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 일반학교와 서울지역 위탁형 대안학교 교육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이미선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 일반학교와 서울지역 위탁형 대안학교 교육만족도 비교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청소년복지전공 이미선 근대의 산업사회가 개성과 전문적인 지식이 기반이 되는 지식기반의 사회로 접어들면서 청소년들에게 국가가 제공하는 획일적인 교육을 시킨다는 것이 어느 정도 한계에 봉착한 것이 사실이며, 이를 극복하고자 여러 가지 대안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의 대안 중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대안교육이다. 기존의 대안교육은 학교에 적응 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다니는 곳이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대안학교는 학교 부적응 학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육 방법을 필요로 하는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청소년들이 선택하는 곳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아직 대안교육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작지만 그 열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일반학교와 대안학교 중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생들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여, 대안교육의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을 찾아 좋은 교육환경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일반학교와 위탁형 대안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안교육과 공교육의 교육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로 조사한 교육목표, 선생님, 수업, 학교생활, 교육성과의 항목에서 일반학교에 비해 위탁형 대안학교의 만족도가 높게 나왔다. 둘째, 위탁형 대안학교의 만족도 항목 중 선생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왔다. 이는 대안학교 특성이 인성교육을 이념으로 하고, 작은 학교를 지향하므로 선생님과 학생과의 인간관계 형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위탁형 대안학교에서 두 번째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것은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다. 위탁형 대안학교의 특성이 일반학교의 부적응 학생들로 구성되어졌다는 것을 생각할 때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안교육의 특성이 틀에 맞춘 집단교육이 아닌 자기주도적인 학습, 개별적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자신감도 높아지고, 학습에 대한 의욕도 상승한 결과 학교에 대한 자부심이 높아진 것이다. 또한 일반학교에서 원만하지 않았던 선생님과의 좋은 관계도 학교 자부심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이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또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란 물음이 대안교육을 시작하게 했다. 공교육이 4지선다형에서 답을 고르는 교육이면 대안교육은 4가지 이상의 무궁무진한 답을 쓸 수 있게 하는 교육이라 할 수 있다. 학교가 그동안 대학에 들어가는 법을 가르치는 일에 매달려 진정으로 중요한 것들을 잊고 있었다면 이제는 제고해야 한다. 교육이 ‘나 자신을 찾는 것’, ‘내 생각을 자유롭게 키우는 것’, ‘내가 즐겁게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삶을 사는 것이 곧 교육’이라고 정의될 때, 교육은 참다워질 수 있다.

      •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oles of Korean Churches for Adapting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LEE MISEO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Abstract The total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increasing continually after 1990 and currently is over 20,000 in 2010. Recently, North Korean social and political societies are unprecedently fluctuating and agitating in spite of strict control and supervision of cruel dictatorship of Kim Il Suing and his son Kim Jeong Ill for 60 years. Since 2000's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ot been affordable to provide food and necessities to its people. Obtaining food was on the individual persons and these circumstances made North Korea-China border control loose and information about China and South Korea that they are much prosperous in many ways has been penetrating into North Korea through various routes. As a result, considerable amount of people realize that what they know by education and propaganda is far different from the truth and they have bitter feelings of betrayal to their government and strong yearning to the outside worl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since the Korean War was only 300 until 2000 but increased to over 1,000 in 2001 and 10,000 in 2007. Although it took 59 years to reach over first 10,000 people but only 3 years for over 20,000. The ratio of female defectors who entered South Korea overpassed that of male defectors in 2002 and covered about 77% in 2009. The most age groups are 20s-30s and many of them entered the country less than 8 years ago. Recently, with increase of whole family entrance, the ratio of youth group is increasing and these juveniles' mal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s rising as a social problem.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have some difficulties to adapt to South society; they were grown up and socialized under a totally different system; they have some traumas in body and mind and hardly got opportunities to get proper education in their very important period, due to the painful journeys to South which took for from several month to 7or8 years.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adapting to new society in terms of a social context not of individual abilities. It is demanded to bring up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s a bridge connecting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when the two Koreas reunified. We need to refocus and extend our purpose of education for them from mere settlement to preparation of new generation for post-reunification era. Trying to appreciate the problems come from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adaptation process to South society and search for solutions of those will be very useful to ease similar difficulties with which current North Koreans may confront under reunified society. These circumstances demand the cooperation and certain role of NGOs(e.g, churches)' to support some parts of the program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where government has limitation. When Korean churches play their role appropriately to embrace and share North Korean defectors' sufferance and agony, their purpose to evangelize whole nation will have a foothold for it. For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n South society, it is recommended for Korean churches to establish enough schools for them like Yeomyeong Schoo. Department of worship service in church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 for juveniles of them are also needed to help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church. Big churches are asked for constant financial support to the churches set up by North Korean defectors so that they can focus on the ministry. In many cases, these churches are in financial troubles. To support them is to help churches in North Korea. Last but not least, the participation of christian schools to the education of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is strongly encouraged . Experienced teachers can be experts on this field through some training. They will teach these youths with base of christian spirit and help them to adapt to Korean church and society smoothly. The youths who are ready by all these efforts will play major roles in reunified Korea and will be leaders of next generation and core forces of North Korean evangelical ministry.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한국교회의 역할 이미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요약 1990년 이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던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2010년 현재 2만 명 시대가 되었다. 최근 들어 김일성과 김정일 부자세습 독재 하에 60여 년간 철저하게 통제되어 온 북한 정세가, 전례없이 급변하며 흔들리고 있다. 북한은 2000년대 이후 주민들에 대한 배급이 사라지면서 먹을 것을 찾기 위해, 예전에 비해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중국과 한국의 발전상황 정보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교과서와 주민 선전을 통해 배워온 사실이 거짓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정부에 대한 강한 배신감을 갖게 되고 외부세계에 대한 동경을 갖게 되었다. 2000년까지 1년에 300여명에 불과했던 탈북입국자는 2001년 1000명을 넘어선 뒤 2007년 1만 명을 넘어 섰다. 첫 1만 명을 넘는 데는 59년이 걸렸지만 2만 명이 되는 데는 3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성별 입국비율을 살펴보면 여성의 입국비율이 2002년을 기점으로 남성을 추월하여 2009년도에는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연령대는 20-30대가 가장 많으며 이들의 다수는 8년 이내에 입국한 사람들이다. 최근 가족단위의 입국이 늘면서 북한이탈 청소년의 비중이 증가하며 이들의 한국 사회의 부적응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이 한국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의 상당 부분은 그동안 각각의 체계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회화되었고 탈북 후 한국 입국까지의 몇 개월에서 길게는 7-8년에 걸친 고된 여정으로 인한 심신의 병과 학습의 공백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들의 사회적응상의 어려움은 개인적인 적응력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교육의 목표를 한국 정착에만 두지 말고 함께 살아갈 통일 세대를 준비시키는 것으로 확장하여 앞으로 있게 될 통일 시대에 북한 동포와 한국 시민들 사이에 교량 역할을 해 줄 세대로 키워야 한다.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한국사회에서의 적응과 부적응의 문제점 파악은 통일된 사회에서 북한주민들을 원만하게 적응하도록 유도하는데 매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바로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정부가 북한이탈 청소년의 정착지원 프로그램에서 지원하지 못하는 부분을 민간단체(교회)가 협력하여야 한다. 동족의 아픔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교회의 역할이 선행되어질 때 한국교회가 지향하는 민족복음화의 길도 열려 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교회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정착을 위해 먼저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한 학교인 여명학교와 같은 학교들을 많이 세워야 한다. 그리고 개교회내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예배부서를 만들고 북한이탈주민이 신앙으로 사회와 교회에 정착 할 수 있도록 도우며, 청소년들에게 관심을 갖고 북한이탈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개발에 힘써야 한다. 다음으로 대형교회들은 북한이탈주민들이 세운 탈북민교회를 재정과 재원으로 지속적으로 지원하여 이들이 마음껏 사역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많은 탈북민교회들이 재정과 재원의 부족으로 힘들어 한다. 이곳을 지원하는 것은 북한에 있는 교회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학교들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교육에 참여 하여야 한다.학교내에서 준비된 교사를 북한이탈 청소년전문교사로 육성하여 북한이탈 청소년들을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교육하며, 한국학교와 사회에 정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준비된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통일 한국의 주역이 되고 차세대의 리더가 되며, 북한선교의 핵심이 된다.

      • 국내 만트라 명상의 임상논문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미선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 In this study, a systematic review of the databases and journals published in South Korea regarding mantra meditation, which is currently being used as mind body medicine, was performed to analyzed trend of clinical trials of mantra meditation study. Methods : First, searching with the keyword "mantra meditation", 203 publications identified in 6 wed databases and Journals were sorted 28 publications to analyzed trend of mantra meditation study and 175 publications to excluded after screening of title and abstract such as not scientif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not related with mantra meditation, duplicate publication. Second, After excluding as 11 non-clinical trials publications after obtaining the full text, 17 clinical trials publications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is analyzed trend of clinical trials. Results : The analysis of 17 clinical trials publications to analyzed trend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showed that the research started in 2001 and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4. Number of studies for Mantra Meditation according to years is 1 case during 2001~2003, 16 case during 2004~2010. It was shown that mantra medit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various symptoms such as the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duction of the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of sexual-violence agent and the development of abilities of attention, selection, control, continuity.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Training Methods is 1 in 8 case, 2 in 1 case, 4 in 4 case, 5 in 3 case, 7 in 1 case.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duration is 4 weeks in 9 case, 5 weeks in 3 case, 6 weeks in 1 case, 7 weeks in 2 case, 8 weeks in 1 case, 10 weeks in 1 case. Number of studies of Mantra Meditation clinical trials according to controlled & experimented persons is 1~9 persons is 1 case, 10~19 persons is 7 case, 20~29 persons is 4 case, 30~39 persons is 4 case, 40~49 persons is 1 case. 본 연구는 심신의학 치료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명상법 중 만트라 명상에 관한 한국 저널에 게재된 논문의 동향과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해보고자 했다. “만트라”을 검색어로 하여 2010년 12월까지 게재된 논문 총 203편의 논문을 검색한 검색결과 중 본 연구대상이 아닌 것 175편을 제외하고 먼저 28편을 추출하여 동향분석을 하였고, 그 다음으로 비임상논문 11편을 제외하고 임상연구 논문 17편에 대해서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먼저 만트라 명상 연구논문 28편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2년부터 2009년 사이에 2~4편씩 발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 분야별로 살펴보면 교육심리학분야가 17편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수 있다. 다음으로, 만트라 명상 연구 임상논문 총 17편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2002년부터 2009년까지 7년간 약 2~4편의 연구논문이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별로는 중학생이 6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스트레스감소와 심리적 안정감, 그리고 주의집중력 논문이 13편으로 다른 연구 목적분야에 비해 많은 연구가 되었고, 연구기간 별로 살펴보면, 4주가 9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5주 3편과 7주 2편이었고, 임상집단과 통제집단 인원별로 살펴보면, 10~19명이 7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29명 4편이었으며, 만트라 명상 17편 모두 해당 임상 연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부작용에 대해서 보고된 논문은 없었다. 만트라 명상의 효과는 국내에서 발표된 연구결과를 보면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시작하는 단계여서 보완대체의학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대체적으로 많이 연구 되지 못하고 있는 편이므로, 질환별 연구 등을 포함한 질 높은 연구디자인으로 임상시험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대상자의 특성, 소요시간, 시행방법 그리고 다른 요법들과 병행한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하여 다양한 만트라 명상 프로그램이 고안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 분야의 다양성과 무작위 배정, 중도탈락, 조기종료 및 양측눈가림에 대한 설명 등을 보완하여 대조군 임상시험 연구의 방법적 질의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건강통제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to prevent NCD(Non-Communicable Disease) in Lao’PD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locus of control between health behavior and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needs factors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Data on 694 healthy people without NCD in Vientiane urban and rural were collected.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behavioral model (Anderson, 1995) add to health locus of control (Wallston et al., 1994). Measures of health behaviors were current non-smoking, low-risk drinking, physical activity, dietary behavior related to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egular medical check 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sobel test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in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8.03±4.92 (range 6-36), that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as 23.90±5.91 (range 6-36), that of doctors health locus of control 14.98±2.23 (range 3-18), that of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was 12.97±3.15 (range 3-18). 2. The average score of health behavior was 2.67±1.02 and women's score was higer than men's that. In the sub categories, women performed more than men in current non-smoking, low-risk drinking, physical activity. Higher education level was associated with higher dietary behavior and regular medical check up. The highest rate of low-risk drinking was Hmong-Mien in ethnic group. 3. The important variables positive affecting the score of health behavior were gender (women), education level (over high school education), ethnic (Hmong- Mien) of preposing factors. and social support, item ownership in household of enabling factors and overweight of needs factor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health behavior were posi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s,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were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fewer health behavior. 4.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partly mediated between the education level(over high school education) and health behavior.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a variety of factors in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needs factor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for promoting health behavior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 in low-middle countries. Above all, there is ne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as a mediator between education(over high school education) level and health behavior when planning and applying intervention to people living in low-middle countries. 전 세계적으로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및 암 등과 같은 비전염성질환 (Non-Communicable Disease, NCD)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저·중소득국가에서 높은 NCD 발생률과 사망률로 인해 가계의 부담과 국가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심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저·중소득국가 중 하나인 라오스지역의 건강한 주민들을 대상으로 NCD예방을 위한 건강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저·중소득국가에서 시행 가능한 근거기반의 중재 개발과 적용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며, 더 나아가 NCD관련 정책 및 관리체계를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라오스지역 주민들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통제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라오스의 수도인 비엔티안(Vientiane) 시(capital)와 주(province)에 거주하는 40-59세의 주민 중 고혈압, 당뇨, 심혈관계질환, 뇌혈관질환, 암과 같은 NCD를 진단받지 않은 건강한 사람 694명이다. 연구도구는 Anderson (1995)의 행위모델(Behavioral Model)에 따라 개인속성요인(연령, 성별, 교육수준, 민족, 배우자 유무), 가능요인(사회적지지, 가족수, 주관적 경제상태, 가정내소유자산, 고용상태, 지역), 필요요인(지각된 건강상태, 통증, 허약감, 피로 및 수면장애 유무, 고혈압,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측정하였고, 건강통제위는 다차원적 건강통제위 측정도구(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MHLC)를 이용하였다(Wallston et al., 1994). 건강행위는 금연, 절주, 신체활동, 과일 및 야채 섭취, 건강검진 실천여부를 점수화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교차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라오스지역 주민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 연령 48.93세, 교육수준은 무학 및 초등교육이 42.7%로, 민족 중 Lao-Tai가 85.2%로 가장 많았다. 사회적지지는 0-8점 중 전체 평균 1.87점으로 대체적으로 낮았으며, 과체중인 사람이 66.7%로 과반수 이상 차지하였다. 건강통제위 점수는 6-36점 중 내적건강통제위 28.03점, 우연건강통제위 23.90점, 3-18점 중 의사건강통제위 14.98점, 타인건강통제위 12.97점이었다. 2. 건강행위는 5점 중 평균 2.67점 이었으며, 여자가 남자에 비해 건강행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하위영역별 실천율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에 비해 현재금연, 절주, 신체활동 실천율이 높았고,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과일 및 야채섭취, 건강검진 실천율이 높았으며, Hmong-Mien에서 절주 실천율이 가장 높았다. 3.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속성요인, 가능요인, 필요요인과 건강행위간의 관계를 파악한 Model 1은 개인속성요인에서 남자(β= -.395, p<.001), 고등교육이상(β=.113, p=.012), 민족 중 Hmong-Mien(β=.201, p<.001)이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가능요인에서는 사회적지지(β= .083, p=.024)와 가정내 소유자산(β=.127, p=.001), 필요요인에서는 과체중(β= .113, p=.002)이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Model 1에 건강통제위를 투입한 Model 2에서는 내적건강통제위가 높을수록, 우연건강통제위와 타인건강통제위가 낮을수록 건강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건강통제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우연건강통제위가 교육수준과 건강행위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Z=-2.107, p=.03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개인속성요인은 성별, 교육수준, 민족이고, 가능요인은 사회적지지, 가정내 소유자산이고, 필요요인은 과체중, 건강통제위는 내적건강통제위, 우연건강통제위, 타인건강통제위이다. 이와 같은 요인들이 라오스지역 주민의 건강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라오스를 비롯한 저·중소득국가의 NCD예방 및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통합적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특히, 우연건강통제위가 교육수준과 건강행위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므로, 이를 활용하여 건강행위를 유도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및 중재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미선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verify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to promote undergraduat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so basic data can be provid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is, an online survey has been conduct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rom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299 answer sheets have been used out of 305 collected in total.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ve been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ve bee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e.g., sex, age, and grade) of undergraduate students’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overt narcissism has ha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compass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Third, three main variables including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had all significant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st and self-compassion the lowest. Fourth, six sub-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been recognized as self-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hree main variables with self-compassion the highest and cognitive flexibility the lowest, whil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had impact on covert narcissism the highest followed by cognitive flexibility, but not on self-compassion. Also, autonomy influenced the three main variables with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st and self-compassion the lowest, while environmental mastery affected covert narcissism the highest and self-compassion the lowest. In addition, purpose in life had significant impact on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st followed by covert narcissism, but not on self-compassion. And, lastly, personal growth influenced cognitive flexibility the highest, followed by covert narcissism, and self-compassion. The results described above suggest that undergraduat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significantly been influenced by all three variables including covert narcissism, self-compass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but relative effect size of the variables varied depending on sub-variables. Conclusively, this study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positive variable that would enhance self-actualiz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personality, emotion control, or cognitive variables that would ha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lso been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furthermore, information of counseling interven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strateg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has been provided. Hence,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hat it has contributed to realizing importance of cognitive flexibility above all, as well as cognitive and emotional regulation intervention that can change more easily comparing to other variables prior to trial of counseling intervention to decrease the level of covert narcissism which is one of the personality variables in counseling settings for undergraduat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주요 변인의 영향을 검증하고 상담 개입 방법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 지역의 4년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305부 중에서 총299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년)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주요 네 변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는 심리적 안녕감과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기자비와 인지적 유연성은 각각 심리적 안녕감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유연성,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순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주요 세 변인이 심리적 안녕감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심리적 안녕감의 첫 번째 하위요인 자아수용에는 자기자비,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유연성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두 번째 하위요인 긍정적 대인관계에는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유연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자기자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세 번째 하위요인 자율성에는 인지적 유연성,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네 번째 하위요인 환경에 대한 지배력에는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유연성, 자기자비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다섯 번째 하위요인 삶의 목적에는 인지적 유연성, 내현적 자기애 순으로 영향을 미쳤고, 자기자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 하위요인 개인적 성장에는 인지적 유연성,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인지적 유연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각 하위요인에 따라 주요 세 변인이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기실현적 성장을 위한 긍정적 변인으로서 심리적 안녕감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대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적인 변인, 정서조절 변인, 인지적 변인의 영향력을 함께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 내담자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상담적 개입과 전략 수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는 대학생 심리상담 현장에서 이들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을 위하여 성격 특성인 내현적 자기애의 완화를 위한 상담 개입에 앞서, 비교적 변화가 빠른 인지적, 정서 조절적 개입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인지적 유연성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계기를 마련한 점에 의의가 있다.

      • 인플루엔자 hemagglutinin의 범용 면역원성 및 방어효과 증진에 관한 연구

        이미선 배재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계절 인플루엔자 백신은 바이러스 항원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매년 새롭게 제작되어야 하며 유행되고 있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만 효능을 나타낸다. 이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주요 표면 항원인 헤마글루티닌(HA)의 가장 가변적인 부위인 head domain에 대해서만 특이적인 면역 및 방어효과를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면역을 유발하는 백신을 개발하는 것이 공중보건학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최근 연구에서는 동일한 아형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중화하는데 있어, HA stalk 부위에 특이적인 항체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중화와 비중화항체를 유도하기 위해 HA stalk 도메인의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기 위한 면역항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국내분리주인 H1N1pdm09(A/Korea/01/2009)의 HA 유전자를 면역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H1N1pdm09 바이러스의 HA 유전자를 pCAGEN 벡터에 클로닝 한 후, DNA 백신 후보(HA-Full 및 HA-Stalk DNA)를 제작하고 HEK 293T 세포에서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Balb/c 마우스의 근육 접종을 통해 인산 알루미늄(A.P)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은 HA full DNA(30㎍)를 투여한 결과, H1N1pdm09 바이러스뿐만 아니라, H5N1, H7N9 및 H1N1pdm09 HA stalk항원과도 HA와 반응하는 높은 HA 특이적 항체(IgG)가 유도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HA stalk DNA 면역 결과, HA full DNA에 의한 면역보다 약하지만, 동종 및 이종 바이러스에 대한 stalk 특이적 항체가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동형 및 이종 바이러스에 대한 기능적 항체 반응은 적혈구 응집억제 분석, 미세중화 분석 및 슈도바이러스 기반 중화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최종 백신 접종 3 주 후, 치사량의 동종의 [A/Korea/01/2009(H1N1)] 바이러스 및 다른 이형의 [A/Switzerland/ 9715293/2013(H3N2), A/Viet Nam/1194/2004(H5N1) 및 A/Anhui/1/2013(H7N9)] 바이러스로 공격 접종한 결과, 다른 이형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가나 혈구 응집역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H1 HA full DNA와 면역보조제를 함께 면역한 그룹에서는 치사량의 H1N1pdm09 (100%), H5N1 (100%), H3N2 (60%), H7N9 (100%) 인플루엔자바이러스로 감염하였을 때, 마우스를 효과적으로 보호하였다. 또한, 세포매개 면역반응 분석 결과, H1 HA full DNA의 면역으로 인해 마우스 비장 세포 및 폐 조직에서 강력한 IFN-γ가 유도되고 ADCC 활성 및 IgG2a 항체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1 HA full DNA 백신 후보물질의 면역으로 인해, HA 특이적인 ADCC 매개 항체뿐 아니라, 바이러스를 제거하고 치명적인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보호능이 있는 IgG2a 항체의 발현이 유도됨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H1 HA DNA 백신 후보물질은 중화항체와는 무관하게, 강력한 T 세포 면역반응을 유도하여 교차 방어능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통해 계절 및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광범위한 방어능을 유도하는 효과적인 백신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urrent influenza vaccines have effectiveness with narrow range since the neutralizing antibodies generated mostly strain specific region, which is the most variable globular head domain (HA1) of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HA). Thus, it is essential to develop vaccines that would induce broad and persistent immunity to influenza virus. Hemagglutinin is the major surface antigen of the influenza virus. Recent studies revealed the importance of HA stalk-specific antibodies in neutralization of heterosubtypic influenza virus strai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sign an immunogen that would focus the immune response on the HA stalk domain in order to elicit neutralizing and non-neutralizing antibodies. In this study, we designed H1 HA DNA immunogen derived HA gene from H1N1pdm09(A/Korea/01/2009) virus. The HA domain of H1N1pdm09 virus was cloned into pCAGEN vector to generate DNA vaccine candidates (HA-Full and HA-Stalk DNAs) and expressed in mammalian HEK 293T cells. Administration of full HA-DNA(30㎍) with or without alum phosphate (A.P) to balb/c mice through intramuscular route induced higher HA specific antibodies (IgG) which reacted with HA from H1N1pdm09, H5N1 and H7N9 as well as H1N1pdm09 HA stalk domain. While immunization of HA stalk domain DNA marginally induced stalk specific antibodies against both homo-and heterosubtypic viruses but to a lesser extent than full-length HA-DNA immunogen. And, functional antibodies were confirmed by hemagglutination inhibition assay, microneutralization assay and pseudo-typed virus-based neutralization assay against homo-and heterologous viruses. Three weeks after the final vaccination, the mice were challenged with lethal doses of homologous [A/Korea/01/2009(H1N1)] and heterologous [A/Switzerland/9715293/2013(H3N2), A/Viet Nam/1194 /2004(H5N1) and A/Anhui/1/2013(H7N9)] viruses. Although absence of microneutralization (MN) and hemagglutination inhibition (HAI) titer against heterosubtypic viruses, H1 HA full DNA effectively protected mice from lethal challenge with H1N1pdm09 (100%), H5N1 (100%), H3N2 (60%), H7N9 (100%) viruses respectively. Immunization with H1 HA full DNA induced potent IFN-γ in mouse splenocyte and lung tissue and stimulated either ADCC activity and IgG2a antibody expr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HA-specific ADCC mediating antibodies are induced by immunization with H1 HA full DNA vaccines and expression of IgG2a antibodies correlated with clearance of virus and increased protection against lethal influenza challenge. Collect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 H1 HA DNA vaccine that induces strong cross-reactive T cell responses can, independent of neutralizing antibody, mediate significant cross-protection and further supports development as an effective approach to induce broad protection against circulating and emerging influenza strains.

      • 신앙공동체 이론에 근거한 청소년 신앙교육 : 존 웨스터호프 Ⅲ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이미선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청소년 신앙교육은 청소년에게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기는 신체적, 인지적,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이 이루어지며, 그 중에서 자아정체성과 가치관 및 세계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하지만 오늘날 청소년 신앙교육은 학교식 교육 형태의 지식전달 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청소년 신앙교육의 실태는 신앙이 삶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탐구적 신앙을 향해 가는 청소년들에게 신앙교육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먼저 청소년의 이해와 특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청소년기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말하였다. 그럼으로 청소년기에는 지식전달 중심 교육이 아닌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앙경험과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청소년 신앙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신앙공동체 중심교육이 필요함을 논한 후 웨스터호프 신앙공동체 이론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신앙공동체 교육내용인 전통, 인간, 사회를 의식, 경험, 행동의 교육방법에 담아 제시하였다. 또한 웨스터호프가 제시한 4가지의 신앙 유형을 소개하고, 청소년기는 탐구적 신앙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임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웨스터호프의 신앙공동체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교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앙공동체 중심교육모델을 제시하여, 학교식 교육의 지식 전달이 아닌 다양한 영역의 신앙경험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 社會技術訓練을 基盤으로 한 集團統合藝術治療가 慢性 調絃炳 入院患者의 社會 適應技能과 임파워먼트 및 主觀的 安寧感에 미치는 效果

        이미선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 목적 :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가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사회 적응기능과 임파워먼트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 대상은 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정신장애 진단과 통계편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 DSM-IV) 진단기준에 의거 조현병으로 진단 받고 S시에 소재한 H정신재활전문병원에 입원중인 만성 조현병 환자 125명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72명을 선별하였으며, 이 중 48명의 환자를 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 대조집단 16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기간 동안 세 집단에서 중도탈락 된 대상을 제외하여 실험, 비교, 대조집단 각 12명씩 총 36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확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총 20회기의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비교집단은 주 2회 60분씩 총 20회기의 사회기술훈련만을 실시하였으며, 대조집단은 무처치하였다. 집단통합예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평가 척도로는 주관적 평가로 의사소통능력 척도(CCS), 임파워먼트 척도(ES), 한국형 조현병 환자의 주관적 안녕감 척도(KmSWN)를 실시하였으며, 객관적 평가로 자기주장 관찰평가 척도(AOES), 사회 적응기능 척도(SAFS), 입원환자 간호 관찰 척도(NOSIE-30)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와 입원병동 내 간호사가 평정하였다. 통계처리는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집단(실험, 비교, 대조)과 검사 시기(사전, 사후)를 반복측정변인으로 하는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통해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검사 시기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사후검증(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비교, 대조집단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과 임상적 변인 및 동질성 검증에서 의사소통능력 척도의 하위요인인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세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비교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의사소통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셋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 비교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각각 자기주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넷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비교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사회 적응기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다섯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간호 관찰에서 실험, 비교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각각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비교집단은 실험, 대조집단에 비해 긍정적 요소, 자극민감성 요인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여섯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집단이 비교, 대조집단에 비해 임파워먼트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일곱째,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실험, 비교, 대조집단이 주관적 안녕감에서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연구 결론 :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사회 적응기능과 임파워먼트의 일부 요인을 사회기술훈련보다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따라서 사회기술훈련을 기반으로 한 집단통합예술치료는 향후 만성 조현병 입원환자의 정신재활 프로그램으로써 유용한 개입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on communication, social adaptive fun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in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 Among the 125 patients who had been hospitalized in the H mental hospital in S city after being diagnosed with schizophrenia by psychiatrists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DSM-IV), 72 patients were selected by inclusion criteria and 48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n experimental group(n=16), comparative group(n=16), and control group(n=16). During this study, 4 patients from experimental group, 4 patients from comparative group, and 4 patients from control group dropped out. The final subjects of each groups were 12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followed a 60 minutes long social skill training based on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for twice a week and 20 times in total. The Comparative group followed a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only for 60 minutes twice a week for 20 times in total.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To assess the social adaptive function, empowerment, subjective well-being of the subjects,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CCS), Empowerment Scale(ES) and Korean Modification of Subjective Well-Being Scale(KmSWN) were used as subjective measuring. Assertiveness Observation Evaluation Scale(AOES), Social Adaptive Functioning Scale(SAFS), and Nurses' Observation Scale of Inpatient Evaluation-30(NOSIE-30) were also used as objective measuring that were rated by nurses or social workers at the mental hospital. One-way ANOVA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to check differences among groups homogeneity. Mixed ANOVA and Sheffe test were used to find the effect of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in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non-verbal communication of CCS among three groups in homogeneity test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Second,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communication of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mparative group, and that of comparative group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assertive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s. Forth,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ocial adaptive function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comparative group, and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more than the groups. Fifth,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NOSIE-30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more than control group. NOSIE-positive and irritability of NOSIE-30 in the comparative group was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ixth,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empower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more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and the control group. Seventh,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was found not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ubjective well-being in all of the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 The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based on social skill training is found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social adaptive function and empowerment of in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than social skill trai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 integrative arts therapy could be utilized as effective mental rehabilit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in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