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품 범주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영화 장르의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이원희(Wonhee Lee)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2

        영화 장르는 관람객의 품질 불확실성을 낮추어주는 범주의 역할을 수행하며 문화 다양성 관점과 제작 장르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정책적, 실무적으로 중요한 주제이다. 영화는 하나의 장르로만 구분할 수 없으며 여러 개 장르를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10년간의 복합 장르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장르 단위, 장르 조합 단위, 네트워크 단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장르 단위에서는 연결 중심성, 고유벡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중심-주변분석을 수행하여 어떤 장르가 복합장르 네트워크의 중심에 있는지 분석하였다. 장르 조합 단위에서는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하여 거리가 가까운 장르를 중심으로 군집을 구성하고 조합이 용이한 장르를 검토하였다. 네트워크 단위에서는 네 개의 응집성 지표를 중심으로 시기별 증감추이를 비교하고 장르 개수, 중심 장르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복합 장르를 포함한 영화 다양성과 함께 장르 중심성 및 조합 특성에 기반한 제작사의 장르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사회연결망 지표를 영화산업 장르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한 탐색적 연구로 의의가 있다. Movie genre plays a crucial role of reducing the uncertainty of quality such a category. Therefore, genre is important research subject for policy and business decision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and genre portfolio issues. A movie is defined not by a specific genre, but by multiple genres. This study applies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to multiple genre network during the years 2004 to 2013. Genre level of analysis including 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between centrality, and core-periphery is performed to find core genres.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s used to classify groups of genre mixing based on distance between genres. Four indexes of cohesiveness at network-level focus on analyzing seasonal trends and relationship with number of diverse genre and core genres. The findings can contribute to cultural policy and production decision in the perspective of genre diversity, centrality, and genre configuration. Also, indexes of social network analysis related to movie industry is discussed for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재 분석 –장르 지식 분석을 중심으로–

        문효빙,최은경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This study focused on genre knowledge as one of the measures to improve the academics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 for foreign students. Genre knowledge is the ability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a genr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in a specific situation and write accordingly (Hyland, 2004:4). This study analyzes writing academic textbooks, focusing on genre knowledge,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wri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This study analyzed the recently published academic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academic purposes for foreign students, focusing on genre knowledge, after setting the analysis criteria,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textbook analysis criteria were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Kwon Tae-hyeon’s (2021) Korean writing textbook analysis criteria. The degree of presentation for each textbook analysis criterion was confirmed, and the genre knowledge of the textbook was reflected. How identified and analyzed proposition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was are structured.Based on analysis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genre knowledge analysis were present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practicality of genre knowledge analysis could not be verified by applying the results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Howev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genre knowledge was as one of the measures improve the writing abi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at the analysis criteria and result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research or the utilization of textbooks.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장르 지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장르 지식은 특정 상황에서 독자와 의사소통 목적에 따른 장르의 특성을 알고 이에 맞게 글을 쓰는 능력이다(Hyland, 2004:4). 본 연구는 장르 지식을 중심으로 학문 목적 글쓰기 교재를 분석하여 유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검토를 토대로 분석 기준을 정한 후 최근 출간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글쓰기 교재를 장르 지식을 분석하였다. 교재분석 기준은 권태현(2021)의 한국어 쓰기 교재 분석 기준을 참고하여 보완하였다. 교재 분석 기준별 제시 정도를 확인하고 교재의 장르 지식을 반영하였다. 명제의 지식과 절차의 지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 글쓰기 교재에서의 장르 지식 분석의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장르 지식 분석의 실제성을 검증하지 못했지만, 유학생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장르 지식을 활용했다는 것과 분석 기준 및 결과가 교재 연구나 활용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윤빈 ( Yun B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원활한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기 위하여 ‘장르 인식 기반 대학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탐색했다. 이 프로그램은 쓰기 교육의 연속성 확보, 학습 내용의 전이 가능성 증진, 학습자의 기본적인 쓰기 능력 및 비판적 문식성 함양 도모라는 세 가지 원리를 토대로 구성되었으며, <대학 입학 전 글쓰기 경험 진단 단계→구심적 장르 중심 쓰기 교육 단계→전공 장르 분석 교육 단계→장르 연계 및쓰기 전이 분석 교육 단계>의 총 4단계로 진행된다. 또한 <장르 분석표>를 활용한 3회의 장르 분석 활동(선행 경험 장르, 학술 에세이 장르, 경험예정 전공 장르)과 4회의 쓰기 수행 활동(상기 3개 장르 및 회고적 글쓰기 장르)이 상호 결합하여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이 프로그램을 실제 대학 글쓰기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결과, 대학생들이 선행 경험 장르와 학술 에세이 장르, 전공 영역 장르의 공통점과 차이를 인식하고, 자신의 쓰기 전략을 전이하는 다양한 양상을 확인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대학생들의 장르 인식을 증진시키고 이들의 쓰기 능력 전이를 도모하는 데 일정한 교육적 효과를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Genre Awareness-Based College Writing Program’, to help effective transfer of college students’ writing skills and navigate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is composed on the basis of the three principles: Ensuring the continuity of writing education, Enhancing the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learners, Increasing the basic writing skills and critical literacy of learners. The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actual college writing classroom is following: Students were aware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rior experienced genre, academic essay genre, and genre of their major and they showed the various aspects of the transition. Also, the program has a certain educational effect that enhancing genre awareness of college learners and increasing transferability of writing skills of them.

      • KCI등재

        지상파 드라마의 장르가 디지털 융합형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구

        윤성열(Yun, Sung Ryul),최성진(Choi, Seong Jh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2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최근 비선형 시청행위 확산에 따라 TV 및 N스크린 서비스 등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융합형 VOD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가입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설문조사에 기반하고 있어, 실질적인 이용행태에 대한 데이터 분석이 용이 하지 않았으며, 유·무료 이용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케이블가입자가 실제 이용한 유료 VOD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실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케이블가입자들이 이용한 유료 VOD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VOD의 주 매출원 중 하나이고 18개월간 편성된 지상파 드라마 101편을 분석대상으로, 드라마 장르가 VOD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18 통계프로그램을, 드라마 장르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은 일원변량분석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해 분석하였고, 드라마 장르는 로맨틱, 가족, 사극, 액션, 전문, 멜로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분석대상 101개 지상파 드라마의 VOD 편당 평균 구매건수는 약 4,152건으로 나타났으며, 드라마 장르별로 보면 액션장르 드라마의 평균 구매건수가 6,860회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후 검증 결과 로맨틱장르와 사극장르가 멜로장르에 비해 구매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as in the following. As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is changing and the nonlinear viewing patterns are getting generalized, the needs for digital convergence type VOD service of consumers are increasing. But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similar topic were mainly focused on the subscribers’ VOD consumption patterns. Moreover, not only most of those studies were just based on questionnaires, but there was also no obvious distinction between free and paid VOD service.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of thos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deals with the actual paid VOD consumption data to make this study of more academic values. The research method, content, and result of the paper is as in the following.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genres of TV dramas on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s to purchase VOD contents. The genres of the contents are categorized as romantic dramas, family dramas, historical dramas, action drama, professional setting dramas, and melo drama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has analyzed 101 drama series which had been aired on the terrestrial broadcasting channels and then aired on VOD. It turns out that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ing drama VOD per episode is 4,152. As to the genres, action genre recorded the highest number in average VOD purchases as 6,860. And the post hoc tests prove that romantic and history dramas are more favored than melo dramas.

      • KCI등재

        장르 분석을 활용한 학위논문 장르 교육 수업 설계 연구

        민정호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instruction of thesis genre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accounting for largest portion of academic writings. For the purpose, After reviewing major theories by Swales(1990) such as genre concept, moves and steps, genre analysis, and CaRS model and considering the curriculum of domestic graduate school curriculum,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were derived. In this process, acknowledging criticism that the major theories by Swales(1990) are merely applied in a guiding role in the pre-instructional stage the tasks were used to ensure that the major concepts by Swales(1990) are applied throughout the lecture. The tasks included genre analysis of theses by seniors, genre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from high-rank academic journals, genre analysis of one’s own theses, and discussion for Discovery Learning. These tasks were designed to help them to understand genre-specific features of specific academic writing such as rhetorical organization and lexico-grammatical features of thesis. It is hoped that active research on writing and education that satisfies the need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will help ‘creating a gap of stud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texts. 본 연구는 학술적 글쓰기의 비중이 가장 높은 대학원 유학생을 대상으로 학위논문 장르 교육을 위한 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이를 위해서 Swales(1990)의 장르 개념(genre concept), 무브와 스텝(moves and steps), 장르 분석(genre analysis), CaRS 모형 등의 주요 이론을 검토하고, 국내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고려해서 수업 설계 원리를 도출했다. 다만 Swales(1990)의 주요 이론이 단순히 ‘수업 전 단계(pre-instructional stage)’에서 안내(guiding) 역할로만 응용된다는 비판을 수용하여, ‘과제(task)’를 통해 Swales(1990)의 주요 개념이 수업의 모든 과정에서 적용되도록 했다. 이 과제는 선배 학위논문의 장르 분석, 저명 학술지 학술논문(Journal Article)의 장르 분석, 자신의 학위논문 장르 분석, ‘발견학습(Discovery Learning)’을 위한 ‘토의(discussion)’ 등을 포함한다. 이 과제를 통해서 학위논문에 대한 수사적 조직, 어휘·문법적 특징 등과 같은 특정 전공 글쓰기의 ‘장르적 특징(genre-specific features)’을 알도록 하였다. 이처럼 학술적 글쓰기 중심의 장르 글쓰기 교육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학술적 텍스트의 질적 제고에 도움을 주기를 바란다.

      • KCI등재

        네트워크 중심성과 성과에 관한 연구

        이원희(Wonhee Lee),정동일(Dong-I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6

        영화 장르에 대한 기존 연구는 특정 장르와 영화 성과간의 유의성 검증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대상 국가 및 시기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얻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주로 단일 장르와 성과 간의 관계에 집중했기 때문에, 최근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복합 장르 문제를 이해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과 복합 장르 자료를 활용하여 장르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르 중심성과 영화 성과 간에는 역 U 형태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지나친 ‘탐색’과 지나친 ‘활용’보다는 이 둘 간의 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는 이론적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영화장르의 범위와 조합을 선택하는 데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연구 대상을 확대하고 장르 간 연결에 대한 질적 분석을 수행한다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영화산업의 성장과정과 연계한 장르 네트워크의 동적 연구로도 확장 가능할 것이다. Existing researches on movie genre have bee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pecific genre and performance of a movie. However, most of films cross into multiple genres and new approach is needed for analyzing a genre network. In this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genre centr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movie performance by developing a genre network, i.e. network among multiple genres constructed via genre co-occurrence pattern in a specific movie. Three index of genr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degree centrality, and bonacich power centrality, were tested for the valued genre network.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enre centrality and movie performance appeared to be inverted U-shaped. This empirical finding is in line with the theory of ambidexterity which emphasizes the balance of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movie producers, distributors, and theaters that need to develop genre strategies.

      • KCI등재

        수준별 학습자들의 영어 논증적 글쓰기에서 나타난 장르 분석: 코퍼스 기반 연구

        김정은,김기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2

        이 연구는 2800명의 영어 논증적 글쓰기(학습자=2600명, 원어민 =200명) 를 대상으로 영어 학습자들의 제2언어(L2)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장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학습자 그룹은 영어 수준별(초급, 중급, 중고급, 고급) 로 총 네 그룹으로 이루어졌으며, 원어민 그룹을 포함한 단면적 연구(cross-sectional analysis)를 통해 영어 수준별 장르 구사 발달 양상을 탐구하였다. 총 2800개의 영어 논증적 글쓰기의 장르적 특성은 Biber의 다차원 분석 기법(multidimensional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원어민 그룹과 학습자 그룹 모두 논증적 글쓰기를 할 때 가장 선호하는 장르는 설득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선호하는 장르는 대화문, 내러티브, 학문적 텍스트 순서였다. 학습자의 영어 수준별로 분석하였을 때, 영어 능숙도가 높은 학습자 일수록 학문적 글쓰기를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 능숙도가 낮은 학습자 일수록 대화문 장르의 글쓰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제2언어 글쓰기 교육에 있어서 장르 기반 글쓰기 교육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데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2800 English argumentative essays written by English native (n=200) and non-native (n=2600) speakers and identified genres of the English essays favored by the two groups. Also, the study cross-sectionally identified whether the genres favored by the English non-native speakers change as their English proficiency develops. The learner corpus used in this study was International Corpus Network of Asian Learners of English (ICNALE) and analytic framework used for genre analysis was Biber’s (1988) multidimension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native and non-native groups favored persuasive text when writing an argumentative essay, and it was followed by conversational interaction, narrative, and academic prose. When the results were further analyzed across the proficiency groups, the study found that the genre of academic prose was significantly favored by more developed learners while the genre of conversational interaction was favored significantly by the less developed learners. The study further discusses the results and provides implications.

      • KCI등재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제시된 글의 장르 특성 비교 분석

        류지수(Jisu Ryu),최정은(Jungeun Choi),전문기(Moongee Je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5

        본 논문은 한국어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인 Auto-Kohesion 시스템을 활용하여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새롭게 개발되어 현재 학교 수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포함된 세 장르(논설문, 설명문, 서사문)의 언어적 특성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택된 Auto-Kohesion 시스템의 측정치 목록은 텍스트 표층 구조(어절수, 문장수, 평균어절 길이, 평균문장 길이, 텍스트 구조 분석), 어휘정보 측정치(전체 어휘에 대한 단어빈도수, 내용어에 대한 단어 빈도수, 전체 어휘에 대한 대수변환 단어빈도수, 내용어에 대한 대수변환 단어빈도수, 타입-토큰 비율), 문장 정합성 측정치(인접된 문장 간 명사 반복 측정치, 전체 문장 간 명사 반복 측정치), 문장 통사 구조 측정치(수식언 비율, 문장성분 비율), 대명사 측정치(전체 대명사, 1인칭 대명사, 2인칭 대명사, 3인칭 대명사), 문장 연결어(전체 접속사, 인과적 접속사, 부가적 접속사) 측정치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세 장르는 텍스트 표층 구조 측정치, 어휘정보 측정치, 문장 정합성 측정치, 문장 통사 구조 측정치, 대명사 측정치, 전체 접속사, 인과적 접속사 측정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부가적 접속사 측정치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요약하면, 세 장르는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및 심리언어적 측정치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본 논문의 결과는 국어교과서에 수록될 장르의 구성 및 국어수업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교육학적 함의점을 제의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or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exts (argumentative vs. expository vs. narrative texts) included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revised b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using Auto-Kohesion, a Korean text analysis tool designed to analyze diverse types of Korean texts by a wide range of linguistic and psycholinguistic indices on cohesion, readability, syntactic complexity, and word features. The measures selected for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text surface structure measures, word information measures, co-reference cohesion, syntactic structure measures, pronoun incidence scores, and connective incidence scores.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enres for the text surface structure, word information, co-reference cohesion, syntactic structure, pronouns, causal connectives, and all connectives.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as found for the additive connectives. In summary, the three gen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various types of linguistic and psycholinguistic measur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genres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A Contrastive Analysis of the Rhetorical Moves of Applied Linguistics English Research Article Abstracts

        Shim, Eun-Sook(심은숙)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대조수사학 연구는 문화적, 수사학적 특징을 이해하기 위해 서로 다른 언어의 담화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장르분석이론을 기반으로 영어논문초록의 수사학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응용언어학 분야의 국내학술지(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영어논문초록 30편과 국제학술지(Applied Linguistics) 영어논문초록 30편을 Hyland(2004)의 분석표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상향식접근법(content of the text)과 특정어휘중심으로 분석하는 하향식접근법(typical lexical and grammatical signals)을 사용하였다 (Pho, 2008). 장르분석 결과 영어논문초록은 Move-2-3-4(Purpose-Method-Result) 수사구조를 상당부분 포함하고 있었고, 연구의 중요성(Move-1)과 연구결과기여도(Move-5)의 수사구조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국내학술지 영어논문초록 경우에는 연구의 필요성과 영어교육현장에서 실제적인 교육학적 시사점이 강조된 반면, 국제학술지 영어논문초록 경우는 Swales의 CARS모형 (creating a research space)적용과 연구기여도(research contribution)를 강조하고 있다. 대조수사학기반 장르분석은 학문적 텍스트의 구조적, 수사학적 특징을 이해하고 학술목적(EAP) 논문쓰기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rcultural rhetoric studies inform us about cultural factors and linguistic preferences to negotiate through written texts. This study examined the rhetorical move structure of the research article abstracts published in applied linguistics journal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A total of 60 research article (RA) abstracts were se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journal, Applied Linguistics, and English RA abstracts from the national journal,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The identifications of move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content of the texts (a top-down approach) and also based on the particular linguistic signals (a bottom-up approach).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RA abstracts included three obligatory moves: Situating the study, describing the methods, and summarizing the finding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s in two groups were the frequent use of the situating the study move and the discussing the study move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distinctive academic writing conventions preferred in the applied linguistics field and developing writing materials for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EAP) writing courses.

      • KCI등재

        코로나19 진단 하위장르 분석 - 한서 동시통역을 중심으로

        김미경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연구소 2021 통번역학연구 Vol.25 No.1

        COVID-19 has brought a significant change to international conferences imposing restrictive measures, limiting congregation and travel, also having a considerable effect on simultaneous interpreting (SI) as it mainly takes place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Nevertheless, international conferences have adapted to a new modality benefited by the latest technologies, with online platform tools to overcome the scourge of the pandemic. Numerous online international conferences have provided open access to simultaneously interpreted oral texts, which in the past were mostly kept limited for the on-site participants. This study has analyzed four Source Texts (ST) and their equivalent Target Texts (TT), simultaneously interpreted, through recording and transcription of online open materials. Genre analysis was applied.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bgenre of COVID-19 diagnostics, subject to Korean-Spanish SI. Differences between texts were evidenced based on number of words, number of sentences, words in a sentence, word length, Type-Token Ratio (TTR), and most frequented words and terminologies. Results show the strategies adopted by simultaneous interpreters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Spanish in its linguistic nature. Also, most frequented words and terminologies were identified to define a pattern and standard in the subgenre of COVID-19 diagnostics texts in Korean-Spanish S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