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보영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argeting Korean Chinese using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a total of 203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Korean Chines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peri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period (2001-2012), discussions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in the Chinese community including Yanbian prevailed, but in the second period (2013-2021), discussions related to Korean Chinese who are living in Korea includ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ctively discussed. Secondly, the focus of the study on Korean Chinese who have settled in Korea is changing from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In addition, while the former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above college, the latter was diversified from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studies on various age groups such as Korean Chinese mothers, children, and teenager immigrants who are incorporated into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Thirdly, in terms of research fields, while studies on language use, current status increased, studies on learner language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adaptation decreas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language development, acquisition, and language us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of Korean Chinese who have recently settled in Korea and are learning or speaking Korean for various purposes are more focused.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203편을 대상으로 넷마이너를 이용하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을 1기로, 2013년-2021년을 2기로 한 시기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에는 연변을 비롯한 재중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사용과 관련된 논의가 우세했지만 2기로 오면서 다문화 가정 자녀를 비롯한 국내 재중동포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둘째, 전자가 주로 대학 이상의 성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것에 비해 후자는 다문화 가정의 범주에서 재중동포 어머니, 아동 및 초중고 등 한국에서 공교육 과정에 편입되는 중도입국자 등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연구로 다변화되었다. 셋째, 연구 분야 면에서 언어 사용, 현황 및 실태 조사 연구에서 학습자 언어 특성, 학습 및 적응 관련 연구로 다각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현지에서의 조선어 어휘 및 문법 사용, 한국어 교육 기관 실태 조사, 한국학 교류 현황 조사 등의 연구에서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정착하고 한국어를 학습하거나 구사하고 있는 재중동포의 개별 학습자 특징과 성격을 고려한 언어 발달, 습득, 언어 사용 연구가 더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의 음향적 특성 - 모국어 언어권별 VOT와 후행모음 시작점 f0의 역할

        송유진 ( Song Yu Jin ),김상우 ( Kim Sangwoo ),이석재 ( Rhee Seok-c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한국어 파열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삼중 대립을 보이며, 어두 위치에서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주요 음향적 자질로는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가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한국어 파열음의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의 역할을 모국어 언어권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성 코퍼스인 L2KSC에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어권 · 일본어권 · 영어권 남성 학습자가 발화한 데이터 중 모음 /ㅏ/를 선행하는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 모국어 화자의 경우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에서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 모두 한국어 파열음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세 분절음을 구별하는 데 있어 성대진동 시작시간이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으나,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는 모국어 언어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세대학교)

      • KCI등재

        헝가리 한국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엘터대학교(ELTE)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정한 ( Han,Jeongh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헝가리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는 것이다. 현재 헝가리 한국학 연구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곳은 국립 엘테대학교(ELTE; EÖTVÖS LORÁND UNIVERSITY)이다. 따라서 본고의 주요 연구대상도 엘테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학부의 한국학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고는 엘테대학교 한국학과의 역사와 학위과정(학사, 석사, 박사), 그리고 교육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이 밖에 비학위과정으로 현재 헝가리에는 세종학당, 한인학교, 그리고 사설교육기관들이 한국어교육 관련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본고는 이들 비학위과정에서 운영하는 한국어교육 현황과 문제점도 아울러 검토할 예정이다. 헝가리 한국어교육을 학위과정과 비학위과정으로 나누어서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엘테대학교 한국학과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학사, 석사, 박사학위 과정을 막론하고 한국어나 한국문학 교육보다는 동아시아 전반에 대한 교과목과 한국 역사, 문화, 미술사, 철학사, 종교 등의 주변적인 교육과정에 비중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교육과정에서 한국학과 재학생들은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독학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고, 의지가 약한 학생들은 한국학과를 졸업하고도 한국어를 구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도에 학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없다. 이러한 교과목의 부적절성 이외에도 시수와 학점의 문제, 한국학 및 한국어교육을 담당할 전문가 부족, 적절한 교재 부족 등의 문제가 발견되었다. 둘째, 비학위과정의 경우, 세종학당 교재는 세종한국어를 사용하는데 1-4급은 주 1회 90분 15주에 교재의 진도를 모두 끝내고 있고, 5-8급은 2학기 코스로 운영하고 있어서 비교적 진도가 빠른 편이다. 이렇게 짧은 학습 시간에 학습량이 많을 경우 문제점은 충분한 연습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의 이해와 습득의 격차가 커져서 오히려 학습자에게 부담이 될 우려가 있다. 셋째, 한국 기업에서 파견 나온 주재원 자녀를 제외한 국제결혼과 이민자로 구성된 헝가리 교민 자녀의 경우는 대부분 헝가리에서 태어나 헝가리의 교과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그런데 한인학교에서는 주재원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어교육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헝가리 교민 자녀들이 주말인 토요일에 시간을 내어 하나밖에 없는 한인학교에 와도 어절 수 없이 국어교육을 수강해야 하는 실정이다. 이런 학생들의 경우는 헝가리 교육제도에서도 한인학교 교육제도에서도 외면당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ungary and suggest future improvements. Currently, it is the National University of ELTE(EÖTVTES LORÁND) that plays the central role in the study of Korean studies in Hungary. Therefore, this paper also focus on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Specifically, we aim at studying the history and degree of Korean studies at ELTE (undergraduate’s, master's, doctoral degree), and the curricula of each degree. To add, other non-graduate programs include Sejong Institute, Korean-American School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ions oper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Divided into degree and non-degree courses, here are som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Hungary. First, the curriculum of Korean studies at ELTE University educates the Korean history, culture, art history, philosophy, religion, and other peripheral courses are more important than Korean language 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s a result, in this curricula, weak students are not only unable to speak Korean after graduating from Korean studies, but also sometimes give up their studies halfway through. Second, with such a large amount of learning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difficult for sufficient practice to take place, which may increase the gap between learner's understanding and acquisition, which in turn be a burden to learners. Third, Korean schools in the region offer on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xpatriates. Therefore, children of Korean residents in Hungary need to take time to attend the only Korean language school on Saturday. Such students are shunned both by the Hungarian education system and the Korean-American school system.

      • KCI등재

        영어 화자의 한국어 음운과 억양 연구

        오미라 ( Mi Ra Oh ),김윤정 ( Yun Jung Kim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6 No.-

        외국어의 음운습득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폐쇄음과 관련하여 후두자질의 대립이 두 가지인 언어 사이의 비교였다 (Flege 1991; MacKay et al., 2001; Harada 2003). 본 연구에서는 평음, 격음, 경음으로 세 가지 후두자질이 대립하는 한국어 폐쇄음을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의 두 가지 대립을 갖는 영어 화자가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한국어의 억양을 영어화자가 어떻게 습득하는지도 연구한다. 음성실험에 모두 32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한다 (영어화자 24명, 한국어 화자 8명). 음성분석 결과 한국어 평음과 격음의 VOT가 한국인 화자에서는 비슷하나 모든 수준의 영어화자에서는 격음의 VOT가 유의미하게 평음의 VOT보다 길다. 그리고 한국어의 억양습득과 관련해서 영어화자에 따라 액센트구 초에서만 자음의 후두자질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성조를 습득하는 정도가 다르다. 또한, 모든 수준의 영어화자가 한국어의 액센트구를 올바르게 실현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학습기간이 긴 영어화자가 반드시 한국인 화자와 같은 패턴을 더 보이는 것은 아니어서 학습기간이 제 2언어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외국어 습득에서 분절음뿐만 아니라 억양습득을 함께 연구한 것이다.

      • KCI등재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적 거리감과 한국어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김지혜 ( Ji Hye Kim ),강승혜 ( Seung Hae Ka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사회적 거리감이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그들이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을 독립변수로 하고 한국어 학업 성취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다회귀 분석에 앞서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 자신과 한국인과의 거리(S-K), 자국민과 한국인과의 거리(C-K)와 한국어 학업 성취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와 한국어 학업 성취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 자신과 한국인과의 거리(S-K), 자국민과 한국인과의 거리(S-K)의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어 학업 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수는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로 나타났다. 즉,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를 멀게 느낄수록 다른 문화권에서 그 언어를 학습하는 데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신과 한국인과의 거리(S-K), 자국민과 한국인과의 거리(C-K)는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사회적 거리와 한국어 학업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한 오순영(1990)의 연구와 상반된 것인데 이러한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인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가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즉, 자신과 자신의 나라와의 거리를 멀게 느낄수록 자신이 배우고자 하는 목표 언어에 대한 한국어 학업 성취도가 더욱 높다는 것이다. 학습자가 해외로 건너와 언어를 배우는 것은 그 나라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것이고 이는 학습자가 해당 문화에 대해 관심이 있기 때문에 그 문화의 언어를 더욱 열심히 공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를 멀게 느끼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자신의 문화를 객관화 시켜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이문화(異文化)에 대하여 개방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는 이문화로서의 한국 문화에 대한 거리감을 줄여줌으로써 한국어 학습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특성과 관련된 부분으로 학습자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학습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가 자신의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오순영(1990)의 연구에서 다룬 연구대상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국인 영어 학습자로 한국에서 외국어로 영어를 배우는 학습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대상은 한국에서 외국어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영어권 대학생으로 그 연구대상이 다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학습자의 사회적 거리와 한국어 학업성취도간의 연구에서 더욱 다양한 학습자 특성을 고려할 필요성이 제기 된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있어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자 자신과 자국민과의 거리(S-C)가 한국어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자신의 문화권에 대한 태도가 어떠한지를 파악한다면 학습자의 한국어 학업 성취도를 예측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what effect English-speaking Korean language beginners`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has on their Korean language achievement. For the objective, Acton`s PDAQ(Professed Difference in Attitude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tool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and 93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among the three social distance factors, S-C(distance between self and countrymen)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pecifically, students with the perception of further S-C distance showed higher Korean language achievement. However, S-K(distance between self and Koreans) and C-K(distance between countrymen and Koreans) were not found to be an influential variable on students`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foreign language teachers to predict students` language achievement based on students` perception of social distance and to design effective foreig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s. (Yonsei University)

      • KCI등재

        이중 인종 배경 미국 대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접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왕혜숙 ( Hye Sook Wang ),유혜진 ( Christine Liu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0 No.-

        본 연구는 이중 인종 배경을 가진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 학습에 어떤 접근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설문 조사와 개인 면담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인, 즉 부모의 영향,사회적 문화적 노출, 그리고 외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결정은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하지만 다른 언어와 비교해서 한국어의 상대적 중요성과 한국어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이 가장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다.외모는 이 결정에 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한국 쪽 부모의 가족과 가까운 참여자일수록 한국어 학습에 더 강한 의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 영어 모국어 화자들 에게 한국어가 학습하기 어려운 언어라는 점과 학습에 요구되는 시간 할애가 대학에서의 한국말 학습에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이중 인종 배경 학생들의 약한 인종적 정체성도 한국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보인다.(브라운 대학교)

      • KCI등재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내러티브를 통한 학습 동기 연구 - 국내 체류 학습자를 중심으로 -

        조윤행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Recently, a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 various backgrounds and purpos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studies on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mainly focus on curriculum,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focus on the learner itself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ith what motivation Europea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anted to learn Korean in South Korea, had through narrativ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who were exposed to several languages due to the regional specificity of Europe, had a strong interest in learning a new language. Also, through various occasions, they became curious about Korean culture, and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their curiosity about culture led them to start learning Korean. In this process, various experiences in life in South Korea were working as another strong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In addition to this, the social context that did not adequately cope with the unstable public security or the pandemic in Europe became one of the factors that encouraged learners to come to South Korea to study Korea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learners’ learning motives from various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can be a reference for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최근 다양한 배경과 목적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 개발, 교수 방안 등에 치중되어 있으며, 학습 동기와 같이 학습자 자체에 주목하여 진행된 연구가 많지 않다. 교육과정이나 교재 개발, 교수 방안 설계 등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파악이 우선해야 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유럽권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유럽의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언어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은 유럽권 학습자들을 자연스럽게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계기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언어에 대한 관심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맞물려 한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기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생활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그들에게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게 하는 강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불안정한 치안이나 팬데믹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 유럽이 처한 사회적 맥락이 이들이 한국어와 한국을 선택한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들을 위한 교육 내용 구성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Linking Australian Secondary Schools with Tertiary Language Programs: Current Practices and Feasibility for Korean

        신성철 ( Seong Chul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7 No.-

        호주 고교-대학간 언어프로그램 연계 모델의 한국어 적용 가능성 모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7, 195~222. 본 연구는 호주 내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제2언어 연계 교육 모델을 조사,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들 모델들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한국어 교육의 진흥과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강화하기 위해서 고교와 대학을 연계시키는 ``제3의 길``을 모색하는 일은 가치 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의 관련 프로그램 책임자와의 전화 인터뷰 및 문서 분석 등을 통해, 확장(extension)언어 프로그램, 고교 ``출강`` 프로그램 등 다섯 개의 연계 모델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들 모델들의 적용 가능성과 기타 연계 활동을 평가하고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소수 핵심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이 창의적으로 고교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동기와 언어능력을 높이고 언어 학습 진로의 명확성을 제시하며 대학-고교간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가 유지되도록 노력할 것을 제의한다.

      • KCI등재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문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연구

        심선향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In this study, the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blem of using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was examined. The valu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viewed in modern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using digit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sidered. Subsequently, after presenting a model of Korean culture classes using digital literacy, it was used in actual undergraduate courses and Korean culture classes to conduct case studies. Through the overall class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sults review,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can be a useful way for students to be educationally satisfied, and it suggests why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with interest so that it can be used in Korean education with diversity and systemicity.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곧 위드 코로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그렇다면‘비대면 교육’은 일시적 대책이 아닌 향후 우리의 교육에 일상화, 정착화된 모습으로 안고 가야 할 방향인 것이다. 또한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산업과 일상생활의 중심이 된 지 오래, 교육 또한 디지털 시대와 디지털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올바른 방향성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실과 궤를 같이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 이론과 실제 적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현대의 교육에서 바라보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가치를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이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한국문화 수업의 모형을 제시한 후, 이를 실제 대학 학부과정 한국문화 수업에 활용하여 사례 연구까지 진행해 보았다. 전반적인 수업 시행 과정과 결과 고찰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만족스러울 만큼의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교육이 다양성과 체계성을 가지고 한국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분히 거시적인 고찰이었다면, 후속 연구에서는 수업 중에 학생들의 수행 전-수행 중-수행 후의 양상을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어 교육안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이어 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학술 담화(academic discourse)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

        양길류,진춘기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을 확인하고, 향후 과제 및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이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3편의 학술지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에 따라 면밀히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 관련 연구는 다양한 담화 유형 및 담화 장르를 대상으로 삼아, 풍부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온 만큼 단기간에 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범언어적 또는 사용역의 형식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가 특히 최근 몇 년간에 그 연구의 내용이 점점 더 구체적이고 초점화된 경향이 눈에 띄며, 연구의 방법 또한 다양해졌다는 특징이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등 모든 측면에 걸쳐 편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 자료의 균형성 및 객관성에도 적절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해당 분야의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larly articles and research materials in the domain of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ims to identify current trends and suggest avenues for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on a curated corpus of 153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igorously assessed for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ologies, and content.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ield has yielded a diverse and significant body of research in a relatively short time span, initially focusing on panlinguistic or usage-based features but gradually diversifying in both topics and methods. However, the study also reveals imbalances in research focus, methodology, and content, thereby questioning the corpus’s representativeness and obje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arget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utl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trends, serving as a guide for future endeavors in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