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경북학’의 모색

        김영화(Kim Young-Hwa),김태일(Kim Tae-Il)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5 No.1

        대구경북학이 왜 필요한가? 필요하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는 그동안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불식시키고, 자생적, 타생적 편견, 과도하게 왜곡된 정치의식을 바로 잡고, 이 지역 원래의 모습을 되찾으며, 지역의 정신과 지역민의 삶, 그리고 정체성을 되찾는 데서 출발한다. 이는 지역의 미래 발전에 커다란 동력이 될 것으로 생각하며, 어떻게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것인가하는 문제는 대구경북학을 만들어야 하는 필요성과 연결된다. 1990년 초 지자체가 복원됨으로써 지방화시대가 열렸고, 이와 때를 같이 하여 지역학들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지방과 중앙의 기형적 양대구조를 극복하고, 어떻게 대구 경북의 비젼을 만드는가 등 지방화와 더불어 지역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일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1990년대에 여러 지역에서 지역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대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남다른 문제의식으로 1985년에 지방사회연구회가 제일 먼저 조직단위로서 지역연구를 처음 시작하였고 이를 계기로 다른 지역에도 여러 지역연구회가 만들어지게 되면서, 지역학을 만드는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정작 대구에서는 파편적이고 분파적인 형태로 분산되었고, 학문이나, 센터, 기구로 연결되는 데는 다른 지역보다 뒤진 형태를 보이고 있다. 대구는 폐쇄적이고 가부장적인 특성을 가진 도시로 보여짐으로써 이를 규명하는 일도 대구경북학이 담아내야하는 일이다. Why ‘Daegu-Gyungbuk Studies’ are needed? If it is, how they should be? From the experiences of other regional studies, ‘Daegu-Gyungbuk Studies’ should begin with wipping out existing prejudices and misunderstanding about Daegu-Gyungbuk area which have been gradually formed since last few decades; and debunking and explaining in these long time produced biases, excessively distorted political consciousness on this region: recover and re-finding indigenous features, spirit of community, local life of the people and their identity. All these issues are great energy for driving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future, so that they give great motivation for building ‘Daegu-Gyungbuk Studies’. Restoring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early 1990’s, the era of the localization opened, and local studies have been emerging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tyles at that time. Moreover it becomes major tasks that examine the identity of local community with the localization, such as dealing successfully with malformed dichotomy between the center and the province, having vision in view for Daegu-Gyungbuk. In 1990’s regional studies began to activate in several regions. The “local-community study group” in Daegu began regional studies as a unit of organization for the first time 1985 with the sharp consciousness of regional issues, which played a determined role for setting up regional studies. Taking this opportunity a few groups of regional studies were organized in other regions. But unfortunately the regional studies in Daegu itself spreaded out in fragmental and partial form and it is now far behind in associating with scholarly attainment, forming regional study center, or organization, at the end. As Daegu is shown with closed and hierarchical character, it is a task for ‘Daegu-Gyungbuk Studies’ to explain those “cliche”, as well.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분석

        이춘근(Lee Choon Keun),김진찬(Kim Jin Cha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한국은행에서 최근 발표한 2013년 지역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지역간, 산업간 연관효과를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을 위해 16개 권역을 대구와 경북, 수도권, 동남권, 기타권 등 5개 권역으로 재분류하고 산업은 자동차부품산업을 별도로 구분하기 위해 161개 산업소분류에서 운송장비부문인 92부문에서 98부문을 도출하고, 30개 산업대분류와 통합하여 전체 산업을 35개 산업으로 분류한 후 재추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와 경북지역 철강산업은 타 지역에 비하여 중간투입과 중간수요의 비율이 낮고, 여러가지 산업연관효과도 비교적 낮았다. 다만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다. 대구와 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을 외생화하여 타 지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를 계산하면, 지역별로는 수도권과 기타권, 동남권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쳤지만, 대구와 경북지역 간에는 효과가 상당히 낮았다. 산업별로는 두 지역 모두 1차 금속제품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쳤고, 그 다음 화학제품, 자동차부품, 금속제품, 도·소매서비스업 등에 높은 영향을 미쳐 자동차부품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들 산업의 발전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구와 경북지역은 타 지역보다 크게 낮은 중간수요 비중을 높이고, 전방으로의 가치사슬체계를 강화하여 전방연관효과가 제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지역적으로는 대구과 경북지역간 보다는 수도권과 동남권, 기타권 등과의 연관효과가 높으므로 이들 지역과의 산업협력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among regions and industries in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in 2013. For the analysis, 16 regions were recategorized into 5 regions consisting of Daegu, Gyeongbuk,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nd for the industries, in order to classify automobile parts industries, sections between 92 and 98 standing for transportation device parts among 161 small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were derived, and they were integrated with 30 large categories for the industries. And then, the entire industries were reclassified into 35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and Gyeongbuk were lower in intermediate input and intermediate demand, than other regions. In addition, they were lower in various input-output effects. However,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were relatively higher. When calculating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n other regions by using input-output analysis on automobile parts industries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t had higher effects on the Capital Metropolitan region, other regions, and East-South region while the effects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were considerably low. By industry, both the regions showed the highest effects on the primary metal products, and then chemical products, automobile parts, metal products, and wholesale and retail service industries followed in order. When the final demand of automobile parts industry in Daegu region is increased by 10 units,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over the entire Korea were 28.1527 units and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s in Gyeongbuk region were 29.0928 units. Therefor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should make an effort to raise forward linkage effects by raising the share of their intermediate demands which is far lower than other regions, and strengthening forward value-chain system. For region, the inter-industrial linkage effects with Capital Metropolitan region, East-south region, and other regions are higher than that between Daegu and Gyeongbuk region, and so the industrial collaborative relations with these regions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大邱慶北地域)의 문화(文化) 환경(環境)과 조선인(朝鮮人) 극장(劇場)의 로컬리티 -대구(大邱) 만경관(萬鏡館)을 중심(中心)으로

        배선애 ( Seon Ae Ba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0 大東文化硏究 Vol.72 No.-

        1920年代 植民地 朝鮮에서는 ``民族``과 ``啓蒙``의 기치 아래 ``公``的 空間인 公會堂이 대거 建築되었으며, 그 空間을 大衆運動의 미디어로 活用하여 새로운 主體를 形成하는 土臺를 마련하기도 하였고, 朝鮮의 民間資本이 投資된 劇場들은 日帝의 政策과 拮抗關係를 보이는 朝鮮의 公的 空間으로서의 役割을 하기도 하였다. 이는 近代的 미디어로서 劇場을 活用하는 것이 當代의 普遍的 현상임과 동시에 全國的 현상이라는 것을 前提로 삼고 있는 바, 이 논문은 이 前提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地域 劇場의 具體的 局面들의 樣相을 살펴봄으로써 植民地 時期 近代 미디어로 作動한 劇場의 意味를 多層的으로 채워나가고자 한다. 近代的 意味의 미디어로 劇場을 活用한 것은 中央보다는 相對的으로 近代的 미디어의 發達과 普及이 더딘 地域에서 더욱 積極的인 樣相을 띠고 있으며, 대체로 地域의 言論媒體와 劇場의 友好的 結合關係를 통해 具體的 活動이 이루어졌다. 특히 大邱慶北地域에서 그 中心에 있었던 것은 朝鮮人이 設立한 ``萬鏡館`` 이었는데, 이는 大邱慶北地域의 地域性과 朝鮮人 劇場이라는 特殊性이 遭遇한 形態로 파악된다. ``民族을 前提한 保守性``이라는 大邱慶北地域의 특성은 劇場의 運用에서도 발견되는 바, 地域 자체의 民間 言論이 不在한 狀況에서 발빠르게 地域 소식을 傳播하고, 다양한 事件들을 公有할 수 있는 地域 미디어로 朝鮮人이 設立한 ``萬鏡館``을 積極 活用하였다. 1922年에 설립된 萬鏡館은 中央에서 興行에 成功한 映畵와 公演을 誘致함으로 商業的 實利를 추구함과 동시에 ``朝鮮人 劇場``이라는 名分에 어울리게 地域의 문제들을 談論化하고 再生産하는 公共領域으로서의 역할을 效果的으로 調律하였다. 萬鏡館의 이러한 活動은 곧 植民地 時期 中央 文化에 대한 地域 文化의 自體的인 生産性을 反證하는 것으로, 地域이 中央에 대한 從屬 혹은 遲延의 관계가 아닌 또다른 中心으로서 機能하였음을 의미하고 있다. 近代 미디어로서의 劇場은 이렇게 地域에서도 自體的인 磁場을 形成하면서 植民地 時期 文化 場의 動學에 중요한 力動性을 만들어 내었다. The practical use of theater as modern media is active in the periphery areas more than central areas. Because the periphery areas has few media and slowly spread modern media. So, modern media of periphery areas is a combination of branch office of newspaper and theater. Especially in Daegu-Gyoengbuk area, the center of modern media is Mankyungkwan(萬鏡館). The theater Mankyungkwan was established from Korean at 1922. And it combined the peculiarity of Korean theater and regionality of Daegu-Gyoengbuk in this theater. The branch office of newspaper in Daegu-Gyoengbuk area actively use the Mankyungkwan for communicated periphery news rapidly, and for shared periphery events. Mankyungkwan played movies and play that box office success in center area for making a profit of theater. And it is the unique Korean`s theater in Daegu-Gyoengbuk, Mankyungkwan acted as a public opinion field that discussed periphery events and reproduced periphery cultural movements. The activity of Mankyungkwan proved of cultural self-productivity in periphery areas against central culture. So, it means that periphery area is not subordinated to center area or delayed central culture. All the better for, it performed a function as another center of periphery culture. This is the locality of Korean`s theater in colonial period. The theater as modern media made cultural self-productivity in periphery area, and made cultural dynamic in colonial period.

      • KCI등재

        대구ㆍ경북지역 경기변동 분석

        이준희(Junhee Lee)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한국경제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대구ㆍ경북지역과 전체 경제의 상호 연관관계를 고려한 동태확률(DSGE) 모형을 구축하고 베이지안 방법으로 추정하여, 대구ㆍ경북지역의 경기 변동에 있어서 특징을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지역 산출에서 고유 충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최대 37.2%, 경북지역 산출에서 고유 충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대 61.7% 가량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단기에서 고유 충격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역사적 분해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외환위기 당시에는 총생산성 충격 등 전체 거시경제 충격이 대구ㆍ경북지역 산출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지만,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서는 지역 고유 충격의 중요성이 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등에서와 같이 경기가 침체할 경우 대구ㆍ경북지역의 고유 요인으로 인하여 지역 경기가 보다 침체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아울러 지역 DSGE 모형의 추정결과 총생산성 충격과 아울러 투자효율성 충격이 지역경제의 장기적 변동에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므로, 투자 유치에 따른 체화된 기술(embodied technology) 도입을 통하여 지역경제에 활력을 주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a Bayesian DSGE model which incorporates inter-regional linkages between local regional economies and the national economy is estima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aegu and Kyungbuk regional business cycl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maximum 37.2% of Daegu and 61.7% of Kyungbuk regional output fluctuations are due to their respective idiosyncratic shocks rather than national shocks. From historical decompositions, the importance of regional idiosyncratic shocks compared to national shocks has increased as in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period and regional measures to reduce the idiosyncratic risks of Daegu and Kyungbuk business cycles are needed more than before. The analysis also shows investment efficiency shocks play very important roles in the long run fluctuations of regional outputs and regional economies can be simulated through the adoption of investment embodied technologies.

      • KCI등재후보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의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 연구

        안미애 한국공공언어학회 2024 공공언어학 Vol.11 No.-

        이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의 운영 현황을 살피고,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1)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과 실무자의 구성 현황과 지자체 조례 제정 현황, 2) 네이버 뉴스 말뭉치와 검색 결과에 나타난 대구・경북 지역의 국어책임관 키워드 뉴스 현황, 3) 대구 지역 국어책임관과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은 국어기본법을 만족하고 있으나 주요 업무 중 하나인 조례가 제정되지 않은 곳이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국어책임관을 지정한 기관이 국어책임관 업무의 내용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 않음을 반영한다. 둘째, 네이버 뉴스 말뭉치와 뉴스 검색 결과,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 관련 뉴스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구・경북 지역 국어책임관이 수행해야 하거나 또는 수행하면 좋을 업무들을 거의 수행하고 있지 않은 실태를 반영한다. 셋째, 대구 지역 국어책임관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결과, 대구 지역 국어책임관들의 국어책임관 업무에 대한 인식도도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으로 볼 때, 대구・경북 지역의 국어책임관 제도의 운영상의 문제점은 기관의 국어책임관 업무의 중요성 인식을 전제로, 겸직의 문제를 해결하고, 업무의 주도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겸직을 해결할 수 없다면, 업무의 전문성을 가지는 국어전문관을 확보하는 방안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and potential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language officers in the Daegu and Gyeongbuk regions. It encompasses three key areas: 1) an examination of the composition of language officers and practitioners, alongside local government ordinances in these regions; 2) an analysis of language officer-related news in the Naver news corpus and search results; 3) a survey of language officers and practitioners in Daegu. The findings reveal several insights. Firstly, despite meeting the Basic Act requirements, the absence of specific ordinances in some areas highlights a lack of institutional awareness regarding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Officers. Secondly, the minimal news coverage on regional language officers in Daegu and Gyeongbuk suggests their limited performance in expected tasks. Thirdly, the survey indicates a low awareness of the Linguistic Officers' roles among their peers in Daegu. The study concludes that resolving operational challenges in these regions requires addressing the issue of dual roles and enhancing the independence and initiative in their work. Where dual roles persist, appointing specialized language experts should be mandated.

      • 대구·경북 지역발전과 2012년 양대 선거

        이철우(Lee Chul-Woo)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5 No.1

        이글은 대구경북지역발전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화와 그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몇 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기술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부의 창출’은 세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국가, 지역 심지어 대도시 지역 내에서의 새로운 불균형발전의 동인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발전의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그동안의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에 부정적이다. 따라서 기존의 지역발전정책에서 탈피하여 지역의 내부 역량을 강화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절실하다. 이러한 패러다임에 입각한 대구경북지역의 대안적 발전방안으로 ① 지방분권과 연대를 통한 중앙논리에 대응할 힘을 키워야 하며, ② 대경경제권, 영남경제권 나아가서는 남부경제권의 광역경제권 구축으로 지역경제의 ‘규모의 경제’의 실현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③ 국가정책의 현지화로 지방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통한 내생적 역량 강화, ④ 지역의 개방성과 다양성의 확보 그리고 ⑤ ‘영남권 신국제공항(남부권 국제공항)’의 건설을 제시한다.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analyse the changing of socio-economic milieu and the actual condition surrounding Daegu-Gyungbuk province. In addition, I have proposed some political alternatives which is based on this analysis. The ‘creation of wealth’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and growth of production seems to affect uneven regional development not only global level but also national and regional level even local level included cities. In Korea, the regional developmental gap between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 (between capital city, Seoul and non-capital city area) is deepening. Although national and/or local government tried to reduce the regional disparity, that result was unsatisfactory.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a paradigm shifting that makes to strengthen regional capacity broken up top-down regional development paradigm. Among the most important alternativ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for Daegu-Gyungbuk region, I suggested that: 1)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making solidarity with non-capital areas, 2) enhance Daegu-Gyungbuk province’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via build up a great-sphere economic area which is realized an economy of scale, 3) Daegu-Gyungbuk region needs to strengthen an endogenous capacity through localized regional policies, 4) making a region which has a diversity and openness, 5)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airport of Southern part of Korea.

      • KCI등재

        50년대 대구경북지역 군소작가1)들의 신문소설의 발굴과 의미 -이정수, 김동사, 홍영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지역적 의미를 중심으로-

        한명환 ( Myeong Hwan Ha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8

        본 논문은 1950년대 대구경북지역 지역작가의 신문소설의 발굴을 통해 나타난 시대 및 소설적 의미를 논구하고자 한다. 50년대 소설 연구는 대개 기법의 측면에서 논의되거나 신문소설의 경우, 서울지역의 신문이나 잡지만을 자료로 연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1950년대의 전쟁기 특성이나 영남 지역적 특이점을 간과한 것이다. 대구 경북지역 신문소설 가운데 이정수, 김동사, 홍영의 등의 소설은 지금까지 거의 논의된 적이 없는 작가들이었다. 이들은 각각 『영남일보』, 『대구매일』에 신문소설을 당시 연재함으로써 대구경북지역의 문화적 소통의 매개 역할을 해왔다. 1952년 『영남일보』에 연재된 이정수 <여배우>가 한국 영화사적 패러디와 더불어 현대 영화 미디어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열정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이미 지역 문학적 틀을 넘어서고 있다면, 1953년 『영남일보』에 연재된 김동사 <애정범선>는 일탈의 선정성과 통속적 파멸을 통해 지역 전통주의적 애정 윤리와 모랄을 혼탁한 애정 세태 속에서 고수하려하였다. 홍영의는 1955년 『대구매일』 <애정백서>와 1957년 『영남일보』 <열토의 풍속> 연재에서 피난체험을 소설화하고, 반공첩보 소재를 연애갈등에 가미하는가 하면 불교적 색채가 짙은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대구경북의 당시 모습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 지역 군소작가들은 반공을 내세우면서도 단순히 반공계몽주의로 매몰되지 않음으로써 누구든``빨갱이``로 몰아가기 쉬운 세태를 경계했다. 홍영의는 김동사보다 대구경북의 정서에 깔려있는 불교 문화 환경을 대중적으로 활용한다. 홍영의는 해박한 불교지식과 한문지식으로 경주 문화를 소개한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비구니 소재는 한용운 <박명>과 같은 불교 소설에 닿아있다고 할수 있다. 그들은 또한 전후 암담한 폐허 위에서 새로운 시대의 삶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애정의 모랄 외에 새로운 영화적 주제라든가 영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대한 관심, 상이군인의 갱생문제, 고아들의 위한 사회사업 등 사회 저변으로부터의 단합과 동행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대구지역에 머물며 지역신문에 열정적으로 신문소설을 연재했던 이정수, 홍영의, 김동사의 신문연재소설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우리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역 문화 현실을 기반으로 열심히 적응하고 노력하려 한 열의와 욕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들이 신문연재소설 속에 담아내려 한 내용 속에는 당대 지역 사회실상과 더불어 1950년대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미래를 바라볼 것인가 하는 고민이 드러나고 있다. 그만큼 이 소설들은 그동안 다른 연재소설과 달리 지역적 정서에 맞게 새로운 사회변동의 현실을 적극 수용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 stories of Daegu Gyeongbuk newapapers of 1950` newly iscovered ; especially, written by YiJeongSu and HongYoungEui, KimDongSa. We could really understand diverse sufferings and drives of Deagu-Gyeongbuk region of 1950` through the excavation and study of these stories. YiJeong-Su sensibly tried to represent the reality and needs of korean movie makers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director and actress and Kim,Dong-Sa endeavored to conserve the spirit of korean traditional morality, stimulating the sensible feeling of newspaper readers through the onfused and tragic conclusion caused by one woman`s immoral, deviant behavior. Hong,Yong-Eui, in his stories, motivated meaningfully buddhistic wisdom based on historic background of Daegu-kyeongbuk region. In <Yeoltoeuipungsok>, transforming of a woman character as a antagonist related with korean buddhistic nun`s stories, in that having been also discoursed buddhistic stories(legends and folk tales, mythologis of Korea dynasty in 12c handed down in Samgukyusa(三國遺事) by Illyeon) implicated deep messages of buddhistic teachings. Because Hong was a buddhist and korean literature professor, his stories could been also understood as a korean heritage stories of Daegu and Kyeongbuk handed down from Silla dynasty. And also his stories, even though not having any insufficiency as a anticommunist, specially in <Yeoltoeuipungsok> tried to represent the denial of blind and radical anticommunist, in which were sometimes innocent heroins and characters confined by korean police, what is called C.I.C. Even though local study partly having done until now, these newly discovered stories should give an establishment for the rehabilitation of local culture in Deagu-Gyeongbuk region in 1950`. Korean study yet having been not able to find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al space in 1950` and the true meanings of 1950`s novels in newspaper, These story tellers; Yi, Kim and Hong, three tried to reveal a local originality and background through series stories of news media but also struggle to touch the code of desires of refugees in 1950`. And now, the right positions for these writings should been permitted local history for minor writers of Daegu and Kyeongbuk in literary history because they reflect not only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 anticommunism and regional humanistic and moral conflicts, but also omethings on how to deal with orphans and disabled soldiers and widows etc. In consequence, theses regional newspaper stories have implied the regional cultural meanings of how to write and what to write. Therefore, we will have to research much more newspapers to expand the new regional territory of the stories for a locality.

      • KCI등재

        지역이해교육의 관점에서 본 중등 사회과 교과서의 대구·경북지역 자료 활용 실태와 개선과제

        안지민,최정수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local decline, the need for reg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has been growing. It is the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localize secondary social studies subjects to expand the object of reg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has analyzed regional data used for learning in a total of 21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on regional understanding in Daegu and Gyeongbuk, and derived future improvement tasks through discuss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age of regional data in social studies textbooks of secondary education was generally insufficient, and the use of regional data was concentrated in a specific unit. Above all, many of the utilized local data were from the metropolitan area. Even by publisher, the level of redundant use of the metropolitan area data was very high. The use of regional data in Daegu was only 5 cases in 21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all 5 were general regional data used for "learning through the region." As a task to improve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development of local content with specificity, sharing of recent local content, development of localization textbook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romising local content and results . 지방쇠멸 위기 극복 차원에서 지역이해교육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역이해교육의 대상 확대를 위한 중등 사회과 교과의 지역화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경북 지역이해교육의 관점에서 중등 사회과 교과서 총 21개 종을 대상으로 대구·경북 지역자료의 실태를 분석하여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사회과 교과서의 지역자료 활용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였으며, 지역자료의 활용이 특정 단원에 집중되었다. 무엇보다 활용된 지역자료의 상당수가 수도권 자료였으며, 출판사별로도 수도권 자료의 중복적 활용 수준이 매우 높았다. 대구의 지역자료 활용은 21종의 중등 교과서에서 총 5건에 불과하였고, 5건 모두가 ‘지역을 통한 학습’을 위해 활용된 일반적 지역자료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과제로 특수성을 담은 지역콘텐츠 개발, 개발된 지역콘텐츠의 공유, 지역화교재 개발, 개발된 지역콘텐츠 및 결과물의 체계적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구·경북 지역문학 연구의 현황과 방향

        박용찬(Park, Yong-chan) 우리말글학회 2017 우리말 글 Vol.75 No.-

        세계화와 지역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글로컬 시대에 중심과 주변은 더 이상 구획의 대상이 아니다. 개체의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는 수평의 시선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문학 연구의 경우도 새로운 틀로 지역의 문화와 문학을 바라볼 필요가 있다. 지역문학 연구는 지역이 갖고 있는 풍부한 문학적 자산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서 시작된다. 과거의 지역문학 연구가 지역의 문학 자산을 단순히 소개, 정리하는 차원에 머물렀다면 현재의 지역문학 연구는 로컬리티 문제를 중심으로 이동되어 나가야 한다. 로컬리티가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지역이 가진 장소성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먼저 대구·경북 지역 문학 연구가 걸어온 길을 통시적, 공시적 관점에서 점검하였다. 특히 로칼리티 문제와 관련해서 앞으로 대구·경북 지역문학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부문에서는 지역문학의 정체성 문제, 매체의 발굴과 수합, 지역문학과 관련된 각종 제도의 주목, 연구의 대상과 범위, 소통과 확산의 문제 등을 다루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and seek the direction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in Daegu-Gyeongbuk. It is no longer significant to divide between the center and the periphery in this glocal age when bo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re going along. It is essential to gain a horizontal perspective that recognizes the diversity and differences in regional literature. The research of regional literature begins with the interest and practice of rich literary assets in the region. The research of regional literature in the past simply introduced and arranged the regional literary assets, but the present research should be done with the issue of locality. A sense of place can be used to realize the locality.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trace leading up to the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in Daegu-Gyeongbuk from the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Related with the localit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direction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in Daegu-Gyeongbuk. It deals with the identity of regional literature, the discovery and collection of media, attention to several institutions of regional literature, objects and scopes of the research, and communication and diffusion.

      • 박태일의 경북·대구 지역문학론 연구

        한경희 한국지역문학회 2021 한국지역문학연구 Vol.10 No.2

        A Study on Park Tae-il's Theory of Gyeongbuk-Daegu Regional Literature Han, kyung-hee Some of Park's research papers are summarized. He is not from Gyeongbuk or Daegu, but is the only researcher who has taken care of local literature research here. It put a brake on the research practice of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which did not have concreteness and led to the theory of works of local writers. Since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should start with regional research, it is advised to consider the locality and spatiality of the region first. H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studying literary phenomena that were created in harmony with local people, local culture, and local landscapes, focusing on works. He mentioned writing through data acquisition several times while putting the brakes on literary research centered on famous people, which is nothing more than repetition of tautology. Several pap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edia in regional studies. Despite the fact that data recording and storage are poor, local research emphasizes securing media. It can always be confirmed that Park Tae-il's writing, which shows the importance of data in regional literature research, is written with his feet. Through media, literary phenomena can be organized and events and characters can be reconstructed. I have written several times that when studying the area, you should focus your efforts on the media. As the literary history centered on Seoul can be supplemented and supplemented when the achievements of regional studies are accumulated, it emphasizes the need for zeal and confident and steady efforts of those who study regional literature. Park Tae-il's literature research in Gyeongbuk and Daegu is not a study in which regional literature is confined to the boundaries of a region. Although the focus is on the Gyeongnam and Busan regions, as the scope of research spreads to other regions, the work of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in progress. The representative treatment of the border area between Gyeongbuk and Gyeongnam is an extension of that. Regional divisions are primarily divided into administrative divisions. However, it confirms the fact that in the real cultural life sphere, there are no boundaries and overlap. It was specifically examin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iterary phenomenon. 박태일의 연구 논문 몇 편을 정리하였다. 그는 경북·대구 출신이 아니면서도 이곳 지역문학 연구를 살뜰하게 챙긴 연구자로 유일한 분이다. 지역문학연구가 그 구체성을 갖추지 못하고 지역 출신 작가의 작품론으로 이어지고 있는 연구 관행에 제동을 걸었다. 지역문학 연구는 지역연구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지역이라는 현장성, 공간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민하라 충고한다. 지역민과 지역문화, 지역 경관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문학현상을 무시하고 연구해 온 한계를 잘 지적했다. 동어반복에 지나지 않는 명망가 중심의 안이한 문학연구를 지적하면서 자료 확보를 통한 글쓰기의 중요성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지역연구에서 매체의 소중함은 연구의 근간이 됨을 여러 편의 논문에서 강조한다. 자료의 기록과 보관이 허술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역연구에서 매체를 탐색해야한다. 지역문학 연구에서 자료의 중요성을 제대로 보여주는 박태일의 글은 발로 쓰는 글임을 늘 확인할 수 있다. 매체를 통해 문학현상을 정리하고 구성할 때 지역문학사가 정리될 수 있다. 지역을 연구할 때 매체에 노력을 집중해야 함을 여러 차례 써 놓았다. 지역연구의 성과가 축적될 때 서울 중심의 문학사가 보충되고 보완될 수 있으므로, 지역문학을 연구하는 사람의 열성과 확신있는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을 기회있을 때마다 언급한다. 그러므로 박태일의 경북과 대구지역 문학연구는 지역이라는 테두리에 갇힌 연구가 아니다. 경남과 부산지역을 중심에 두고 있지만, 다른 지역으로 연구범위가 확산되면서 결국 한국문학사를 온전하게 재구성해내는 일을 실천적으로 이뤄내고 그 길을 알려준다.경북과 경남의 경계지역을 대상으로 다룬 것도 그 연장선에 있는 일이다. 지역 구분은 일차적으로 행정적인 구획으로 나눠진다. 그러나 실제 문화생활권에서는 경계가 따로 없이 겹쳐진다는 사실을 통해 지역문학 연구의 길을 새롭게 밝혀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