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수품 작업 산출물 동료검토 효율화 방안 연구

        최윤서,김지은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군수품의 개발 산출물 관리 시스템 및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동료검토 활동 활성화와 산출물 완성도를 향상하기 위함이다. 제품 생명주기 전 단계에 걸쳐 개발하는 작업 산출물에 대해 결함 제거 또는 변경이 필요한 부분을 찾기 위해 동료검토를 수행하였으나, 외부 심사 및 설문조사 등을 통해 아래와 같은 미비점이 발견되었다. 1. 작업 산출물 종류별 적절한 동료검토 기법 미준수 2. 작업 산출물 품질 개선 및 이슈 예방 미흡 3. 동료검토 결과서 작성기준 미준수 4. 지표(동료검토 결함 목표달성률) 목표 수준 미달 이에 의미있는 동료검토 활동을 통한 개발 산출물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2011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의 누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현황을 파악하였고, 시스템, 프로세스, 지표 3가지 영역에서의 개선을 수행하였다. 첫째, PLMS(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의 사용자 편의성과 절차 준수를 위해 동료검토 대상문서와 결과서 등록 절차 자동화 및 동료검토 체크리스트를 제공하였다. 둘째, 동료검토 필수 대상 산출물 및 검토방법을 명확화 하였으며, 데이터의 오류 방지를 위해 동료검토 결과서 서식을 개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3년 실적을 기준으로 현실적인 조직 목표(동료검토 결함 목표 달성률)를 제시하였다. 위와 같은 개선 활동을 통해 동료검토의 효율성을 높이고 조직 구성원의 목표 달성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료검토 활성화와 개발 산출물 완성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동료검토에 대한 고찰

        이백준(Yi, Baeckjun),남기욱(Nam, Gi Wook)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9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7 No.2

        동료검토는 동료들이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산출물을 검토하는 작업 또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각 진행 단계별로 발생하는 산출물 또는 제품에 대해서 동료들이 상호 교차 검토하는 활동으로, 사전 결함 발견 및 조치로 전체 개발비용을 절감하고, 상호 성장을 통한 역량을 강화하며, 내부 인원들의 의사소통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동료 검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료검토에 대해 소개하고, 그 효용성, 품질도구와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a peer review, someone other than the author of a work product examines that product to find defects and identify improvement opportunities and several widely used processimprovement frameworks identify peer reviews as a key practice an organization must master to improve its software engineering capability. The goal of reviews is not only to catch errors and gather improvement suggestions, but also to help authors create better work products in the future. In this paper, overview of peer review, justification, and relationship with quality tools a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 ODA 사업의 정책일관성 연구: 영국, 네덜란드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다혜(Dahye Kim),김태균(Taekyoon Kim),손혁상(Taekyoon Kim),문경연(Kyungyon Moo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2

        2015년 9월 UN은 2030년을 목표 년도로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하였다. 17개 분야의 광범위한 개발의제를 포함하고 있는 SDGs는 국가의 대외정책(무역, 투자, 농업, 환경, 안보, 이민 등)이 원조정책과 모순되지 않도록 하는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PCD)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PCD 국제동향과 규범,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로서 영국과 네덜란드의 PCD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2년 한국의 동료검토 검토 보고서에서 지적한 PCD 분야의 개선요소를 검토하고, 향후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국제규범으로 자리매김한 PCD의 국내 내재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PCD와 관련하여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에 대한 법적 기반과 정치적 선언 등이 부재하며, 비일관성을 해소와 각 부처 간의 의견들을 조율하고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조정기제 또한 부재 하였다. 이로 인해 PCD 조정 기제가 비원조 분야의 정책일관성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대되지 못하였으며, 모니터링 및 분석, 보고 체계의 경우 평가소위가 존재 하였지만, 원조분야의 평가에 그쳤고, PCD에 관한 모니터링 분석 및 보고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을 확인하였다. In September 2015, the United Nations adopt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with a target date of 2030. The SDGs, which encompass a broad range of development agendas in 17 sectors, furth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PCD) in coordinating foreign policy such as trade, investment, agriculture, environment, security, and immigration to comply with aid policies. Against its backdrop, the global trend of PCD norms and the cases of PCD in England and the Netherlands are analyzed. Based on the OECD DAC Peer Review of South Korea in 2012, we examine the improved areas of the PCD and search for policy implications to internalize the PCD which has become the international agenda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summarize our findings, Korea has potential for PCD, but there is still no legal basis and political declaration for PDC, and it does not establish the authoritative mechanism to resolve inconsistencies and to coordinate differences among the ministries. As a result, the PCD has not been extended to discuss the coherence between aid and non-aid external policies. PCD Monitoring and analysis, and reporting system are yet to be implemen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수자원 개발사업 ODA의 방향

        이종호(Lee, Jong Ho) 한국지적정보학회 2018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20 No.2

        우리나라 수자원개발사업의 역사, 현황을 고찰한 후 수자원개발사업의 문제점을 도출하기 위해 갈등이 컸던 새만금 간척사업, 경인운하, 영월다목적댐(동강댐), 한탄강댐, 4대강살리기사업에 대해 갈등요소, 거버넌스, 법정소송 등을 중심으로 비교․고찰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수자원 및 위생 분야 공적개발원조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OECD DAC: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와 비교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일본 등의 수자원개발사업 ODA 사례를 토대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수자원개발사업 ODA 평가방안으로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및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의 평가, OECD DAC의 동료검토, 환경영향평가를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수자원개발 ODA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수자원개발사업 ODA 시행시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자원 개발사업 ODA의 경우 OECD DAC의 개발사업에 대한 전략환경평가와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지침을 반영하고 한국의 환경영향평가법의 내용과 취지에 입각하여 특히 사회영향평가를 강화하여 환경영향평가를 시행함으로써 부작용을 예방하거나 최소화하도록 한다. 셋째 주민의견이 제대로 반영되는 주민 조직이 형성되고 거버넌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consider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problems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es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ases such as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Gyeongin Carnal, Youngweol Multi-purpose Dam, Hantan River Dam, and Four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based on conflict issues, governance and lawsuit. And it compares Korea’s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n water resources and sanitation and those of OECD DAC(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and compares the problems of Korea’s ODA on water resources and sanitation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fter considering the evaluation of KOICA and EDCF, peer review of OECD DAC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 assessment method, it suggests the improvements for ODA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first water-energy-food nexus approach with multi-purpos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seco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mphasizing social impact assessment, and third resident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governance.

      • KCI등재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제어를 위한 재작업 지표의 적용

        한혁수,김한샘,Han Hyuk-Soo,Kim Han-Saem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1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는 성공률이 30% 밖에 되지 않는 어려운 과제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가 실패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체계적인 관리 소홀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완성도가 떨어지는 산출물을 다음 단계로 진행시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여 프로젝트를 실패로 이끌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채택되고 있는 방식은 동료 검토(Peer Review) 또는 인스펙션(Inspection) 등과 같은 산출물들에 대한 검토활동이다. 문제가 발견된 산출물들은 다시 개발자에게 돌아가서 수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재작업 (Rework)이라고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가 완성도가 떨어지는 산출물들을 다음 단계로 넘겨서 오류에 대한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고 기간을 지연시키는 등의 사고를 막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재작업의 충실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즉 프로젝트의 재작업 시에 작업분석을 시행함으로써 재작업된 결과의 검토 수준을 달리하는 재작업지표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해 4개의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개발된 지표의 적용 여부를 관찰하고 그 효율성을 입증하였다. It is reported that the success ratio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only 30%. Many causes lower project's chance of success, particularly lack of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Especially, moving on the next phase of project with unsatisfactory outputs can be very problematic because it can cause much waste of resource, time and even lead to the failure of the whole project. Peer review and inspection are some of the practices designed to prevent such waste and possible failure. When defects are identified through such progress, each developer has to work on the product component again and fix the problem. This process is called re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reworked product component to prevent excessive cost and time consumed caused by moving on the next phase of a project with a problematic product component.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suggests a rework indicator that measures the level of rework based on its complexity and severity and is used to choose appropriate checking method on reworked product component. The research also confirmed the method'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by applying the suggested method on four projects.

      • KCI등재

        교과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타당도 확보 기법에 대한 고찰 -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감사추적을 중심으로 -

        나장함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70 No.-

        Since the mid 90s, the number of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nstantly increasing in Korean educational research context.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y mean that qualitative research is recognized as a credible and alternative research method that can compete with quantitative research within the scholarly community. One simple reason for this kind of phenomenon is that the issues of rigor and strategies for ensuring validity in qualitative research have not been addressed in detail in previous studie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thoroughly reviews and analyzes 'member check', 'peer review', 'audit trail', three most often used strategies for ensuing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educational research context. Results of analysis are organized around three themes such as 1) compressive definition of each strategy; 2) a brief examples of each strategy used in various studies; 3) possibilities and potential limitations lie in each strateg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suggestion that analytical strategies and procedures themself do not guarantee rigor. In other words, rigor resides in, is inherent in, manifest in rigorous thinking, including methods and analysis. 본 연구는 교과교육 분야에서 질적연구의 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나, 질적연구의 질적 수준에 대한 의심과 불신이 여전히 줄어들고 있지 않으며, 질적연구의 타당성 확보 전략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 확보 기법들 중에서, 국내 교과교육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의미적 혼란이 있어 보이는 ‘참여자 확인’, ‘동료검토’, ‘추적감사’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고찰 결과는 각 타당도 전략에 대한 포괄적인 정의, 국내 교과교육 분야 논문에서 실제로 적용된 양상, 해당 타당도 기법의 가능성과 유의점을 중심을 논의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질적연구를 통하여 어떻게 하면 보다 신빙성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실천 지향적인 교과교육 연구자들에게 타당도 확보 전략에 대한 균형 잡히고 종합적인 시각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연구는 타당도 기법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연구 전반에 걸친 연구자의 결정과 정당화 논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투하는 연구자의 일관성 등에서 질적연구의 엄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관점을 제시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개발 목표(SDGs)에 대응한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대응 방향

        임형백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seven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s ODA match up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Korea became a member of Development Assistance Committee (DAC). Korea is the first nation which changed from being a recipient country to a donor country. But many government agencies of Korea still go about their ODA without any clear plans. Korea’s ODA confirms a widespread suspicion that the many government agencies, preoccupied with ministry selfishness and reckless expenditure, have fallen out of step with global trends. Government agencies of Korea have to come up with an effective plan for dealing with ODA. Korea’ ODA have to pursue not only development effectiveness but also SDGs. Meanwhil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as become one of the buzz phrases of the past decade. In fact, SDGs are a very inclusive concept in ODA. Nonetheless, SDGs was adopted unanimously by the UN General Assembly in 2015. Over the past few years, Korea’s ODA has been striding back onto the global trends. Korea must not become complacent about present situation. Korea has to grab the opportunity at the appropriate time to take the leap in ODA. The suggestions to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s ODA match up to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s following. From a domestic point of view: first, we need to study further local area studies; second, to contribute SDGs of donor countries; third, to reorganize implement systems; fourth, to reinforce cooperative network with civil society and private enterprise; and fifth,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From an international point of view: first, to adapt standards of OECD DAC; second, to update constant states changing of OECD DAC and its effects; and third, to analyze trends of OECD DAC peer review. 이 논문은 SDGs에 대한 국내 이행방안에 대한 계획을 작성함에 있어, 대응 방향을 고찰하였다. MDGs와 Post-2015에 대한 논의와 경과, MDGs와 SDGs의 비교, SDGs에 대한 개괄을 고찰하였고, SDGs에 대한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대응 방향을 국내적인 것과 국외적인 것으로 나누었다. 국내적 대응 방향으로는 지역연구의 강화, 원조수원국의 SDGs와의 연계, 추진체계 개편, 협력 네트워크 강화, 성과측정제도의 개선을 고찰하였다. 현재 한국 공적개발원조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앞으로 제시될 SDGs에 대한 이행전략에도 이러한 문제가 고스란히 반영될 것이다. 가장 손쉬운 출발점이 한국이 현재 실행하고 있는 다양한 공적개발원조가 기여할 수 있는 SDGs의 대목표 및 소목표와 매칭작업일 수 있다. 국외적 대응 방향으로는 OECD DAC 체제 규범 분석, OECD DAC 회원국 변화와 영향 분석, OECD DAC 동료검토(peer review) 동향 분석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OECD 뇌물방지협약의 경제적 고찰

        김태황(Kim Tae Hwang) 한국부패학회 2008 한국부패학회보 Vol.13 No.4

        In neo-institutionist economic perspective, the transaction cost and the management cost in the market play an important role to explain the nature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firm. The OECD Convention on Combating Bribery is considered as having an significant influence on global competitive system in economic aspect as well as juridical and ethical aspects. A pivotal point is to establish and apply the monitoring and assessment system for the violation activities. The OECD peer review mechanisms are effective for an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Conven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consider, based on the peer review mechanism, the economic implication and the application measure of the Convention.

      • KCI등재

        도덕 이야기 만들기 수업방법과 평가방안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에서는 도덕 이야기 만들기 수업 방법과 평가 방안, 그리고 도덕교육에서의 활용방안을 중심적으로 논의하였다. 도덕 이야기 만들기 수업의 첫 번째 단계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도덕적 글쓰기의 소재로 사용할 일련의 도덕적 가치나 덕목이 함축된 주제들을 선정하여 제시하고 특정 주제에 관해 자유롭게 쓰도록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도덕적 딜레마에 초점을 두고 도덕 이야기를 다시 쓰는 과정이다. 세 번째 단계는 3-4명으로 이루어진 소집단에서 학생들이 자신이 구성한 도덕 이야기에 대해 동료들의 검토를 받고 동료들과 협력적으로 도덕 이야기를 재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네 번째 단계는 자신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다시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가 학생들이 만든 도덕 이야기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구성한 도덕 이야기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범주와 요소를 제안하였다. 도덕 이야기를 평가하는 범주 및 요소로서는 도덕적 상상력, 도덕적 가치나 원리의 이해, 도덕적 탐구, 논리적 구성, 도덕적 설득력, 도덕적 개성, 가치 헌신도라는 일곱 가지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discuss instruction methods of a moral(values) story making and assessment methods to evaluate moral story written by students and their use in moral education. In the class of moral story making, firstly teachers give students a list of a particular value and virtue and have them each choose one to work with. second step is a freewriting. Students freewrite a story about this value. Third step is a value-focused rewriting. Students rewrite their story. Their story should illustrate their particular viewpoint, concept, experience, and feeling about this value. Fourth step are peer review and collaborative writing. at this step, students seek constructive feedback from their peers. Students share their moral story with a small group and receive peer review. peer comments should provide the moral story maker some direction for future work. Fifth step is remaking a moral story through their life story. The last step is an evaluation of moral story generated by student. To evaluate moral story valid, Seven trait analytical assessment scale is proposed. Seven traits of moral story include moral imagination, understanding of value and moral principle, moral inquiry, logical composition, moral persuasion, moral voice, moral commi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