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高麗 小鍾〉 考察

        이광배(李光培)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0 佛敎美術 Vol.21 No.-

        〈동국대박물관 소장 고려소종(No.629)〉은 높이 약 35㎝의 소형(小形)종이지만 고려후기 범종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으며, 그 작품성 또한 우수하여 고려후기 소종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한국 범종 연구가 중대형의 범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시각에서 폭을 넓혀 소형범종에 대한 양식규명은 고려시대 범종의 정확한 이해를 위한 중요한 시도라 판단된다. 그것은 고려후기 범종의 제작양상에서 개인적인 발원 성격이 강한 소종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러한 상황에서 소형 범종의 제작에 있어 당시 중대형의 범종 양식이 어떠한 방식으로 반영되고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라 할 수 있다. 고려시대 범종의 현황을 통해 보면 이 시기 범종의 양식규명에 있어 소형 범종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것으로, 본고에서 다루는 〈동국대박물관 소장 고려소종(13세기중반)〉이 고려후기 소종을 대표할만한 작품성을 간직하고 있기에 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고려후기라는 시기는 그 어느 시기보다 외래양식의 전래가 활발히 이루어진 시기이다. 그것은 지속적인 대외교섭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범종의 제작에서는 기존의 왕실발원의 대형범종이 줄어들고 개인적인 발원성격이 강한 중소형의 범종이 많이 제작되었다. 그러한 양상에서 범종의 양식에도 변화가 생겼는데 그 대표적인 특징들이 입상화문대의 장식과, 용뉴의 형태변화, 범자문과 새로운 장식문양의 등장이다.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 역시 이러한 고려후기 범종의 양식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음을 작품의 분석을 통해 밝혔다.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은 고려후기 범종의 전형인 입상화문대로 대표되는 상부장식과 용뉴 및 종신의 표현에서 고려후기 범종이 형식화되기 이전인 13세기 중반에 제작되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함에 있어 적당한 크기 조절로 넓지 않은 종신에서 여백을 강조할 수 있었던 점과 딩좌내에 새 문양을 표현한 독창성 등을 통해 〈동국대박물관소장 고려소종〉의 작품의 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고찰에서는 모든 수의 고려후기 범종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양식비교는 지면과 시간관계상 이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기존의 중대형범종에 집중된 고려 범종 연구의 범위를 넓혀 고려시대 소종에 대한 연구 가치와 자료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서 앞으로 고려범종의 명확한 양식규명에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고 사료된다. 〈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No.629)〉は高さ約35㎝の小型鍾だが高麗後期の梵鐘の樣式をよくおさめているし、その作品性も優秀で高麗後期の小鍾を代表するといっても過言ではない。特に韓國の梵鐘硏究が中大型の梵鐘を中心に成り立った旣存の視覺から間口を廣めて小型梵鐘に對する樣式糾明は高麗時代の梵鐘の正確な理解のための重要な試みだと判斷される。それは高麗後期の梵鍾の製作樣相で個人的な發源性格が强い小鍾たちの數が壓倒的に多くて、そういう狀況で小型梵鍾の製作において当時中大型の梵鍾樣式がどんな方式で反映されているのかに對する考察と言える。高麗時代の梵鍾の現況を通じて見ればこの時期の梵鍾の樣式糾明において小型梵鍾に對する理解は必須なことで、本考察で扱う〈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13世紀中盤)〉が高麗後期の小鍾を代表するに値する作品性をおさめているから硏究資料として価値が高いと言えるのだ。 高麗後期という時期はどんな時期より外來樣式の伝來が活發に成り立った時期だ。それは持績的な對外交涉の結果だと言える。梵鍾の製作では旣存の王室設源の大型梵鍾が減って個人的な發源性格が强い中小型の梵鍾がたくさん製作された。そういう樣相で梵鍾の樣式にも変化が生じたがその代表的な特徴たちが立狀花紋帶の飾りと、龍紐の形態変化、梵字文と新しい飾り文樣の登場だ。 〈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やはりこのような高麗後期の梵鍾の樣式を充實に反映していることを作品の分析を通じて明らかにした。〈東園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は高麗後期の梵鍾の典型である立狀花紋帶で代表される上部飾りと龍紐および終身の表現で高麗後期の梵鍾が形式化される以前である13世紀中盤に製作されたことで所存される。いっしょに多樣な文樣を表現するにおいて適当な大きさ調節で廣くない終身で余白を强調することができた点と撞座內に新しい文樣を表現した獨創性などを通じて〈東國大博物館所藏高麗小鍾〉の作品の柄が高きを分かった。 本考察ではすべての數の高麗後期の梵鍾に對する綿密な分析と樣式比較は紙面と時間關係の上成り立つことができなかった。しかし旣存の中大型梵鍾に集中された高麗梵鍾硏究の範囲を廣げて高麗時代の小型鍾に對する硏究価値と資料の大切さを提示することでこれから高麗梵鍾の明確な樣式糾明に一歩進むことができるきっかけを用意したと思う。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ㆍ팔엽연화형 받침 고찰

        김순아(Soon-Ah Kim)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9 佛敎美術 Vol.20 No.-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are important relics but have been ignored despite their unique form, composition, various patterns sculptured in line, and the importance of icon. For the meantime, Buddhist applied arts of Korean art history has variously studied Sarira vessel. However, it is safe to say that the interest in Sarira vessel or Huryeongtong inserted in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which has a different concept from general Sarira vessel enshrined in a Buddhist tower or a stupa of a Buddhist monk, appeared only in a few studies in recent days and did not make much progress. Sarira bowl, which is put into in compliance with ceremonial of 『Building Statue Sutra』, a kind of text on ceremony, after manufacturing a Buddhist statue, have som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xisting block books of Chosun: the lid of a brass bowl was rubricated with Buddhist Scriptures; the words of Buddha, Darani, both-faced mirror, or crystal beads are enshrined. However, the existing 『Building Statue Sutra』 is the block book of Chosun and so it was not revealed what ceremony was conducted for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Against the background, this study tries to categorize Silver Sarira bowl and lotus- shaped pedestal of eight leaves into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by comparing them with the textile of Goryo which is known of its birth. There are several reasons in categorizing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not into simple Sarira vessel but into Textile of Statue Enshrinements. Comparing Silver Sarira bowl of 阿彌陀佛腹藏 which was manufactured in 1302 and possessed by Onyang Folklore Museum with 1346 Changgok長谷 temple of made by steel of 佛腹藏 white bronze bowl, 1346 Munsu文殊 temple gold bronze Amitabha image of wooden bowl, the end of Koryo of Haein海印 temple 大寂光殿 wooden Vairocana Images 佛腹藏, they have similarity in the form and are rubricated or carved with the five letters of Jinsimjongja on the lid. The tendency unseen in general Sarira vessel serves as an evidence that Silver Sarira bowl and lotus-shaped pedestal of eight leaves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are not simply Sarira vessel but Textile of Statue Enshrinements as above. Besides the fact, several patterns carved in line in bowl and stand are worth attention. In particular, three Buddas carved in body of bowl are Vairocana Trikaya Buddhas. These are of more importance in that they are unique examples of Vairocana Trikaya Buddhas not found other than in descended documentary records. Additionally, the combination of flower pattern decorated in lotus shaped pedestal with eight leaves and arabesque design is much connected to the composition of woodne statue pedestal possessed by Sudeoksa. Furthermore, it is the same as lotus pedestal described in Buddhist painting of Goryo and the flower patterns of neckless decoration in Budda, which provided a clue for its nationality and manufactured time. In the study based on similarity of the form of bowl in Goryo Textile of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and the style of inscribing the words of Buddha, the expression and composition of lotus pedestal and stand, Silver bowl and other relics including pedestal were estimated to be manufactured around 14th century and segmented into Silver bowl and pedestal used as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not a general Sarira vessel. Sanskrit characters of pedestal of eight leaves and its symbolism and meaning need more study through deeper consider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nature of objects of applied arts manufactured for Buddhist Statue Enshrinements is closely examined through mor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은 그 이례적인 형태와 구성, 그리고 선각된 다양한 문양과 도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 되어온 중요한 유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한국미술사의 불교공예분야에서 사리기에 관한 다양한 연구 활동이 있었지만 불탑이나 승탑 등에 봉안되는 일반 사리기와 다소 개념을 달리하는, 즉 불상복장물에 납입되는 사리기나 후령통에 관한 관심은 최근의 몇 몇 연구에 그칠뿐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고 해도 괴언이 아니다. 불상을 조상하고 일종의 의례집이라고 할 수 있는 『조상경』의 다양한 의식절차에 따라 납입되는 사리합은 현전하는 조선시대 판본의 내용에 의거하면 몇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합의 뚜껑부분에 범서를 주서한다든지 다양한 진언이나 다라니, 양면거울, 수정주 등을 봉안하는 절차들이 그것이다. 그러나 현전하는 『조상경』은 모두 조선시대의 판본으로, 고려시대에는 어떤한 의례에 따라 불복장을 갖추었는지 알 수 없는 가운데 기년명을 가진 고려시대의 불상복장물과의 비교ㆍ고찰을 통해 이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을 불복장물의 일부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의 사례를 단순한 사리기가 아닌, 복장물에 납입되는 사리기로 구분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온양민속박물관소장 1302년 아미타불복장의 은제사리합의 예와, 1346년 장곡사 칠불 복장물의 백동합, 1346년 문수사 금동아미타불상의 목재합, 고려말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상 복장물과의 비교ㆍ고찰을 통해 살펴보면 그 형태의 유사성 뿐만 이니라, 뚜껑에 진 심종자 다섯 글자를 주서하거나 새겨 넣은 것 등이 동일하다. 일반 사리기에서는 보이지 않는 이러한 경향은 거꾸로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은제사리합과 팔엽연화형 받침이 단순한 사리기가 아니라 위의 몇 가지 사례와 흐름을 같이히는 복장물의 사리기 일괄 유물임을 반증해주는 자료라고 판단된다. 한편 위의 사실 이외에도 합과 받침에 축조기법으로 선각된 다양한 문양들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합의 동체에 선각된 세 구의 여래도상은 비로자나삼신불 도상으로, 전해지는 문헌 기록 외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비로자나삼신불 도상의 실체를 보여주는 유일한 작례라는 점에서 더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팔엽연화형 받침에 장엄된 화문과 당초문의 결합은 수덕사 소장목재불상대좌의 문양 구성과 강한 친연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나아가 14세기 고려불화에 묘사된 연화대좌, 그리고 14세기로 추정되는 몇 몇 불상의 영락장식의 화문과 그대로 일치한다는 점에서, 국적과 제작시기를 뒷받침해주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주었다. 현전하는 고려시대 불복장물의 합의 형태와 진언을 표기하는 방식, 그리고 고려시대 불상부조의 표현 형식, 연화대좌와 받침의 표현 및 구성방식 등의 유사성을 근거로 하여 본 고찰에서는 은제합과 받침 일괄 유물을 고려시대, 특히 후기인 14세기 무렵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일반 사리기가 아닌 불상복장 납입용 사리합과 받침으로 보다 세분화하였다. 아직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한 팔엽받침의 범자 및 그 상징성과 의미는 이후 더 깊이 있는 고찰을 통해 밝혀나가고자 하며, 앞으로 보다 많은 사례 발굴과 조사를 통해 불상복장을 위해 제직된 일련의 공예품에 대한 성격 문제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奉壽堂進饌圖〉

        장계수(Gye Su Jang)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7 佛敎美術 Vol.18 No.-

        《화성능행도병》은 〈華城聖廟展拜圖〉, 〈洛南軒放榜圖〉, 〈奉壽堂進饌圖〉, 〈洛南軒養老宴圖〉, 〈西將臺夜操圖〉, 〈得中亭御射圖〉, 〈還御行列圖〉, 〈漢江舟橋還御圖〉의 8폭 병풍그림이며, 본 글에서 살펴 본 〈봉수당진찬도〉는 현륭원 원행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서 어머니 혜경궁을 위해 베풀었던 進饌禮를 그린 것이다. 동국대박물관 소장본 〈봉수당진찬도〉는 현존하는 작품들 중에서도 화면 내용과 보존상태가 뛰어난 작품으로 생각으로 생각되며, 화면 구성은 다른 소장본들과 마찬가지로 상ㆍ하단으로 구획되어 있다. 화면 상단에는 진찬례가 행사가 진행되는 시간적 순서를 고려하여 인물 배치와 다양한 呈才가 표현되었는데, 화면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시선이 이동되면서 행사를 집행하는 여집사와 여령 정재를 지휘하는 집박차비, 그리고 휘건을 바치는 정리사의 모습을 손에 쥐고 있는 지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찬례에 추어진 정재는 맨 처음 시작된 獻仙桃에서부터 무고ㆍ아박ㆍ향발ㆍ선유도를 그리고 있으며, 검무는 화면 오른쪽에 놓인 검 4자루와 戰笠, 붉은색 보따리를 통해 상징적으로 그리고 있었다. 특히 지금까지는 헌선도 정재 외에 舞鼓와 船遊樂 정재만 그려졌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동국대박물관 소장본을 통해 牙拍과 響鈸 정제도 그려져 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화면은 行宮 안에서 치러진 궁중행사도에 전통적으로 사용된 正面俯瞰 투시법에 의해 그려졌으며, 일부 기물은 일점투시에 의한 遠近法이 적용디었다. 인물은 얼굴의 윤곽이 세밀하게 묘사되고, 움직임이 회깅ㄹ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건물과 각종 기물은 의궤 기록과 일치하는 사실적인 표현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전체와 金彩의 사용을 통해 화려한 궁중 행사도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채색의 농담을 조절하여 사물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기둥과 가교 지붕의 표현에서 명암법이 적극적으로 구사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채색의 빛깔이 퇴색되지 않고 생생하게 살아 있어서 화려한 궁중 그림의 일면을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동국대박물관 소장의 〈봉수당진찬도〉는 정조대 이후에 제작된 後模本이기보다는 당대에 뛰어난 솜씨를 지닌 화원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필자는 《화성능행도병》과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도식」을 제작할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을 밑그림의 제작과 관련하여 현륭원 원행에 따라갔던 최득현을 주목해 보았다. 최득현은 의궤 기록에 의하면, 원행을 다녀온 뒤 진찬도병을 제작하여 진상하고 상을 받은 7명의 화원 중 한명이며, 김홍도와 함께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도식 제작에도 참여했었다. 또한 진찬도병을 제작한 후 김득신과 함께 가장 많은 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진찬도병의 제작에 그의 역할이 비중 있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최득현이 현장에서 그렸다고 추정되는 그림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필채색본 『園幸整理儀軌圖』와의 관련성을 추정해 보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면밀한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King Jeongjo carried out trip to royal mausoleum in the name of Hyo(孝, filial piety), he emphasized on the purpose of his trip to Hyeonryungwon on the basis of filial piety. But his real purpose was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and his justification. His trip to Hyeonryungwon was to celebrate his mother Hyegyeonggung's 60th birthday later in the year in 1795. This trip had a difference from plan, preparation, and trip scale, the difference is proved by Hwaseongnunghaengdobyeong and Wonhaengeulmyojeongriuigue. Hwaseongnunghaengdobyeong consists of eight paintings. Of all these paintings Bongsudangjinchando is to depict a banquet held in honor of the King's Blather at Bongsudang Hall. This painting is tile best work of all existing Bongsudangjinchando in contents and conservation condition. The framework of painting is composed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 banquet scene is depicted in the upper par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ime. A dance that performed in this banquet is Heonseondo(dance for offering peach), Moogo, Abak, Hyangbal, Seonyoodo(boating), and Geommoo(sword dance). So far, only Heonseondo, Moogo, Seonyoodo were become known. But through this research, we know that this painting includes Abak and Hyangbal. The painting was produced by some of the most eminent court artists at that time. This work was painted by the traditional front over looking technique, some utensils were applicable to perspective. People were described delicately and people's motion was depicted naturally. Buildings and utensils have a realistic shape. In this painting the noticeable thing is draft of this work. The person supposed to paint draft is Choi Deuk Heon. According to Uigue record, he made banquet folding screen related with King Jeongjo's trip in 1795, he received a prize from King. Also he joined to make diagram of Wonhaengeulmyojeongriuigue. This painting is, in essence, a historical documentary painting, but also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paintings, which are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The painting is rendered in sophisticated, elegant colors and each scene is depicted with an exceptional attention to detail. It is not only a remarkable work of art, but also has historical value a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stoms and people's lives at that time. The painting is a masterpiece, representing the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實相寺出土 新羅梵鍾 考察〉

        이광배(Kwang-Bae Lee)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9 佛敎美術 Vol.20 No.-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의 실상사(實相寺) 출토 범종은 1969년 3월 29일 전라북도 남원군 산내만 실상사(實相寺) 경내에 있는 약사당(藥師堂) 동남쪽 지점에서 출토 되어 현재 동국대박물관 1층 전시실에 전시되어 있는 종이다. 애석하게도 출토 당시 이미 종신의 절반 이상이 파손된 상태로 발굴되어 완형의 모습은 볼 수 없지만 남아 있는 비천상(飛天像)과 하대(下帶) 및 당좌(撞座)의 모습을 통해 통일신라 범종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완형 혹은 파종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 범종의 수가 희소한 점을 감안한다면 실상사종의 존재는 한국 범종의 전형을 완성한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양식을 규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기존의 통일신라 범종의 연구에서 이 종은 양식변천의 한 예로서 언급되던 정도였으며 범종의 정확한 제작시기를 알 수 있는 명문(銘文)이 없기 때문에 구체적인 시기 추정을 위한 작품 분석 또한 부족했다. 본고에서는 한국 범종을 대표하는 통일신라시대 범종의 특징과 상징성에 대해 살피고 비록 파손된 상태이지만 실상사출토 종의 남아있는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통일신라 범종의 양식 변천에서 실상사 출토종의 보다 명확한 시기 추정과 가치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실상사 출토종의 분석 이전에 한국 범종을 대표하는 상원사종(725년)과 성덕대왕신종(771년)을 통해 한국 범종의 구체적인 특징이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종의 전통이라 함은 단룡(單龍)의 용뉴(龍?)와 음통(音筒), 항아리형 종신의 추구와 더불어 당좌의 섬세한 표현, 각 문양대의 동일한 문양 패턴의 추구, 요철(凹凸)이 적은 부드러운 시문 방식, 종신 여백의 미 추구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한국 범종만이 가지는 미감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전통은 이 후 고려와 조선시대 범종에서도 꾸준히 유지되어 한국 범종의 독창적인 양식을 보여줌을 현존하는 작품들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실상사 출토종은 비록 파손되어 완형을 통한 양식 분석은 힘들지만 앞서 언급한 통일신라 범종의 각각의 요소들을 통해 기존에 다소 언급되지 않았던 특징들을 본고를 통해 살펴 볼 수 있었다. 그 결과 실상사 출토종은 규모 면에서 상원사종에 버금가는 중대형의 범종이였으며, 전형적인 항아리형 종신을 가진 종이였음을 내부 모양에서 알 수 있었다. 실상사 출토종의 연곽 일부와 당좌 및 하대 장식에서 동일한 연주문(蓮珠紋)과 당초문(唐草紋)의 표현에서 문양의 통일성을 추구함도 밝혔다. 당좌는 다른 원형당좌의 공간 충전적인 방식이 아닌 적당한 여백을 통해 표현하였으며, 하대에는 독창적인 연화형 장식을 통해 문양대의 입체감을 살려 장엄 효과를 높였다. 주악비천상의 경우도 천의의 지연스러운 굴곡, 천의를 장식한 다양한 장엄구, 섬세한 안면표현과 신체의 양감을 통해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상원사종(725년)의 주악상과 더불어 통일신라 범종의 주악비천상을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종합해보면 실상사 출토종의 구성요소는 8세기 범종의 양식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으며 새로운 모티프의 표현 등으로 통일신라 후기 9세기 범종과의 영향관계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의 9세기 초의 범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 범종의 전형을 완성한 통일신라 범종 연구에 있어서 실상사 출토종의 가치가 본고를 통해 다시 한 번 주목받고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A temple bell excavated from Silsang Temple now in possession of Museum of Dongkuk University was excavated from a location in southeast side of Yaksa Shrine within Silsang Temple at Sannae-Myeon, Namwon-Gun, Jeollabuk-Do on March 29, 1966 and is a bell currently exhibited in No.1 exhibition hall of museum of Dongguk University. Unfortunately, it was excavated in a status of already destruction over a half during excavation and we cannot see the whole figure but we can confirm the shape of a Unified Shilla temple bell through features of remaining Bicheon/Flying into the sky shape and the shape of Dangzwa/a place where a hammer is hit during hitting a bell in lower stand.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e number of Unified Shilla temple bells remaining currently in a complete shape or in destructed bell shape is very rare, existence of Silsang Temple bell has a very important value in examining the style of temple bells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Shilla, which had finished traditional model of Korean temple bells. In researches on existing temple bells of unified Shilla, this bell was even mentioned as one example of the history of changes of styles but since there are no described sentences indicating accurate period of manufacturing of this temple bell, ana lysis of the work piece for estimating specific period was also lacking. In this thesis, it was attempted to approach to more accurate period estimation and value of excavated bell of Silsang Temple by analyzing composition elements remaining ill excavated bell of Silsang Temple in specific even though it is in a status of destruction through examining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temple bells of unified Shilla period, which represent Korean temple bells, through changes of style in temple bel Is of unified Shilla. Therefore, in this thesis, L have reviewed what ar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Korea temple bells through Sangwon Temple bell (Year 725) and Great King Seongdeok Shin/God bell (Year 771) which represent Korea temple bells before analysis of excavated bell of Silsang Temple. As the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tradition of Korean bells was to form an aesthetic beauty only unique to Korean temple bells in combination of various elements such as a single dragon of dragon head decoration of a bell and sound box, a delicate expression of Dangzwa/a place where a hammer is hit during hitting a bell together with pursuit for main body of a bell like shape of s jar, pursuit of the same patterns in each pattern stand, a gentle decoration laying method with less of prominence and depression, and pursuit of beauty in marginal space of main body of a bell. We will find out through existing work pieces of Korean bells that this tradition was continuously maintain ed in temple bells during Goryeo and Joseon period and became unique style of Korean temple bells. Despite Silsang Temple excavated bell is difficult to analyze the style through the complete shape because of destruction, characteristics not mentioned in the past could be reviewed in this thesis through each element of unified Shill a temple bells mentioned in the above. As the result, Silsang Temple excavated bel I was a medium and large temple bell in a size comparable to Sangwon Temple be Il and it was found out through the shape of inside that it was a bell having the main body of a bell in traditional jar shape. It was also found out that uniformity of patterns was pursued in the same expressions of Yeonjumun/lotus-leaf-pattern and Dangcbomun/vine-grass-pattern) in a part of Yeongwak/a rectangular lotus frame, Dangzwa/a place where a hammer is hit during hitting a bell, and decoration of lower stand of Silsang Temple excavated bell.

      •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려중기 금동보살입상

        정은우(Eunwoo Jeong) 동국대학교 박물관 2007 佛敎美術 Vol.18 No.-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in possession of Dongguk University is 41.5 ㎝ high and shows one body casting (通鑄式) technique with statue and pedestal. In overall, the statue is long and thin, it with narrow shoulders and slender waist S-shaped posture is shown by bending its left knee The face is looking in a sideway. These features give the statue elegant and smart characteristics. The crown is decorated with a Amithba buddha, which is in triangular shape. The three sides of this triangular shaped crown are decorated with leaves. Ornaments(寶珠) are located on tops of three sides. These features were popular from Tang to North Song dynasties in China and assumed to be flown into Goryo dynasty. Comparing the similarity to the statue images of North Song dynasty, the production period of this stature is predicted to be 11th century in mid-Goryo dynasty. As reflected trend of Chinese Bodhisattva, the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implies the stylistic peculiarity inherited through five dynasties and North Song dynasty. One of the features of this Bodhisattva is one body casting technique. Before Unified Silla dynasty, there were 3-4 molding holes at the back of Buddist statue. However, in pre- and mid-Goryo dynasty, the characteristic shows no molding holes at the back of the statue and pedestal shown inner molded cray(內型上) and core iron. The existing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remains not only in very good condition, but also a good status reflecting molding techniques of the era. Moreover the statue is one of a few exampl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North Song dynasty to give more significance to the statue.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의 금동보살입상은 41.5㎝의 크기에 대좌와 함께 주조된 통주식의 제작기법을 보이는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좁은 어깨에 가늘고 잘룩한 허리, 왼쪽 무릎을 살짝 구부린 S형 자세, 옆으로 돌린 얼굴에 가늘고 긴 신체에서 세련되고 우아한 특징을 보인다. 보관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에 화붙이 있어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으며 그 좌우 측면에는 잎사귀가 옆으로 뻗치듯 표현되었고 그 각 꼭대기에는 보주장식이 달려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중국의 경우 당대에서부터 북송에 걸쳐 유행했던 요소이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작 시기는 중국 불상과의 비교를 통해 볼 때 특히 북송기의 작품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점에서 고려중기인 11세기후반에서 늦어도 12세기 전반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즉 중국 보살상의 흐름으로 볼 때 당에서 시작되어 오대, 북송으로 계승되는 양식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보살상의 특징 중의 하나는 통주식으로 이루어진 주조기법이다. 이전인 통일 신라시대에는 불상의 뒷면에 3-4개의 주조구멍이 있는 반면 고려전기와 중기의 금동불상들은 뒷면에 주조구멍이 없는 막힌 구조에 내형토와 철심이 대좌 밑으로 드러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통주식 기법은 삼국시대의 특징이며, 중국의 경우 오대, 요, 북송으로 이어지는 보살입상에서도 나타나는 시기성을 보인다. 이 금동보살입상은 현존상태가 매우 좋을 뿐 만 아니라 양식이나 주조기법 등에서 시대성을 잘 보여주는 전체적으로 우수한 작품이다. 더욱이 그 예가 드문 북송과의 외래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는 보살상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三身佛圖〉에 대한 一考察

        이혜원(Lee Hye Wo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1 佛敎美術 Vol.22 No.-

        The iconography of a painting of Tirkāya is formed with Vairocana Buddha, Locana Buddha and Sakyamuni Buddha. And this painting is made as a Buddhist Rea Painting in Daejeokgwangjeon or Daegwangmyeongjeon. Painting of Tirkāya, prevalent with a popularity of HwaYen thought, has a name of Vairocana Buddha, Locana Buddha and Sakyamuni Buddha when the Tian-tai Sect start in China. It describes the best Utopia in Buddhism with a perfect organization of Dharma-kāya, Vipakakāya and nirmāna-kāya. In the meaning that the Buddhakāya is same, Tirkāya usually bring Manjusri and Samantadhadra in the each of both side. The painting of Vairocana Buddha, Dharma-kāya is absented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 Painting of Tirkāya, which is made in 1741,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possession is unknown. But this picture has much significance, because it is the oldest painting in actual Buddhist Rea Painting of Tirkāya for Vairocana Buddha. Also, in this painting, many devotees are expressed, but after this, the trend, they are portrayed, is getting reduced. In case of Locana, he describes a classic form of Locana Buddha. Because raising his are near the shoulder, Locana Buddha takes Vitarka mudra, he wears a luxurious crown and a robe as a figure of Bodhisattva, and there is a concentric circle in his abdomen. In the top of the painting, the scene, which depicts a meeting of Sudhana, Manjusri Bodhisattva, and Maitreya Bodhisattva, reflects a substance of Avatamsaka sutra, the basis of Tirkāya. In case of Sakyamuni Buddha, he influences a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scene, Janggoksa(temple), which is made in 1748,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possession. Exact enshrinement place is not known on account of a little damage on the painting record. This painting has a connection with a painting of Sakyamuni's preaching scene, Janggoksa(temple), which is made in 1748,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possession that it might be enshrined in Janggoksa or a temple which has an association with Janggoksa though. At the conclusion, the Painting of Tirkāya, which is made in 1741,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possession is constructed with many dependent Guardians in each scene, and each pictures are made up independently. Also an arabsepue of mandārava in the knee of Locana Buddha, hanging down the lower ends of clothes, etcs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Painting of Tirkāya, which is made in 1741, in Dongguk University Museum possession which has not been shown in the other Buddhist Rea Painting of Tirkāya.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풍탁과 풍판

        이영선(Lee Youngsu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22 佛敎美術 Vol.33 No.-

        A bell hanging on the eaves of a temple building or pagoda is called a Wind Chime(pungtak). It was produc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and has been used until now, changing various shapes and designs in various ways. It seems that the unique shape and pure sound of wind chime made a deep impression on many peopl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more than 100 pieces of wind chime remain, including artifacts e×cavated from e×cavations and items handed down. E×isting research revealed that there were forms or designs that were popular by era as they were produced for a long time. Even today, the bell-shaped wind chime is still in its early form. Until the Goryeo Dynasty, most of them had curves at the bottom, but from the Joseon Dynasty, cylindrical and conical shapes with no curves at the bottom were mainly made. The shape of the wind chime with a curved lower part and a trapezoidal elevation is a form popular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ies. In particular, it seems to have been favored by the people of the Goryeo Dynasty, and many of the designs of Buddhism Crafts of the same period were borrowed, showing the free-spirited aspect of the maker. Inside the wind chime, a sound was made using a rod-shaped connecting element and a ring, and a wind plate was hung, and since the Goryeo Dynasty, a method of making sound by fi×ing a chisel to the connecting element was developed. The wind chime plate hung under the wind chime was also made in various shapes such as semi-circle, oval, cloud-shaped, triangle, heart-shaped, and fish-shaped. Among them, semicircle and oval are the shapes that appear from the beginning, and the fish-shape seems to have started to be produced from th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intends to e×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collections based on e×isting research. Dongguk University Museum has 7 wind chimes and wind chime plates. It is in good condi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1 wind chime from the Goryeo Dynasty, 1 wind chime from the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3 wind chimes from the Joseon Dynasty, and 1 wind chime plate from the Joseon Dynasty. Also, in the course of the study, the bronze wind chime (Dongguk University 398) was able to newly confirm the material that was presumed to be in its original form. Until now, studies on wind chimes have focused on the period from the unification of Silla to the Goryeo period, and studies on wind chimes from the Joseon Dynasty have not been conducted in depth. This was because wind chime in the Joseon Dynasty had limitations in that the quantity was small and the e×cavation site was not clear. It is hoped that the study on wind chime and wind chime plate in Dongguk University Museum’s collection revealed in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for future studies on wind ch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