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장세진,고상백,강동묵,김성아,강명근,이철갑,정진주,조정진,손미아,채창호,김정원,김정일,김형수,노상철,박재범,우종민,김수영,김정연,하미나,박정선,이경용,김형렬,공정옥,김인아,김정수,박준호,현숙정,손동국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Background and Purpose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numerous studies performed in Korea have reported that job stress is a determinant risk factor for chronic diseases and work disability. Every society has its own culture and occupational climate particular to their organizations, and hence experiences different occupational stres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therefore needs to be developed to estimate it obj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standardize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which is considered to be unique and specific occupational stressors in Korean employees. Subjects and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 total of 12,631 employees from a nationwide sample proportional to the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e Kore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were administered. The KOSS was developed for 2 years (2002-2004). In the first year, we collected 255 items from the most popular job stress measurement tools such as JCQ, ERI, NIOSH and OSI, and 44 items derived from the a qualitative study (depth interview). Forty-three items of KOSS, in the second year, were retained for use in the final version of the KOSS by using Delphi and factor analysis. Items were scored using conventional 1-2-3-4 Likert scores for the response categories. Results: We developed eight subscales by using factor analysis and validation process: physical environment (3 items), job demand (8 items), insufficient job control (5 items), interpersonal conflict (4 items), job insecurity (6 items), organizational system (7 items), lack of reward (6 items), and occupational climate (4 items). Together they explained 50.0% of total variance. Internal consistency alpha scores were ranged from 0.51 to 0.82. Twenty-four items of the short form of the KOSS (KOSS-SF) were also developed to estimate job stress in the work setting. Because the levels of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gender dependent, gender-specific standard norms for both the 43-item full version and the 24-item short form using a quartile for the subscales of KOSS were present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KOSS might be an appropriate measurement scale to estimate occupational stress of Korean employees. Further and more detailed study needs to be conducted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is scale.

      • KCI등재

        다중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이용한 소의 Johne병 진단 기법 확립

        김종배,송혜원,김근희,김홍,신광순,김두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6 No.1

        반추수에서 발생하는 Johne병의 조기 진단 방법을 제시하고 이 질병의 원인체와 미생물학적 특징이 유사한 M. bovis, M. avium 등의 mycobacteria감염증을 감별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Mycobacterium 균속의 표준균주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확립하였다. Johne병으로 의심되는 소의 혈액과 유즙을 채취하여 분리한 단핵구 및 거식세포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각 시료로부터 추출한 DNA를 template로 이용하여 Mycobacterium spp.에 특이적인 16S rDNA primer set를 이용한 PCR을 수행하여 시료내의 mycobacterial DNA 보유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편 mycobacteria 양성으로 확인된 시료는 M. avium complex 균종에 특이한 16S rDNA 염기서열을 기초로하여 제작한 primer set와 M. paratuberculosis 의 IS900 sequence에 특이한 primer set를 이용하여 duplex PCR을 수행하여 Johne병 원인체의 보균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이 결과를 oligonucleotide probe를 사용한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통하여 다시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duplex PCR 기법을 실제 축산 현장에서 수집한 유즙과 말초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단핵구 및 거식세포 시료에 적용한 결과 본 연구에서 확립한 duplex PCR기법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agnosis of Bovine Johne's Disease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s In order to improve the early diagnosis of Johne's disease in ruminants, du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system for the detection of the etiologic agent of M. paratuberculosis and for the differentiation of other mycobacterial animal pathogens, such as M. bovis and M. avium, was applied. Genomic DNAs were purified from peripheral blood monocytes or milk macrophages and were used as templates in the duplex PCR. Detection of Mycobacterium spp. in the specimen was carried out by PCR using primer set specific to the mycobacterial 16S rDNA. And then, mycobacterial DNA-positive specimens were further differentiated with duplex PCR system which was composed of primer sets specific to 16S rDNA of M. avium complex and IS900 gene of M. paratuberculosis. The results were re-confirmed by Southern blot hybridization with oligonucleotide specific to the internal sequence of IS900 PCR amplicons. The applicability of this duplex PCR system was evaluated with DNAs extracted from clinical specimens of peripheral blood monocytes and milk macrophages. In summary, the duplex PCR amplification system described in this experiment is promising molecular technique for the early diagnosis of Johne's disease in ruminants.

      • Correction: Bioinspired M-13 bacteriophage-based photonic nose for differential cell recognition

        Moon, Jong-Sik,Kim, Won-Geun,Shin, Dong-Myeong,Lee, So-Young,Kim, Chuntae,Lee, Yujin,Han, Jiye,Kim, Kyujung,Yoo, So Young,Oh, Jin-Woo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7 Chemical Science Vol.8 No.2

        <P>Correction for ‘Bioinspired M-13 bacteriophage-based photonic nose for differential cell recognition’ by Jong-Sik Moon <I>et al.</I>, <I>Chem. Sci.</I>, 2017, DOI: 10.1039/c6sc02021f.</P>

      • Polyethylene film의 열자극 전류와 열 Iuminescence에 의한 전도기구

        김영전,장충근,이종규 충남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9 忠南科學硏究誌 Vol.16 No.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the origins of carrier trap in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thermally stimulated Current(TSC) and thermoluminescence(TL) were investigated simultaneously by X-ray irradiation and electric field excita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115∼350K. From the analysis of experimental curves and relaxation processes, the most of TSC and TL peaks well correspond to the onset of molecular motion. The peak due to the release of electron(holes) from traps formed by the polyethylene chain themselves were suggested. The main kinetic parameters related to a TL curve and the trapping parameters from TSC were evaluated by using the numerical curve fitting method. Considering the modified energy band model of amorphous, the trap energy level diagram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was obtained.

      •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and physical handicap

        김은주,김동일,박경숙,최종근 국립특수교육원 2003 연구보고서 Vol.- No.3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는 그 동안 국가에서 시행하는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과정에 포함되지 못했던 장애학생들도 그들 각자의 장애특성에 맞는 검사 수정 및 조정 방법을 통해 이러한 평가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지난 2002년에는 일반 평가 과정에 장애학생들이 동등하게 참여하고 평가 방법 및 절차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 중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기초ㆍ기본학습능력을 평가하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였다. 2003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에 장애학생을 참여시키며,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대규모 평가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는 근거자료를 확보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과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수교사, 일반교사, 장애학생과 그의 학부모, 졸업생 등 5개 집단 총 2,644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결과 분석에 포함된 응답자 수는 2,196명으로서 83.1%의 응답률을 보였다. 응답자 중 특수교사들이 89.4%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졸업생은 72.6%로 가장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결과들은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항목 별 무 응답자는 제외하였고 각 집단의 응답결과 중 장애영역별 분석에 중점을 두었다. 일반교사의 경우 초등과 중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장애특성상 여러 가지 경사 조정을 적용하게 되는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국가수준의 평가과정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간연장 조건(맹: 1.5배, 저시력: 20분 연장)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2001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와 「2002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의 국어ㆍ수학(중3 및 고1용) 평가지를 이용하여 고1, 고2 시각 장애학생 197명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실시되는 전과정에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초등 6학년, 중학 3학년, 고등 1학년 장애학생 총 707명을 동등하게 참여시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고 학업성취도 관련 변인을 조사하였다.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는 2004년도 분석될 예정이다. 이와 같이 크게 3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이루어진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대한 필요성에 있어 응답자 대부분이 균등한 교육기회의 보장과 통합교육의 강조, 일반학생들과 장애학생들간의 성취수준 비교, 직접 평가를 통한 질 높은 교육과정의 제공 등을 이유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 다음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학습에 대한 자기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교수제공에 필요한 정보 제공, 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동기유발강화, 진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개별화 프로그램 작성에 유용 등을 이유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나, 중증장애 학생들에 대한 평가체제의 미비, 학습과의 연계성 부족 등의 부정적인 견해도 나타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에 다른 문제들에 있어 학사일정의 중복과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결손, 평가방법의 미숙과 시간 배정의 문제 등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이나 시간변인의 조정 등을 통해 개선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평가실시와 관련된 필요한 지원이나 건의사항에 있어 관리자와 교사 모두 장애의 특성과 수준에 따른 적합한 평가문항의 개발, 평가대상 및 절차의 구체화, 의견 수렴을 통한 인식 공유, 중증 장애 학생을 위한 평가방법의 모색, 평가 시 인적 지원, 문항 수 감축과 평가시간의 확대, 일정에 대한 사전 통보 등이 문제점들로 지적되어 이에 대한 대비 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분석 결과이다. 시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시간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시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차 평가에서는 기존의 시간 연장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을 그대로 적용하고, 2차 평가에서는 최대 시간 연장이라는 조건(맹학생은 1.5배 시간연장 이상, 저시력학생은 20분 시간연장 이상)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1차와 2차의 평가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2차 평가의 경우 1차 평가보다 전반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보였고, 이를 환언하면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검사 시간을 연장할 경우 일반학생들과의 학업성취수준의 편차를 줄여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평가에 적합한 시간량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추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실시 및 실시 과정에 대한 의견 조사 결과이다. 「2003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가 10월 23일 실시되어 평가 결과는 2004년도 연구에서 분석할 예정이며, 평가가 실시되었던 48개 특수학교의 학교관리자, 평가감독교사 및 평가관리교사들의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실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학교관리자나 특수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참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이 평가가 '자기 점검의 기회', '교육과정의 질적 향상', '평가를 통한 효율적인 학습지도 가능', '일반학생들과의 객관적 비교를 통한 학생의 현재 학업성취도 파악' 등 다양한 측면에서 유용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하지만, 학사일정이 중복되거나 평가로 인한 교사의 수업 결손 등을 이유로 평가 실시상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장애학생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평가 문항의 개발 및 다양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실시하되, 일반학생과 함께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해야 할 것이다. 평가 대상은 학생의 배치 상태와 상관 없이 모든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 중 초6, 중3, 고1과 고3으로 한다. 평가 교과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영어 교과로 하고 장애학생의 특성상 교과 외 읽기ㆍ쓰기ㆍ셈하기와 정보활용능력, 사회성 능력, 기초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지기주도학습능력 등에 대한 평가도 실시한다. 학생의 성취도 평가, 교육과정의 적절성 판단, 교육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그리고 교육효과 점검에 평가의 활용 목적을 두어야 한다. 평가 시기는 9월~12월 사이 일반학생들과 같은 시기에 하는 것이 적절하며, 평가 결과의 정보 중 각 학생의 성취 수준은 물론 평가와 함께 조사되는 학생의 과목별 흥미도와 선호도도 공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장애인 등록 여부에 상관없이 장애유형 및 정도를 고려해서 검사조정 방법을 다르게 제공하되 검사 조정한 사실을 공개해야 하며, 평소 이러한 검사조정 방법에 익숙할 수 있도록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거나 수업 중의 조정과 일치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또한 학생의 IEP에 검사조정의 필요성 여부와 검사조정 유형에 대해 기재하고, 검사조정 형태는 장애학생 본인이나 부모의 참여 하에 IEP팀에서 결정해야 한다. 평가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해 검사조정을 제공함으로써 장애학생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주고 시험에 보다 적극적이고 열심히 시험에 임하거나 좌절감을 덜 느끼게 하며, 시험을 치르는 전략에 변화를 가져오는 등 긍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므로 국가와 학교는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이나 장애 정도에 적합한 검사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이상적인 검사조정 형태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기존에 적용되고 있는 시간연장에 대해 긍정적인 편이지만, 현재의 조건보다 확대된 조건을 있고, 기존에 없던 청각장애학생에 대한 시간연장도 요구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각장애학생의 경우 점자정보단말기와 같은 새로운 기자재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 각 장애영역별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검사조정 방법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평가 시 대독이나 대필, 수화 응답, 불필요한 자극제거처럼 독립된 공간을 필요로 하는 검사조정방법이 제기되고 있을 뿐 아니라 독립된 공간 자체를 요구하고 있어 학생이 원하는 경우 독립된 공간에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할 수 있는 행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존의 검사조정 방법이 수정되거나 추가 지원 내용들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검토와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지적장애가 없어 일반학생 대상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학생의 경우라도 장애 자체로 인한 학력 결손을 감안하여 진학을 목표로 하는 학생은 이 평가에 참여시키되 나머지 장애학생에 대해서는 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거나 대안적 평가를 실시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증화 되어가는 특수학교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특수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할 때 학생의 장애유형뿐 아니라 장애 정도에 따른 평가 방법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장애학생에 대한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도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처럼 체계적인 행정상의 지원을 받아 실시함으로써 평가과정이 사전에 학교 일정에 포함되고, 평가관리 및 감독 교사들의 업무 추진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반적인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참여가 고려되어야 한다. 즉, 문항 개발과정에 특수교육 전문가가 참여하여 가능하면 보편적인 설계방법으로 문항을 개발하여 점역이나 검사도구 조정의 어려움을 방지하고 별도의 검토 과정 및 이중적인 예산낭비를 줄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resent study followed the previous KISE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2 :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ith appropriate test modification or accommodations. In 2002,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study to measure the 'maximum'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rying to find out the 'appropriate' testing modification/accommodations methods or procedures, which guarantee the 'fai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high-stakes tests without influence of their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3rd grade student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And the instruments were the 'Basic Learning Skill Test' and the `Academic Screen Test for Underachievers at Middle School Level'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1. The present study tried to build up or get ready for the appropriate and continuous system for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In pursuit of this purpose, we had som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mally' participate in the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irst of all, 2,644 respondents(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uates, and the students' parents) answered their recognition on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econd,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in relation to time extension was analyzed. Alth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various test accommodation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and testing accommodations option to time extension. Thus, we mainly analyzed the validity of current time extension practices(1.5 times of standard for the blind, 20 minutes extension per session for the weak-sighted) for 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The subjects(students with visual handicap) were 197(middle school students 86, high school students 111). The instruments were verbal and math tests of 2001 & 2002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We standardized their test scores using the nor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n, we compared the gain scores in order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effect Third, for 750 students with disabilities(6th, 9th, 10th grade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hysically handicapped.) participating in 2003 KIC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e achievement correlates were analyze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nd the 'appropriate' accommodations fo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nation-wide educational assessment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분열병과 N-Methyl-D-Aspartate 수용체 유전자와 연관된 VNTR 표지자인 D9S158 다형성의 연합

        김종원,채영규,정은기,김길숙,박강규,이영호,최인근,양병환,한진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정신분열병과 NMDA 수용체와 연관된 D9S158 유전적 표지자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75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87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연합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D9S158 유전좌위에는 모두 8개의 대립유전자가 있었고, 각 대립유전자는 cytosine-adenine염기가 반복되는 217염기쌍에서 233염기쌍의 형태였다. 먼저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대조군의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환자군을 좀 더 동질적으로 만들기 위해 정신분열병의 가족력 유무, 음성 및 양성증상, 연성신경학적 징후, DSM-IV 임상아형에 따라 환자군을 나누어 대립유전자의 빈도를 비교해 본 결과, 특정 임상양상과 관련이 있는 대립유전자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D9S158 유전좌위와 정신분열병의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하였으나 NMDA 수용체 유전자주위의 다른 표지자나 좀 더 유전적으로 동질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n association study with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N=75) and normal controls(N=87) was perform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D9S158 polymorphism and schizophren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Eight different alleles of a dinucleotide polymorphism on D9S158 locus were observed in both group. W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between schizophrenics and normal contro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increase homogeneity of schizophrenic group, we divided schizophrenic group by clinical phenotypes such as family history, negative and positive symptoms(PANSS), soft neurologic signs(NES-K) and DSM-IV diagnostic subtypes. Then we compared the frequencies of alleles among subgroups of clinical phenotyp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groups(p〉.05). Although our findings fail to provide an evidence of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D9S158 locus, further investigation of other loci that are linked to NMDA receptor gene may be needed in genetically homogeneous subgroups of schizophrenia.

      • KCI등재후보
      • SCOPUSKCI등재

        Biomass 자원의 활용 (Ⅰ) : 율추의 유효이용을 위한 화학적 조성분의 HPLC 분석 HPLC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for Utilization of Chestnut Inner Bark

        金允根,趙種洙 한국목재공학회 2004 목재공학 Vol.32 No.2

        임산바이오매스 자원 이용의 일환으로 율추(栗皺) 열수추출물의 디에틸에테르 가용부의 HPLC 분석결과, 표준물질과의 retention time이 일치한 것을 RI detector로 얻어진 각 피크의 스펙트럼을 표준물질과 비교하고, 순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피크의 동정을 실시하였다 피크의 동정 결과, phenolic acids와 aldehyde류로는 gallic acid, 3.5-dihydroxybenzoic acid, 2.4.6-trihyd개rxybenzoic acid. 그리고 protocatechualdehyde이었으며, flavonoids는 catechin과 epicatechin으로 모두 6종이 확인되었다. For the utilization of chestnur inner bark as forest biomass, the diethyl ether solubl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hestnut inner bark was analyzed by HPLC. Each peak was identified by comparing with retention time of standard regents and their purity from obtained UV speccrum by RI detector. Identified 6 compounds were gallic acid 3,5-dihydroxybenzoic acid, 2,4,6-trihydroxybenzoic acid and protocatecualdehyde as phenolic acids and aldehyde, and catechin and cpicatechin as flavonoids.

      • [논문]억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의 해석기법 개발

        권정근,임종철,김창영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8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7 No.-

        억지말뚝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은 많은 실험과 현장적용을 통해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공법으로 입증되었다(김,2006). 그러나 지반공학적인 이론적 확립이 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이론적인 해석기법의 개발을 위해 실제 시공여건을 반영한 단계굴착을 통한 실내모형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계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 및 억지말뚝의 거동과,단계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체와 억지말뚝에 작용하는 토압과 응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반의 파괴 메카니즘을 제안하였으며 연결부,엄지말뚝,억지말뚝의 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 KCI등재

        Streptococcus mutans의 치태형성에 대한 Leuconostoc lactis 51의 영향

        김태근,양규호,오종석 대한소아치과학회 2000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7 No.4

        치아우식증은 치아구조의 국소적, 침윤적, 분자적인 붕괴로 특징지워지는 치아 경조직에 대한 세균성질환이다. 이런 치아우식증의 주 원인균인 S. mutans의 치태형성과 증식에 대한 아동의 구강에서 분리된 L. lactis 51의 작용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배양시 S. mutans 단독배양에 비해 치태의 무게가 감소하였다. 2.S. mutans는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 배양에 비교하여 S. mutans 단독배양시에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3.S. mutans와 L. lactis 51은 M17Y broth에서 단독 및 혼합배양시 배양 12시간 때까지 증가하다가 24시간 때에 감소하였으나, M17YS broth에서는 S. mutans와 L. lactis 51의 혼합배양시 S. mutans의 생균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다. 4.L. lactis 51의 배양 상청액은 S. mutans의 치태형성과 증식에 대해 억제 작용을 하지 못하였다. 5.M17YS broth에서의 L. lactis 51 배양 상청액 성분의 thin layer chromatography에서 자당과 과당이 계속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구강에서 분리된 L. lactis 51는 S. mutans의 인공치태 형성과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Dental caries is a bacterial disease of the dental hard tisssus, characterized by a localized, progressive, molecular disintegration of tooth structure. The action of Leuconostoc lactis 51 about plaque formation and replication by Streptococcus mutans was studied as follow. 1.Lower amount of plaque was produced at the mixed culture of S. mutans and L. lactis 51 than S. mutans alone on the wires in the beaker. 2.Fewer cells of S. mutans were replicated at the mixed culture of S. mutans and L. lactis 51 than S. mutans alone. 3.In M17Y broth, viable cells of S. mutans and L. lactis 51 increased for 12 hours, and decreased for 24 hours. In M17YS broth, viable cells of S. mutans showed time-dependent decrease at mixed culture of S. mutans and L. lactis 51. 4.The culture supernatant of L. lactis 51 didn't inhibit the replication of S. mutans and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5. Sucrose and fructose were extracted from the culture supernatant of L. lactis 51 in M17YS broth. Thest results suggest that L. lactis 51 isolated from the oral cavity inhibits the replication of S. mutans and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