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선영의 현악 4중주 [미술관에서] 분석 연구

        박선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79

        This thesis focuses on an analysis of the composer Sun-Young Park's String Quartet 「At the Art Gallery」. This piece was composed while the composer was a graduate student, and was 1st performed at the recital for the degree of Master on June 23, 1999. Since the all kinds of art are spiritu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we can find a wide and creative world through intercommunication and grafting of all forms of art. This work consists of three movements, and the composer chose three painters who had given her special impression at a few art exhibitions. The first movement describes the spirit of the painter, Whan-Ki Kim, the second, Marc Chagall, and the third, Ung-No Lee respectively. The musical style in this string quartet tends to involve meta- physical sensitivity of those painter's works rather than seeking new musical grammar. It tries to concentrate on translating visual images captured on their works into concrete sound by somewhat balanced instrumental tone of string family. The technices, including intervals, rythms, glissando, harmonics, etc., involved in this music are used as a tool of visualizing artistic images. It also attempts to compare the beauty of artistic modelling like structure or partition to each string's pitch or tone color. 본 논문은 박 선영의 현악 4중주「미술관에서」에 관한 분석 연 구이다. 이 작품은 필자가 연세대학교 음악 대학원 재학 시에 작곡 한 곡이며, 1999년 6월 23일 석사 졸업 연주회에서 초연 되었다. 전 체 3악장으로 구성된 이 곡은「미술관에서」란 제목에서 알 수 있 듯이, 필자가 대학 재학 시절부터 지금까지 관람해 온 몇몇 전시회 중에서 특별히 깊은 인상을 받은 세 화가를 선정하여 그들의 시각 적 이미지를 현악 4중주를 통해 음악 언어로 표현한 것이다. 문학, 미술, 음악 등의 모든 예술은 각기 개별적, 고립적으로 존재하는 것 이 아니며 상호 교류와 접목을 통해 더욱 폭넓은 창작세계가 가능 하다는 견해에서 작곡동기의 근원을 찾을 수 있겠다. 제 1악장은 수화 김 환기, 제 2악장은 마르크 샤갈, 제 3악장은 고암 이 응노의 작품 세계를 다루었다. 전체적인 작품 스타일은 새 로운 음악 어법의 추구라기보다는 미술작품에서 받은 추상적 감수 성에 음악이 예속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미술 작품에서 포착한 시 각적 이미지를 현악기군의 비교적 균일한 악기 음색을 통해 청각화 하려 하였다. 음정, 리듬, 다이나믹이나 기타 주법들은 역으로 시각 화의 도구로서 사용된 것이다. 또한 미술 작품의 구도나 분할 등의 조형미를 각 현악기의 음고, 음색에 대비시켜 보기도 하였다.

      • 서울 해방촌 경사지 주택 건축의 유형 및 변용

        박선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oday’s residential areas in Seoul experienced numerous changes in its appearance. The previous residential areas showed aspects of being developed into large scale apartments or commercialized due to unbearable pressure for development during the urban expansion process represented in the period of liberalization, the Korean War, an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60s. However, the natural urban growth process generally accepts the changes and finds its point of revolution from the microscopic difference.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the microscopic changes, architectural aspects,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Haebangchon in Yongsan-dong 2ga in Seoul which remained as low-rise single-family housing due to physical and economic conditions such as Namsan Mountain, US Army Base in Yong san and 3rd Namsan Tunnel while numerous other squatter areas in Seoul were developed into apartments. The residential areas in Haebangchon had autogenous characteristics from the beginning of its formation. Its architecture and the residential areas have experienced changes from late 70s to early 90s due to Yongsan First Self-Help Redevelopment. Als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Haebangchon as hillside are the frame determining the form of residential areas and architect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ypologies and architectural aspects from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structures. The research scope was 23 individual buildings from the southeastern side of Haebangchon which is house numbers of 11~44. The site was observed microscopically and the typologies and architectural aspect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is the size of the site. The average land parcel area of the small blocks belong to the 23 selected buildings are abut 137.7㎡ whereas the average area for single family housing was 133.2㎡ which is larger than the minimum land parcel area, 76.03㎡ applied to the Self-Help Redevelopment. Assuming that the streets and land parcels of the research subject sites remained unchanged in terms of urban fabric, the redevelopment was conducted larger than 76.03㎡. This size was about 33.06㎡ smaller than the minimum land parcel area of the Young dong district in Gangnam, 165㎡, which was built through Land Readjustment Project. Second i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 size. The 23 selected subject buildings had average of 76.03㎡ of basement space which was split into small household such as single-family housing for residential purpose. The average household area of the first floor was 61.49㎡ for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which was larger than multiplex housing(about 39.67㎡). Also, the single-family and multi-family had entry and arrangement based on the 1st floor with minor changes in the plan structure of different floors but multiplex housing had sam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 structure. Third, each building had different the location of arrangement, entry, and front gates depending on the different street slopes and types of site frontage. Majority of the buildings had the front door near the entrance by using the street level responding to the street and direction. Fourth, the research sites experienced general transformation of the residential area which was the transformation from single floor housing to 2~3rd floor housing with basements. The development took place gradually over long period(15 year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emergence of multi-family housing. Such comparison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xisting apparent differences of plan structure between multi-family housing and single-family housing, which still remains. The integrated transformation could be explained through the changes of stair(street). The changes in stair(street) was that exterior independent stairs connecting the housing were gradually integrated into internal stair in the order of single-family housing>multi-family housing>mixed-use housing>multi-family housing. The single-family housing showed different aspects for the transformation of stair(street) with installation of exterior stair later due to interfacial separation. Also, the different conditions of each site showed different aspects depending on the internal factors. The above 4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e scale of urban fabric, the inherent architecture, and microscopic architectural changes. The Haebangchon remained as foreign area in the midst of the centers of change having the importance as the case of residential area in Seoul. 오늘날 서울 주거지는 많은 변모를 겪어왔다. 해방과 한국전쟁 60년대 산업화 도시화 시기로 대변되는 도시 팽창 과정에서 기존 주거지들은 대단위 아파트로 개발되거나 주변의 개발 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상업화 되어가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연스러운 도시 성장 과정이란 대개 변화를 수용하면서도 미세한 차이에 의해 변혁의 지점을 찾는다. 본 연구는 그간 서울의 많은 불량 주택지들이 아파트로 대체되어 갈 때 남산과 용산 미군기지, 남산3호 터널 등 물리적 여건과 경제 상황으로 인하여 현재까지 여전히 저층 단독주택지로 남아있는 서울 용산동 2가 해방촌의 주택지 형성 과정과 건축 특징과 변화를 미시적으로 관찰 분석한다. 해방촌 주택지는 그 형성 초기부터 자생의 성격을 가지며 용산1 자력재개발사업을 거치면서 70년대 말부터 90년대 초까지 주택지와 건축에 변화를 겪었다. 또한, 경사지로서 다양한 지형을 가지는 해방촌의 물리적 구조는 주택지와 건축의 형식을 결정짓는 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 유형과 건축적 특징을 물리적 구조와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방촌 동남 측 일대 11~44번지로 대상지 내에서 총 23동의 개별 건축물을 선정하여 주택 유형과 건축적 특징을 미시적으로 현장 관찰, 분석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크게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대지 규모로 총 23동 대상 건축물이 속한 소 블록의 평균 필지 면적은 약 41평(137.7㎡), 단독주택은 약 40평(133.2㎡)으로 자력재개발 시 적용하였던 필지 최소면적(23평)보다는 컸다. 이는 연구대상지가 그동안 도시조직에 큰 변화를 겪지 않고 길과 필지가 유지되었음을 가정할 때 23평 보다는 큰 규모로 개발되었음을 보여 주며, 이를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강남의 영동지구 필지 최소 면적 50평(165㎡)과 비교하면 약 10평 정도 작은 규모였다. 둘째는 주택 유형별 수평 및 수직의 평면 규모로 총 23동 대상 건축물은 평균 약 23평의 지하공간을 갖고 있었으며 단독주택을 포함, 대개 소형 세대로 분할하여 주거용으로 사용하였고 주택의 세대당 가구 면적은 1층을 기준으로 단독, 다가구는 약 18.6평으로 비슷하며 다세대 주택(약 12평)보다 컸다. 또한, 단독, 다가구는 1층을 기준으로 배치 및 현관 진입이 이루어졌고 층별 평면의 구조에 약간씩 차이가 있는 반면 다세대 주택은 수평 및 수직적 평면의 구조가 동일했다. 셋째는 개별 건축물들은 대지 접도 유형과 도로 경사에 따라 배치 및 현관, 대문 위치 등이 모두 다르며 길과 향에 대응하면서 도로 레벨을 이용하여 현관과 가까운 지점에 대문을 두어 연결하는 형식이 많았다. 넷째는 연구 대상지는 단층 주거에서 지하를 갖춘, 지상2~3층의 규모로 수직화되는 주택지의 일반적인 변용을 겪었고 오랜 기간(약 15년) 점진적 개발이 이루어짐에 따라 각 주택 유형(다세대,다가구)의 등장 전·후 비교가 가능했다. 그것은 여전히 다수 남아있는 단독주택(다가구거주)과 다세대 주택의 뚜렷한 평면 구조 차이에 의해 가능하였고 그것의 변용을 집약하면 계단(길)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었다. 계단(길)의 변화는 단독> 다가구> 주거복합> 다세대주택 순으로 주택을 연결하는 계단이 외부 독립계단에서 내부 계단실로 점차 통합되었고 단독주택의 경우는 층간 수직 분리에 의해서 추후 외부계단을 신설하면서 계단(길)의 변용에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각 대지의 상이한 조건과 내부 요인에 따라 양상도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4가지 연구 결과는 크게 도시조직의 스케일과 그 안의 건축, 그리고 미시적인 건축 변화로 요약된다. 그동안 이방 지대로 남아 있으면서도 언제나 변화의 중심 가운데 놓여있는 해방촌은 서울 도심의 주거지 사례로서 연구의 중요성을 가질 수 있다.

      • Chemoresistance of oxaliplatin through AKT-mTOR pathway in colon cancers

        박선영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Oxaliplatin is a third-generation platinum analog that can interfere with DNA replication and transcription by DNA damage. Continuous exposure of oxaliplatin resulted in resistance to oxaliplatin but no mechanisms of oxaliplatin-resistance were reported. In this study, oxaliplatin resistant cells were established using HCT116, HT29, SW480 and SW620 colon cancer cells by gradually increasing drug concentration up to a maximum of 2 µM at least for 3 month. The 50%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cell growth (IC50) of oxaliplatin were 5.34, 9.88, 10.1 and 9.49-fold higher in oxaliplatin resistant HCT116, HT29, SW480, and SW620 cell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ir respective parental cells. One mechanism is that the expression of AKT and mTOR proteins were overexpressed in the oxaliplatin-resistant colon cancer cell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LC3B, an autophagy marker, de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AKT/mTOR signals, which caused the increase in glucose metabolism to produce energy for cell survival in oxaliplatin-resistant cancer cells. Taken together, oxaliplatin-resistance might be media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AKT/mTOR pathway in colon cancer cells, and AKT/mTOR might be a potential targets for oxaliplatin-resistance in human colon cancers.

      • 한국적 정서에 의한 현대무용의 작품 고찰

        박선영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If the neo-dance is a king of dance made by applying system of new technic based on condition of this time, at least japanese dancer, Ishibaggu's public performance in Korea is the point of a new start and at the same time, historical one giving a birth of Korean modern dance. In the beginning of 1960s, the full scale system was set up and Yook, Wan Soon who returned from America in 1930 introduced American modern dance which grounded on the technique of Masagraham's "Tensity and Laxity" and contributed largely to the world of Korea modern dance. The modern dance begun with this was made up of the theory in the level of university and the pract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established. Moreover from 1970 since it has become spread, contiuous creating works and supporting the study have greatly contributed for modern dance to become public art. Started from 1980, Korean modern dance has established popularization of dance under the influence of pure creating works as well as the circumstances outside. Vigorous overseas works by internal modern dancers showed works mad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had big success but relatively became the focus of criticism. We may have question that whether we can say the pursuit of Korean modern dance through the works which had Korean traditional titles, subjects, music and background in this period is a real Korean thing. This kind of question and adverse criticism has become an issue by the audience and critics. I've got a question that while Korean modern dance has sought for Korean traditional subjects and meterials it has depend on western dance technique, then we can call it as a real Korean modern dance. We can say that expression of Korean tradition and western culture which were showed in the works of modern dance superficially set up by Korean tradition was obvious in the field of dance but in fact it was not harmonious and theoretical approach was deficient. Therefore, what is it like in these dance works as the korean traditional modern dance. I will look into the developing process of it and it will be significant to study the poperties of our traditional dance that is, spiritual background, aesthetic feature and technique of motion of our dance.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vigorous public performances and studies on works should be made for well established Korean modern dance in the future.

      • 성격과 음주운전 관계에서 인지 요인의 매개 효과 검증 : 음주운전자와 일반운전자의 모형 비교

        박선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47

        음주운전은 인간의 삶에 큰 상실을 가져오게 하는 재앙 중의 하나로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와 사망자는 크게 증가하고 있어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음주운전의 감소라는 실용적 목적에서 시작된 음주운전 연구들은 주로 일반 운전자와 비교하여 음주운전자의 특성을 찾아내고 그러한 요인들이 음주운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는 수준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요인들을 중심으로 음주운전자와 일반운전자를 대상으로 성격요인, 인지요인 및 음주운전 행동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 두 집단간 구조모형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음주운전 관련 인지 검사지 개발을 위해 Turrisi와 Jaccard(1991), 최상진(2001)과 박선영(2002)의 연구에서 음주운전자와 비음주운전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내용으로 나타난 문항들을 참고로 하여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요인분석을 통해 운전자의 내적 통제력과 외적귀인을 인지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음주운전 성격요인으로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일관성 있게 음주운전자의 성격특성으로 제시되고 있는 공격성, 충동성, 감각추구성, 새로운 경험추구성을 음주운전 관련 성격 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음주운전으로 법원으로부터 수강명령을 받은 교통사범 174명과 일반운전자 166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후 음주운전 성격과 인지가 음주운전 행동에 주는 영향을 살펴 보았고, 음주운전 관련 인지가 음주운전 성격과 음주운전 행동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리고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음주운전자와 일반운전자 집단간에 이러한 모형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음주운전 인지가 음주운전 성격과 음주운전 행동의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정하여 두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완전매개모형이 더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형에 있어서 음주운전자와 일반운전자 두 집단간에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운전자와 음주운전자 모두 공격성, 충동성, 감각추구성, 새로운 경험 추구성이 강할수록 자신의 주의나 운전실력으로 음주운전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 정도가 높았고, 음주운전으로 단속에 걸리거나 사고가 나는 부정적 결과에 대한 원인을 자신의 내적인 요인 보다는 외적인 탓으로 돌리는 경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주운전 인지는 음주운전 성격에 비해 음주운전 행동에 주는 직접효과가 상대적으로 커 음주운전 상황에서 내적 통제력을 과신하고 부정적 결과에 대해서는 외적으로 귀인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음주운전 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음주운전 성격, 음주운전 인지, 음주운전 행동 세 요인들의 관계에 대해 보다 구조적인 정보를 제공해 준다. 음주운전 인지가 음주운전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주는 영향력이 성격 변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음주운전 예방 및 재발방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음주운전 관련 성격, 인지요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운전자의 인지요인 및 성격 요인의 특성에 근거하여 차별적인 개입전략이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domain of legal and educational prevention in regard of phenomena of accidents and injuries caused by drinking and driving. Most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attempt to distinguish characteristics of drunk drivers relative to the general driving populations. This study examined cognitive factors as a mediator between personality and drunk driving. Survey data from 174 convicted drunk drivers(single and multiple offenders) and 166 general drivers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wo comparative models were proposed: full mediating model and partial mediating model.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factors relevant to drunk driv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drunk driving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runk drivers and general driving populations on supported structural model.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cognitions and personality to improve short term cognitive interventions and long term counseling interventions.

      • 花卉를 中心으로한 彩色畵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선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화훼(花卉)를 소재로 한 채색화(彩色畵) 연구(硏究)로서 꽃, 나무, 풀 등의 화려하면서도 소박한 자연의 소재를 통하여 한국적 미감을 정감성있게 표출시키고자 하였다. 특히 꽃의 본질적인 지고지선(至高至善)의 절대적 아름다움은 인간에게 순수하고 숭고한 정신을 가지게 해주며 인간의 미의식(美意識)을 통해 창조에의 충동을 일으킨다. 본인은 일상생활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훼(卉)의 형상(形象)을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묘사(描寫)하거나 때로는 실물보다 과장되게 표현하여 새로운 조형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색채는 대상이 지닌 미감의 함축성을 채색화의 전통적 기법을 바탕으로 독특하고 창의성있는 색감으로 표현하려 하였으며 전체적인 구도에서는 소재가 되는 대상을 화면의 근경에 확대 표현함으로써 집중적으로 주제군을 형성하거나 한쪽으로 치우친 변각구도로 구성하여 화면에 새로운 현대적 조형감각을 표출하였다. 지금까지의 채색화 작품제작에서 대상의 외적 사실성의 묘사적 색채 표현에만 머물렀다면 앞으로의 채색화 제작에서는 대상의 외형 뿐 만 아니라 내면에 함축된 화훼의 생명력과 미의 본질적 요소를 단순화시켜 현대적 조형미를 모색하여 새로운 채색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The colored picture is studied with flowers as the main theme. A Korean esthetic sense is tried to be expressed with natural, naive and beautiful things like flowers, trees and plants etc. The intrinsic beauty of flowers captured by an esthetic sense invokes naive and lofty feeling and impulses the motive of creation. A new formative interpretation is attempted by adopting not only realistic and concrete description but also exaggeration of the object. In color, a sense of the inherent beauty of the object is expressed with a unique and creative color based on the tradiational technique In overall compositon, the subject of the picture is enlarged and concentrated near a close-up view of the picture. An inclined composition is also used to highlight a theme. All of these contribute to express a modem formative sense in this study. A reserch on a new trend of the colored picture which expresses lively and fundamental elements of the beauty of a thing as well as the realistic shape will be needed although the present work is restricted in the realistic description of a thing.

      •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선영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s)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경로당 2곳과 노인복지관 1곳의 한국형치매진단척도(K-MMSE) 24점 이상인 노인 68명을 수집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51명이 연구에 활용되었다. 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으로 나누고 사전질문 후,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6주간 주 2회 12번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Nucho(2003)가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s)모델을 바탕으로 제안한 4 Phase를 따르고, Kim(2010)이 제안한 미술창작의 가치를 중요시 한 아트 스튜디오(Art Studio)를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 · 후로 상태특성불안척도와 자아존중감척도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은 모두 동일한 수준이었으며,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태불안과 특성불안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성불안척도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s)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상태불안과 특성불안을 감소시켰으며,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을 입증하였다. 주요어: 사이코사이버네틱(Psychocybernetics)모델, 노인, 집단미술치료, 불안, 자아존중감

      • 달크로즈 교육방법을 응용한 효과적인 피아노 지도방안 연구 : 부르크뮐러 25 연습곡을 중심으로

        박선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tudy o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Piano based on Dalcroze Eurhythmics After the adoption of Western music, the music approaches with a charm in our lives and importance of musical education also more embossed. The piano education the while music education to be popularized most plentifully and to generalized. However, compared to external size, the reality of piano teaching is such that function oriented, repetitive practice comprises most of the curriculum.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is focused on handling piano, that is, focus is placed on technique instead of teaching students to express and experience music through piano. Therefore, very often, students feel awkward in interpreting musical pieces, and in experiencing and expressing music, even when they majored in piano. Burgmüller composed a beautiful etude in order to inform to the people for beautiful music and enjoyment of piano. It is program music that one of the Romantic piano music. Burgmüller' s practice pieces are characterized by titles and cozy musical expressions that induce the imagination and mind-set of children. Therefore, I introduced Emile-Jaques Dalcroze's Method and suggested the effective teaching plan for the Burgmüller's 25 practice pieces based on the Dalcroze's Methods. Dalcroze raised Questions of the fundamental methods for the musical education and philosophy. From that point of view, he thought that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 all music is rhythm and this rhythm can be found from the natural body rhythm. As a result, he theorized the Eurhythmics, one sort of music education. The Eurhythmics consists of three parts that Rhythmic movement, Rhythmic Solfege and Improvisation. In this thesis, I analyzed musical elements of the Burgmüller's 25 practice pieces based on these three aspects of Eurhythmics, and suggested practice ways. These ways will be a realistic measure in the face of current realities of music education, which agonizes between the issues of 'educational resourcefulness' and 'interest'. Moreover, it will make the optimal improvement measure to correct function oriented education in which purpose and medium are inversed.

      • 수핵란의 활성화시간에 따른 소 체세포 핵이식란의 발육

        박선영 강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 activation treatment and activation time of recipient cytoplasm on the development of bovine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NT) embryos. Donor cells were transferred and electrofused to enucleated oocytes before(pre-AC) or after activation(post-AC). Activation was induced with a combination of Ca^(++)-ionophore(A23187) and DMAP. NT embryos were cultured in CR1aa containing 3 mg/ml BSA for 9 days. Some NT embryos were fixed at 0.5 to 2.5 h after fusion (for post-AC) or activation(for pre-AC) for whole-mounting or confocal microscopy. Developmental rate to the blastocyst stage was slightly high in the post-AC group(20.6%) compared to that of pre-AC group (15.3%). However, developmental speed of embryos in the pre-AC group was faster than that of embryos in the post-AC group. Development rates to the blastocyst stage were similar among different activation time before fusion (0.5, 2 and 4 h). Embryos in pre-AC group, but not post-AC group underwent NEBD and PCC. Microtubules derived from donor cells were observed at 1.5 and 2.5 h after fusion in the pre-AC group, but not observed in the post-AC group at the same time.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development and nuclear morphology are affected by the activation status of the recipient cytoplasm before 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