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실태

        강현숙 ( Hyun Sook Kang ),김원옥 ( Won Ock Kim ),김정화 ( Jeong Hwa Kim ),왕명자 ( Myung Ja Wang ),현경선 ( Kyung Sun Hy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뇌졸중환자는 대부분이 편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퇴원 후에도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가 요구되므로, 특히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보완대체 요법에 매우 관심이 높다. 본 연구결과,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69.2%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Mok 과 Cho (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71.6%와 유사하며, Yang 등(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0.0%, Oh (2008) 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1.3%. Jin (200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5.4%, 각종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와 Park (199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1.2% 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과 Son (2002)의 보완대체 요법 이용률 77.5%, Lee, Kang과 Lee (1997)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80.6%, 노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Park 등 (2003)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94.2% 보다는 낮았다. 이와 같 이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대상 질병, 대상자의 특성, 조사시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무엇보다도 뇌졸중환자의 6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뇌졸중 환자간호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종류, 효과 등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유무는 나이, 성별, 배우자, 교육정도, 직업, 수입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였으나, 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는 성별과 직업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성별, Jin (2009)의 연구에서는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있어서 복잡 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 사료되므로 앞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제요법의 이용 유무는 진단, 발병 후 기간, 마비유무,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물리치료 유 무, 일상생활동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진단과 유병기간이 보완대체요 법의 시행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Mok과 Cho (2004)의 연 구에서는 선행질환, 재활치료, 일상생활기능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이것은 선행질환이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병의 정도가 중증이기 때문에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필요로 하 는 시점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한 연구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중인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현황을 비교·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뇌출혈보다 뇌경색이더 이용 을 많이 하였고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뇌경색에서 이용 을 많이 하여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외과적 치료중심의 뇌출혈보다 뇌경색일 경우 보완대체요법이용에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이며,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후 기 간이 2년 이상이고 마비가 있는 경우에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뇌졸중이 뇌 조직의 특성상 일단 비가역적인 변성이 이루어진 이후의 회복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편마비 언어장애 및 치매 등의 섬 각한 후유장애를 남겨 사회적 복귀가 어렵고 치료 및 재활비용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며(Saeki et al. 1994), 뇌졸중의 완치율이 10% 미만이어서(Lee & Park, 1999) 후유 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안고 길게 투병해야하는 재가 뇌졸중 환 지들에게 계속적으로 의사에게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보조적이거나 대안적인 치료인 보완대체요법으로 관리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재가 뇌졸중 환 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이용율이 높았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을 조사한 타 연구가 없어서 비교 논의할 수 는 없으나 보완대체요법에 대하여 올바른 교육을 받지 않은 상 태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뇌졸중 대상자를 위한 올바른 보완대체요법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재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기는 47.3%가 치료도중에 이용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경우 51.1% 가 치료도중 이용하였으며,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Park (2009)의 연구에서도 62.0%가 질병 초기에 이용하였다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처음 이용 시기는 발병 후 3개월 이내가 88.9%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이 발병되고 응급치료 등이 끝나면 질병상태를 호전시커기 위해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활발히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 정서에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개발 하여 뇌졸중 환자의 간호에 활용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기간은 1년 이상이 41.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평균 약 12개월이었다는 Oh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와 Jin (2009)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35.5%, 42.9%), Yang 등(2004)에서도 보완대체요 법 이용 기간은 59.3%가 3개월 이내로 본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다. 이것은 급성기를 지나 재활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회복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영구적 장애에 대해 더 이상 나아질 수 없다는 생각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줄어들거나 경제 적 부담이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의 시기가 다르고 Oh (2008)의 연구에서도 병원치료를 받고 있으면서도 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45.0%임을 볼 때 장기로 요 양을 하고 있는 뇌졸중 환지를 중심으로 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이유는 치료에 대한효과 기대’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 43.2%가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 Yang 등 (2004)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게 된 주증상은 “ 근력약화 와 마비”가 64.1%로 제일 많았으며 Jin (2009)의 연구에서 이 용 동기는 “병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68.2%, “질병을 낫게 하 기 위해서가 25.8%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의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특히 만성질환자의 경우는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더 절실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 법의 이용은 현대의학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연친 화적 요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질병치료의 효괴를 기대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보완대체요법을 알게 된 경로는 가족 24.4%, 이웃 20.4% 순 으로 많았다. Mok과 Cho (2004)의 경우 이웃 27.3%, 가족 25.2 % 순이었고Yang 등(2004)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의 소개가 45.3%, Jin (2009)의 연구에서도 가족이나 진지가 55.4%로 보완대체요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의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 환자는 물론 가족과 이웃을 함께 보완대체요법 교육에 참여시 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후 느낌은 혈액순환이 잘된다’ 20.9%, ‘심리적으로안정된다 159%순이었다. 이 결 과는 Yang 등(2004)의 연구결과에서 “증상조절에 효과가 있었다”가 95.0%, “치료효과는 없었으나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5%로 나타난 결과, Jin (2009)의 연구결과 “증상이 좋아졌다’ 39.4%,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36.4%와 유사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경우 ‘효과가 없다’ 30.9%, 혈액순환이 잘된다’ 28.1% 순으로 효과가 없다 는 느낌이 우세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 이용기간이 본 연구는 1년 이상이 가장 많고 Mok과 Cho (2004)는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유추해 볼 때 효과를 비교하기에는 기간의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이용기간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이 양방치료보다 좋은 점은 “붐에 해가 없다”가 24.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서적으로 안 정감을 준다" 16.4%, “몸을 보호해 준다" 12.9% 순이였다. Mok 과 Cho (2004)의 연구에서도 “몸을 보호해준다”가 31.7%,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25.2%로 나타났고, Lee (1999)의 연구에 서 만성질환자들은 32.3%가 “몸을 보호해준다”,25.3%가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라고 응답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완대체요법은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정통의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완대체요법 종류는 한방요법(침, 폼, 부항, 한약)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식이 및 영양, 수기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Mok과 Cho (2004)의 연구에서 식이 및 영양요법, 수기요법 순 이었으며, Jin (2009)의 연구결과에서도 식이 및 영양요법, 한약 및 약초요법, 수기요법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도 우황청섬환, 침, 사혈, 한약의 순 서로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젓과 유사 하다. 또한 Oh (2008)의 연구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신뢰에서 특히 한방에 대한 신뢰가 많아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면 한약이나 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질병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더 적극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치료도중에 사용하고 현대의학과 병행하고 있었으며,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고 인제에 무해하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가 족과 같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용자의 대부분이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반복적 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동서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in stroke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the appropriate CAM information to patients recovering from stoke. Methods: Subjects were 201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health care center and a welfare center. Data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1 2009 was analyzed using SPSSIWIN 12.0. Results: Subjects averaged 67.4-yr-of -age. Of the 201 subjects, 69.2% had used CAM. CAM 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agnosis, duration of post stroke, paralysis, and education about CAM. CAM was used in the mid-portion of treatment by 47.3% of the subjects, and 41.7% used it for more than a year. Of those using CAM, 52.7%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reason was the belief in the treatment`s beneficial effects. Of the subjects 89.2% reported most frequent use of oriental medicine. Conclusions: The majority of stroke patients survey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used CAM in their mid-period of treatment expecting positive effects.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KCI등재

        중년여성의 약물사용 실태 조사

        이영선,김은경,김경숙,강경인,김희선,신성희,김은숙,최지선,신혜숙,황선기 여성건강간호학회 200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ug use of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 consisted of 330 middle aged women who ranged in age from 40 to 60 years. They were selected in Seoul, Kyung-K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April, 10th to 30th 2001 and analyzed by the SPSS PC+ program using qui-squa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roportion of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 was 42.4%, 3.7%. The motivation of drug use was advised family and relatives(46.1%), doctor's order(39.4%), magazine and advertisement(14.5%). Most of middle aged women get the information on knowledge of drug from hospital(47.3%), magazines and advertisement(30.3%), advised family and relatives(22.4%). And 57.9% of the middle aged women didn't know side effect of the using drug and 13.9% of the middle aged women have had experienced with side effect. And the level of attitude on drug abuse in middle aged women was 43%. Most of the subjects(93.9%) didn't use alternative drugs, and they used more than 3 kinds of drugs(47%). 2. They used digestives(44.2%), applying ointments(41.8%), drinks(39.4%), analgesics(39.1%), laxatives(8.8%), anti hypertension drugs (8.8%), and anti-anemic drugs(8.8%) in their orders.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수준

        강경숙,김용욱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생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2004년부터 국고지원으로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처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원에 지원한 이들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및 지원동기, 그리고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질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0~30대의 젊은 층, 전문대졸 이상, 여성 집단이 가장 많이 특수교육보조원에 지원하였고, 초등 저학년의 통합환경에 주로 배치되어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구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자질로는 교수·학습지도방법에 대한 이해 및 기술이며, 역할로는 학생의 안전과 건강보호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교육관련인인 교사, 행정가, 부모가 요구하는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심과 봉사정신, 그리고 신변처리와 같은 지원과는 다소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보조원과 함께 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힘써야 할 특수교육관련인 집단과의 순조로운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자질과 역할을 정립하고, 필요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필요하다. Since the year 2004,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has been enforced in Korea. Paraprofessionals were implemented into schools by government grant. The purpose of the system was of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make this new system useful and effective, it would be necessary to collect more information about the job requirement and related perception.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araprofessional system and their role and job requirement percep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presented several facts. First, almost applicants of the paraprofessional position were female adults in twenties or thirties with 2-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most paraprofessionals were assigned to inclusive classrooms and worked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Third, when the survey asked them to indicate critical elements for the job, they answered that knowledge and skills of instructional methods were best required. Fourth, in terms of the role, they gave priority to student-safety and health. There was a good distant gap between paraprofessionals' real senses of the job and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who regarded paraprofessionals as persons sacrificing themselves and rendering services to meet students' personal needs such as personal physical care. Clarification of paraprofessionals' role and qualification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professioanls and special educators including teachers, administrators, and even parents facilitates the process to clarify the paraprofessional role and requirement.

      • KCI등재
      • 女性의 基本欲求와 衣裳價値觀間의 相關關係 硏究

        姜京子,李貞淑,秋美先 慶尙大學校 1987 論文集 Vol.26 No.2

        This was designed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sic needs and values on teh clothes of women, 358 women living in Taegu city and JinJu city were selected as sample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1. Women have stronger needs for physiology, self-actualization belongness and affection self-esteem and safety. They regards economic, sensory values most important. 2. Young women tend to regard aesthetic values such as form,color, harmony important. Older women like to wear comfortable clothes. 3. Women having higher education have lower needs for physiology and safety, and they have strong need for self-actualization, And they tend to regard aesthetic values important, but they have lower religious values on the clothes. 4. There is difference of need and clothing values of women depending on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5. Unemployed women have stronger need for self-actualization than the employed women. Ⅱ.Correlation between basic needs and values on clothes was investigated. 1. Married women who regard aethetic values important have stronger need for self-actualization. Single women who regard economic values important have lower needs for safety and self-actualization but married women have lower needs for belongingness and self-esteem. 2.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of correltion between values and needs depending on the age and education of respondents. 3. There is a difference of correlation between values and needs depending on the monthly incomes of respondents.

      •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 방안 연구

        강경숙,강영택,김성애,정동일 국립특수교육원 2002 연구보고서 Vol.- No.1

        최근 중도장애학생들의 취학이 늘어나고 통합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보조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해 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사 1인당 담당학생수가 과다하여 특수학교는 물론 일반학교의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모두 장애학생의 특별한 요구를 적절히 지원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교육 상황에서 보조원 운영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육 보조원리 자원 및 역할, 선발 및 교육과 배치, 복무 및 관리를 중심으로 한 특수교육 보조원 운영방안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와 외국의 사례 및 관련 정책을 소개하고,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특수교육 보조원 운영실태 및 그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외에 좌담회, 특수학교(급)교사 분임 토의, 전문가토론회 등 협의회를 개최하여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관련인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자 노력하였다. 국외의 특수교육 담당교사 보조인력 활용실태에 대해서는 미국, 독일, 호주를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일본과 캐나다의 내용을 부가하여 법적 토대(관련법률), 자원 및 역할, 훈련 및 배치, 활용 및 관리방법을 고찰하여 우리 실정에 적합한 특수교육 보조원제 시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내용으로서는 외국의 경우, 대부분 법적·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 예산을 투자함으로써 특수교육 현장에 유급으로 특수교육 보조원을 지원하고 있다. 그 활용형태에 있어서는 장애학생의 일대일 도움 뿐 아니라 통합교육을 위한 지원과 중증 장애학생의 독특한 특수교육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지원형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의 특수교육 보조원 운영에 대한 실태 조사 결과로서 대부분의 특수학교, 특수학급,통합학급에서는 교사 외 보조인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생 자원봉사자, 학부모 등을 중심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자원봉사자 확보의 어려움, 자원봉사자의 일회성 봉사 등으로 지속적인 활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다. 일부 학교나 교육청에서는 자원봉사자 외 공익근무요원, 공공근로자, 사회봉사명령자 등을 활용하여 통합교육과 특수교육의 질적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특수교육 현장에 보조인력을 투입하고 있었다.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방향으로는 첫째, 모든 가용인력 자원을 활용함을 원칙으로 하되 급료 지급여부에 따라 무급과 유급 보조원으로 구분하고 둘째, 급료지급 여부에 따라 특수교육 보조원의 자격과 역할, 훈련 및 배치, 그리고 복무관리 방안을 달리 하며 셋째, 특수교육보조원제 운영에 대한 제반 행·재정적 지원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보조원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자원 및 역할에 대해 자원봉사자와 같은 무급 보조원인 경우 자격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유급 보조원인 경우 육체적, 정신적 또는 심리적으로 그 역할을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된 자로서 남녀 구분 없이 고졸 이상으로 하는 등 자격에 제한을 둔다. 특수교육 보조원의 역할은 정규교사의 고유업무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규교사의 교육활동을 보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그 내용은 개인적 욕구지원, 교수-학습활동 지원,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지원으로 한다. 둘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선발 및 교육과 배치에 대해 특수교육 보조원의 선발은 시·도교육청 및 시·군·구교육청의 특수교육지원센터가 담당한다. 특수교육 보조원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은 무급 보조원은 해당 학교에서 필요에 따라 훈련 내용과 기간을 정하여 직접 실시하고, 유급 보조원은 시·도 교육청 및 시·군·구교육청에서 교육을 담당한다. 그리고 특수교육보조원의 배치는 시·도 교육청에서 배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셋째, 특수교육 보조원의 활용과 관리에 대한 방안으로 특수교육 보조원의 복무관리는 해당 학교에서 함을 원칙으로 하나 시·도 교육청에서 복무지침을 마련한다. 한편, 보조원제시행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은 사회봉사명령자, 공익근무요원, 공공근로자, 그리고 유급 고용인력으로 나누어 지원함을 원칙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으로는 특수교육 보조원제 운영이 특수교육이 당면한 현안과제,즉 학급당 인원수 감축, 특수교육 전공교사 배치 등과 상반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균형을 이루어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국가에서 특수교육 보조원제를 도입하기 위한 예산 확보에 전력을 기울여야 하나 전적인 예산확보가 어려운 경우, 지방자치단체와의 협조와 타 기관과의 공조체제 마련에 대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자원봉사자, 사회봉사명령자, 공익근무요원, 공공근로자 등의 단순한 배치만이 아니라 그들에게 적절한 기본교육을 실시하여 장애학생을 실제로 지원하고 도움을 주며, 장애인과 더불어 체험하는 일반인으로서의 경험을 확대하여 장애인의 통합을 이루기 위해 국가 전체적인 인적자원 효용성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전개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 need for teacher-aide in special education has gradually increased as the inclusive education and the school attendance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re paid great attention. In our countr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case-load)for a teacher in special education field is too large, so the special need of the students cannot be appropriately supported in special schools or in the special and inclusive classes in regular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management of teacher-aide system in special education which is proper to the actual conditions of our country, focusing on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eacher-aide, training and arrangement, and duty and administration. For this, I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need for the teacher-aide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of our countr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investigated the current trends, the cases and the policy of teacher-aide through literature reviews in foreign countries and surveys of the demands on the assistants for special education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related persons of special education are collected at the symposium, at the conference, or at the discussion whe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teachers, administrators, professo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aide and so on attended. As for the use of assistant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merica, Germany, Australia, Japan and Canada, they have already settled down the devices of law and the teacher-aide systems, and now they support the special education by investing the budgets. There are various supporting forms of assistance not onl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but for th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need unique services including one-on-one assistance. From this, the implications have been drawn for an introduction and a management of teacher-aide system in our country. The results of collecting data on application of teacher-aide in domestic special education are as follows: It i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ssistant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us the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and parent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used as assistants in most special education institutes, but it's not easy to use them consistently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ensuring or maintaining volunteers and of their tentative service. Some special schools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utilize the various assistant manpower such as public service agent, public sector laborers, and the persons with ordered social service in addition to the volunteers, to prevent the inclusive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rom quality deterioration. The direction of management of the teacher-aide system makes it a rule ( i ) to classify into paid and non-paid teacher-aid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paying the salary (ii) to differ qualifications and duties, training and arrangement, service management plan on teacher-aide (iii) to be charged with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by the central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management plan of teacher-aide system in special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fications of non-paid teacher-aide such as volunteers are not limited, but the paid teacher-aide has to get a qualification of graduation of a high school, and they should be physically, mentally and psychologically healthy to perform the role. The role of teacher-aide is to suppor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within a range of not interfering with teachers' work, and the content is to help the personal need, to support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o improve inappropriate behavior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local governments take charge of selecting teacher-aide.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non-paid teacher-aide, the school personnels are in charge of training contents and duration as they need. And as for the paid teacher-aide, the offices of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ake charge of training them. Third, for the use and administration of teacher-aide, the schools supervise the teacher-aide and the offices of education prepare the service regulations.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kinds of assistants such as the persons with ordered social service, public service agent, public sector laborers, and paid teacher-aid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keep the balance the teacher-aide system and the pending issues such as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or arranging the teachers having degrees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national efforts have to be devoted to get budget for this matter, teacher-aide. If all kinds of human resources helped and supporte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experiencing voluntary works and understanding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various kinds of disabilities, they could be the most efficient supporters for special education. So there has to be the national enhancement of utilization of all kinds of persons for the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일부 소방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강경화,이강숙,김석일,맹광호,홍현숙,정춘화 大韓産業醫學會 2001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3 No.4

        목적 : 소방공무원의 음주량과 직종별 직무 스트레스에 대해 알아보고 보다 나은 스트레스 관리방안과 문제성 음주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 : 2000년 7월부터 8월까지 소방공무원 중 구조대원 97명, 구급대원 97명, 화재진압대원 179명,행정대원 116명, 기타대원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소방공무원은 모든 직종에서 승진 및 임금제도의 스트레스 요인 점수가 가장 높았다. 직종별로 직무 내적 요인, 조직에서의 역할, 대인관계, 조직과 풍토, 직장환경과 스트레스 결과 점수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과음 주자인 경우 직무 내적요인, 직무 스트레스 수준, 개인적 특성, 대처방식의 점수가 높았으나 유의하지 알았다. 음주량은 직무내적 요인 중 업무 피드백과 음의 관련성을, 직무 스트레스 요인 중 역할 갈등은 음주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소방공무원의 가장 높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승진 및 임금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은 역할 갈등과 같은 직무 스트레스 요인과 관련이 있었으며, 향후 전향적인 음주행태조사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and job stress among firemen, and to develop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including stress management and the prevention of problem drinking. Methods :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00. Study subjects included 97 rescue workers, 97 emergency medical personnel, 179 fire extinguishers, 116 administrators and 49 others. Results : The firemen displayed higher scores of stress due to promotion-related pres-sures and salar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internal factors, job ro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rganizational norm, work environment and stress outcome among the various jobs. Job internal factors, job stress fa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ping skills, and stress outcome were higher in heavy drinkers compared with the light and moderate drinkers. Job internal factors and smoking hab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drinking, although coping skill, exercise frequency and monthly income showed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amount consumed.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ed that alcohol drinking is associated with job stress. This suggests that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including stress management and problem drinking prevention and control should be developed.

      • 베체트병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의해 발생한 대량 소장출혈 1예

        강인숙,류연주,장지은,정성애,이지수,조영주,이경은,이지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3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6 No.2

        Bechet's disease(BD) is a chronic inflammatoroy condition involving several organs inclu-ding gastrointestinal tract. Gastrointestinal tracts involvement in BD has been identified throughout the entire alimentary tract and commonly accompanies ulcerative lesions in the small and large bowel. It is debatable whether BD could be included among seronegative spondyloarthropathy (SPA).SPA usually occurs without overt sign of intestinal inflammation, but significant number of patients have asymptomatic intestinal inflammation, usually affecting ileum. Since most patients with SPA in-cluding BD are treated with NSAIDS. However, NSAID may play a role in aggravation or provo-cation of intestinal inflammation. Special attention to asymptomatic intestinal inflammation is needed, especially when NSAIDs are used for management of arthritic symptom in SpA. We experienced a case of BD which was complicated by a massive small bowel bleeding precipitated by NSAID use. 저자들은 베체트병 환자에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사용 후 발생한 대량 소장 출혈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