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이서정(Lee Seo Jeong)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남녀 대학생들이 건강한 대인관계와 학교생활 적응을 하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성숙하기 위해서 어떤 조력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중부권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 318명에 대한 자료가 본 연구에 이용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의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문제 상황에 능동적인 대처를 할 수 있는 자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고, 특히 자아를 통합하고 정서적으로 인지분화를 하고 있었으며, 가족퇴행이 낮을수록 대인관계 문제가 적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분화와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셋째, 대학생의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는 대학생들이 다양한 인간관계를 통해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할 때 대학생활 적응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분화,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 해결능력도 높고, 대학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다는 서로 상관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e which support was needed for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o form healthy relationships, well-adapt to school life and furthermore, come to maturity sociall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relation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For achieving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18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of 4-year universities situated in Chungbu reg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implies that as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mproves, they have sources to deal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ctively. They especially have l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s they integrate egos, and are able to perform cognitive-differentiation emotionally and experience less family regression. Second,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dicating that they can adapt to university life better, as they have a higher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Third, the survey of students in univers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relationship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his indicates that levels fo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rise as university students maintain variou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differenti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fluenc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d how to improve a self-differentiation level for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of university students, and made proposals for further researches.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과 우울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경호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2 No.-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특히 이 두 변수 사이에서 우울과 공격성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폰 중독, 우울, 공격성, 대학생활적응 간의 복합적 관계를 가정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G광역시의 4개 대학교 재학생으로부터 수거된 설문지 297부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등을 적용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 낮았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우울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공격성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공격성과 우울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이상의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향상을 위한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test whether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two aforementioned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 proposed equation model was identified. A total of 297 university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were included in the current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e primar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addiction had negative effect over college life adjustment. Second,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aggression was not significant, either. Fourth, smartphone addi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through aggression and depression, consecutively.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practice and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박은미,정태연 한국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7 No.2

        본 연구는 문화적응적 관점에서 남한사회 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현상을 질적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경험과 대처전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또한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을 시간적 흐름에 따라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그들의 대학생활경험을 토대로 평가한 남한사회적응의 유형을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탈북대학생 2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했고 Strauss 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의 대학생활을 통한남한사회적응의 중심현상은 정서적 불안정, 문화충격, 사회적 위축, 어려움, 자유감으로 개인- 사회적 차원의 복합적 정서를 경험하였고 행동적인 대처전략은 자기-타인 수용 대 회피, 대학생활의 적극적 대 소극적 대처, 남한문화 거부 대 수용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의 대처전략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추적하는 과정분석을 실시한 결과,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정은총 4단계로 혼란, 사회적 위축, 자아인식, 현실수용 단계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경험을 통한 남한사회적응의 결과 축에서 생성된 남한사회적응기술획득-미획득, 내적성장추구-도구적성장추구, 두 차원에 의해 유형화분석을 시도한 결과, 혼란형, 동화형, 고립된 내적성장지향형, 개방적 내적성장지향형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examined the phenomenon of academic adjustment in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ho are continuously growing in South Korean society from a cultural adaptation perspective. In particular, it explored the major variables affecting academic experiences, strategies for coping and adaptation. Next, the academic adjustment process of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Last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ype-setting of social adjustment in South Korea, based on academic adjustment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In stud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6 participa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Grounded theory developed by Strauss & Corbin(19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e feelings participants experienced in the course of academic adjustment in South Korea could be grouped into 5 categories: Emotional unbalance, Culture shock, Alienation, Difficulties and Sense of freedom. And their action response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acceptance versus avoidance of self-other, active versus passive response from academic life, and accept versus refusal acculturation to South Korea. Further, analysis of processes undergraduates from North Korea went through in their academic adjustment to South Korea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phases in adjustment: Confusion, Withering, Sel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self identity in South Korea. Moreov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type of acculturation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dimensions of social adaptation skills acquisition and pursuit of inner-maturation: Confusion, Assimilation, Isolated inner-maturation, Socially connected inner-maturation. Finally,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relevant theories and research, and their implications for cultural adjustment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우연대처기술,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완성,임영미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ce coping skills, self-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 tried to analyze. For this study, 20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students across the country.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data, independent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Pearson’s momentum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nce coping skills,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The higher the chance of coping,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 higher the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ve perfec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ce response technology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rd,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academically, socially, emotionally and physically adapted to college life than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ance coping skills, self-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it was suggested and discussed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and ut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upport, coping skills, and major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우연대처기술, 자아정체감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적 유의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우연대처기술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04명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Soble 검정으로 완전매개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우연대처기술,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연대처기술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으며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았다. 둘째, 우연대처기술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완전매개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에서 학문적,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우연대처기술,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직, 간접적인 영향이 유의하여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하기위해 성별에 따른 지원과 우연대처기술 및 주요변인들의 관계를 강화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고명주,최보영 한국청소년학회 2017 청소년학연구 Vol.24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 survey was performed targeting 349 college students (freshmen,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using scales related to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bil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ch were verifi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bility (self-regulation mode/volitional control mode),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self-regulation abil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ird, self-regulation mode turned out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Fourth, volitional control mode showed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students’ self-regulation ability could contribute to adaptation to college life while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self-regulation mode should be put before volitional control mode. Last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4학년 대학생 34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루어졌고, 학업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자기조절양식/의지적억제양식), 대학생활적응은 각각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기조절능력 전체는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의지적억제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대학생 자신의 자기조절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의지적억제양식보다 자기조절양식이 우선적으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논의에서는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 및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

        류정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14 취업진로연구 Vol.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 1학년 321명(남학생 117명, 여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진로장벽, 대학생활적응, 교수의 친밀감, 전문성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교수 친밀감, 교수 전문성, 대학생활적응간 상관은 모두 유의하였다. 진로장벽은 대학생활적응, 교수 친밀감, 전문성 모두와 부적 상관을 보였고, 대학생활적응은 친밀감,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친밀감은 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친밀감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는 진로장벽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교수 친밀감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돕는 수단으로 교수 친밀감이 긍정적 변수임을 시사한다. 셋째,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 전문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진로장벽이 낮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반면, 진로장벽이 높은 학생이 교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에는 전문성을 낮게 지각한 학생보다 대학생활적응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전문대학생의 경우 자신의 실력에 비해 교수자의 전문성이 너무 높다고 지각할 때 오히려 교수자와 정서적 거리감을 느끼고 이러한 정서적 거리감은 대학생활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교수 친밀감과 전문성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위의 연구결과는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상담과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한 개입 방안을 고안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o test the moderation effect of professor expertise in these relations. Participants were 321 freshmen(117 male, 204 female) at colle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areer decision scal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scale. Correlational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Mediation effect qualification procedure which 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is applied to validate mediation effect. Sobel validation is conducted to validate the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orrelational analyses among variables was significant. The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nega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areer barriers, the lower college ada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college adptation and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college adaptation,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The professor intimacy and professor expertis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indicate that the higher professor intimacy, the higher professor expertise. Second, The mediation effect of professor intim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significant. These result indicates that the greater career barriers leads to a lower professor intimacy, which in turn decrease college adaptation. It suggests that college adaptation is affected by not only career barriers but also professor intimacy. Third, The 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ollege adaptation was moderated by professor expertise. Th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on college adaptation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 expertis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at-risk career barriers college students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ing professor’s intimacy and professor’s expertise program and system which can develop college adapta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1960년대 잡지에 나타난 대학생 표상 -『사상계』의 대학생 담론을 중심으로-

        유창민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7 No.-

        This paper is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 since the 1960s. Images from one generation to the building is based on a generational conflict. Above all the older generation is crucial for recognition of a new genera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older generation see student. they observed new generations. they treated students like a stranger. they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older generation classified students into small group. they had a double eye. they were positve to students. but they denied students. Positive and negative changed position. Students shoud receive a negative rating by intellectual. in this way, Intellectual made a image of students. The presentations made from not students ​​but from intellectual. The Students in 1960’s was divided into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The student was represented in each area. In the public sphere Political color of students was removed. Instead it was replaced by a dream, a flower, a tears. In the private sphere, They were representations with Depressed, wandering, romantic, love. The older generation did not protect students, did not pity students in they distress. The old generation did nothing but negative with new generation. The students after 4.19 was the symbol of sentimentality after all. 본 논문은 1960년대 사상계 지식인의 대학생 담론에 관한 연구이다. 한 세대의 이미지가 구축되는 데는 세대간 갈등이 우선되며 기성세대의 신세대 인식이 선행되기 마련이다. 이런 점에서 4.19 이후 새롭게 등장한 대학생을 바라보는 기성 세대의 시선은 60년대 대학생을 표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식인의 선도적 역할을 한 이 잡지는 신세대들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담론의 방식을 택하고 있다. 우선 신세대를 분류해내고 의미를 파악하는 작업을 선행한다. 4.19의 의미를 환기하는 시기에 대학생은 기성세대에 의해 호명된다. 분류는 주체가 타자를 파악하는 하나의 방법이다. 기성세대는 대학생을 분류한 이후에 이중적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로 인해 긍정과 부정 사이에 대학생은 놓이게 된다. 담론의 전환을 통해 부정적 시선이 긍정적 시선을 몰아내고, 대학생에 대한 훈계와 타자화를 통해 60년대 대학생은 비로소 표상된다. 문제는 그러한 표상이 대학생 스스로의 이미지 구축과는 거리가 먼 기성세대에 의한 표상이라는 점에 있다. 이는 기성세대와 신세대간의 헤게모니 싸움에서 언제가 기성세대가 시선의 우위에 놓여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한다. 그 결과 만들어진 60년대 대학생의 이미지는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으로 분리되어 표상된다. 공적인 영역에서 대학생은 정치적 성취가 있음에도 정치적 색채가 지워진 채 감상적인 존재로 표상되는 데 그것은 ‘꿈’, ‘꽃’, ‘눈물’과 같은 단어를 통해 대학생이 그려진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적인 영역에서 대학생은 ‘우울’, ‘방황’과 ‘낭만’, ‘연애’와 같은 어휘들로 표상되는데 이러한 표상 어디에도 세대를 이해하고 안아주려는 속성이 들어 있지 않으며 부정적이고 비윤리적인 의미만이 파악된다. 결국 60년대 4·19 이후 새롭게 등장한 대학생에 대해 기성세대 지식인은 비윤리적, 감상적이라는 부정적 표상을 만들어 내었고 그것은 이후 한국 사회 대학생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자리 잡게 된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변은경,박혜진,박효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0

        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며, 그들과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B광역시 소재 간호학과 대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정도는 운동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전공만족도는 성별, 선택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탄력성은 선택동기, 운동경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셀프리더십은 성별에서 유의한차이를 나타냈으며, 대학생활적응에서는 전 학기성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은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과의 양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은 전 학기성적,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고, 가장 주요한 예측요인은 셀프리더십으로 확인하였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하기 위해 학점관리 뿐만 아니라 전공선택에 따른 긍정적 마인드 향상 및 자아탄력, 리더십을 높이는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연구

        성소연(Sung, So-Yeon),김은영(Kim, Eun-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을 선정하고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 충청도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4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를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외생변인으로서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내생변인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변인을 선정하고, 설정한 구조모형 검증을 위해  검증 실시 및 적합도 지수(CFI, TLI, RMSEA)를 산출하였다. 최종모형의 인과관계파악을 위해 SPSS 25.0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경로계수를 구하였다. 결과 첫째, 세 개 변인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를 토대로 세 변인 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양호한 수준의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의 직⋅간접효과 분석 결과,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나, 긍정심리자본을 경유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문제중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긍정심리자본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긍정심리 기반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401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one another.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he three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is statistically good. Third, an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positive psy chological capital affecting college life adjustment showed that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has a di rect nega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justment, bu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mediator between problem-focused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it suggested the intervention as educational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justment.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차이: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백근영 ( Keun Young Baek ),최바올 ( Baole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페미니즘의 내용을 추출하고, 페미니즘을 인식할 때 활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살펴보며, 동의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남녀 대학생들의 생각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남자대학생 57명, 여자대학생 56명에게 페미니즘을 떠올리면 드는 생각을 적도록 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으로부터 42개의 진술문, 여자대학생으로부터 39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이를 남자대학생 9명에게 남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고 여자대학생 10명에게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과 “직관-판단”의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남자대학생은 “직관적 인식,” “인지적 긍정적 인식,” “부정적 정서와 인지”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으며, 여자대학생은 “부정적 정서와 인지,” “긍정적 직관적 인식,” “능동적 지향적 인식”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150명씩 총 300명에게 각 진술문에 동의하는지를 조사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진술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feminism and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those perceptions. Based on the process of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s a result, three clusters of “Intuitive Perception,” “Cognitive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were extracted from male students, whereas three clusters of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Positive Intuitive Perception,” and “Active Oriented Perception” from female students. Lastly, each of 150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whether they agreed to each statemen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