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공언어의 공공성과 규제 이념

        김미형 ( Gim Mi-hyeu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3 No.0

        이 논문에서는 “공공언어는 공공성을 지니므로 규제의 대상으로 삼아 관리해야 한다.”를 지지하기 위한 논의를 했다. 공공언어가 지니는 공공성은 어떠한 적용 가치를 지니는지, 그리고 이 적용 가치로 인해 어떤 규제 이념을 갖는지, 또한 그 규제 이념을 근거로 공공언어에 대해 어떤 조항을 규제해야 하는지를 논의했다. 공공성은 “한 개인이나 단체가 아닌 일반 사회 구성원 전체에 두루 관련되는 성질”이다. 공공언어 영역에서 이러한 공공성은 “정당한 소통 도구로서의 가치를 유지해야 함. 즉 공무원은 국민에게 알맞은 국어 표현을 해야 함.”이라는 적용 가치를 갖게 한다. 나아가 이것은 “국어 관련 법 조문을 지켜야 함”,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해야 함”, “국민의 인권을 존중해야 함”이라는 규제 이념을 갖는다. 각 규제 이념은 규제 조항을 포함한다. 즉 ‘공공언어 바르게 쓰기, 공공언어 쉽게 쓰기, 공공언어 곱게 쓰기“이다. 또한 이러한 공공언어 규제를 통해 공공언어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공공언어를 규제하는 입장과 규제 받는 입장에서 각각의 권리와 의무가 보장되어야 함을 논의했다. This paper discusses and supports the notion that “public language should be managed as a subject for regulation due to its public nature.” What value in application that public nature of the public language possesses, what regulatory principle is associated due to such value in application, and which provisions of public language should be regulated based on such principle are discussed. Public nature is something that is widely relevant for all members of the society, not one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Such public nature in the area of public language leads to value in application that its value as a proper mean of communication should be maintained. In other words, public officials should use appropriate Korean expressions to public. Furthermore, this is associated with following regulatory principles: “keeping provisions of laws regarding Korean language”, “securing the public’s right to know”, and “respecting the public’s human rights”. Each principle of regulation contains a regulatory provision, such as “proper use of public language”, “ease of use in public language”, and “careful use of public language.” In addition, the notion that rights and duties of both the side that regulates and the side that is regulated need to be preserved in order for public language to be improved through such regulation of public language is discussed.

      • 공공언어 속 통신언어에 대한 고찰

        안태형 ( An Tai-hyu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4 No.0

        이 연구는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누리집이나 누리소통망(SNS)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용어에 관한 허용 여부와 허용 수준에 관한 고찰을 다루고 있다. 공공언어는 공공기관에서 국민을 대상으로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하는 언어를 의미한다. 생산자와 대상을 기준으로 공공언어의 범위를 설정한 것이다. 공공기관이 생산하는 언어는 정보 전달의 기능을 수행하는 목적이 강한 경우에는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위해 어문규정에 따라 공공언어를 생산하지만, 친교적 기능을 강조하려는 의도가 강할 경우에는 공공기관이 가지는 권위를 벗고, 시민들에게 친근한 모습으로 다가서기 위해 일상어를 변형시킨 인터넷 통신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의도적으로 일상 언어를 변형해서 생산한 공공언어를 수용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어문규정에 맞게 고쳐야 할 것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만약 공공언어에서 인터넷 통신용어의 사용을 허용한다면 어느 수준까지 허용할 것인지 기준도 필요하다. Public language has a narrow definition of a language used by public institutions for the public interest, and a broad definition of language used by a large number of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in private areas other than public institutions. The main concern of public language was to study the policy of public language, to find errors in public language produced by public institutions, to determine what types of errors occur, and to suggest ways to reduce errors. In order to convey a variety of information to a large number of peopl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language are also manifested in public languages in situations where various media are u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at perspective the public language in which intentional variation occurred, whether it should be accepted from a positive standpoint, and whether it is right to correct the standards that public language should have from a negative standpoint.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 응대 언어에서의 음성언어적 원리와 그 활용

        박찬흥 한국공공언어학회 2024 공공언어학 Vol.11 No.-

        This study proposes a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trategy of public institutions by integrating vocal language elements into the language used to respond to complaints. The current public language policy primarily focuses on written language, overlooking the elements of vocal language. However, the language used to respond to complaints significantly impacts the direct interacti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citizens. The use of vocal language can contribute to relationship building and the improvement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ocal language elements and proposes a communication improvement plan using vocal language. In particular, it analyzes specific strategies and cases that utilize mutual negotiation, human relationships and roles, and empathetic listening to enhance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in complaint response situations. Through this, the study explores ways for public institutions to make their interactions with complainants more effective and meaningful.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민원인 응대 언어에 음성언어적 요소를 통합하여 소통 전략을 개선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현재의 공공언어 정책은 주로 문자 언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음성언어 요소를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민원인 응대 언어는 공공기관과 시민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음성언어의 활용은 관계 구축과 서비스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언어적 요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음성언어를 활용한 소통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음성언어 요소의 적용이 민원응대 상황에서 어떻게 소통의 질을 높일 수 있는지 상호 교섭성, 인간관계와 역할, 공감적 듣기를 활용한 구체적인 전략과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기관이 민원인과의 상호작용을 더욱 효과적이고 의미 있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 공공언어 사용 실태 및 개선 방안 - 공공기관 누리집 언어를 대상으로 -

        박주형 ( Park Ju-hyeo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3 No.0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 누리집에 있는 언어 자료를 대상으로 공공언어가 갖춰야 할 요건인 소통성과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지난 2019년에 진행되었던 ‘지방자치단체 언어환경 대진단’ 자료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공공성’과 ‘정확성’을 진단 기준으로 삼아 누리집에 자주 등장하거나 많은 사람들이 접할 것으로 보이는 단어나 표현들에 주목하여 그것의 문제와 개선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그 결과 문장부호의 경우 연월일 표기 오류 사례가 많이 발견되었음을, 띄어쓰기 관련 오류 사례로는 쌍점 띄어쓰기, 3어절 이상의 단어를 모두 붙여써서 가독성이 떨어지는 사례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밖에 외래어 사용 오류, 로마자 표기 오류 등의 문제점에 대해 실태조사 결과 발견되었던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다른 진단 기준이었던 ‘소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확한 단어나 표현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쉬운 단어들을 사용해야 한다. 최근 어려운 단어를 이용해 권위를 얻을 수 있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소통성’은 ‘정확성’과의 경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였는데, 해당 단어나 문장이 보도 자료에 쓰인 것인지, 누리집의 막대광고(배너, banner)에 쓰인 것인지 등에 따라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공공언어마다 각 항목의 가중치를 달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공공언어 개선 방향과 남겨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진단 기준을 바탕으로 하되 규범과 실제 사용의 영역을 오가면서 경직된 규범 위주에서 벗어나 유연한 관점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communication and accuracy of the languages shown on the Internet sites of public institutions. First, we took a closer look at the items of ‘community’ and ‘accuracy’ that we used to use as the basis for diagnosis. And we analyzed what the problems were and presented together with improvement plans, focusing on the popular public languages used in their websites. The discussion will be based on data on ‘Great Diagnosis of Language Environment for Local Governments’ that was conducted in 2019. As a result, errors in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spacing errors, use of foreign words, and Romanization alone were summarized. In order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of public languages, we must use the words as easy as possible, as well as the exact words or expressions. Recently, more and more people are calling for the use of words that are easily understood by anyone, away from the perception that difficult words can be used to gain authority. In the future, public language will have to shift from rigid norm-oriented perspective to flexible perspectives, moving between diagnosing existing public languages and refining emerging public languages into and out of the norm and real areas of use.

      • 이해하기 어려운 외래어 외국어 진단 기준 제안

        서현정 ( Seo Hyun-jung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6 No.0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언어에 사용되는 이해하기 어려운 외래어 외국어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진단하는 실효성 높은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외래어 외국어 사용 관련 진단 기준을 검토하여 실효성을 살펴보고, 공공언어 생산 주체인 공무원들이 공공언어 생산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으로서의 진단 기준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2020년 서울시 공공언어 실태조사 결과를 검토하여 부서명, 정책명 등의 공공언어에서 사용되는 외래어 외국어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공공언어의 외래어 외국어 사용의 주된 특성은 사용자 편의성에 따른 의미적 포괄성(다의성), 추상성, 모호성이라 할 수 있으며, 수용자 편의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구체성과 명확성을 확보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공공 언어에서 사용되는 외래어 외국어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을 살펴 보기 위해 공무원 6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래어 외국어 남용을 개선할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하였으며, 인터뷰에 참가한 공무원들은 공공언어 생산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으로서의 진단 기준의 필요성에도 깊이 공감하였다. 본고에서는 수용자 중심의 공공언어를 위해 외래어 외국어 진단 기준에 포함해야 할 항목으로 포괄적/다의적/불명확한 외래어 외국어 사용 여부, 다듬은 말(순화어) 사용 여부, 로마자 표기 여부, 표준국어대사전 등재 여부 등을 제시하고, 다듬은 말 목록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공문서 생산자들이 문서 작성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점검표의 예를 제시하였다. 공공언어의 외래어 외국어 사용에 대한 진단 기준은 공공언어 평가를 위한 기준이면서도 공공언어 생산 과정에서 참고할 수 있는 점검 사항으로서의 진단 기준이 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수용자가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이성’ 범주에 의미의 명확성을 중요한 세부 기준으로 포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s, which are difficult to understand, used in public languages, and to propose a highly effective standard for diagnosing them. To this end,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foreign language use-related diagnostic criteria was reviewed, and the diagnostic criteria as a guideline for public officials, who are the main actors of public language production, need to be supplemented. Also,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2020 Seoul Public Language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s used in public languages such as department names and policy names were analyz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oreign language use in public languages are semantic inclusiveness (multiple words), abstraction, and ambiguity according to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public officials' perceptions of foreign languages used in public languages,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public officials. As a result, a high consensus was confirmed on the abuse of foreign languages in foreign languages, and the public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deeply sympathized with the need for diagnostic standards as guidelines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public language production process. In this paper, as items to be included in the foreign language diagnosis criteria for a prisoner-centered public language, it is suggested whether a foreign language is used in a comprehensive/multiple/ambiguous foreign language, whether to use refined words (purified words), whether to use Roman characters, and whether to be listed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emphasized that a major overhaul of the trimmed horse list should be preceded. In addition, an example of a checklist that producers of public documents can refer to in the process of preparing documents is presented. The diagnostic criteria for foreign language use of foreign languages in public languages should be the criteria for public language evaluation and as a checklist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public language production process. More than anything, clarity of meaning should be included as an important detail criterion.

      • 세종시민 언어 의식 실태 조사

        김경열 ( Kim Gyeong-yoel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3 No.0

        본고는 시민의 언어 의식과 언어 사용 실태 조사를 통해 언어 의식 추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국어 정책 수립 및 공공언어를 개선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시민들은 국어를 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이에 교육뿐만 아니라 공공언어 사용에서도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여 바른 언어를 사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덧붙이고자 한다. 첫째, 국어책임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지역 국어문화원과의 연계를 통해 올바른 국어 생활을 유도해야 한다. 셋째, 공무원 교육 강화를 통해 공무원의 인식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바른 공공언어의 사용은 국민의 언어 의식 수준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공공언어의 역할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민을 계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시민들이 올바른 언어 의식을 가지고 생활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trend of language consciousness through the survey of citizen's language consciousness and language usage. Furthermore, it aims to establish Korean language policy and improve public language. Citizens agree that they should use Korean correctly, but the reality is no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use the right language in consideration of these aspects in public language use as well as education. To achieve this I would like to add some suggestions. First, the role of the chief korean language officer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proper Korean language life should be induced by linking with local Korean language institutes. Third, it is necessary to induce a change in public officials' awareness by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The use of the right public language is very important to raise the level of people's language consciousness. The role of the public language is not only to convey information but also to cultivate citizens, so citizens must be guided to live with the right language.

      • 파이썬(Python)을 활용한 공공언어 빅데이터 진단 방법 연구

        김형주 ( Kim Hyeong-ju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6 No.0

        이 연구에서는 공공언어 진단 방법을 표본조사 방식에서 전수조사 방식으로, 전문가 진단 방식에서 프로그램 진단 방식으로 개선하기 위해,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이 용이한 ‘파이썬’을 활용하여 공공언어 빅데이터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파이썬’을 활용한 공공언어 소통성 진단 과정을 소개하는 한편, ‘파이썬’의 진단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10,378건에 달하는 충남 17개 지자체 조례를 대상으로 ‘일본식 한자어와 일본어 투 표현’의 사용 실태를 진단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 공공언어 진단에 ‘파이썬’을 활용한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ublic language diagnosis method from the sample survey method to the total survey method and from the expert diagnosis method to the program diagnosis method, ‘Python’, which is easy to collect and analyze bigdata, is used to diagnose public language bigdata. In addition, this study introduces the public language communicability diagnosis process using ‘Python’ is introduced, and In order to prov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Python’,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results of diagnosing the usage of ‘Japanese style Chinese words or Japanese style expressions’ targeting 10,378 local laws of 17 local governments in Chungcheongnam do. We would like to introduce the results of diagnosing the actual conditions of use.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 up studies using ‘Python’ for public language diagnosi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국내 공공번역 정책에 대한 고찰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강미영 ( Kang Mi-young ),이은조 ( Lee Eun-jo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1 공공언어학 Vol.5 No.0

        이 글은 국내 공공번역 정책 현황을 공공 용어 번역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국내에 번역을 전담하는 기관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어와 외국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관련 기관들이 공공번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담하면서 분야별로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이와 같은 공공번역과 관련한 국내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국립국어원의 공공번역 업무의 방향을 알아본다. 2014년 국립국어원은 공공번역 중에서 공공 용어 번역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2020년 공공 용어의 외국어 번역 및 표기 지침 (문체부 훈령 제427호)을 제정함으로써 공공 용어 번역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이 훈령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공공번역 개선 방안에 대해서 모색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translations of public terms and explores the policy status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in Korea.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in the absence of an institution monitoring the translation, it requires systematic collaboration among relevant institu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policy status of the translation in the public sector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work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Since 2014,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has been in charge of the public sector translation and the standard for translation of public terms has emerged with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irective No. 427. The paper thus critically examines the enactment of the directive while seeking the measures to improve public sector translation.

      • 보도 자료 공공언어 사용 실태 분석 - 용이성을 중심으로 -

        김선영 ( Kim Sun-young ),한은주 ( Han Eun-joo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0 공공언어학 Vol.3 No.0

        이 논문 서울특별시 415편의 보도 자료를 토대로 공공언어 사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과 ‘용이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공공언어의 요건에 소통성을 활용하여 ‘쉽고 친숙한 용어와 어조를 사용하였는가?’를 고려하여 분장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보도 자료에서의 전문 용어 사용은 낯설거나 어려운 외국어를 많이 활용하며 행정 용어와 같은 특수한 어휘 선택에서도 현재 우리가 잘 사용하지 않는 어렵거나 복잡한 한자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불필요한 외국어 ·외래어 사용이나 어려운 한자어의 사용빈도는 유사하게 나타난다. ‘필수 개선 행정 용어 순화어’와 같이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공공언어들이 있지만 이해되지 않고 어려운 정책 용어를 만들거나, 다듬은 말의 사용보다는 기존의 용어들을 사용하여 보도 자료에서의 공공언어가 서울특별시민과의 소통에서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을 파악하기 위해 어휘 측면에서 분석한다. 또한 문장 측면에서는 한 문장 안에 하나 또는 두 개의 정보가 아닌 많은 정보를 담아 세 줄 이상의 글을 써서 읽는 사람들의 쉽게 파악하지 못하여 불편함을 겪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조사와 서술어 등을 생략하여 명사형으로 나열하는 문장도 고쳐 써야 하는 것으로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외국어 번역 투, 일본어 투 표현 등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였다. 이 보도 자료 분석은 공공기관에서 우리말과 우리글을 얼마나 잘 사용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is based on a selection of 415 press releases published o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bsite. It analyzes the use of terms and sentences based on ‘Ease’, a sub requirement of ‘Communication’ among the utilized language requirements. The terminologies used in the press releases showed numerous instances of foreign words of Hanja(Chinese characters) being used. Jargon was also used in complex Hanja or unfamiliar foreign languages. In addition, there was multiple cases where the “Essential Improvement Administrative Key words” for such terms were not used, making the content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In terms of sentence usage, there were sentences longer than three lines, which at times did not communicate well with the reader. Many sentences were but a simple series of nouns and even amongst them, there were a noticeable lack of particles and Korean grammatical endings. There were also sentences with awkward tones, as if they were a direct translation from English or Japanese. Analyzing public press releases proved to be a great basis on assessing how well the Korean language is being used.

      • 공공언어에서 ‘K-’* 접두사 기능과 어휘로서의 비유 의미

        한은주 ( Han Eun-ju ) 한국공공언어학회 2022 공공언어학 Vol.8 No.0

        이 글은 ‘K-복합어’의 공공언어에서의 사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공공언어에서 ‘신어’는 사회 현상이나 변화에 따라 언어도 함께 변화를 겪으며 나타나는 현상이다. 세계인들은 몇 해 동안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을 경험하였다. 우리 국민은 정치의 변화 등에 따른 사회의 변화도 겪었다. 이러한 변화의 경험은 새로운 용어를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일일 수 있다. 새로운 언어의 탄생 중에서 ‘K-복합어’의 사용은 많은 곳에서 눈에 띈다. 공공언어에서 「국어기본법」은 한글을 우선하여 쓰도록 한다. 그러나 ‘K-복합어’의 경우는 알파벳 ‘K-’를 밝혀 적고 있으며, 국어기본법의 ‘한글’ 쓰기를 자연스럽게 피하여 쓰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공공언어에서 「국어기본법」에 어긋나는 표기는 신어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접사 ‘K-’의 생산성도 많음을 알 수 있는데, ‘K-복합어’는 접사로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는지를 보려한다. 이에 따라 어휘 의미론에 따른 ‘K- ’ 접사의 유사성과 인접성을 파악하며 개념적 은유와 방향적 은유를 살펴보았다. ‘K-복합어’는 공공언어에서 긍정적 의미를 지니며 정책 용어나 사업 용어 등에 사용하고 있다. K-’ 접사는 [대표성을 띠는], [이상적인], [좋은 제품의(신뢰도가 있는)]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은유적 기능을 하고 있으며, 공공언어에서는 상향의 긍정적 의미로 사용하며 신조어 생산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반면에 어휘 의미론적으로 분석해 보면 부정적 의미를 지니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일상의 언어에서는 ‘K-복합어’ 사용에 ‘K-장녀, K-며느리’와 같이 부정적 의미를 쓰고 있는 것도 또 다른 특성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the public language, ‘new coinage’ also undergoes changes in the language according to social phenomena or changes. People around the world have experienced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for several years. Our people have also undergone changes in society due to changes in politics, etc. It can be natural that the experience of these change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new terms. Among the births of new languages, the use of ‘K-complex’ stands out in many places. In the case of public languages, the Framework Act on the Korean language requires that Hangeul(Korean) be written first. However, in the case of ‘K-complex’, the alphabet ‘K-’ is clearly written, and it is easy to see that it was written naturally avoiding ‘the only writing of Hangul’ in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In this way, I will check the meaning of notation that violates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to create a new language. Also, I will see whether the ‘K-complex’ plays a sufficient role as an affix. Accordingly, I will examine the conceptual metaphor and orientational metaphor by grasping the similarity and contiguity of the ‘K-’ affix according to the lexical semantic theory. ‘K-complex’ has a positive meaning in public language and is used as a policy language. ‘K-complex’ has a positive meaning in public language and used in policy terms. On the other hand, when analyzing lexical semantics, negative meanings are not used. In ordinary language,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negative meanings such as ‘K-Jangnyeo, K-Myeoneuri’ in the use of ‘K-complex’ appeared as another characteri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