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이준아,신희영,안효섭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에 있어 조혈모세포이식이 장기간 관해상태를 유지할수 잇는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조혈모세포의공급원으로 골수를 사용하여 왔으나 조직적합형이 일치하는 골수를 얻을 수 있는 환자의수는 제한적이다. 말초혈액에도 조혈모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는데, 말초혈액 조혈모세포는 이식후 생착이 빠르며 이식편대 숙주반응 등의 합병증이 적고 골수 공여자가 없는 환자들에서 자가골수채취에 비해 쉽게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아연령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골수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조혈모세포이식의 방법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8명(남 13, 여 5)의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시 정중 연령은 8년 6개월 (1년 10개월-15년 7개월)이었고, FAB 분류에 따른 아형은 M4 7명, M4E 4명,M5a 2명, M2, M6가 각 1명씩이었다. Cytarabine, etoposide와 G-CSF를 사용하여 조혈모세포를 가동화시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관해 159일(20-242일)째부터 분반채집을 시행하였고, 이로부터 33일 (23-65일)후에 이식을 시행하였다. 각 환아에게 투여한 조혈모세포의 양은 단핵세포수 16.04×10^(8)/kg (5.45-32.39×10^(8)/kg), CD34 양성세포 11.24×10^(6)/kg (0.93-46.9×10^(6)) 이었다. 결과: 이식 수 과립구수가 500㎕, 1,000㎕ 이상이 되기까지 각각 10일 (8-23일), 11일(9-41일0, 혈소판이 5,000㎕, 100,000㎕ 이상이 되기까지는 각각 35일 (10-71일), 43일(14-136일)이 걸렸다. 한편 제 28일, 제100일에 시행한 골수검사에서 재발한 환아들을 제외하고는 모두 생착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조혈모세포 주입시의 부작용으로 혈색소뇨증(78%), 오심/구토(78%), 고혈압(39%), 두통(33%), 복통(28%), 서맥(17%), 현기증(17%), 저혈압(11%), 발열(11%) 등이 발생하였다. 생착이 되기 전 15명 (83%)에서 발열이 있었으며, 이중 3명에서 균이 검출되었다. 15명이 설사를 하였고, 9명(50%)에서 구강점막염이 발견되었다. 이외 고용량의 항암제 투여와 관련하여 SIADH(3명), 출혈성 방광염(1명)이 발생하였으며 DMSO 독성으로 인한 간효소의 상승(1명)이 있었다. 이식후 추적관찰 기간은 487일(85-1,237일)로 이중 14명이 생존하고 있으며, 3년 무병생존율이 70.5%, 5명이 재발되어 1년째 재발확률은 29.5%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무병생존율이 지금까지 보고된 동종골수이식의 성적(55-70%)과 비슷하며 자가골수이식의 성정(30-50%)과 비교하여도 우수한 성적이었다. 또한 생착에 소요된 기간도 짧고 이식에 따르는 부작용도 적어 급성 골수성 백혈병에서 골수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방법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동종 골수이식에 비해 재발률이 놓았기에 향후 치료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미세잔존암 검색기술의 개발과 이식 전 조혈모세포의 purging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Background: Stem cell transplantation can lead to cure and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mia (AML). We investigated whether peripheral blood stem cell (PBSC) could be used instead of allogemeic of autologous bone marrow (BM0 in the treatment of AML in children. Methods: Data from 18 patients (13 boys, 5 girls) who underwent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were analysed. Their median age was 8 years and 3 months (1 year 10 months-15 year 7 months) and FAB subtype were; M2(1), M3(2), M4(7), M4E(4), M5a(3), M6(1). The median amount of stem cells infused was 16.04×10^(8)/kg (5.45-32.39×10^(8)/kg), 11.24×10^(6)/kg (0.93-46.9×10^(6)) in CD34^(+) cells. Results: The median number of days to reach absolute neutrophil count greater than 500㎕ and 1000㎕ were 10 days (8-23 days) and 11 days (9-41 days), respectively. Thirty- two days (10-71 days) and 43 days (14-136+ days) were needed to reach platelet count greater than 50,000/㎕ and 100,000㎕, respectively. When cryopreseved stem cells were infused, hemoglobinria (73%) nausea/vomiting (73%), hypertension(40%), headache(33%), abdominal pain(27%), bradycardia (20%) were observed, but they were mind and resolved by supportive management. Before hematologic reconstitution, 15 patients developed fever, three of whom were blood culture positive. Fifteen patients suffered from diarrhea and 9 had oral mucositis. Median days of follow-up after PBSCT was 487 days (85-1,237 days). Four patients died of disease relapse. At present, 13 children are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and one is under treatment due to leukemia relapse. The actuarial probability of disease free survival (DFS) at 3 years is 70.5% and probability of disease relapse at 1 year is 29.5%. Three-year DFS of patients who were in first complete remission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of 79.3%. Conclusion: The survival r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allogeneic BMT and hematopoietic recovery was faster.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autoligous PBSCT can be adopted as a standard treatment modality in acute myelogenous leukemia in children. But as we observed 5 patients with leukemia relapse, we should try to develop techniques that could detect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and techniques of purging to reduce the risk of leukemic relapse.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의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치료 결과의 비교

        박정호 ( Jung Ho Park ),박종웅 ( Jong Woong Park ),왕준호 ( Joon Ho Wang ),이재욱 ( Jae Wook Lee ),이정일 ( Jung Il Lee ),김재균 ( Jae Gyoon Kim ) 대한골절학회 2008 대한골절학회지 Vol.21 No.2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을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여 근위 대퇴 골수정A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본원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또는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수술을 받은 환자 총 34예 중에서 사망한 2예를 제외하고 각각 19예, 13예를 대상으로 하여 수술 시간, 출혈량, 골유합까지의 기간, 보행 시작 시기, 대퇴 경간각 변화, 수술 후 합병증 및 환자에 대한 술 전 및 술 후의 일상 생활 능력 및 보행 능력을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근위 대퇴 골수정 및 근위 대퇴 골수정A로 치료한 군의 평균 수술 시간은 각각 86분, 79분이었다. 수술 시 평균 출혈량은 각각 478 ml, 322 ml였으며, 4개월 이내 골유합은 각각 14예, 11예에서 얻을 수 있었다. 체중 부하 시작 시기는 각각 평균 1.2개월과 1.1개월이었고, 대퇴 경간각의 변화는 각각 4.2도, 3.2도였으나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근위 대퇴 골수정A 군에서 social function score 및 mobility score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좋은 결과를 보였고, 합병증도 적었다. 결론: 대퇴 전자간 골절에 있어서 근위 대퇴 골수정A를 이용한 수술법은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서 수술 후 환자의 기능 및 활동에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합병증도 적어,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해 좋은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of fracture fixation between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nd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roximal femoral nail A.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32 patients who suffered from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our hospital, which were 19 cases of PFN and 13 cases of PFNA.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mean operation time, amount of bleeding, beginning of ambulation, average union period, changes of neck shaft angle and complication on set of telephone interview and GPD. We also evaluated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using `Social function score` and `Mobility score`. Results: PFNA showed shorter mean operation time, less bleeding, shorter average union period, earlier ambulation and less change of neck shaft angle than PFN. Although they didn`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postoperative capability of function and mobility showed statistical and mathematical difference on each group. Conclusion: PFNA showed better results of postoperative function and mobility and less complications than PFN. So treatment using PFNA is better method than that of PFN.

      • SCOPUSKCI등재

        위장관 : 급성 TNBS-유발 대장염에서 동종 골수이식에 의한 치료 효과

        맹이소 ( Lee So Maeng ),장은덕 ( Eun Duck Chang ),채현석 ( Hiun Suk Chae ),김진수 ( Jin Soo Kim ),민정요 ( Jeong Yo Min ),손혜숙 ( Hye Sook Sohn ),노상영 ( Sang Young Rho ),김형근 ( Hyung Keun Kim ),조영석 ( Young Suk Cho ),최규용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4 No.1

        목적: 골수에서 유래한 세포들은 여러 병적인 환경에서 조직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저자들은 흰쥐의 실험 대장염에서 골수 이식 시 대장염의 치료에 대해 골수유래세포들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흰쥐는 3개의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 (50% ethanol), 2,4,6-trinitrobenzene sulfinic aicd (TNBS군) 장염군, TNBS+골수이식군(BMT군)으로 하였다. 장염을 유발하기 위해 50% 알코올에 녹인 TNBS (5.0 mg/마리)를 일주일에 한 번씩 2주 동안 항문을 통해 투여하였다. 동종 골수 이식은 TNBS 투여 3주 전에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를 지닌 수컷 유전자 도입 쥐의 골수 세포를 야생형 생쥐의 꼬리 정맥에 투여하였다. 모든 동물은 TNBS 투여 후 일주일 후에 희생하여 대장을 추출하였다. 골수이식이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GFP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였고 상피하 근육섬유모세포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vimentin과 α-SMA에 대한 면역조직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장염의 정도는 TNBS군에서 가장 심하였고 골수이식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GFP 양성 세포는 주로 선와의 니쉐 부위에서 염색되었으며 골수 이식군에서만 양성이었다. 근육섬유세포에 대한 vimentin, α-SMA에 대한 염색도 주로 선와 니쉐에서 양성이었고 대조군이나 TNBS군에 비해 골수 이식군에서 많았다. 결론: 흰쥐의 급성 대장염 치료에 골수이식은 효과적이며 골수유래세포는 선와니쉐 부위에서 근육섬유세포로 분화되어 장염의 치료에 관여한다. Background/Aims: Bone marrow-derived cells (BMDC) contribute to tissue maintenance under many kinds of pathologic conditions. We carried out a study to see how BMDC play a role in the treatment of experimental murine colitis. Methods: We divided the animals into 3 groups and treated them with 50% ethanol (control group), 2,4,6-trinitrobenzene sulfinic acid colitis (TNBS group), and TNBS+bone marrow transplant (BMT group). To induce colitis, TNBS (5.0 mg/mouse) dissolved in 50% ethanol was injected into anus weekly for two weeks. Bone marrow transplantations were performed using bone marrow of male transgenic mouse (donor) with green fluoresence protein (GFP) into female wild type mouse (recipient) three weeks before TNBS instillation.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lons were extracted one week after the last TNBS instillation. We measured microscopic scores of mucosal injury and investigated the GFP expression for bone marrow engraftment. The immunostaining of vimentin and α-smooth muscle actin (α-SMA) for myofibroblasts was performed. Results: The score of mucosal injury in the TNBS group was much more severe than those in control, and reduced significantly by BMT (p<0.05). GFP-positive cells were almost deposited in pericryptal niche of BMT group but not at all in both control and TNBS group. Most of myofibroblasts stained with both vimentin and SMA also infiltrated into pericryptal niche. But, the number of myofibroblasts stained with vimentin and SMA in both control and TNBS group was smaller than that in BMT group. Conclusions: BMDC deposited on pericryptal niche might have a significant role in repairing acute experimental murine coliti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4:20-27)

      • 동종골수이식 후 재발한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으로 장기간 관해가 지속된 1예

        백정환,김경태,김재석,어완규 KOSIN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06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21 No.1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동종골수이식이 성공한 뒤에 생기는 재발은 치료에 있어서 장애요인이다. 동종골수이식 후 재발의 치료에는 면역억제제의 신속한 중단, 공여자 림프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골수이식 재시술, 면역치료, 항암화학요법 재투여 등이 있다. 저자등은 동종골수이식 후 35개월에 골수 및 양측 고환에 재발한 M2 형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를 cytarabine (100mg/m^(2) 7일간)과 idarubicin(12mg/m^(2) 3일간)으로 1주기의 재관해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관해를 유도했다. 이후 매년 시행한 골수의 광동소교잡법(FISH)에서 완전 키메리즘(chimerism), AML1/ETO RT-PCR에서 분자학적 관해를 보였다. 현재 환자는 재관해 항암화학요법 치료 후 66개월로서, 좋은 신체활동도와 완전관해를 유지하고 있다. Disease recurrence following successful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remains a major impediment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myelogenous leukemia (AML). Approaches to treat patients in relapse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rapid tapering of immunosuppressive agents, donor lymphocyte infusion (DLI), second BMT, immunotherapy, and reinduction chemotherapy can be considered as treat modalities. We report a case of AML M2 in relapse 35 months involving testis and bone marrow after sibling allogeneic BMT. Second remission was achieved with one cycle of reinduction chemotherapy using cytarabine, 100 mg/m^(2) for 7 days and idarubicin, 12 mg/m^(2) for 3 days. Annual bone marrow study confirmed sustained complete chimeric status and molecular remission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nd AML1/ETO RT-PCR. The patient has remained in complete response (CR) with good performance status for 66 months after reinduction chemotherapy.

      • KCI등재

        증례 : 혈액종양 ; 단독 골수 외 심장 종괴로 재발한 만성 골수성 백혈병 1예

        변성규 ( Seong Gyu Byeon ),김희경 ( Hee Kyung Kim ),문지훈 ( Ji Hoon Moon ),문성미 ( Seong Mi Moon ),박지은 ( Jee Eun Park ),박실비아 ( Silvia Park ),정철원 ( Chul Won Jung ) 대한내과학회 2016 대한내과학회지 Vol.90 No.2

        저자들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동종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후 심장 종괴의 형태로 단독 골수 외 재발을 하였으나, 2년 이상 질병의 진행과 골수 재발을 보이지 않은 증례가 있어 보고하였다. 일반적으로 만성 골수성 백혈병 골수 외 재발의 경우 그 예후가 불량하고 혈액학적 재발이 뒤따르는 경우가 많으나, 본 증례는 만성 골수성 백혈병 일부 클론이 재발하더라도 수년간 양성경과를 보이는 휴지기 골수 외 재발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전에 골수성 백혈병을 진단받은 적이 있는 환자에서 골수 육종이 의심되는 소견을 보일 경우, 혈액학적 재발의 증거가 없더라도 적극적인 조직검사 및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the only option for chemotherapy-refractory chronic myeloid leukemia (CML). Extramedullary relapse after transplantation is rare and usually accompanies marrow relapse. Generally, the prognosis of extramedullary relapse is poor. Here, we report a man with extramedullary relapsed CML after stem cell transplantation that presented as an isolated cardiac mass, which has shown an indolent course for more than 2 years, without evolving to medullary relapse during that period. This case implies that the CML clone migh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quiescent extramedullary relapse with a benign course. (Korean J Med 2016;90:159-162)

      • KCI등재

        교합-압박 골수정으로 치료한 대태골 간부 골절의 불유합

        박윤수,문영완,성기선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2

        목 적: 내고정술 후 발생한 대퇴골 간부 불유합에서 골절 부에 압박을 가할 수 있는 교합-압박 골수정(IC Nail??, Osteo, Switzerland)을 사용한 동적 압박 골 유합술의 임상적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명, 21례의 대퇴골 간부 불유합율 교합-압박 골수정 고정술로 치료하였다. 평균 나이는 44 (18~69)세였으며, 골절 후 기준 수술까지 8에서 45 (중앙값 19)개월이 경과하였고, 추시 기간은 6에서 49 (평균 29)개월이었다. 천지료로 폐쇄적 골수정 삽입술이 10례, 개방적 골수정 삽입술이 10례, 금속판 삽입술이 1례였고 17례에서 골이식 및 동역화 (dynamization) 등 한 번 이상의 부가적 시술이 시행되었고, 과혈관성 불유합이 17례, 부혈관성이 3례였으며, 감염성은 1례였다. 시술은 골수강 확공 후 골수정 고정을 하였고, 근위부에 동적 교합 나사못을 삽입한 후 압박 나사를 이용하여 골절 부위를 압박하였고, 골이식은 하지 않았다. 결 과: 1례를 제외한 20례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유합이 이루어졌다. 방사선학적 유합은 기준 수술 후 4에서 15 (평균 7.4)개월에 이루어졌다. 개방적 골수정 삽입술 후 1회의 골수정 치환술과 2회의 골이식을 받은 36세 남자에서 술 후 12개월까지 유합을 얻지 못했다. 결 론: 확공 후 교합-압박 골수정 삽입술은 초기 치료 방법에 상관 없이 대퇴 간부 불유합의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런, 이전의 골수정 치환술이 실패한 무혈관성 불유합에서는 부가적인 시술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pecially designed Interlocking-Compression Nail(IC Nail??, Osteo, Switzerland) which allows compression force across the nonunion site for the treatment of femoral shaft nonunion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Nov. 1998 and June 2002, twenty one nonunions of femoral shaft fractures in twenty patients were treated with reamed IC nails of larger diameters without bone grafting in 9 men and 11 women, 8 to 45 months after initial operations. Seventeen cases were hypervascular nonunions, 3 avascular, and 1 infected. For initial operation, 10 closed nailing, 10 open nailing and 1 plate fixation were performed. One or more additional procedures had been done in 17 cases prior to IC nailing. Results: The nonunion gap was considerably narrowed from 7.4㎜ to 3.1㎜ with IC nailing and bony unions were achieved in all but one case. The time for radiographic union was 4 to 15 months posteoperatively with an average of 7.4. Conclusion: Reamed IC Nail?? with a larger diameter is an effective procedure for femoral shaft fracture nonunion regardless of initial treatment modalities and even in 3 avascular nonunions, 2 have shown radiographic union without bone grafting. Additional procedures are to be considered in failed surgery of avascular nonunions.

      • KCI등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PFNA)과 근위 대퇴 골수정(PFN)의 결과 분석

        유정한 ( Jung Han Yoo ),박진수 ( Jin Soo Park ),노규철 ( Kyu Cheol Noh ),정국진 ( Kook Jin Chung ),김홍균 ( Hong Kyun Kim ),강진규 ( Jin Kyu Kang ),황지효 ( Ji Hyo Hwang ) 대한고관절학회 2008 Hip and Pelvis Vol.20 No.4

        목적: 근위 대퇴 전자부 주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의 치료 결과를 근위 대퇴 골수정과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 24명(I 군)와 2005년 1월부터 2007년 1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 받은 24명의 환자를(II 군) 대조 군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 사이에서 수술 시간, 예상 출혈량, 수혈량, 중환자실 이용 빈도, 배액량, 평균 재원 일수, 합병증, 방사선학적 골 유합, TAD, 대퇴 경간 각의 차이, 검과 나사의 이동 거리, Jensen의 기능적 점수와 Parker와 Palmer의 활동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중 예상 출혈량, 배액량, 수술 후 합병증, 검과 나사의 이동 거리 그리고 대퇴 경간 각에서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고 (p<0.05) 그 외 모든 결과에서 통계학적인 의의가 없었다(p>0.05). 결론: 대퇴 근위 전자부 주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술식은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하여 비교적 양호한 임상적 결과가 관찰되었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results between PFNA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and PFN (Proximal Femoral Nail) in the treatment of peri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e patient group with PFNA (n=24, group I) was taken from operations between February, 2007, and March, 2008, whereas the PFN patient group (n=24, group II) were taken from January, 2005, to January, 2007. Both groups were carefully compared with regard to operation time, estimated blood loss, amount of transfusion, ICU care, amount of drainage,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intra-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adiologic union, Tip Apex Distance (TAD), the change of neck shaft angle, the sliding length of lag screw, Jensen`s functional score, and Paker and Palmer`s mobility score. Results: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ed statistical (P<0.05) advantages of PFNA over PFN where estimated blood loss, amount of drainage, rate of complication, neck and shaft angle, and sliding length were concern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the other areas that were examined (p>0.05). Conclusion: PFNA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than PFN for the treatment of peritrochanteric fractures of the proximal femur.

      • KCI등재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과 근위 대퇴 골수정의 비교

        김성수(Sung Soo Kim),김철홍(Chul Hong Kim),강진헌(Jin Hun Kang),한동훈(Dong Hoon Han),오용승(Yong Seung 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5

        목적: 대퇴 전자간 골절의 치료에서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의 치료 결과를 근위 대퇴 골수정과 비교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6월부터 2009년 2월까지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 받은 환자 57명의 환자 58예와 2005년 7월부터 2007년 5월까지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 받은 58명의 환자 60예를 비교하였다. 평균 추시 시간은 17.2개월(12-31개월)이었다. 골절의 분류는 AO/ASIF 분류에 따라 구분하였다. 두 군 사이에서 골절 양상에 따라 수술시간, 출혈량, 평균 재원 일수, 합병증, 방사선학적 골유합, tip apex distance (TAD), Cleveland index에 따른 결과, 대퇴 경간 각의 변화, 최종 추시시 활강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임상적으로는 환자의 기능을 Jensen과 Parker와 Palmer점수를 통하여 비교하였다. 통계 처리는 student T-test와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출혈량, 평균 재원 일수, 방사선학적 골 유합, TAD에서는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q>0.05).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이 수술시간, 최종 추시시 활강 정도, 대퇴 경간 각소실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근위 대퇴 골수정에 비하여 적었으며(p<0.05), 술 후 합병증에서는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이 금속나사 골두 천공이 1예와 표재 감염 1예였으나 근위 대퇴 골수정에서는 금속나사 골두 천공이 4예 및 후방 돌출과 내반 변형이 각 각 2예, 불유합 1예, 표재 감염 1예 관찰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urative effect of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PFNA) with a Proximal Femoral Nail (PFN)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of the femu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m pared 58 cases of 57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PFNA from June 2007 to February 2009 with 60 cases of 58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PFN from July 2005 to May 2007.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17.2 months (range: 12-31 months) All the fractur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O/ASIF systems The operative time, the average number of days of hospitalization, the amount of bleeding,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the union time as assessed on radiologic examinations, the tip apex distance (TAD),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Cleveland index, the change of the neck shaft angle and the amount of sliding at the end of follow-up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 e clinical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mobility score of Parker, Palmer, Jensen.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tudent T-test and chi-square test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loss during surgery,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days, radiographic bone union and TAD (p>0.05). Compared with PFN, the operation time, the postoperative sliding and the neck shaft angle change were significantly less in the PFNA group (p<O.05). For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re was 1 case of cutting out and 1 case of superficial infection in the PFNA group, and there were 4 cases of cutting out, 2 cases of back out, 2 cases of varus collapse, 1 case of nonunion and 1 case of superficial infection in the PFN group Conclusion: Using the PFNA had relatively satisfying clinical results for the treatment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as compared with those of using PFN.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대퇴 삽입물의 정렬을 위한 초음파 유도 골수강외 정렬 방식과 골수강내 정렬 방식의 정확도 비교

        이송 ( Song Lee ),김지형 ( Jee Hyoung Kim ),김진학 ( Jin Hak Kim ),양승진 ( Seung Jin Yang ),류창욱 ( Chang Wook Ryu ) 대한슬관절학회 2009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1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대퇴 삽입물의 정렬을 위한, 초음파 유도 골수강외 정렬 방식과 골수강내 정렬 방식의 수술 후 결과를 방사선적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시행된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 중 골수강내 정렬 방식(IM군) 50예와 초음파 유도 골수강외 정렬 방식(EM군) 50예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방사선 전후면 사진상대퇴골 인공삽입물의 관절접촉면과 원위 대퇴골의 중심선과의 각도(내외반각)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은 IM군과 EM군에서 각각 평균 94.96°(92∼98°)과 95.36°(90∼99°)였으며, 양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대퇴골 인공삽입물의 내외반각의 적정범위를 95°±2로 하였을 때, IM군이 45예(90%), EM군이 43예(86%)가 이 범위에 포함되었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 대퇴 삽입물의 초음파 유도 골수강외 정렬 방식은 골수강내 정렬 방식과 비교하여 두 집단 간의 대퇴 삽입물 정렬의 정확성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urpose: We wanted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a newly suggested sonography-guided extramedullary alignment guide system and an ordinary intramedullary alignment guide system for the femoral component alignment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underwent TKA from December 2006 to May 2007, an intramedullary technique was applied in 50 cases (the IM group) and an extramedullary technique was used in 50 cases (the EM group). The femoral component alignment angle was measured and compared postoperatively by using an anteroposterior (AP) radiograph of the knee. Results: The average femoral component alignment angle was 94.96° (92∼98°) in the IM group and 95.36° (90∼99°) in the EM group. Both groups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45 cases (90%) in the IM group and 43 cases (86%) in the EM group were included in the optimal range of the femoral coronal angle (95°±2).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 sonography-guided extramedullary and intramedullary femoral component alignment guide systems for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 KCI등재

        단순 방사선에서의 한국인의 정상 근위 대퇴부의 해부학적 측정: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수술 시 문제점

        박종석 ( Jong Seok Park ),김우종 ( Woo Jong Kim ),소재완 ( Jae Wan Soh ),장병웅 ( Byung Woong Jang ),김태헌 ( Tae Heon Kim ),서유성 ( You Sung Suh ) 대한고관절학회 2011 Hip and Pelvis Vol.23 No.4

        목적: 한국인의 근위 대퇴부를 측정하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 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11년 4월까지 대퇴부 전자간 골절로 내원하여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으로 치료 받은 환자 2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단순 방사선을 이용하여 건측 대퇴부의 경간각과 골수정이 삽입되는 골수강에서 협부의 직경 및 환측의 수술 후 대전자부터 근위 골수정까지 돌출되어 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성별과 측정값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결과: 평균 경간각은 129.7°(111.0~138.3°), 직경은 14.5 mm(9.7~23.1 mm), 돌출 길이는 5.5 mm(1.5~15.3 mm)를 나타내었다. 통계학적 결과로 경간각과 성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0). 협부의 직경과 성별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75). 돌출 길이와 성별의 상관관계도 성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53). 결론: 항회전 근위 골수정을 이용한 대퇴부 전자간 골절 수술에서 기구 선택이 제한적이었던 경험을 토대로 한국인의 해부학적 대퇴부의 경간각과 지름 및 골수정의 돌출 길이를 제시하며 한국인 체형에 맞는 골수정 규격의 다양화와 골수정의 근위부 길이가 좀 더 짧은 새로운 기구 제작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urpose: We propose to improve the use of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in Korea by reporting anatomical measurements of the normal Korean proximal femur.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30 patients were enrolled who had all experienced a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and undergone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surgical procedure between February 2007 and April 2011. We measured the neck-shaft angle and endosteal width at the isthmus of a normal femu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greater trochanter and the nail tip of the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in post-operative plain radiography. We analyz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measurements. We also investigated correlations with the patient gender. Results: The average neck-shaft angle and endosteal width at the isthmus were 129.7°(111.0~138.3°) and 14.5 mm (9.7~23.1 mm), respectively. The average protruded nail length was 4.9 mm (1.0~15.0 mm). The femur neck-shaft angle had a correlation ratio with gender (p=0.000). However, the endosteal width at the isthmus level and the protruded nail length had no correlation ratio with gender (p=0.108, 0.573, respectively). Conclusion: Until now, in intertrochanteric fracture operations using Proximal Femoral Nail Anti-rotation, the selection of devices has been extremely limited. Through this study we present the average Korean anatomical neckshaft angle, endosteal width of the femur, and protruding length of the nail tip. We expect that these numerical values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new devices with shorter proximal nails, which would be more appropriates for Kore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