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방암 환자의 상지감각변화와 어깨관절기능 및 우울

        이숙정,전시자,노영숙,박영미 지역사회간호학회 200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the range of motion in the shoulders and depress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correlation. The participants were 132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nd had mastectomy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had participated in a breast cancer self-help group.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assessed by SCL-90-R sco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for Windows. Results: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heaviness’ as the most frequent and serious symptom of change in the sensation of the arms. ‘Completely zip up the dress with a backfastening zipper’ was the most difficult motion of the shoulders. Participants who were in a worse stage of disease were in a worse condition in shoulder functions, and on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e degree of change in sensation and shoulder func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both of the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epression. Conclusion: Sensation and motion change in the arms and the shoulders were common phenomena that affected depression in patients who had mastectomy. Nurses should consider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discomfort of the arms and the shoulders for patients with mastectomy.

      • KCI등재후보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이숙정,이수정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proposes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investigates S Women’s University’s case, and presents significance and tasks of the change to competence-based general education. It asserts the necessit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mpetence-based education overcomes the conflict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two needs; second, it proposes a new approach to knowledge and new teaching methods,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focused on knowledge; and third, it links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by solv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program of S Women’s University as a case. The university has two types of required general education program,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 ’ and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I ’, through which students can develop basic and key competencies. It also evaluates students’ competencies with SM-CLA(SM-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and offers upgrade courses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e paper shows the result of SM-CLA and the effect of upgrade courses.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t suggests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intrinsic value of general education, be connected with the existing academic curriculum, and make continuous effort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ors’ competenci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제안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으로는 첫째,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직업교육의 대립을 극복하고 인문 교양적 자유교육과 사회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업교육을 통합하며, 둘째, 지식중심의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며, 셋째,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연결점을 찾아 지식과 학문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교양교육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제안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S여대는 교양교육원 내에‘ 역량개발센터’라는 전담기구를 두어 기초역량과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두 가지 교양필수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역량을 진단 및 평가하는 역량측정도구인 SM- C L A 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향상정도를 평가 및 파악하고 있으며,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심화과정으로서 역량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족한 역량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역량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S여대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의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과 인지역량 심화과정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계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실제적인 운영을 통해 살펴본 역량기반 교육의 방향이자 과제로서 첫째,교양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기존의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의 역량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개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자의 역량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학교변인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학교급, 학교학급규모, 남녀공학을 중심으로

        이숙정 한국교육학회 2006 敎育學硏究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school factors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specific questions as follows: a)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c)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o-edu/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chool factors(junior/senior high, school class size, and co-edu/non co-edu) on students' trust in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0(male: 818, female: 772) from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Kyunggi, Korea.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Scale(STTS) developed by Sook-Jeong Lee and Jeong-Shin Han(2004). The data from the test were analyzed in Cronbach α, t-test, intercorrelation,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2.0 computer program. On the analysis, the results appeared as follows: 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unior/senior high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b) The correlations between school class size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was a negative correlations; c)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edu /non co-edu and students' trust in teachers; d) The schoo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students' trust in teachers, and explained about 18% of the students' trust in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some conclusions can be drawn: a) Trust and trust relation develop as growing up; b) The school factor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s study shows that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s in schools play as much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the trust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변인들 중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및 남녀공학 유형과 학생들의 교사신뢰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학교변인들이 학생들의 교사신뢰 형성에 갖는 함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에 따른 교사신뢰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셋째, 남녀공학의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분석하고,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이 교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에 사용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2.0 프로그램이었으며 분석방법은 t-검증, 상관분석, 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ㆍ학급규모와 교사신뢰 수준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교ㆍ학급규모가 작을수록 교사신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공학 유형에 따른 교사신뢰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녀공학의 교사신뢰 수준이 비공학 학생들의 교사신뢰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러한 학교변인들은 학생들의 교사신뢰를 약 18% 정도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신뢰관계는 학교조직의 맥락과 특성에 영향을 받는 심리적 구인이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급, 학교ㆍ학급 규모 등의 학교변인들이 학생의 교사신뢰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중심 교과목 효과연구 ― 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이숙정,박소연,유지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certification of the effects of competence-based subject with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study design set up 3 experimental group namely, problem-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general lecture on competence development Ⅰ opened S Women’s University and 1 control group. The effects variable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as selected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ffects of competence development Ⅰ lecture with educational methods was partially significan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ll 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Moreover, it was found that 2 factor namely, challenge achievement and self professionalism of successful competence of organizational lif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역량교육의 효과가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여대의 역량관련 교과목인 ‘역량개발 Ⅰ’의 PBL 중심수업과 자기주도학습 중심수업에 따라 조직생활 성공역량,진로결정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은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효능감의 경우, 목표선택, 직업정보, 미래계획, 문제해결 4개의 하위척도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생활 성공역량의 경우, 도전성취와 자기전문 2개 척도에서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어떻게 의미있게 전달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윤리적 접근 : 나딩스(N. Noddings)와 트론토(J. C. Tronto)의 돌봄의 윤리를 중심으로

        이숙정 한국도덕교육학회 2008 道德敎育硏究 Vol.20 No.1

        The current forms of school community are based on individual-centered education, encouraging intense competition and discouraging educ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intends to search an alternative notion of school community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ies of a feminine ethical approach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forming of school community with caring. The ethic of caring allows us to look at school community from a relational point of view which is too often neglected in conventional education. Especially, Noddings and Tronto try to understand caring as the universal moral disposition and sociomoral practice. Although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etween two theorists, both of them give us useful ideas to understand the ethic of caring. Based on these theories,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guidelines constructive of school community with caring : (a) intersubjective communication, (b) teacher as a mentor, (c) forming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d) building of mutual trust relationship between school community members. These four points are expect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urrent schooling and to construct educational relations based on caring. Building school communities based on ethic of caring might be able to offer possibilities to change the current forms of schooling into caring and mutual trust. As a kind of school culture, the ethic of caring should be taken seriously into account in forming school community. 본 연구는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윤리로서 돌봄의 윤리를 제시하고 돌봄의 윤리가 학교공동체 형성 및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구체적 실천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길리건(Carol Gilligan)의 돌봄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시작으로 교육학, 철학, 여성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돌봄의 윤리에 대하여 얘기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돌봄, 관계, 신뢰, 실천의 학교공동체 만들기를 논의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간주되는 나딩스와 트론토의 돌봄의 윤리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할 것이다. 그들이 주장하는 돌봄의 윤리와 학교학습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네 가지 실천적 방안 - 간주관적 의사소통 관계 형성, 윤리적 스승으로서의 교사의 역할변화, 협업학습의 확대, 학교 구성원들 간의 상호신뢰 구축 - 을 제시하여 우리의 학교와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