to mid- to long-term plans demanded survey and analysis for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ather than a one-time cultural experience event.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ne-to-one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ailored to their home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re adapting to the local community and living smoothly through lifelong education,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the early process of settling into the community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s on lifelong education experience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the role of realistic and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for community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ey words: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