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비교

        임익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그동안 이루어졌던 혁신학교의 성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북도 소재의 5, 6학년 학생 중 혁신학교 223명, 일반학교 350명 총 57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박경인(2010)의 척도와 김종배(2006)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초등학생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검사에 사용한 척도를 하위영역으로 분류하기 전 문항들이 어떤 요인으로 구성되어 잇는지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수업분위기, 학습동기, 학습활동의 영역, 교사 관계 및 교우 관계 영역에서는 교사관계, 교우관계, 수업 외 학교생활영역 에서는 인성, 생활지도, 교과 외 활동, 학교 환경의 영역으로 영역이 구분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설문결과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으며,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t검증을 실시하였고, 배경변인이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비교해본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활동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만족도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별로는 성적과 관련하여 하위영역인 학습동기에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거주지와 관련해서는 익산·군산, 읍면지역, 기타 시 순으로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둘째,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일반학교 학생들의 만족도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하지만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사제 관계 및 교우관계 영역에서는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차이가 없었다. 배경변인과 관련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인성·생활지도, 창의적체험활동, 학교환경 영역에서는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 직접적으로 혁신학교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그 외 영역은 차이가 나지 않아 혁신학교의 효과가 직접적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통계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통계결과 평균값을 살펴보면 혁신학교 학생들의 만족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이것과 혁신학교가 시행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미루어 보면 혁신학교의 효과가 드러나고 있는 과정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혁신학교 프로젝트는 학생들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앞으로도 진행되어야 하며, 더욱 확산될 필요가 있다.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 메타분석을 중심으로

        송효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의 차이를 다룬 국내·외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영재교육 연구에 대한 흐름을 정리하고 새로운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를 위해 1982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외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을 검색어(key word)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에 관한 70편의 연구를 수집하여 1478개의 사례로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메타분석 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V2)를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논문의 출처, 연도, 국가, 지역, 교육기관, 학교급, 학년, 영재학생의 영재판별도구, 영재영역에 따라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나타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에 관한 연구는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통해 상승과 감소의 차는 있지만 꾸준히 연구되어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이뤄져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적으로는 학술지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국가별로는 한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지역별로는 대도시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재연구대상은 영재전문연구원에 있는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재와 수학·과학 영재가 주로 연구대상으로 실시 연구한 논문이 많았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 결과 전체 긍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627, 전체 부정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31, 전체 중립적인 평균 효과크기는 .301으로 나타났다.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비교 연구에 미치는 전체 긍정적인 평균효과크기의 값은 통제집단 분포의 73%에 해당하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부정적 63%, 중립적 61%를 보았다. 변인별로 살펴보면 먼저, 지능의 효과크기는 1.106, 학업성취의 효과크기는 1.235, 창의성의 효과크기는 .741의 순으로 Cohen (1988)의 효과크기의 기준에 의하면 지능, 학업성취에서 평균 효과크기는 매우 높은 수준이며 창의성의 평균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인지적 특성의 비교 결과(.434)는 작은 효과 크기를 나타내어 통제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산출하였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정의적 특성에 관한 평균 효과크기 분석 결과,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에서는 509개의 사례에서 .498의 작은 평균효과크기의 값을 나타냈다. 반면에, 부정적인 심리적 특성에 따른 275개의 사례에서 -.289의 부적효과 값을 보여 영재학생은 일반학생보다 긍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 더 높은 값의 결과를, 부정적인 정서건강 특성에서는 더 낮은 값의 결과를 얻었다. 넷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리더십 차이에서는 영재학생의 영재영역별에 따른 사례(37개)를 통해 1.011의 큰 효과크기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리더쉽 특성에서 큰 차이가 있다는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지적, 인지적, 정의적, 리더십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과 국가의 발전, 국가의 미래와 장래가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영재교육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 비추어 볼 때, 영재교육을 계획할 때에는 각 영역별 영재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그 능력을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심리적· 환경적 조건을 제공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수목원·정원 내 분재원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 및 유지관리 매뉴얼 개발

        김종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find the bonsai maintenance manual that is readily available to ordinary bonsai people and reasonable management operation of the bonsai gardens in the arboretums and gardens registered in the Korea Forest Service.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general status of bonsai gardens and whether visitors'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which elements among facilities, growth management and managing the type of trees. For bonsai managers and visitors, it was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by comparing and analyzing between survey on the management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usage pattern & satisfaction level. The ultimate goal is to present a new management manual afte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nager survey data and the management items presented in the previous theory on bonsai management. To achieve these study objectives, the operational status of each bonsai garden was divided into public, private and personal, and figured out annual management processes based on the representative tree types. In additi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nagers and users,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bonsai users were analyzed and revealed its characteristics. The data us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processing was a total of 535 copies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11 operators (5 public arboretums, 3 private arboretums, 3 personal gardens) who are operating the bonsai gardens and the average area of the bonsai gardens in the personal gardens is the largest at 11,387㎡. The total area of the bonsai gardens in the study is 48,873㎡, accounting for only 0.9% of the total arboretum area of 531.9 ha, but it is equipped with 3,898 bonsai trees (1,819 evergreens, 2030 deciduous trees, 28 vines, and 21 herbs) and automatic house facilities. The physiognomy of bonsai is greatest with 52.1% of deciduous trees and retained tree types are dominated by curvature (2,651 trees, 68%) without any differences in the physiognomy of bonsai. The shape of the pollen is most commonly used with an elliptical shape that matched the bonsai tree types Visitors' satisfaction level i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mportance of facilities, growth management and managing the type of trees. Specifically, the importance of facility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importance of growth management and managing the type of trees, and the importance of growth management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mportance of managing type of trees. Also, the higher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type of tre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using the bonsai garde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facility manage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on user satisfaction level,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by growth management and managing the type of trees, which is a mediator variable, the importance of facility management has a direct effect on the importance of the growth management, while the importance of the growth management shows t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type of trees and indirect effect on the user satisfaction level. In other words, the importance of growth management had no direct effect, but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type of bonsai trees is used as a medium to affect user satisfaction,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the type of trees has a direc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s managing the type of bonsai tre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ated elements of user satisfaction of bonsai garden,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analyze the annual bonsai management process period, which is the standard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bonsai tree types, based on the bonsai theory and the site of bonsai gardens. According to the survey, the five representative species of trees preferred by users of bonsai gardens are pinus densiflora, juniperus chinensis, acer palmatum Thunb, chamaecyparis obtusa, and taxus cuspidata. Analysis of the timing of the bonsai management process based on them shows that the common matches are the timing of the pest control and layering and that the work that does not coincide is the pruning period. The annual work process for each species of trees shows that for pine tree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heory and the site's process for about wire rack and the skeleton framework and considering many things, it is thought that January-April, the working period of the site, is more appropriate. In the case of juniper, cuttage, repotting and pruning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generally, the working times of the site are reasonable. Maple trees are appropriate to follow the presentation of the theories when there is a few works that can be individually managed, and it is better to follow the work process in bonsai gardens that is scaled up. However, the timing of fertilization is better in the management of the growth following the process of the theory. The process of cypress should be established to reflect the management method of juniper that is the same Cupressaceae, due to the insufficient theoretical establishment for now. Finally, in case of exus cuspidata, the process of multiplying/ dividing/ wire rack/ framework is recommended to be performed on site, and the timing for the pruning of branches/pulling off and thinning of the leaves is desirable as shown in the theoretical paper.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present a reasonable management process for all bonsai tree types that reflect the timing of work at the site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theory.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duce results on how the visitor's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which parameters, in the aspect of the research on the working process of the growth and tree type management and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bonsai gardens,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meantime. However, there were various limitations in observing and analyzing the bonsai management on site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future, the research on various theoretical verification of bonsai, management techniques on site, and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process of a wider range of bonsai tree species is to be continued.

      • 다중 처리군에서 성향점수 가중치 방법의 비교

        김은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관찰연구에서 처리효과 추정치는 공변량 불균형의 영향으로 인한 편향이 발생한다.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 및 매칭 가중치와 같은 성향점수의 가중치 방법은 추정치의 편향을 줄일 수 있다. 다중 처리군의 경우에는 성향점수를 확장한 일반화 성향점수 방법이 제안되었다. 주로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시 다항 로지스틱 회귀 모형이 사용되며, 가중치 방법에도 적용되었다. 그러나 표본 크기에 비해 공변량이 너무 많거나 정규성을 가정할 수 없는 경우, 모수적 방법인 다항 로지스틱 회귀의 치료효과 추정치는 편향이 발생 할 수 있다. 반면 일반화 부스팅 모형은 비모수적 방법과 같은 문제에 적합하다. 또한 대용량 데이터에서도 잘 구현되어 최근에는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에도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의실험을 통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 모형과 일반화 부스팅 모형에 의해 추정된 일반화 성향점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역확률 가중치, 중복 가중치와 매칭 가중치의 소표본 속성을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처리 또는 결과 모형이 선형인 경우에만 다항 로지스틱 회귀 방법은 편향과 MSE가 작았으며 CP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화 부스팅 방법은 모형의 선형 여부에 관계없이 편향, MSE와 CP는 일관된 결과를 보였으며, 처리 또는 결과 모형이 비선형인 경우에는 다항 로지스틱 회귀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가중치 방법은 전반적으로 매칭 가중치, 중복 가중치, 역확률 가중치 순으로 우수한 성능 보였다. 매칭 가중치와 중복 가중치는 일반화 성향점수 추정 방법에 따른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역확률 가중치는 일반화 부스팅 모형으로 추정할 경우 성능이 더 좋게 나타났다. In observational studies, the treatment effect estimates are often biased by the impact of covariate imbalances. The propensity score weighting methods such as inverse probability of treatment weights(IPW), overlap weights(OW) and matching weights(MW) can be used to reduce the bias. In the case of multiple treatments, the propensity scores are extended to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They have been estimated most often b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MLR) and used for weighting methods. However, MLR, which is a parametric methods, may cause bias in the estimate of treatment effect when there are too many covariates for the sample size or when normality cannot be assumed. The generalized boosted models(GBM) is robust to such problems as a nonparametric methods and also implemented well in very large size of data so that it is recently adopted for the estimation of GPS. In this study, we compared small sample properties of generalized propensity scores estimated by MLR and GBM and three weighting methods(IPW, OW, MW) based on these scores through simulations.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e MLR had small bias and MSE, and CP was close to the specified value only when log-odds of the treatment or outcome was linear in covariates. The GBM, however, showed consistent results regardless of the models specification in bias, MSE and CP, and performs better than the MLR as both treatment and outcome models are non-linear. The weighting methods showed good performance in the order of MW, OW and IPW. MW and OW showed similar results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propensity score estimation methods, and IPW performed better when estimated using the GBM.

      • 중국 농촌 아동의 피학대 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양채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reaearch concentrates on the abusing problems of children in rural areas, sa well as examines that whether such mistreatment would affect the adjustment of school life tha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olitical senses of supporting Chines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is presented via this thesi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thing purpose, the research selected totally 248 students from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middle school in PingLu County, ShanXi Province of China, as the target individuals of the survey. The result of data analysis is shown as below. First, the children that had the experiences on emotional abuse were the most numeral ones among the survey. Second, female and the left-behind children were exposed to sexual and physical abuse much more seriously than males and ordinary ones respectively. The children whose families had intermediate economic status showed the lowest proportion on corporal punishment, while the figure of the children in poverty was much higher than those with good economic statue. Third, the result o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chool-adjustment demonstrated that the adjustment of study and the intimacy with teachers reduced while their grades were rising. Additionally, the intimacy rate of female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males. Fourth, it is result that juvenile mistreatment impacted the competence of school-adjustment passivelt. While looking into each academic aspects, it was identified that the studying activity rat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the relationship of companion reduced with the rise of neglect and physical punishment oint, as well as the intimacy with teachers declined with the upward of neglect point. Based on such researching resul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nd ensure the educational problem involved in juvenile maltreatment for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Chinese reral regions. Furthermore, allocating the facilities being able to trend the children after school and organizations that can provide the support on education and protect the children living in countries are essential.

      •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주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이 아동의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있는 초등학고 3곳의 4 ~ 6학년 아동 239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해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Adolescence Communication Inventory)를 장영수(2008)이 아동에게 맞게 수정·보완한 자녀용질문지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정서표현을 측정하기 위해 Hal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 Fo(1995)가 개발한 정서표현 척도(Self-Expresiveness in the Family Quetionnaire)를 김호정(2001)이 수정·보완하여 내적합치도와 구인타당도 검증을 거치고, 학령기 아동에게 적합하게 재구성한 김민서(2019)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기본심리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Chen 등(2014)이 개발한 기본심리욕구 만족, 좌절 척도를 한국 아동의 발달, 문화적 특성에 맞게 개발하고 내용타당도와 구성타당도, 변별타당도가 보고된 권미나(2018)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연화(200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3.0 Program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t-test, ANOVA검정,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긍정적 정서표현을 높게지각하고 있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을 낮게 지각하고 있었다.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별로 살펴본 결과 관계성 만족, 유능성 만족, 자율성 만족 순으로 높았으며, 자율성 좌절이 상대적으로 높고 유능성, 관계성 좌절 순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행복감을 살펴본결과 인지적 행복감보다 정의적 행복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정서표현,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ANOVA 분석 결과, 생활수준과 성적에 따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에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생활수준, 성적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생활수준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만족과 좌절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관계성 만족, 자율성 좌절, 유능성 좌절, 관계성 좌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 관계성 만족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에 따라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적에 따라 자율성 만족, 유능성 만족, 유능성 좌절, 관계성 만족 관계성 좌절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정서표현, 아동의 행복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긍정적 정서표현과 아동의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가 지지적인 의사소통과 행복, 고마움과 같은 긍정적 정서를 표현하면 아동의 행복감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부정적 정서표현과 아동의 행복감은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가 화, 짜증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면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와 행복감 간의 상관분석 결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만족과 행복감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즉, 아동이 스스로 선택하며, 유능감을 느끼고 또래관계에서 소속감을 느낄 때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좌절과는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타인에 의해 선택하며, 무력감과 또래관계에서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면 아동의 행복감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넷째,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인 유능성 좌절, 유능성 만족, 관계성 만족, 자율성, 만족,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아동의 행복감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아동 스스로 자신의 일을 선택하며, 자신이 하는 일에 유능감을 느끼고 또래관계에서 소속감과 친밀감, 즐거움을 느끼며 기본심리욕구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만족될 때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어머니가 자녀에게 기쁨, 고마움과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할 때 아동의 행복감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부모교육을 통해 화나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표현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아동의 긍정적인 정서를 갖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전라북도 근ㆍ현대 화단형성과 전시공간의 변화연구

        김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에서는 근ㆍ현대 전라북도화단의 형성과 발달과정, 전시공간의 생성과 변천과정을 구체적으로 연구해보고, 내용의 선별ㆍ조사를 통해 그 흐름을 연구하여 전라북도의 미술활동 일부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석ㆍ박사 논문, 학회지의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정기간행물, 전문서적, 신문 등을 근거로 문헌연구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부족한 부분은 생존 작가들의 면담과 녹취자료로 보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전후로 서본원사, 동본원사, 본원사 등 ‘종교공간’과 학교, 공회당 등 ‘공공(公共)공간’의 전시공간이 부족했던 시기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둘째, 6.25전쟁 후에 생겨난 미국공보관을 통해 기간시설 파괴와 불안정한 정치적 상황 등 시기적으로 어려운 상황에도 전북화단의 열정과 욕구를 알아볼 수 있었다. 셋째, 1954년 전라북도공보관, 다방, 예총회관, 월담미술관의 백제화랑을 통해 주요 전시공간이 ‘공공(公共)공간’에서 시작되어 ‘사적(私的)공간’으로 이동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부족한 전시공간이 필요에 의해 확장되어 진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시공간의 활발했던 배경으로 전북화단을 흐름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풍요로운 물산을 바탕으로 유학에 뿌리를 둔 선비 작가군이 있다. 이들은 주로 사승관계를 통해 발달하였으며 남종문인화(南宗文人畫)를 고수 하였고 일제강점기 굴하지 않는 기개를 통해 민족정신을 드높였으며 전북화단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고 화목은 주로 사군자를 그렸다. 둘째, 교육기관을 통한 화가군이 있다. 이들은 학교를 통한 공교육기관과 서화소, 연구소 등으로 대표되는 사설교육기관으로 나누워져 있으며 본격적인 개인전, 단체전 구성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전북화단의 활기를 불어 넣는 한편 중앙화단으로 이름을 알렸다. 공교육기관 화가의 시작은 대체로 일제강점기 1937년 설립된 전주사범학교의 일본인화가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이들은 광복전후 꾸준하게 활동을 하였다. 1950년대를 전후로 본격적으로 대학을 통한 전문적인 미술교육을 받은 화가가 활동하였으며 도내에는 1970년 원광대학교 미술교육과, 1973년 전주대학교 미술과, 군산전문대(현 서해대학교) 생활미술과, 1981년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미술교육과가 신설되어 전북화단의 두꺼운 화가층과 다양한 화목을 형성해 주었다. 셋째, 군산 서화연구소, 전주 동광미술연구소 등 사설교육기관 출신 화가는 일제강점기와 광복전후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체로 사승관계를 통해 작가군이 형성되었고 선비 화가군과 대학출신의 공교육 화가군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 도시농업 운영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혜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With a view to actively vitalize urban agriculture,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various policies and systems to promote urban farming and, as a result, has achieved quantitatively great growth of i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urban farming manage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urban agricultural management was conducted with the experts of urban farming and the general public participating in it. In the survey, perception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o explore the ways of promoting and vitalizing urban agriculture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o the query of the survey how they perceive urban farming, 45 respondents (31.0%) replied that they became acquainted with urban agriculture by recommendation of their acquaintances and 93% answered that they felt it necessary. Of the respondents, the biggest number of 65 (50.4%) answered they actually needed urban agriculture, and 101 were already aware of the certificate of urban farming manager. Among them, a relatively high number of 48.5% learned it through the education of urban farming. Byeong-nam Son (2012) once argued that the will as well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urban agricultural education and to engage in actual urban agricultural activities have exercised positive impacts on the determination to return back home for farming. His claim is thus consistent with the above findings and, in fact, there is a high degree of interest in certification of urban farming managers. Taking into account that the scope of urban agriculture was expanded following the amendment of the ⌜Act on the Promotion and Support of Urban Agriculture⌟ dated March 21, 2017 which included cultivating insects, rearing bees and growing flowers and trees as crops in line with the change of perception of urban agriculture thanks to education about it, specializ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urban agricultural experts is deemed inevitable. Moreover, it is thought required to improve the policy plans in such a public-private cooperative manner instead of administration-centered one so that privat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can cooperate i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detailed programs for education of urban agriculture. Second, as for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urban farming management on the part of the general public, it was found that general people participated in urban farming as an individual mainly on recommendation of the acquaintances and the urban farming was highly aware of in the residential area of middle and small cities. The harvested crops from urban agriculture were consumed either by self or shared by acquaintances, the survey showed. It was also confirmed that crops such as lettuce, red pepper, etc. which are easily available for use as safe food material were grown for family, personal accomplishment and leisure activities as well. Heung-mo Yang (2011) pointed out that urban agriculture could contribute to constructing green infrastructures by creating green spaces of various types, and stressed that urban farming is important for supply of safe food, restoration of damaged ecosystem, mitigation of global warming and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ccording to the survey of satisfaction with urban agricultural management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it turned out necessary to switch our recognition to the concept of garden farm as part of our efforts to improve such environmental issues as air pollution, climate change. etc. although there is a consensus in the issue of safe food. Third, with regard to the experts'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urban agricultural management, it was revealed that 30% of experts are in their 40s, 50s or older with less than 3- to 5-year experience. They became aware of urban agriculture through education and expended about 30 minutes to one hour for farming. The size of their garden farm is larger than 20 square meters, which is bigger than the average size of 10 square meters of general people. It was also known from the survey that experts mostly utilize their private garden farm and that the higher their education level is, the more they prefer the farm garden which is offered for sale by public organizations. As for preference to urban agriculture, the school farm of education-at-school type was most highly preferred in ratio. Dong-gwan Lee (2013) asserted that the mostly preferred activities include participating in urban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planting and farming in urban areas to improve landscape. He also argued that the benefits of improving children's eating habits and children's learning nature through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could lead to increased interest of the parents in and satisfaction with the urban agriculture. Even though this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the survey concerning awarenes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urban farming, it is believed that priority shall be given to making green school by improving the issues of fine dust and air quality in the classroom since the school farm of education-at-school type might play a profound role in vitalizing the urban agricultu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might hopefully be used as quality data for development and study of urban agr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for improving management of and satisfaction with urban agricultur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re is a limit in spreading the positive function of urban agriculture to the new service sectors where plural values are combined with various working places, not merely by offering jobs, aggressive and sustainable measures should be worked out to create a variety of jobs as well as to develop and utilize urban agriculture to the full in the future.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다양한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도시농업을 추진하고 있고 많은 양적성장을 이루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농업 운영의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로서 도시농업전문가와 도시농업에 참여하고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현재 운영 중인 도시농업 운영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인식차이 비교를 통해 향후 도시농업의 추진방향 및 활성화에 대한 것 방법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도시농업을 알게 된 동기는 ‘지인의 권유’가 45명(31.0%), 도시농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3%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도시농업이 필요한사람은 일반인에 65명(50.4%)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으며,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에 대한 인지도는 101명이 알고 있었으며, 그중 도시농업의 교육을 통해 알게 된 경우가 48.5%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손병남(2012)은 도시농업교육참여 의사와 도시농업 활동 참여의사가 귀농·귀촌을 결정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서 위의 조사내용과 일치하며, 또한 도시농업관리사 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높았다. 도시농업교육을 통한 인식 변화 따라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 2017년 3월 21일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에서 농작물의 재배에서 곤충사육, 양봉, 화초, 수목 재배포함으로 도시농업의 영역을 확대시킨 점을 살펴 볼 때, 도시농업 전문가과정교육프로그램에 특성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행정중심이 아니라 민관협력 형태의 운영방안이 모색되어 교육과 세부프로그램의 개발에 민간기관 및 단체의 교육기관 운영하도록 정책방안을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일반인의 도시농업 운영 인식 및 만족도에서는 일반인은 주로 지인의 권유로 개인적 차원에서 도시농업의 참여하였고, 거주 지역에 따라서 중·소도시 이상의 지역에서 도시농업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고, 도시농업을 통해 수확된 수확물의 경우 자가소비 및 지인 나눔으로 소비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개인적인 성취 및 여가 활동과 가족의 안전한 먹거리 확보를 위한 상추, 고추 등과 같이 접근성이 용이하고 식자재사용가능한 작물을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양흥모(2011)은 도시농업은 다양한 형태의 녹색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녹색인프라구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안전먹거리의 공급과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 및 지구온난화의 완화와 도시열섬현상의 저감을 강조하였다. 이에 조사된 도시농업의 운영의 만족도 조사로 보면 안전먹거리에 대한 부분은 일치하나 대기오염, 기후 변화 등의 환경문제 및 개선사항으로 향후 텃밭정원의 개념으로 인식 전환되어지는 계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전문가의 도시농업 운영 인식 및 만족도에서는, 전문가의 경우 3∼5년 미만의 40,50대 이상이 30%의 많은 비율로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었으며, 교육을 통하여 도시농업을 인지하였고, 30분에서 1시간 정도의 시간을 소요하여 활동하였다. 텃밭의 운영으로는 텃밭의 규모가 일반인집단 10 ㎡ 텃밭규모 비하여 20㎡이상으로 크고 주로 개인텃밭을 활용하였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기관 분양 텃밭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문가 집단의 도시농업에 대한 선호사항은 스쿨팜과 같은 학교교육형 텃밭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동관(2013)은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가 활동과 경관 향상을 위한 도심 내의 식물 및 경관 작물 심기 등의 활동을 선호하며 친환경 농산물을 통한 자녀의 식생활 개선과 자연학습 효과 등의 이점이 도심내의 자녀를 가진 부모의 관심증대와 도시농업으로 만족도로 이어 진다고 주장한다. 이에 도시농업의 인식 및 만족도에서 조사와 일치한다. 하지만, 스쿨팜(School fram)이나 학교교육형 텃밭이 도시농업활성화의 큰 역할을 하게 되는데 그보다 그린 스쿨이 되어 미세먼지와 교실내공기질이 개선되는 것이 먼저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도시농업의 운영 및 만족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도시농업의 교육의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를 위한 양질의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한 일자리 창출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일자리제공 개념이 아닌 다원적 가치 영역과 일자리가 결합된 신서비스 창출로 도시농업의 순기능확산을 위한분야의 개척이 되고 있지 않은 한계점이나, 향후 도시농업에 발전과 활용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대책마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고 사료된다.

      • 복지국가의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개인 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형관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에서는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규명함에 주로 제도주의 및 복지체제 이론에 초점을 두어 복지체제 혹은 국가의 제도적 맥락이 국가간 복지태도 차이의 주요한 맥락임을 논의하였다. 그렇지만 경험적 분석들에서의 결과는 이에 부합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여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초점에서는 복지태도를 복지체제간 고정적이고 안정적인 태도로 규정함으로 인해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대한 체계적인 시각을 제공해주지 제한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제한성으로 인해 일부 연구들에서는 거시경제상황을 주요 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하였지만, 대체로 정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거시경제상황들의 영향이 일관되게 산출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종단적 관점을 적용한 연구들에서는 적은 국가 사례 수와 짧은 분석 기간으로 분석결과의 신뢰성과 일반성에서 일정한 제한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에서는 복지태도와 거시적 맥락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단면적인 관계로 가정하고 분석하여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이 모든 개인 및 국가들에 일면적으로 적용되는 양상으로 해석하고 있어 다각적인 시각을 제공해주지 못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구 복지국가들의 복지태도 차이 및 이의 발생 맥락에는 거시경제상황의 변화가 적극 관련되어 있을 뿐 아니라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이 일면적인 차원에서 복지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아닌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관련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들에서 주로 논의되고 있는 개인특성 및 국가특성의 관련 이론들을 검토하고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이후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거시경제상황과 개인특성 및 복지체제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반영한 연구문제는 크게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이 복지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과 복지태도의 관계에서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서구 복지국가들의 거시경제상황과 복지태도의 관계에서 복지체제의 조절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WVS와 EVS 자료를 1990년부터 2013년까지의 24년간 자료를 결합하여 총 19개 서구 복지국가들의 71개 국가 사례를 확보하고 국가특성의 거시자료를 관련 통계자료를 통해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복지태도로 ‘소득재분배 태도’와 ‘복지 정부책임성 태도’ 의 두 문항을 각각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국가특성의 거시경제상황 변수들인 경제성장, 실업수준, 인플레이션, 경제수준, 불평등수준을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다. 조절변수로는 개인특성의 성별, 연령, 소득계층, 결혼지위, 고용지위, 정치이념성향과, 국가특성의 복지체제를 주요 변수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문제에 대한 규명은 위계적일반선형모형(HL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은 복지태도에 체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득재분배 태도에는 경제성장률과 불평등수준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복지 정부책임성 태도에는 실업수준과 불평등수준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지태도의 개념적 수준과 차원에 따라 거시적 맥락의 영향이 일부 상이하여 복지태도의 측정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태도가 복지체제나 제도와 같은 구조적 양상에 의해 일시적으로 확인되는 현상이 아닌 거시경제상황의 변화에 따라 복지태도가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는 변화가 미약하고 고정적이며 안정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제도주의 관점의 논의와는 상반된 분석결과로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주목한 분석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준다. 둘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개인특성인 사회집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태도와 거시적 맥락의 영향을 단편적이고 일면적으로만 규정하고 분석하였던 선행연구들의 접근이 제한적임을 제기하여 주는 바,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측면에서 거시적 맥락과 개인특성의 상호영향에 대한 분석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셋째,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에 미치는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복지체제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복지체제를 독립변수로만 활용하였던 선행연구들의 접근에 제한성을 보여주는 바로,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복지체제의 조절변수로써의 활용이 적극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하여 준다. 아울러, 서구 복지국가들에서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사회구조적상황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도 적극 규정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어 거시적 맥락간의 상호영향에 대한 분석접근이 필요함을 환기하여 준다. 본 연구는 복지태도의 가변성에 주목함으로써 복지국가에서 복지태도 결정에는 거시경제상황들에 의해 적극 규정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존 복지태도 연구의 주류적 관점인 제도주의 혹은 복지체제 이론의 제한성을 극복하였다는 학술적 성과를 거두었다. 아울러, 복지태도에 거시경제상황의 영향은 모든 개인 및 국가에서 동일하게 적용되는 양상이 아닌 개인특성인 사회집단에 따라 그리고 복지체제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되는 양상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복지국가들에서 복지태도의 차이와 이의 발생 맥락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시수준과 거시수준 혹은 거시수준간에 상호작용을 토대로 이해해야 함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한국 사회에 제공하는 정책적 및 정치적 함의로 복지정치의 전개 양상을 파악함에 거시경제상황 변화에 대한 주목이 필요하며, 복지정치의 역동성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복지국가 발전을 위해서는 거시경제상황에 따른 복지국가 및 복지정치의 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welfare attitudes are affected by varying macroeconomic conditions, which then are modera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elfare regimes in the Western welfare states. Previous studies are largely preoccupied with institutionalism and welfare regimes theory in identifying different welfare attitudes. Welfare regime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considered as major factors but findings so far in those studies do not correspond to empirical data. In this focus, the welfare attitude is defined as a fixed and stable attitude among welfare regimes, which limits the systematic view of the variability of welfare attitud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his previous research, some studies attempted to analyze the macroeconomic situation as a major variable.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are analyzed from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an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inconsistent. And some studies using the longitudinal viewpoint have limitations on the reliability and generality of the analysis results due to few country cases and short analysis period. Furthermore, most studies assum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welfare attitude and macro-contexts is one-sided, and the effects of macroeconomic conditions are applied to all individuals and countries as well. Thus, this study not onl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welfare attitudes by focusing on macroeconomic conditions, but also particularly examining the moderate effec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elfare regimes This study has three research questions : First, how does the macroeconomic conditions affect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Second, how does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welfare attitudes of Western welfare states? Third, how does moderating effects of welfare regimes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welfare attitudes of Western welfare state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used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to analyze the World Values Survey(WVS) and the European Values Study(EVS) which combined cross-national and micro datasets. This study included 74,103 individuals based on 71 datasets(from 1990 to 2013) from 19 Western welfare states. Two items in particular from the surveys—Income Redistribution Attitude and Welfare Government Responsibility Attitude—a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representative of national level are some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real GDP, unemployment rate, inflation, GDP per capita and Gini coefficient. Moderate variables are classified into individual level—gender, age, income class,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political ideological—and welfare regimes of national level.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croeconomic conditions have systematically affected welfare attitudes in the Western welfare states. Especially, income redistribution attitudes was influenced by real GDP and Gini, and welfare responsibility attitudes by unemployment rate and Gini.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lfare attitudes are affected by fluctuating macroeconomic conditions rather than identified by fixed structural patterns such as welfare regimes and institutions. It is justified, therefore, that I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the dynamics, rather than stability, of welfare attitudes, and relativize the institutionalism approach. Second, the effect of macroeconomic conditions on welfare attitudes in Western welfare states varies among different social groups which featu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evious approaches in which macroeconomic factors are defined one-dimensionally are clearly limited;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interactions between macroeconomic contex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fully grasp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rd, it is found that the welfare regimes is another factor in shaping welfare attitudes under various macroeconomic conditions in Western welfare stat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are clear in this regard as they take the welfare system as an independent variable. Rather, I should use i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our analysis of welfare attitudes. Social and structural features like the welfare regimes interact with macroeconomic changes and they affect one another while both shaping welfare attitudes. I need to adopt a more nuanced and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order to fully identify the pattern of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s study contributes to widening methodological basis for studying welfare attitudes in that it attends to its dynamic character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macroeconomic conditions. The mainstream approaches hitherto preoccupied with institutionalism and welfare regimes theory can now be supplemented by a more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In analyzing welfare attitudes in welfare states, this study provides a fresh insight into the interactions between micro level and macro level or among macro leve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in analyzing and proposing welfare policies in Korea, which have been critically affected by macroeconomic conditions. Strategies for welfare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of welfare state in Korea can be laid out with a proper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macroeconomic and welfare culture.

      • 기계층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나물콩의 생리활성 및 식품 적용

        김인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647

        To expand the utilization of domestic sprout soybeans that can not be used as sprouts, among the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present in sprout soybeans, the conversion to aglycone, a physiologically active form of isoflavone which acts as a vegetable estrogen,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mushroom mycelium. Irpex lacteus mycelia, which showed fast activity and relatively high level of isoflavone bioactive conversion in sprout soybean liquid medium, was used as a spawn for a sprout soybean solid culture. Beans were treated with steaming(SS), germinating(GS), roasting(RS) and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10%(v/w) for 20 days to enhanc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ir sprout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flavonoids, isoflavone, and DPPH(2,2-diphenyl-1-picrylhydra 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ermented bean were examined every 5 days for 20 days(25℃, 80%). For the application to food, free amino acid, β-glucan contents, antioxidative activity by luminol method, and cytotoxicity were measured for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on the 5th da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milk were investigated using sprout soybeans powder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The total phenolic, flavonoid, isoflavone,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ermented bean preparation were examined every 5 days for 20 days.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SS, GS, and RS preparations was 9.61, 10.23, and 10.46 mg/g, respectively, after 15 days of fermentation. These concentrations were approximately 4-5 folds higher compared to initial level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2-4 folds higher than initial levels. Of all the treatments, the isoflavone content was highest in the RS sample(6.84 mg/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as increased 2-8 folds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Antioxidant activity components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of I. lacteus mycelia irrespective of soybean treatm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antioxidant activity(DPPH) and total phenol content(TPC) was highest in all the treatments. The β-glucan contents of 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as increased 4∼5 folds after 5th day of fermentation, SS(3.16%), GS(3.11%), and RS(3.20%). Free amino acids were detected 23 specie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ntents according to processing method, amino acid contents of the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 increased from 5.69 mg/g to 19.11 mg/g(SS), from 5.68 mg/g to 18.91 mg/g(GS), from 4.16 mg/g to 23.57 mg/g(RS). Volatile components were identified by Puge & trap method, SS isolated forty fractions, S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SSF) isolated forty one, GS isolated forty fractions, G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GSF) isolated forty five, RS isolated twenty-five fractions, R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after 5th days(RSF) isolated thirty fractions. Volatile components of sprout soybean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decreased the ratio of 2-ethyl furan to n-hexanal, 1-hexanal, propanone, propanol and benzaldehyde by fermented mushroom mycelia, 1-octen-3-ol, 3-octanol and 5-undecene, which are typical fragrance components of mushrooms, were increased. Cell viability rate(%) investigated inhibitory effect on HT29 cell,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 and HepG2,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in CCK-8 assay of sprout soybeans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Cell viability rate(%) in HT29 cel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lank. Cell viability rate(%) in HepG2 cell were higher than that of blank. In general, the inhibitory effect on HT29 cell of sprout soybean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ere confirmed in all samples, and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Soymilk was manufactured adding sprout soybean powder fermented with I. lacteus mycelia, which was determined to be adequate in terms of isoflavone contents and sensory testing by the 7 point scale method(P<0.05), with a 10% powder add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expected to use of I. lacteus mycelia as a new material of mushroom mycelium which gives fast growth, increase of physiological activity and change of volatile components in sprout soybean media.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media for inoculation in the sprout soybean solid medium was obtained by inoculating a mycelium 10%(v/w), which was activated in the liquid medium for the secondary time, and cultured at 25℃, 80% for 5 day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soybeans was higher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test by applying the mycelium to the different processing methods(steaming, germinating, and roasting) of the soybeans. More researches of the activity of various enzymes in I. lacteus mycelia such as how to apply the processing method to food materials are needed. In addition, the future research in the application to various foods and the toxicity test for normal cells will be also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