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팜 기술을 적용한 새싹삼 성분 및 기능성 검정을 통한 고부가가치 재품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박무용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63

        삼류는 수 천년간 우리 민족과 함게 하여 왔으며 주로 구근 뿌리를 활용한 약용과 식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2006년 새싹삼 재배방법의 개발 이후 새싹삼에 대한 재배의관심이 증가하였으며 2016년을 기점으로 활발한 상업적인 재배 연구와 재배방법이 비약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방향이 재배방법의 개량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수경재배, 토경재배, 컵 재배, 박스재배, 점적호수 활용재배, 스마트팜 재배, LED광의 활용한 재배, 스프링클러노즐재배, 하우스재배,등의 방법으로 새싹삼을 농민들이 재배 하는등 재배방법에 관한 연구에 주력 하였다.. 새싹삼의 기능성 약리 작용 검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 하여 새싹삼의 기능성 분석 및 검정을 통하여 대량 소비와 생산의 밑받침을 통한 농산물에서 산업화 소재로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실행되었다. 특히, 재배 방법의 변경으로 산삼과 홍삼에 함유 하고 있는 사포닌 Rg3가 새싹삼에도 함유 되어 있는 Rg3의 증가와 효능의 연구 실험을 위한 검증를 통해, 새싹삼의 사포닌과 조단백질, 조지방 ,잔류농약 분석 등을 분석하여, 새싹삼을 활용하여 만든 제품이 기능성 식품 과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는 시금석으로 자리 잡길 기대 한다. 이에 새싹삼의 연구가 조금 더 심도 있고 기능성과 생의학적 효과을 검정하여 6차산업과 제 4차 산업 혁명에 적합한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 연구을 하여 새싹삼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화와 생의학적으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오 소재로서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될 수 있도록 연구가 진행되었다. PPD계 사포닌인 20(S)-ginsenoside Rg3는 HepG2 세포에 대한 apoptotic 세포사멸 효과와 동시에 세포 생존을 향한protective autophagy(세포자가사멸)를 일으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5.26) PPT계 사포닌인 20(R)-ginsenoside Rh1 및 Rh4의 경우는 세포사멸 효과와 동시에 autophagic cell death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나 진세노사이드의 구조-활성간 특이성이 가지고 있다.26)-(2004 서울대학교.정종헌,간암 세포주에서 진세노사이드의 자가포식 작용 유도,초록29줄-12줄) 본 연구에서는 새싹삼의 재배방법에 따라 PPD계 사포닌인 20(S)-ginsenoside Rg3의 성분 증가와 새싹삼 뿌리에서 새싹삼 추출물6년근과 K사 홍삼의 열수 추출물보다 많은 양의 Rg3가 우수하게 추출되어지는 수준에 26)있어 다양한 생의학적 기능성 재료로서의 효과가 우수함을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HePG2(간암세포)와 B16-F10(피부암인 흑색종)에 새싹삼 추출물을 투여 하여 독성실험과 사멸율을 실험 및 확인 연구하여 의생명․바이오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성 약용 성능 효과를 증명하여 새싹삼의 활용이 증대되어 6차 산업과 필요로 하는 기반 테이터로서의 활용을 기대 한다. 기존 방식대로 새싹삼담금주,새싹삼고추장등을 제조,숙성시켜 사용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제품의 성분 분석을 하여 바이오 기능을 첨가한 새싹삼추출물을 활용해, 다기능성 바이오 새싹삼 제품의 생산과 연구에 기본적 데이터 활용 및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적은 면적에서 콘테이너등을 활용한 도시농업에서의 응용가능성도 함께 연구 하였다. For thousand of years, ginseng has been working with the Korean people which has been used mainly for medicinal and dietary purposes using bulbous roots. Interest in growing sprout ginseng has increased since the development of sprout ginseng cultivation method in 2006 ,and as of 2016, active commercial cultivation research and cultivation methods have increased rapidly. However,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was mainly improved by cultivation method of growing sprout such as hydroponic cultivation, soil cultivation, cup cultivation, box cultivation, spot lake utilization cultivation, smart farm cultivation, LED light cultivation, sprinkler nozzles cultivation, house cultivation, etc. Due to the lack of research as regards functional pharmacology of sprout ginseng, we plan to conduct this study for its function as an industrial material in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support of mass consumption and production through analyzing and testing the functionality of sprout ginseng. In particular, the change in the cultivation method will lead to the increase of saponin Rg3 which is contained in mountain and red ginseng and it is expected that products made using sprout ginseng will become a touchstone used as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 and pharmaceutical by analyzing saponin, crude protein, crude fat, and residual pesticides etc of sprout ginseng. Therefore, we hope that in depth study of sprout ginseng by testing the functionality and effectiveness which has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s a suitable material for the 6th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used for industrialization and high value added bio-material. Through injecting sprout ginseng extract into HePG2 (liver cancer cells) and B16-F10 (skin cancer melanoma) to test and verify toxicity and mortality rates, we hope to prove the performance effect of functional medicinal herbs that can be used in the bio-industry, and also the use of sprout ginseng as a necessary base tester for the 6th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basic35) data for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bio-sprout ginseng products by utilizing sprout ginseng extract that adds bio function through analyzing the ingredients of the products as well as manufacturing and ripening sprouts, samchum liquor, red pepper paste, etc using the existing method.

      •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이 공감능력, 의사소통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희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grasp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at dental hygienists received from supervisor on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st to June 10th, 2020,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isseminated to 154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With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level of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s, the higher the empathy(p<0.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p<0.001).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dental hygienis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pathy(r=0.481, p<0.001) and communication efficacy(r=0.289, p<0.001).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actors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empathy of dental hygienists were intellectual stimulation(β=0.22, p<0.05)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β=0.19, p<0.05).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tellectual stimulation(β=0.27, p<0.05)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the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To increase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increasing the experi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rom the supervisor is necessary. Moreover, to increase the empathy and communication efficacy of dental hygienists,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 to enhance the transformative leadership skills of the supervisor, and active effort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re necessary. Through present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is thesis intended to help to improve the dental organization and to develope the competence of its staff. Besides, this thesis also intended to provide base data that may assist dental hygienists to acquire leadership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 contemporary era.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상사로부터 경험한 변혁적 리더십이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부산, 경남지역의 치과 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5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에 대한 수준이 높을수록 공감능력(p<0.001)과 의사소통 효능감(p<0.001)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변혁적 리더십 경험은 공감 능력(r=0.481, p<0.001)과 의사소통 효능감(r=0.289, p<0.001)과 관련성이 있었다. 변혁적 리더십 경험의 하위요인 중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적 자극(β=0.22, p<0.05), 개별적 배려(β=0.19, p<0.05)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 경험의 하위요인 중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적 자극(β=0.27, p<0.05)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로부터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경험을 높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개발과 실행, 조직 구성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치과 구성원들의 업무에 대한 역량을 발전시키고 치과 조직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리고 치과위생사들이 시대에 맞는 리더십 역량을 갖추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치과위생사의 4C 핵심역량이 업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도영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4C 핵심역량과 업무능력의 관련성을 살펴, 치과위생사의 4C 핵심역량이 업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부산, 울산과 경남지역의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19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 4C 핵심역량과 업무능력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5.0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에서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Descriptive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조사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4C 핵심역량인 의사소통능력, 비판적 사고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업무능력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업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의사소통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p<.001). 비판적 사고능력의 하위요인인 건전한 회의성(p<.01), 지적 공정성(p<.05), 지적 열정(p<.05), 자신감(p<.001)에서 업무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계획 및 실행(p<.01), 수행평가(p<.05)에서 업무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본 연구에서는 업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4C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론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아닌 치과위생사의 핵심역량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식의 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개발되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발되는 새로운 교육을 통해 제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 요구되어지는 치과위생사의 업무능력을 발전시켜 미래를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for relev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ists' 4C core competence and the business ability and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grasp of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 4C core competencies on their business ability. Material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190 dental hygieists in dental clinics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areas. To investigat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ccupation characteristics, 4C core competencies and business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The collected material were used as IBM statistics version 25.0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at .05. The date analysis method wa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Scheffe post-hoc verific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is an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ability, critical thinking propensit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business ability, which are 4C core competencies(p<.01). The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business ability were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ve self-efficacy(p<.001). It has been shown that sub-factors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affect business ability from sound conferences(p<.01), intellectual fairness(p<.05), intellectual enthusiasm(p<.05), and self-confidence(p<.001). It has been shown that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affect business ability from planning and execution(p<.01), performance evaluation(p<.05).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develop 4C core competencies that affect business ability, it is seems that education program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help the core competencies of dental hygiene, not the existing theoret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ducated. Through developed new education, we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 business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required for the medical environment that is changing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prepare for the future.

      •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보육교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설유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수용태도 및 보육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위험 영·유아도 장애 영·유아와 같이 특수교육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 일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통합보육의 인식과 수용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장애영·유아를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일반 보육교사는 32.6%, 장애여부가 판명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발달이 정상적인 발달수준에 이르지 못한 장애위험 영·유아를 지도해 본적이 있는 일반 보육교사는 62.9%로 높게 조사되었다. 그리고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의 긍정적인 효과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수용태도 또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지원방안에 대한 의견으로는 현재 교사 1인당 법정 보육인원 수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통합보육 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을 위한 개별화된 보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사연수, 행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장애위험 영·유아 통합보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위해 국내 최초로 장애위험 영·유아에 대한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통합보육의 실제 담당자인 일반보육교사의 인 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통합보육에 대한 지원방안에 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aycare teachers serving at the nursery are perceiving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hich attitude those teachers are having about the acceptance of such care and how they have been actually providing day care at their work, ultimately making suggestions for institutions or polices that would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whose beneficiaries are infants or young children who have disability risks as well as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e study selected as its participants and surveyed 350 daycare teachers working for nurserie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Of the participants, 32.6% have ever experienced educating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ile, the remaining 62.9% have had experiences in instructing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ho are not diagnosed with disability, but less wholly developmental than norma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bove all, teachers surveyed here were perceiving that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would have a highly positive effect so that they are more willing to accept such daycare. Meanwhile, thos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number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 whom they are legally required to provide daycare services are higher than it should be. As far as supportive institutions or policies are concerned, in a similar vein, the respondents said that if the inclusiv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is actually put into practice, it would need to be supported by more relevant education progra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aycare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in an inclusive way should be more strongly propped by appropriate actions for inclusive daycare such as developing individualized daycare programs, training teachers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suppor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respects. One is that it conceptualized infants 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y risk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order to suggest policies that would expect to maximize the effect of inclusive daycare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is that the research looked in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teachers as would-be actual practitioners of inclusive daycare and their opinions about what kinds of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an effective and proper implementation of such daycare.

      •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성인여성의 목 기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김성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정도가 성인여성의 목 기능과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건강한 성인 여성 80명이었다. 모든 대상에게 스마트폰 중독 정도를 구별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 진단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를 기준으로 무작위로 고위험군 10명, 잠재군 10명, 일반군 10명으로 나누었다. 모든 대상자에게 목 기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머리척추각(Craniovertebral angle: CVA)과 목관절가동범위 및 압통역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호흡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폐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측정은 각각 3회씩 측정하였으며, 그 평균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고위험군, 잠재군, 일반군 간의 머리척추각을 비교해본 결과 세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후분석 결과 고위험군이 일반군에 비해 머리척추각이 작았다. 2, 고위험군, 잠재군, 일반군 간의 목 관절가동범위를 비교해본 결과 왼쪽 굽힘 및 왼쪽 돌림에서 세 그룹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사후분석 결과 고위험군이 일반군에 비해 움직임이 적었다. 3. 고위험군, 잠재군, 일반군 간의 목 압통역치(Pressure pain threshold)를 비교해본 결과 세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후분석 결과 고위험군의 압통역치 값이 잠재군과 일반군에 비해 낮았다. 4. 고위험군, 잠재군, 일반군 간의 폐활량(SVC)을 비교해본 결과 세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5). 사후분석 결과 고위험군의 폐활량이 잠재군과 일반군에 비해 작았다. 5. 고위험군, 잠재군, 일반군 간의 최대들숨압력(MIP)(p<0.05)과 최대날숨압력(MEP)(p<0.05)을 비교해본 결과 세 그룹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 사후분석 결과 최대들숨압력과 최대날숨압력 모두 고위험군과 잠재군이 일반군에 비해 낮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즉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목 기능과 호흡기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홍보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스트레칭 등을 이용해 목 주변 근육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of study :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n the neck and respiratory functions of female adults. Method of study : The participants in the present study consisted of healthy female adults who were attending “S” University in Busan, Korea. To distinguish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in all participants, smartphone addiction diagnostic scale test was performed. Based on the test results, For neck function of all participants, craniovertebral angle (CVA), neck range of motion, and pressure pain threshold were measured. Moreover, for respiratory function, pulmonary function test was performed. Each measurement item was measured 3 times and the mean value was used for the analysis. Outcome of Study : 1. Comparison of CVA between high-risk,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risk group had lower CVA than general group. 2. Comparison of neck range of motion between high-risk,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ft flexion and left rotation between the groups (p<0.05).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risk group had less movement than general group. 3. Comparison of pressure pain threshold between high-risk,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risk group had lower pressure pain threshold value than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4. Comparison of slow vital capacity (SVC) between high-risk,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high-risk group had lower SVC than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5. Comparisons of maximum inspiratory pressure (MIP) and maximum expiratory pressure (MEP) between high-risk, potential, and general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for both). Post-hoc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high-risk and potential groups had lower MIP and MEP than general group. Consequence :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it was learned that higher smartphone addiction, meaning higher smartphone usage time, resulted in diminished neck and respiratory function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smartphone usage time should be reduced through promotional campaign and muscles near the neck area should be maintained continuously through stretching.

      •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수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비교

        배인정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수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정도와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150병상 이상 규모의 재활의료지정운영병원 3곳, 일반중소병원 3곳을 편의 추출하여 재활전문병동 간호사 132명과 일반병동 간호사 13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 Ver 22.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2.46(±6.90)세이었으며, 결혼상태는 186명(70.7%), 교육정도는 학사졸업이 180명(68.4%), 연봉은 3∼4천만원미만이 188명(71.5%)으로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1∼5년미만이 91명(34.6%), 현부서경력은 1∼3년미만이 122명(46.4%)으로 가장 많았다. 현재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93명(73.4%)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근무형태는 교대근무자가 181명(68.8%)으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직무특성은 평균 3.48점(5점 만점)으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평균 3.74점이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평균 3.23점이었다. 직무특성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11.41, p<.001), 하위영역에서는 직무자율성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조직의사소통 수준은 평균 3.19점(5점 만점)으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평균 3.31점이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평균 3.07점이었다. 재활전문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조직의사소통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t=-5.84, p<.00), 하위영역에서는 조직분위기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37점(4점 만점)으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평균 2.37점이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평균 2.36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0.35, p=.728), 하위영역은 직무요구(t=-2.03, p=.043)와 직무불안정(t=-2.58, p=.001)에서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직무만족도는 전체 평균은 3.29점(5점 만점)으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평균 3.27점이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평균 3.31점이었다. 직무만족도에서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특성에서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연령(H=11.64, p=.020), 현재직위(H=12.60, p=.002), 근무형태(t=-2.35, p=.02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병동 간호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의사소통 수준에서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현재직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3.73, p=.027), 일반병동 간호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서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는 결혼상태(t=-2.33, p=.021), 연봉(F=4.98, p=.008), 현재직위(H=9.16, p=.010)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반병동 간호사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직무특성, 조직의사소통 수준,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의 경우 직무만족도는 직무특성(r=.228, p=.006)과 조직의사소통 수준(r=.48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509, p<.001). 일반병동 간호사의 경우 직무만족도는 조직의사소통 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r=.408, p<.001),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r=-.37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재활전문병동 간호사가 일반병동 간호사보다 직무특성과 조직의사소통 수준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광범위한 역할 수행과 숙련도가 많이 요구되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의 직무특성을 반영한 결과이며, 다학제간 팀 내에서 재활전문병동 간호사로서의 다차원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원활한 조직의사소통 수준을 높게 인식한 결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직무특성의 확립과 원활한 조직의사소통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research study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by surveying such elements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 among the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argeting 132 nurses in rehabilitation wards and 131 nurses in general wards. The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t sampling 3 designated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3 general medium-sized hospitals with over 150 bed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Data was analyzed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Ver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total subjects was 32.46(±6.90) years regarding marital status, 186 nurses(70.7%), which was the great over the majority, were married, regarding educational level, 180 nurses(68.4%) were graduates with a bachelor's degree and regarding annual salary, 188 nurses(71.5%) received a salary of more than 30 million won and less than 40 million won. Regarding clinical work experience, 91 nurses(34.6%) had experience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5 years, and regarding work experience in their current department, 122 nurses(46.4%) had experience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Regarding current position, 193 nurses(73.4%) were general duty nurses, and regarding work pattern, 181 nurses(68.8%) worked in shifts. 2. Scores on job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3.48 points(out of 5 points) on average with 3.74 points on average for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3.23 points on average for the general ward nurse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higher scores with regard to job characteristics than the general ward nurses(t=-11.41, p<.001) and in the case of sub-area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higher scores than the general ward nurses in all sub areas except for job autonomy. 3.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of the subjects was 3.19 points (out of 5 points) on average with 3.31 points on average for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3.07 points on average for the general ward nurse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a high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than the general ward nurses(t=-5.84, p<.00) and in the case of sub area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a higher level than the general ward nurses in all sub areas except for organizational climate. 4. The job stress of the subjects was 2.37 points(out of 4 points) on average with 2.37 points on average for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2.36 points on average for the general ward nurs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stress between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the general ward nurses(t=-0.35, p=.728)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 areas including job demand(t=-2.03, p=.043) and job instability(t=-2.58, p=.001) between the two groups. 5. The job satisfaction was 3.29 points (out of 5 points) on average with 3.27 points on average for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3.31 points on average for the general ward nurs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the general ward nurses. 6. For the job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H=11.64, p=.020), current position(H=12.60, p=.002) and work pattern(t=-2.35, p=.020) while the general ward nurse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current position(F=3.73, p=.027) while the general ward nurse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oth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the general ward nurse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job str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Regarding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marital status(t=-2.33, p=.021), annual salary(F=4.98, p=.008) and current position(H=9.16, p=.010) while the general ward nurses pres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7.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characteristics(r=.228, p=.006)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r=.482, p<.001)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r=-.509, p<.001). In the case of the general ward nurses,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r=.408, p<.001) a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r=-.379, p<.001).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the rehabilitation ward nurses presented more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level than the general ward nurses. The results reflect the job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ward nurses who are required to perform a wide range of roles and demonstrate a higher level of proficiency in addition, rehabilitation ward nurses have a high level of awareness regarding goo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in order to play multi-faceted roles as rehabilitation nurses in a multidisciplinary tea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standardized job characteristics and a goo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reduce the job stress of rehabilitation ward nurses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