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위장관계 악성종양에서 CA 125 측정의 의미

        장우익 ( Jang U Ig ),안강현 ( An Gang Hyeon ),이종인 ( Lee Jong In ),김현수 ( Kim Hyeon Su ),김효열 ( Kim Hyo Yeol ),김수경 ( Kim Su Gyeong ),이동기 ( Lee Dong Gi ),배선우 ( Bae Seon U ),심영학 ( Sim Yeong Hag ),강명서 ( Kang Myeo 대한내과학회 1993 대한내과학회지 Vol.44 No.4

        연구배경 : 종양표지자는 암외 진단, 임상적 병기구분 및 치료효과 판정에 유용하며, 위장관암에서 alphafetoprotein, carcinoembryonic antigen, CA 19-9, 및 CA 72-4 등이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암의 경우, 현재까지 만족할 만한 유용성을 가진 종양표지자는 없는 실정이다. 저자등은 위암에 대한 새로운 종양표지자로 CA 125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관암에서 CA 125와 기존의 종양표지자와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방법 : 대상은 위장관 악성종양 181예, 위장관 양성질환자 55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CA 72-4는 CIS ELSA CA 72-4 RIA kit, CA 19-9는 Abbott CA 19-9 RIA kit, CEA는 Abbott CEA kit, CA 125는 Centocor CA 125 RIA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정상치 한계는 4 U/ml, 37 U/ml, 5ng/ml그리고 35 U/ml로 하였다. 결과 : 1) CA 125는 양성 소화기 질환에서 93%의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나 복수가 있는 간경변증의 경우 거의 전예에서 혈중 CA 125값이 증가하여 악성종양군과 감별이 어려웠다. 2) CA 125는 위암에서 민감도가 36%로 CA 72-4와 차이가 없었다. 3) CA 125는 췌담도암에 대한 민감도가 55%로 CA 19-9의 85%에 비해 낮았으며 두 종양표지자를 병합하여 사용한 경우 민감도의 증가(95%)를 볼 수 있었다. 4) 23예의 조기위암 환자에서 CA 125의 민감도는 9%로 낮았다. 5) Conventional image study 상으로 인지되지 않은 복강내 암종증 환자에 대한 CA 125의 민감도는 36%였다. 결론 : CA 125는 위암에서 기존의 종양표지자인 CA 72-4와 유용성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이성 위암에서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혈중 CA 125의 증가는 위장관의 악성 및 양성질환에 관계없이 복수의 유무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통상적인 영상 진단법상으로 인지되지 않은 복강내 암종중의 예견에 있어서는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etection of tumor markers could offer an accessible method for screening risk groups in order to achieve an early diagnosis of cansers, to contribute to and adequate staging, and to help evaluate effects of therapy. CA 125 is an antigenic determinant defined by murine monoclonal antibody OC 125, and synthesized by coelomic epithelial derivatives such as Mullerian epithelium and mesothelial tissues. CA 125 is regarded as useful tumor marker for non-musinous epithelial ovarian tumors. So we investigated whether CA 125 is reliable tumor marker for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and especially for detection of intraperitoneal carcinomatosis unrecognized by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And we compared CA 125 with other conventional tumor markers in the sero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Methods: Serum CA 72-4, CA 19-9, CA 125 and CEA were determined radioimmunologically with monoclonal antibodies. A cut-off value of 4 U/ml, 37 U/ml, 35 U/ml and 5 mg/ml were used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A 125 had high specificity (93%) for benign gastrointestinal disease but was not useful to differetiate malignant ascites and benign ascites. 2) In gastric carcinoma, the sensitivity of CA 125 (36%) was not so different to that of CA 72-4(36%). 3) In pancreatobiliary carcinoma, the sensitivity of CA 125(55%) was inferior than that of CA 19-9 (85%), but combined use of these two tumor markers increases sensitivitu(95%) for the diagnosis. 4) The sensitivities of CA 125 for 23 early gastric cancer was 9%. 5) The sensitivities of CA 125 for the intraperitoneal carcinomatosis that was not recognized by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was 36%. Conclustion: Our data indicates that CA 125 is not better in the sero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than other conventional tumor markers, and CA 125 has a little predictive value in the diagnosis of intraperitoneal carcinomatosis unrecognized by the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Serum CA 125 elevation in benign or malignant disease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f ascites.

      • SCOPUSKCI등재

        전신적 항응고제 사용이 어려운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헤파린 결합된 Hemophan 투석기를 사용한 혈액투석 - 7년간의 임상 경험

        윤수진 ( Yun Su Jin ),김범 ( Kim Beom ),이현희 ( Lee Hyeon Hui ),이영기 ( Lee Yeong Gi ),강우헌 ( Kang U Heon ),김정아 ( Kim Jeong A ),이방훈 ( Lee Bang Hun ),여호명 ( Yeo Ho Myeong ),임영환 ( Im Yeong Hwan ),백현정 ( Baeg Hyeon 대한신장학회 2003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2 No.4

        목 적 : 저자들은 양전하를 띤 N, N-diethyl-aminoethyl group이 부착되어 있는 Hemophan 투석기에 음전하를 떤 헤파린을 결합시키는 Gretz 등의 방법을 수정하여 출혈 위험성이 있는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헤파린 결합 Hemophan을 이용한 혈액투석법 (hemodialysis using heparin bound Hemophan, HBH-HD)을 보고한 바 있다. 저자들은 지난 7년 동안 출혈 위험성이 있는 말기신부전증 환자들에서 HBH-HD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그간의 결과를 종합하여 HBH-HD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저자들은 1995년 4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출혈 위험성이 있는 만성혈액투석환자 159명에서, 헤파린을 결합시킨 Hemophan 투석기 (GFS plus 11, Gambro)를 사용하여 총 1,057회의 HBH-HD를 시행하였다. 투석기나 혈액관 교체가 필요할 정도의 심한 혈액응고 없이 4시간 동안 혈액투석이 가능하였던 40회 투석에서 혈액투석 전, 투석 시작 후 15분, 60분, 120분과 투석 종료 직전 (240분)에 혈중 헤파린 농도와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측정하였다. 투석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일 환자에서 시행한 HBH-HD와 이후 헤파린을 전신적으로 사용한 혈액투석 (routine hemodialysis, R-HD) 간의 혈액구획용적(total blood compartment volume, TBCV) 손실과 투석기요소청소율 (K), Kt/V를 비교하였다 (n=20). 결 과 : 1,057회 투석 중 11회 (1.0%)에서는 투석 후 150분 이내에 투석기와 혈액관에 혈액 응고가 발생하어 투석을 증단하였고, 64회 (6.1%)에서는 투석 후 150분부터 230분 사이에 혈액관에 혈액응고가 발생하여 혈액관 교체가 필요하였다. 투석기나 혈액관의 교체가 필요할 정도의 심한 혈액응고 없이 4시간 동안 혈액투석이 가능하였던 982회 증 40회의 투석에서 측정된 헤파린 농도는 투석전 값 (0.11±0.06 U/mL, 평균±표준편차)에 비하여 투석 후 15분 (0.14±0.06 U/mL)에 경미한 증가를 보인 후 (p<0.05), 60분에 0.11±0.05 U/mL, 120분에 0.08±0.04 U/mL, 투석 종료 후 0.08±0.04 U/mL로 감소하였다. 투석 중 aPTT는 투석 전 (44.3±12.9초)에 비하여 투석 후 15분 (49.8±10.5초)에 증가한 후 (p<0.05), 60분에 40.8十7.1초, 120분에 36.1±5.5초, 투석 종료 후 32.1±5.3초로 감소하였다. 두 투석간의 TBCV 손실은 HBH-HD시 17.2±9.6%, R-HD시 2.8±1.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1). 그러나, HBH-HD시 측정한 K값은 136.9±14.6 mL/min, Kt/V는 1.27±0.21로 R-HD의 137.6±18.4 mL/min와 1.20±0.22와 각각 비교하여 볼 때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결 론 : 헤파린을 결합시킨 투석막을 사용한 혈액투석법은 출혈 위험성이 있는 말기신부전증 환자들에서 시행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투석법이다. 그러나 체외 회로에 심한 혈액응고를 완전히 방지하지는 못하므로 투석 중 투석기와 혈액관에서 혈액응고 발생 여부를 감시해야 한다. Objective : Positively charged N,N-diethyl-aminoehtyl groups on Hemophan enable negative charged heparin to be bound with the dialyzer membrane and hemodialysis using heparin bound Hemophan (HBH-HD) could be a hemodialysis modality in patients at risk of bleeding. We designed simplified heparin binding technique and evaluated the bleeding risk and effciency of HBH-HD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at risk of bleeding. Methods :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95 through April 2002, 159 patients at high bleeding risk received 1057 HBH-HD (dialyzer : GFS plus 11, Gambro). The duration of each HBH-HD was standardized to 4 hours at blood-flow rate of 200-250mL/min. To evaluate of HBH-HD, we measured serum heparin concentration (HC)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at baseline, 15, 60, 120 minutes and endpoint (240 minutes) (n=40). To evaluate the dialysis effciency, HBH-HD and routine hemodialysis with systemic heparinization (R-HD) were compared for total blood compartment volume (TBCV) loss, dialyzer urea clearance (K) and Kt/V in same study group patients (n=20). Results : Clotting of dialyzer necessitating termination of dialysis occurred in 11 (1.0%) out of 1,057 dialyses at 150 minutes, and clotting requiring change of blood line occurred in 64 dialyses (6.1%) between 150 and 230 minutes.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the aPTT (mean±SD, 49.8±10.5 sec) and HC (0.14±0.06 U/㎖) at 15 min, compared to predialysis levels of 44.3±12.9 sec and 0.11±0.06 U/㎖, respectively (p>0.05). But no increase in aPTT, HC was observed in measurements at 60 min, 120 min, and at the endpoint. TBCV lo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BH-HD (mean±SD, 17.2±9.6%), compared to R-HD (2.8±1.2%) (p<0.0001). However, K and Kt/V value (mean±SD) were 136.9±14.6 ㎖/min and 1.27±0.21 in HBH-HD and 137.6±18.4 ㎖/min and 1.20±0.22 in R-HD,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nclusion : HBH-HD could be a safe and efficient HD technique in patients at high risk of bleeding. Extracorporeal clotting, however, should be observed cardfully during HBH-HD. (Korean J Nephrol 2003;22(4):389-396)

      • KCI등재후보

        위장관암 환자에서 혈청 CA 72-4, CA 19-9 및 CEA의 진단적 의의

        장우익 ( Jang U Ig ),김철한 ( Kim Cheol Han ),김현수 ( Kim Hyeon Su ),이종인 ( Lee Jong In ),이동기 ( Lee Dong Gi ),권상옥 ( Kwon Sang Og ),심영학 ( Sim Yeong Hag ),김대성 ( Kim Dae Seong ),윤갑준 ( Yun Gab Jun ),장세진 ( Jang Se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6

        연구배경 : 종양표지자는 암의 조기진단, 임상적 병기 구분 및 치료효과 판정에 사용될 수 있다. 위장관암에서 alpha-fetoprotein, carcinoembryonic antigen 및 CA 19-9가 중요한 종양표지자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암에 대한 적당한 종양표지자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등은 위암에 대한 새로운 종양표지자로 CA 72-4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관암에서 CA 19-9 및 CEA를 동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 대상은 위장관 악성종양환자 273예, 위장관 양성질환자 215예 및 정상대조군 93명이었으며, CA 72-4는 CIS ELSA CA 72-4 RIA kit, CA 19-9는 Abbott CA 19-9 RIA kit 그리고 CEA는 Abbott CEA RI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정상 상한치는 4 U/ml, 37U/ml 그리고 5ng/ml로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CA 72-4, CA 19-9 및 CEA의 평균치는 악성종양군에서 정상대조군이나 양성질환군보다 높았다(p<0.05). 2) CA 72-4는 장기별 양성질환에서 95~100%의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나 CA 19-9는 담도질환에서 54%, CEA는 간장질환에서 63%로 CA 72-4에 비해 낮은 특이도를 보였다. (p<0.05). 3) CA 72-4는 위암에서 민감도가 49%로 CEA(31%) 및 CA 19-9(31%)보다 높았다(p<0.05). 4) CA 72-4는 췌장암 및 담도암에서 민감도가 각각 43%, 44%로서 CA 19-9(각각 79%, 87%)보다 낮았으며 (p<0.05), 대장암에서도 35%로 CEA(74%)보다 매우 낮았다(p<0.05). 5) 8예의 조기위암환자 전예에서 CA 72-4를 비롯한 CA 19-9 및 CEA가 모두 음성이었다. 6)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른 CA 72-4의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 전이가 없는 환자군(10%)에 비해 원격전이군(77%)에서 현저하게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p<0.05). 7) 위암의 병기별 CA 72-4의 분포는 4병기에서 83%로 1병기(7%), 2병기(8%) 및 3병기(13%)보다 현저히 높았다(P<0.05). 8)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5예의 위암환자에서 수술후 CA 72-4치가 정상 상한치 이하로 감소하였고 항암 약물요법에 반응을 보였던 4예의 진행성 위암환자에서도 약물치료후 현저한 감소가 있었다. 9) CA 72-4는 전이성 대장암 및 췌장암에서 국소 및 국소진행성 대장암 및 췌장암에 비해 현저히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10) 위암환자에서 CA 72-4와 CA 19-9 또는 CA 72-4와 CEA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이상과 같이 CA 72-4는 위암에서 CA 19-9 및 CEA 보다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특히 4병기 위암에서 현저히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바 CA 72-4가 양성인 경우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A 72-4는 위암에서 수술 혹은 항암 약물 요법의 치료 monitoring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종양 표지자로 생각된다. 또한 각종 위장관 질환에서 CA 72-4는 기존의 종양표지자에 비해 높은 특이도를 보이는바 CA 72-4가 양성인 경우 항상 악성종양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Detection of tumor markers could offer an accessible method for screening risk groups in order to achieve an early diagnosis of cancers, to contribute to an adequate staging, and to help evaluate effects of therapy. Alpha-fetoprotein,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A 19-9 are regarded as valuable tumor markers for gastrointestinal cancers. But in spite of the high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n Korea, ideal tumor markers for gastric ancer have proved unrelible. So we investigated whether new tumor marker CA 72-4 is a reliable tumor marker for gastric cancer. And we compared CA 72-4 with CA 19-9 and CEA in the sero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cancers. Methods: Serum CA 72-4, CA 19-9 and CEA were determined radioimmunologically with monoclonal antibodies. A cut-off value of 4 U/ml, 37 U/ml and 5 ng/ml were used,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72-4, CA 19-9 and CEA in malignant dise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benign digestive diseases (p<0.05). 2) CA 72-4 had high specificity ranged from 95%-100% in benign digestive disease groups but CA 19-9 (54%) had lower specificity in cholelithiasis(p<0.05) and CEA (63%) in benign liver diseases (p < 0.05). 3) In gastric carcinoma, the sensitivity of CA 72-4 (49%) was higher than that of CA 19-9 (31%, p<0.05) and CEA (31%, p<0.05). 4) The sensitivities of CA 72-4 was inferior to CA 19 -9 in pancreatic cancer (43% versus 79%, p<0.05) and in bile duct cancer (44% versus 87%, p<0.05) and to CEA in colon cancer (35% versus 749& p<0.05). 5) Eight of 45 resected gastric carcinoma patients had TI lesion (early gastric cancer), and CA 72-4, CA 19-9 and CEA were demonstrated all negative results for early gastric cancer. 6) In gastric carcinoma,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A 72-4 positivity and occurr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but significant difference of CA 72-4 positivity was observed between those with distant metastasis and those without metastasis(p<0.05). 7) The positive ratings in stages Ⅰ, Ⅱ, Ⅲ, and Ⅳ gastric carcinoma were 7% (1 of 14 patients), 8% (1 of 12 patients), 13% (2 of 16 patients), and 83% (24 of 29 patients)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higher CA 12-4 positivity was observed in stage IV gastric carcinoma (p<0.05). 8) Elevated levels of serum CA 72-4 decreased to below the cut-off value after radical gastric resection in five patients with resectable gastric carcinoma and decreased also after chemotherapy in four patients with chemo-responsive metastatic gastric carcinoma. 9) Comparing with local or locally advanced colon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high positivity of CA 72-4 was observed in metastatic colon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10)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A 72-4 and CA 19-9 or between CA 72-4 and CEA in gastric carcinoma.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CA 72-4 is a reliable new tumor marker of disease stages and activity in gastric carcinoma. And CA 72-4 had a very high specificity in benign digestive diseases, so that elevated serum levels of CA 72-4 should always be taken seriously.

      • SCOPUSKCI등재

        전열관의 굽힘 및 확관접합 잔류응력

        장진성,배강국,김우곤,김선재,국일현,김성청,Jang, Jin-Seong,Bae, Gang-Guk,Kim, U-Gon,Kim, Seon-Jae,Guk, Il-Hyeon,Kim, Seong-Cheong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2

        Residual stress induced in U-bending and tube-to-tubesheet joint processes of PWR's row-1 heat exchanger tube was measured by X-ray method and Hole-Drilling Method(HDM). Compressive residual stresses(-) at the extrados surface were induced in U-bending, and its maximum value reached -319 MPa in axial direction at the position of $\psi$ = $0^{\circ}$. Tensile residual stresses(+) of $\sigma_{zz}$ = 45 MPa and $\sigma_{\theta\theta}$ = 25 MPa were introduced in the intrados surface at the position of $\psi$ = $0^{\circ}$. Maximum tensile residual stress of 170 MPa was measured at the flank side at the position of $\psi$ = $90^{\circ}$, i.e., at apex region. It was observed that higher stress gradient was generated at the irregular transition regions (ITR). The trend of residual stress induced by U bending process of the tubes was found to be related with the change of ovality. The residual stress induced by the explosive joint method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by the mechanical roll method. The gradient of residual stress along the expanded tube was highest at the transition region (TR), and the residual stress in circumferential direction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residual stress in axial direction.

      • 항진균물질을 생산하는 Streptomyces fimbriatus AF21-3의 분리 및 동정

        장주현,김정완,이우윤,윤영준,이경림,김승곤,이태수 인천대학교 2000 基礎科學論文集 Vol.11 No.1

        Actinomycetes were isolated from soil to find new antibiotics. An active antimicrobial compound was isolated from the culture filtrate of Actinomycetes AF 21-3. The Actinomycetes strain which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tropicalis and Microsporum gypseum was identified as Streptomyces fimbriatus and named as Streptomyces fimbriatus AF 21-3.

      • 온주밀감의 수체부위에 따른 질소 함량 및 집적량

        강영길,유장걸,오현도,오상호 濟州大學校 亞熱帶農業硏究所 1998 亞熱帶農業硏究 Vol.15 No.-

        온주밀감에 있어 질소 시비법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흑색화산회토에 재식된 8년생 궁천조생 16 그루를 대상으로 수체부위별 건물중, N 함량, N 축적량, 건물중 및 N 축적량의 수체부위별 분포비율 등을 조사·분석한 견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루당 건물중은 7.2~12.6 kg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이 10.3 kg, CV가 16.5%이었다. 수체부위별 평균 건물중 분포비율은 뿌리에 총건물중의 22.6%, 줄기에 38.8%, 잎에 14.9%, 과실에 23.7%가 분포되어 있었다. 그루간 수체부위별 건물중 분포비율의 CV는 잎에서 가장 적었고(7.8%) 근간 및 수간에서 매우 컸다(38.5 및 42.6%). 2. 나무 전체 평균 N 함량은 1.13%이었고 뿌리, 줄기, 잎, 과실의 평균 N 함량은 각각 0.96, 0.75. 2.58, 0.99%이였으며, 세근, 녹지의 N 함량은 각각 1.83, 1.18%로 비교적 많은 편이었다. 수체부위별 N 함량의 CV는 4.3~14.6%로 건물중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고 잎(6.8%), 과육(4.6%), 과피(5.5%)에서 적었으나 녹지에서는 14.6%로 컸다. 3. 그루당 N 축적량은 80~145 9의 범위에 있었고 평균이 116 g이었는데, 뿌리에 N 총축적량의 19.3%, 줄기에 25.9%, 잎에 34.0%, 과실에 20.8%가 분포되어 있었다. 뿌리내 N 축적량의 16.4, 32.6, 51.0%가 각각 근간(stock), 중·대근, 세근에, 줄기내 N 축적량의 12.2, 19.8, 26 2, 41.8%가 각각 수간, 대지, 중지, 녹지에, 과실 N 축적량의 68.5%가 과육에 집적되어 있었다. 그루간 수체부위별 N 축적량의 CV는 수체부위별 건물중 분포비율에서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Dry weight, N content and accumul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dry weight and N accumulation in various plant parts of sixteen 8-year old Satsuma mandarin trees (Citrus unshiu Marc. Cv. Miyakawa Wase) grown in volcanic ash soil were determined in December 1997 to obtain some information for improving N fertilization. Dry weight per tree ranged from 7.2 to 12.6 kg and averaged 10.3 kg (CV 16.5%) Roots, stems, leaves and fruits had 22.6, 38.8, 14.9, and 23.7% of total dry weight,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variability for leaf dry weight distribution among 16 trees was least (7.8%) while the CV for stock and trunk dry weights great (38.5 and 42.6%, respectively). Average N content for whole tree, roots, stems, leaves and fruits had 1.13, 0.96, 0.75, 2.58 and 0.99%, respectively. Fine roots and twigs also had higher N content with 1.83 and 1.18%, respectively. The coefficient of variability for N content in the various parts of trees ranged from 4.3 (fruits) to 14.6% (twigs) and was much smaller than the CV for dry weight and N accumulation. Nitrogen accumulation per tree ranged from 80 to 145 g and averaged 116 g. Whole roots, stems, leaves and fruits had 19.3, 25.9, 34.0, and 20.8% of total N accumulation of whole tree, respectively. Stock, medium-big roots, and fine roots had 16.4. 32.6, and 51.0% of total N accumulation in whole roots, respectively, while trunk, big and medium branches, and twigs 12.2, 19.8, 26.2 and 41.8% of N accumulated in whole stems, respectively, and pulp 68.5% of N accumulated in whole fruit. The coefficients of variability for N a cumulation distribution among 16 trees had similar trend with dry weight distribution.

      • 도시쓰레기 소각로 비산재 용융결정화 및 용출특성

        이혜문,김우현,이정규,Lee, Hye-Mun,Kim, U-Hyeon,Lee, Jeong-Gyu 한국기계연구원 2001 硏究論文集 Vol.31 No.-

        These days, interest in the leaching of hazardous heavy metals to consist of incinerator fly ash is increasing, because the heavy metals that leach from the incinerator fly ash pollute the soil and ground water.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rystallize the fly ash and prevent the leaching of hazardous heavy metals from fly ash. The concentrations and the leaching concentration of hazardous heavy metals(Cd, Cr, Hg, Pb, Zn) in the law incinerator fly ash have been measured. The fly ash was melted with two kinds of flux($Na_2CO_3, CaCO_3$) and its add quantity(0, 1, 2, 3 wt%). The crystal structure of melting materials was analyzed by SEM(Scaning Electron Microscope) and X-RD(X-Ray Diffractometer). The leaching test of melting materials was undertaken. And the relation between crystallization of melting materials and flux and leaching concentration. These experiments indicate that the concentration and leaching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incinerator fly ash was much higher than the regulatory standard for leachates in Korea and U.S.A and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oil. And the crystal structure was better.

      • SCOPUSKCI등재

        크롬계 탄화물의 분포와 형태가 니켈계 합금 600의 염기응력부식에 미치는 영향

        김선재,최종호,성진경,김우곤,박순동,이창규,정용환,국일현,Kim, Seon-Jae,Choe, Jong-Ho,Seong, Jin-Gyeong,Kim, U-Gon,Park, Sun-Dong,Lee, Chang-Gyu,Jeong, Yong-Hwan,Guk, Il-Hyeon 한국재료학회 1998 한국재료학회지 Vol.8 No.8

        32$0^{\circ}C$, 40%NaOH 용액의 autoclave에서 약 300wppm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는 15Cr-9Fe-balanced Ni 합금 판상시편에 대해 응력부식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부식시편은 $700^{\circ}C$, 100시간 동안의 열처리로 합금내부에 석출될 수 있는 가능한 한 많은 양의 크롬계 탄화물을 석출시킨 후, 다시 재용해에 의해 크롬계 탄화물의 형태를 조절하는 $800^{\circ}C$-$950^{\circ}C$범위의 최종열처리를 시행하고 급냉시킨 다음 U-자형으로 응력을 가하여 준비되었다. 최종열처리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시편들의 입계응력부식균열(IGSCC ) 전파속도는 $900^{\circ}C$까지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다가 $950^{\circ}C$에서는 $700^{\circ}C$에서 얻은 값보다도 더 낮게 감소하였다. 즉, 크롬계 탄화물이 재용해되어 그 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IGSCC저항성이 감소하다가 완전히 재용해된 $950^{\circ}C$ 열처리 조건에서 오히겨 가장 큰 IGSCC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와같은 최조열처리 온도에 따른 니켈계 합금 600의 부식거동은 입계에 존재하는 크롬계탄화물의 형태변화 때문이 아니라 입계에서 탄소-크롬계 탄화물-크롬간의 상평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탄소의 입계편석량이 크롬계탄화물이 존재할 때에는 열처리 온도에 따라 증가하다가 그것이 완전히 재용해 되었을 때 가장 낮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A Risk Analysis of Bicycle Accidents in Korea - Focused on Driver’s Human Error -

        Hyeon U Cho,Dong Jin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0 Crisisonomy Vol.16 No.11

        여가생활 활동수단으로 자전거 이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과실로 인한 자전거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예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도로교통 관리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최근 5년간(2014-2018) 자전거 운전자가 교통사고의 원인 을 제공한(제1당사자) 사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전거 사고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사고전개 시나 리오를 활용하여 1, 2차 세부적인 사고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인명피해는 사망자뿐만 아니라 부상자 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자전거 사고는 1차적으로 자전거대차(일부 원동기 및 자전거 포함), 2차 분류에서 측면충돌이 가장 높은 확률을 나타내고 있었다. 반면 1건당 인명피해는 자전거 단독 사고 중 도로이탈이 가장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나, 인체손상의 심각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자전거 사고 는 대부분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개개인은 방향전환 시 수신호, 안전모 착용과 같은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켜야 한다. 지자체와 정부는 인적오류를 개선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홍보, 단속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다. Bicycle riding becomes more popular as a leisure activity and bicycle accidents by human error have recently increased. To provide safety measure for the accidents, this study performed a risk analysis of bicycle accidents in South Korea. We collected the statistical data of bicycle accidents due to driver’s negligence during 5 years (2014-2018) from Koroad TAAS (Traffic Accidents Analysis System). Bicycle accident types were identified in the 1st and 2nd detailed classifications, and human casualty was weight calculated including fatalities and injuries. The results show that side collision by an automobile is most frequent and driving off the road is the most severe in fatality rate.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bicycle accidents occurred by human error,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should improve road safety education and campaign and enforce safety regulation.

      • 간 침범만을 동반한 특발성 과호산구 증후군

        현동우 ( Hyeon Dong U ),박수영 ( Park Su Yeong ),조창민 ( Jo Chang Min ),탁원영 ( Tag Won Yeong ),권영오 ( Kwon Yeong O ),김성국 ( Kim Seong Gug ),최용환 ( Choe Yong Hwan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증례 특집호 65-5 부록3 Vol.0 No.-

        Hypereosinophilic syndrome is a very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marked peripheral eosinophilia and eosinophilic infiltration of organs such as the heart, nervous system, skin, liver, spleen, gastrointestinal tracts, lung and urinary system. Clinical 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