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地域社會發展에 관한 硏究 : 仁川地域社會를 中心으로 Focussing on the Inchoen Community

        崔種運,沈璡求,宋種憲 仁川敎育大學校 1991 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는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仁川地域社會의 發展을 도모하려는 연구이다. 硏究의 必要性은 두가지 측면에서 찾을수 있었는데 하나는 社會的·現實的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이다. 먼저 사회적·현실적 측면으로 보면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政治·經濟·社會·文化의 각 부문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와 仁川地域社會가 안고 있는 課題解決이다. 정치적으로 民主主義 제도의 정착 경제적으로 成長과 配分의 균형유지 사회적으로 階層간의 갈등과 道德性 회복, 문화적으로 傳統文化와 外來文化의 융합 등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사회는 수도권 周邊都市로서 國際港口都市로서, 輸出産業都市로서의 三重的 性格을 갖고 있어 수도권 예속성, 외래문화 영향, 산업사회의 역기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道德觀의 混亂과 社會的 一體感 결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하여 仁川地域社會의 주체적 生活文化 향상과 주민의 共同體意識 고양은 당면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지역과제는 地方自治時代를 맞이하여 그 지역의 力量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다음으로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에서 보면 오늘날 대학은 일부 선발된 엘리트(elite)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고전적 학문의 전당으로서 秀越性을 추구하는 기능에만 머물러 있을수 없고 대학이 그 地域社會를 위하여 奉仕해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이것 또한 오늘날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실천적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구체적 目的은 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을 통한 課題를 추출하고 이 課題解決을 위한 大學敎育擴張 方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있었다. 이에 따라 硏究의 內容을 ①대학교육확장에 대한 理論的 探索 ②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模型 定立 ③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 및 課題 抽出 ④인천지역사회 과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으로 했다. 硏究方法은 文獻硏究, 調査硏究, 實踐硏究方法을 적용했으며, 문헌 연구는 대학교육확장에 관한 발전과정, 외부의 사례비교 분석을 통하여 모형적립에 이론적 기초를 확보했으며, 조사연구는 인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地域社會 課題意識調査를 통하여 지역사회 課題를 抽出했고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 및 지역주민의 社會敎育 意志 및 要求調査를 통하여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方向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또한 실천 연구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 주공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해당지역내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적용하는데 이용되었다. 硏究節次는 준비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나누어 1990년 10월부터 1991년 9월말까지 1년간 추진하였으며 준비단계는 文獻硏究, 基礎調査, 理念普及, 與件造成 등을, 실행단계에는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 평가단계는 結果評價, 報告書作成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학의 構造와 役割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대학은 定規學生들을 위한 전통적인 敎授·硏究機能 뿐만 아니라 대학밖의 成人을 위한 교육기능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주요국의 大學社會敎育 動向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국의 대학사회교육은 多樣性을 유지하면서 定規學生 敎育 構造와 成人敎育 構造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지역내의 여러 캠퍼스간에 조직망을 형성하여 조정역할을 하며,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課程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로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敎育體制 模型을 구안해 본 결과,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 部分的 擴張에서 完全擴張으로 大學外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에서 大學內의 프로그램 운영체제로 점진적 발전이 바람직하고, 대학교육 運營體制는 定規課程과 成人課程을 竝立시키면서 成人課程에는 硏修課程과 一般課程을 두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硏修課程에는 資格課程과 非資格課程, 일반과정에는 敎養·理論課程과 生活實技課程을 두되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등을 병행하여 채택하고 入學은 과정에 따라 試驗과 無試驗 전형을 택하고 講座는 短期·長期講座를 아울러 두며 敎授方法은 集團敎授, 個別敎授, 多感覺學習·多活動學習 指導法을 사용하도록 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로 인천지역사회 實態調査 結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流通, 交通, 敎育, 醫療, 文化, 餘暇生活 등에 문제가 많고 특히 公海 및 住居環境의 改善과 道德觀의 定立이 우선 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課題意識調査 結果 ①公海·安全, ②敎育 ③勞動·收入 ④消費環境 ⑤人間交流·連帶 ⑥文化·生活環境 ⑦社會保障 ⑧相談·參加 ⑨餘暇活動 순으로 중요하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다섯째로 이상과 같은 課題解決을 통하여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인천지역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수 요원이 사회교육에 참여한 經驗이 있었고 大學敎育擴張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은 일반 교양교육, 자녀교육으로 반응했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한 社會敎育意志 및 要求調査를 실시한 결과 주민들의 生活時間帶에 맞는 요일, 시간을 택하여 인근 學校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다는 반응이고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敎養敎育, 趣味生活, 健康生活,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여섯째로 대학교육 확장의 방침을 1차년도에는 대학밖에서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萬壽洞 住公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인근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한 프로그램은 敎養講座 15개 프로그램, 趣味生活 14개 프로그램, 健康生活 4개 프로그램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2개 프로그램 이었으며 총 35프로그램에 參加人員數 2,367 명에 달했다. 프로그램 내용은 仁川地域社會 實態調査에서 나타난 問題點과 課題解決에 촛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회교육 이념보급, 조직 및 시설, 재정, 홍보, 유관기관 협력체제 조성 등 여건 조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곱째로 프로그램 운영결과 얻어진 효과는 大學敎育機能 擴大와 社會敎育의 必要性과 可能性을 확인하게 되었고 인천지역사회 住民들로 하여금 公海, 交通, 子女敎育, 經濟活動 등에 교양을 높여주고 다양한 취미활동, 건강활동을 통하여 餘暇生活을 보다 잘 하도록 했으며 주민의 生活文化 向上에 이바지했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은 만남을 통하여 共同體意識을 形成하게 되었고 바자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奉仕精神의 의미를 체험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期間과 經費의 制限性에도 불구하고 仁川地域社會 發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Necessity This study was to solve the actual as well as the social problem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to carry out the university role of teaching, research, and to expand service in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mmunity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search out ways of how to put into practice thd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and to solve the problems. 3. Content The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oretical review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2. Model form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university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3.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Inchoen community. 4.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in the Inchoen community. 4. Method and Procedur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field study. It's procedure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stage and conducted from Oct, 1990 to Sep. 1991(1 year) 5. Finding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day, the university must extend it's function of educating full-time students as well as adult education program. 2. Most countries university have a variety of programs and intrgrate management of full-time students and adult educational programs. 3. Formation of systemetical model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Ichoen Community will be extend from partial to an entire extension program. 4. Analyzing the actual condtions in the Incheon Community, many problems were found. They were as follow; traffic, education, medical care, culture, recreation, and in particular, pollution, the need for improviding the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formation of a value system are most important of all the problems. 5. In the finding of the need assessment of adult education, if schools manage the program for residents, they will participate in culture, education, hobby, health, and formation of community sprit programs. 6. After performence of education for residents we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therfore residents enriched their culture, enjoyed their leizure tim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their community sprit.

      • KCI등재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 KCI등재

        1910년대 인천부의 주요 의료기관의 활동과 현황

        김영수(Kim, Yo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고는 1910년대 인천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의 활동과 그 현황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천에는 크게 거류 민 경영의 인천병원, 인천경찰서의 지휘, 감독하의 조선인을 위한 의료기관인 보건조합 시료부, 영국성공회의 선 교병원인 성누가병원이라는 의료기관이 존재하였다. 인천병원은 거류민의 경영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병원의 시 설과 사업규모에서 거류민이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에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 합 시료부는 인천거주 조선인의 의료위생사업을 담당하기 위한 기관으로, 보건조합 사업의 일부로 담당하여 조선 인 빈민환자에게 무료진료를 행하였다. 그리고 성누가병원 역시 인천지역의 조선인 의료의 많은 부분을 담당한 기 관이었다. 1910년대 인천의 지역의료에서 이 세 의료기관은 상당히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는 인천병원에 이어 보건조합을 인천부에 편입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그 결 과 보건조합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합 시료부 역시 인천부에 편입된 후, 부경영의 인천병원의 시료부의??형태로 설치되기에 이른다. 그리고 선교병원으로서 인천의 지역의료를 담당하던 성누가병원은 재정부족문제와 보 건조합 시료부의 설치 등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병원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그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 어 갔다. 경영문제로 인한 성누가병원의 기능 약화와 부제의 실시에 따른 인천부의 기존 의료기관의 흡수 및 재편과정은 결 과적으로 인천의 지역의료 담당기관이 부가 경영하는 하나의 공적 의료기관으로 통합되는 결과를 낳았다. In this paper, the aim is to look into the role and transition of the major medical institutions of Incheon-bu in??the 1910s. There were three major medical institutions: the Incheon Hospital run by the Japanese settlement??cooperation, the Health Union Dispensary under the supervision of Incheon police station, and St. Luke??Hospital run by the English Church Mission. Incheon Hospital was the biggest hospital in Incheon;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Japanese residents to??run it and pay their own expenses and levies. Aft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uje) was reorganized, it was??incorporated into the Incheon-bu. The Health Union Dispensary was opened as a part of Health Union, which??took charge of health and sanitation of Korean residents in Incheon and provided free medical treatment for??poor Korean residents. There was also St. Luke hospital, which was in charge of medical care in Incheon,??especially for the low-wage workers. Incheon-bu incorporated the Health Union with its sound finance following the incorporation of the Incheon??Hospital. As a result, Incheon-bu managed both the hospital and the dispensary, and it entrusted the??dispensary to the hospital. St. Luke Hospital experienced a financial crisis and other issues related to??managing the hospital; therefore, its influence was faded in Incheon. The financial crisis experienced by St. Luke Hospital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other two medical??institutions by Incheon-bu allowed local health care to be integrated into one public medical institution run by??Incheon-bu.

      • KCI등재

        베트남전쟁과 인천의 시정(市政) - ‘파월 장병 및 가족 돕기 운동’을 중심으로 -

        윤대영(Youn Dae-y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5 No.-

        현재까지 대부분의 베트남전쟁 연구는 주로 국가의 정치와 경제나 한미 관계를 주요 화두로 제시하며 거시적 차원에서 한국군의 참전과 그 폐단을 분석하는데 주력했다. 그런데 정작 베트남전쟁이 한국 현대사와 당시의 사회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래서 전쟁을 통해 국가에 의해 형성된 사회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당시의 파병 군인들과 이들의 가족들은 한국 사회에 어떠한 존재로 다가오고 있었을까? 이 연구는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 사회의 변화 과정을 국가적 차원에서 더 밑으로 내려간 지역적(local) 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전쟁과 도시의 상관관계를 파악해 보고, ‘패배’와 ‘승리’ 이면에 ‘실존’하던 참전 도시의 실상과 베트남전쟁에 대한 도시민들의 경험을 검토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한국전쟁 이후의 피난민과 ‘조국 근대화’ 당시의 이주민과 함께 성장한 경기도의 도시, 인천의 상황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주요 검토 대상은 베트남전쟁 시기 정부의 주도로 본격화된 ‘파월 장병 및 가족 돕기 운동’이 인천을 통해 확산되어 나가는 구체적인 양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전쟁이 인천 지역의 이슈로 떠오르는 전쟁의 ‘인천화’ 과정과 정부가 인천시로 하달한 중앙의 국가 정책이 현지의 시정으로 반영되어 가는 모습을 지역 신문과 시정 자료를 중심으로 접근하면서 인천 시민들이 겪었던 간접적인 전쟁 경험의 실상을 살펴본다. 초기의 파병이 인천항을 통해 이루어지면서 베트남전쟁은 인천 시민들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아울러, 전쟁에 참여한 인천 출신 군인들의 활약뿐만 아니라 전사한 장교들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추모 방식은 지역 사회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베트남전쟁이 ‘제2의 인천 상륙 작전’으로 인식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리고 이러한 전쟁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한 정부의 정책은 인천의 시정에도 반영되어, 파월 장병을 돕기 위한 각종 시책으로 나타났다. 인천시의 파월 가족 돕기 운동에는 시장, 시 당국, 파월 가족 지원 위원회, 출장소, 동사무소, 경찰서, 군부대, 서울지방원호청 인천지청뿐만 아니라 인화회와 민주공화당의 정치인들도 참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운동은 위안회 개최, 위문품 지급, 성금 제공, 원호 기금 조성, 근로 봉사, 가족 위문 사업, 자매결연, 투자 장려금 지급 등을 통해 전개되어 나갔다. 인천의 시정을 통해 바라본 ‘파월 장병 및 가족 돕기 운동’은 전쟁 당시 한국사회의 변화와 정치 지형을 지역적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전국적 차원에서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 베트남전쟁 당시 인천의 정치를 현지의 사회 변동과 연계하여 접근하는 시도는 지역 자체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 사회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방편이기도 하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finding that the academic world of Korea has no sufficient interest in the impact of the Vietnam War on Korean society. Earlier studies were mainly based on Korean-American relations, Vietnam special procurement, killing of civilians etc. However, the experience of ROK forces seems to have left a mark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How did Vietnam War influence the society? During the wa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decided to support Korean soldiers dispatched to Vietnam and run army family support programs.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Vietnam War soldiers from Incheon and their families. Using local histories, it is possible to engage with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ordinary citizens and their episodes. History from the bottom up provides a useful methodology to reexamine official narratives. With data from local newspapers in particular, the story uses interesting tales, and explores themes of Incheon’s Vietnam War experiences and campaigns to help soldiers and their families. The impact of the war upon the port city Incheon is considered in relation to war casualties, gift delivery, military family life counseling, national mobilization policies etc. It was probable that presidential and general elections were manipulated by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upporting soldiers and their families through social welfare program. This study will excite great interest from local audiences and are invaluable in encouraging an interest in local history as well as in making sense of the history of Korea’s Vietnam War. Moreover, Incheon city should pay attention to settling past affairs as well as to providing compensation benefits for Vietnam veterans. I hope Quy Nhơn, the first sister city of Incheon, will be back peacefully.

      • KCI등재후보

        인천해전의 선택적 기록과 목적적 기억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5 No.-

        1904년, 열강의 극단적 경쟁지 인천에서 발발한 러일전쟁은 실질적으로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둘러싼 제국주의 전쟁이었다. 전쟁을 원치 않았던 대한제국은 중립국 선언을 했지만 인천에서 1904년 2월 8~9일에 발발한 인천해전을 시작으로 전쟁의 소용돌이에서 빠져 나올 수 없었다. 결국 대한제국은 러일전쟁 시기 내내 중요한 격전장이 되어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입고, 전쟁의 결과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최대의 희생양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러일전쟁의 서막인 인천해전을 러?일 양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기록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억해오고 있다. 러·일 양국은 공통적으로 인천해전을 기억함에 있어 자신들의 전쟁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기록을 선택하여 은폐하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적 기록을 바탕으로 일본은 자신들의 승리를 잊지 않기 위해 일제시기 내내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기념해왔다. 한편, 패배한 러시아 병사들은 고국으로 돌아가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영웅이 되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러시아 국민에게 애국심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기억은 최근까지 인천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양국의 기억과 기념에는 대한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기억은 부재되어 있다. 하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더 큰 문제는 한국인 스스로도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인식조차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인천해전에 관한 러?일 양국의 전개과정의 선택적 기록과 전쟁에 관한 목적적 기억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 현재 한국인에게 망각되어있는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In 1904, Russo-Japanese war was an imperialism war which broke out in Incheon, an extreme competitive area between the powers. Even though Korea Empire did not want the war and claimed neutral declaration, it could not come out of a maelstrom of was started from Incheon naval battle which broke out on 8th to 9th of February, 1904 in Incheon. Finally, Korea Empire got damaged to huge human resource and physical resources and became a worst victim as there sult of becoming a colony of Japan. Incheon naval battle which was the beginning stage of Russo-Japanese war has been viewed in a different way from Russia and from Japan and recorded in their way. The both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have differently selected and hidden the record in order to make it useful to each of them. Japan has commemorated its victory in various ways in the Japan Empire era. On the other hand, Russian soldiers who were lost and came back to their country became heroes symbolizing of courage and sacrifice and the icon of patriotism over 100 years. In addition, their memory has appeared as a social issue in the Incheon community until the latest. There was no memory about Korea Empire and Korean in memories and commemoration of those two countries. However, I think it is the worse problem that Korean themselves do not even recognize about historical facts of Incheon naval batt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ention about selective recording and purposive memory of the war in the different view from Russia and from Japan. Furthermore, I would like to make recognition of historical value in Incheon naval battle which has been forgotten to Korea.

      • KCI등재

        1980~90년대 인천의 소영화관 연구 - 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중심으로 -

        신언호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7 No.-

        This study aims to outline the history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by examining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and 1990s. To this end, the Incheon area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Nam-gu, Buk-gu, and Jung-gu and Dong-gu. Chapter 2 examined the situation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in 1981 an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small theater’. In 1970,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Incheon was 18. However, by 1981, there were 13 locations. In the 1980s,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 Korea increased rapidly. This is because, through the performance law amended in 1981, it was legally possible to open a ‘small theater’ with less than 300 seats. As a result, many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and the number of local theaters increased again. Chapter 3 reconstructed the development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80s. The regional diffusion of the screening space was achieved by opening a small movie theater in an area where there was no movie theater. In the 1980s, a total of 19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in Incheon. Nine of them were opened in Nam-gu. In this area, the distribution of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as spread along the east-west axis with ‘Jungang Geugjang’ as the center. In Buk-gu, 7 small movie theaters were newly opened in the 1980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4 local theaters. In this area,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were distributed along the north-south axis centered on Bupyeong Station. In Jung-gu and Dong-gu, in addition to the existing 5 local theaters, 3 small movie theaters were opened. The locations of small movie theaters in this area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local theaters was maintained. Chapter 4 reconstructed the declin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in the 1990s. The popularization of video culture in the 1990s had a major impact on the decline of local theaters. The reorganization of the landscape of the theaters in Incheon is also related to this situation. There are two major aspects of the change of small movie theaters in Incheon. One was to close the business, and the other was to change to a 'small video theater', a similar indus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all small movie theaters with a single screen disappeared in Incheon. 이 연구는 1980~90년대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 입지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봄으로써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역사를 개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상을 남구, 북구, 중구·동구의 3개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1981년 인천의 지역극장 상황과 소영화관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았다. 1970년 인천의 지역극장 수는 18개소였다. 그러나 1981년에 이르는 동안 13개소가 되었다. 그런데 1980년대에 전국에서 지역극장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1981년에 개정된 공연법을 통해 좌석 수가 300석 미만인 ‘소극장’의 개관이 법적으로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인천에서도 많은 소영화관이 등장하며 지역극장의 수가 다시 증가하게 되었다. 3장에서는 198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영화관이 존재하지 않던 지역에 소영화관이 들어선 것은 상영 공간의 지역적 확산을 가져왔다. 1980년대에 인천에서는 총 19개소의 소영화관이 개관하였다. 그중 남구에서 9개소가 개관했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중앙극장을 중심으로 동서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북구에서는 1980년대에 기존의 지역극장 4개소에 더해 소영화관7개소가 새로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 분포는 부평역을 중심으로 남북축으로 확산한 형태를 보였다. 중구·동구에서는 기존의 지역극장 5개소에 더해 소영화관 3개소가 들어섰다. 이 지역에서 소영화관의 입지는 기존 극장의 분포가 유지되는 형태를 보였다. 4장에서는 1990년대 인천지역 소영화관의 지역별 전개 양상을 재구성하였다. 1990년대에 비디오 문화가 대중화된 것은 지역극장의 퇴조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인천 극장가의 판도가 재편된 것도 이러한 사정과 관계가 있다. 인천지역에서 소영화관의 변천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났다. 하나는 폐업하는 것, 다른 하나는 유사 업종인 ‘비디오물소극장’으로 변경하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인천지역에서 모든 소영화관이 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개항 이후 1910년대까지 인천지역사회 내 광고의 사회제도적 의미

        윤상길(Yoon, Sang-kil)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0 인천학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근대 광고의 도입기였던 개항이후 1910년대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로 하여, 그리고 지역적으로는 인천지역의 신문광고와 옥외광고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광고가 담당했던 사회적 역할을 광고사회학의 관점 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인천지역사회 내 광 고의 사회제도적 의미를 크게 두 가지 연구문제를 통해 탐구하고자 한다. 첫째, 개항이후 1910년대까지의 인천지역사회 내 광고의 전개양상은 어 떠했는가? 둘째, 인천지역의 광고가 당시 전체 조선사회 및 인천 지역사 회와 어떠한 관련성을 맺고 있었고, 그 주된 역할은 무엇이었는가? 개항이후 1910년대까지의 인천지역 광고의 주된 매체는 크게 전통적인 매체인 상점간판을 중심으로 한 옥외광고매체와 근대적인 대중매체인 신 문이었다. 교통과 밀접히 연관된 광고라 할 수 있는 인천지역 옥외광고 의 경우, 일본적인 옥외광고 양식이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일 본본토에서 새롭게 등장했던 옥외광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 전등(電燈) 광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럼에도 여전히 옥외광고는 도 시공간을 매체로 한다는 측면에서 그 영향력은 지역적일 수밖에 없었다. 반면, 인천을 발행지로 하였던《朝鮮新報》의 광고가 가졌던 영향력은 지 역사회 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식민지 조선 내 식민도시 혹은 일본본 토에게도 미쳤다. 《朝鮮新報》에 게재된 광고업종 중 교통업종과 서비스업종의 비율이 다른 신문광고에 비해 유난히 높았던 점은《朝鮮新報》의 광고가 항구도 시였던 인천지역사회의 내적 변화에 의해 추동되었다는 사실을 잘 보여 준다. 그러나 일제 강제병합 이후인 1910년대에 들면,《朝鮮新報》의 신문 광고는 인천지역사회의 내적 변화에 의해 추동되기 보다는 인천지역사회 외부의 기업과 상점이라 할 수 있는 경성(京城)과 일본본토의 광고주에 의한 판매망 확장노력에 의해 추동된 경향성이 짖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거해 볼 때, 개항이후 1910년대까지 인천지역사 회 내 광고가 가졌던 사회제도적 의미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로 인천거류민의 생활적·생계적 필요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 공해 주었고, 둘째로 여타 식민도시의 일본거류민들을 위한 시장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담당했으며, 셋째로 조선인 토착사회에는 ‘근대적인 생활양식’을 판매하는 매체 역할을 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nstitutional roles of advertising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from the period of open-port to 1910's. Concretely, this paper intend to analyse both newspaper-advertisements and outdoor-advertisements from sociological approach to institutional role of advertising. From the period of open-port to 1910's, advertisements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was mediated by both newspaper and outdoor billboard. In case of outdoor-advertisement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stitutional roles of outdoor- advertisements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could not but be local, whatever those were, because outdoor-advertisements were mediated by urban places.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al roles of advertisements in 'Chosen-Sinpo'[朝鮮新報]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in Incheon, were not only local, but also 'trans-local', whatever those were. Institutional roles of advertising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from the period of open-port to 1910's were as follows. Firstly, advertisements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during pre-colonization period contributed to provide Japanese residents of Incheon with various informations necessary to adapt themselves to new living environments, in that many advertisements in 'Chosen-Sinpo'[朝鮮新報] newspaper came under a business category of transportation and service. Secondly, newspaper-advertisements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since 1910's contributed to provide Japanese residents in other colonial city with market informations, in that many advertisements in 'Chosen-Sinpo'[朝鮮新 報] newspaper were gradually put by residents in the outside of Incheon. Thirdly, advertisements based on locality of Incheon from the period of open-port to 1910's contributed to introduce modern lifestyles to some Korean peoples, in that Korean version of 'Chosen-Sinpo'[朝鮮新報] newspaper was published, in that there were some Korean subsribers of Korean version of 'Chosen-Sinpo'[朝鮮新報], and in that some illustrations were often used in some advertisements written in Japanese language.

      • KCI등재

        1923년 하와이한인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주요 내용과 의의

        최희영(Choi Heeyo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약 2달간의 고국 방문 중 인천방문을 고찰하였다. 하와이학생방문단은 이승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승만이 세운 교육기관, 한인기독학원 건축비 기금모금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하와이학생방문단 일정 중 인천 방문에 관한 기록은 미주 한인 이민사 시작의 거점지로서 인천이 지니는 위상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에 주목할 만하다. 비록 1박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지방 순회 중 인천에서의 일정은 다른 도시에 비교할 때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내용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인천 주민의 하와이 거주 동포를 향한 인식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일정이 한인 미주이민 시작점에 거점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인천 주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드러내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환영위원회의 회의 결과로 이루어진 하와이학생방문단 인천 내 일정은 같은 핏줄을 지닌 동포로서의 동질감뿐만 아니라 첫 이민단을 보냈던 지역주민으로서의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는 이민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리교회 관련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한 환영일정에 반영되어 있다. 내리교회 교육사업의 결과물인 영화학교 학생들의 환영식, 내리교회 방문, 내리교회 목사의 환영 연설, 내리 교회 청년회를 중심으로 새롭게 조직한 상우 야구단, 내리교회 교인이 중심이 된 아마추어 전통문화 단체인 이우구락부의 연주 등이 그 예이다. 20세기 초 미주 한인들의 인천 방문을 언급한 기존 연구는 있었으나 하와이학생방문단의 구체적 일정과 그 의의를 밝힌 연구는 미흡했다. 미주이민사 시발점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는 인천인들의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 내용을 밝힌 본 연구는 인천과 하와이 지역을 교차하며 한인 이민 문화사 이해에 지평을 넓혀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 to Incheon in 1923.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ed in Korea for about two months to raise mone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ristian School. Newspaper articles describe the students’ visit in Incheon, among many areas, in more detail; also their activities in Incheon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areas. This article grasps the reason by analyzing key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Incheon on July 13 and 14, 1923. On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argues that Incheon people showed their pride as the locals that had marked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students’ schedule in Incheon, resulting from the Welcoming Committees decision, not only reflects Incheon peoples sense of kinship with the young compatriots but also deeper meanings to the event as the locals sending the first groups of Korean immigrants to Hawai‘i.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s and people affiliated with the Naeri Church─a key site for the first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in the welcoming events demonstrates this. Examples include the speech of the church pastor at the welcoming party; the Sang-u Baseball Playe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by Iugurakbu. A few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Korean Americans visit to Incheon; however, no studies have discussed specific activities of the 1923 Korean Hawaiian student visitors and their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Incheon residents’ pride as those who live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ic culture intersecting Hawaii and Incheon.

      • KCI등재

        한국전쟁 구술사 연구와 인천

        이상의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1 인천학연구 Vol.34 No.-

        This article introduces the oral narratives of the Incheon people about the Korean War in the Incheon area and suggests how future research on oral history should proceed. Incheon, a borderlan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s one of the most strategically important regions epitomized by Operation Chromite, and so was devastated as the frontline of the war moved to South of Incheon and then to North. The war caused massive casualties, not limited to soldiers but to civilians who were not even aware of the reason of the war. However, the suffering of the Incheon civilians has not been thoroughly understood despite numerous narratives about it in the region. Fortunately, Korean War-related research began to reflect oral and written narratives which were previously not well-recognized. This paper focuses on the following three contents regarding oral dictations about the Korean War collected in Incheon. The first is a result from 민간인집단희생사건(Massacre of Civillians) investigation process conducted by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TRC,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 from 2006 to 2010, the second is a result from 월남민구술생애조사연구(A Study on Oral Life History of People coming from North Korea) conducted by 역사와공간연구소(The Institute of History and Topos of Yonsei University) from 2014 to 2017, and the last is a result from 6·25한국전쟁아카이브구축을위한구술채록연구(A study of oral record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War archive) conducted by 인천문화재단(Incheon Foundation For Arts & Culture) in 2019. This paper reveals how people’s life and local history unfolded during the wartime, which has not been officially documented. However, its scope of the subject is limited and its results have not been actively converted to research outcomes. In this respect, the new history-writing based on the oral history of underrepresented groups must continue and expand further. It is expected to confront the process of healing and reflection by letting people speak more and reveal more about their history, to incorporate local residents’ experience into local history by shedding light on them, and to balance the debate over the Korean War in Incheon. 이 글에서는 인천지역에서 겪은 6·25전쟁에 대한 인천 사람들의 구술을 소개하고, 이후 구술과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인천은 6·25전쟁에서 인천상륙작전 실시로 대변되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남북의 접경지로서 전선이 남북으로 두 차례나 오가는 사이에 해상과 육상에서 커다란 전화를 입었다. 전쟁은 특히 수많은 인명 피해를 가져왔는데, 그 피해는 전쟁의 원인을 모르는 민간인에게도 광범위하게 미쳤다. 그러나 전쟁 도중 민간인이 입은 피해는 지역 내에서의 무성한 소문에 비해 아직도 그 실상이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다. 다행히 그간의 6·25전쟁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최근 구술 혹은 진술을 통해 그간 모습을 드러내지 못했던 사람들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본고에서는 인천지역에서 채록된 6·25전쟁과 관련된 구술 중에서 다음 세 가지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첫째는 진실화해위원회에서 2006~10년간 진행한 ‘민간인집단희생사건’ 조사과정에서 나온 결과물이고, 둘째는 연세대학교 역사와공간연구소에서 2014~17년간 진행한 <월남민구술생애사조사연구>의 결과물이며, 셋째는 2019년 인천문화재단에서 진행한 <6·25한국전쟁아카이브구축을위한구술채록연구>의 결과물이다. 이러한 구술채록에서는 그간 공식적인 기록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전쟁으로 인한 개인의 삶과 지역사의 굴곡을 드러내는 성과를 이루었다. 그러나 아직은 구술 대상의 범주도 제한적이고, 구술의 결과물이 연구성과로 활발하게 전환되지 못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볼 때 소외집단의 구술사에 기반한 새로운 역사쓰기는 인천지역에서 더 지속되고 확산될 필요가 있다. 더 많이 말하고 더 많이 드러내게 함으로써 치유와 반성의 과정을 겪고, 감춰진 진실을 규명하여 지역민의 경험을 지역사의 일부로 적극 수용하는 한편, 그것을 계기로 인천지역에서 ‘전쟁’에 대한 논쟁도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활용한 인천광역시 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고현종(Ko Hyeon-j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4 인천학연구 Vol.4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천상륙작전 기념행사를 국제급 행사로 격상하여 추진하려는 인천광역시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활용한 인천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크투어리즘의 개념적 정의와 연구관점, 인천상륙작전의 배경과 역사적 의의, 관내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살펴보고 지속가능한 관광 자원으로써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 활성화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통합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본 연구는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에 관한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었다. 둘째,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게 검토했음에 그 의의가 있었다. 셋째,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을 권역별로 구분하고 주변 관광 명소들과 연계한 관광 상품 개발(안)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음에 그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 첫째, 기존 문헌과 사례 중심으로 연구가 수행되어 연구의 일반화 및 수치화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를 수행하여 보완한다면 이론적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인천상륙작전 다크투어리즘 장소 자산의 개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으나 이를 위한 홍보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수행한다면 이론적 확장뿐만 아니라 ‘평화와 화합으로 만드는 초일류도시 인천’의 이미지 구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Incheon Metropolitan City’s goal of elevating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commemorative event to an international level. To achieve this, the study proposes a plan for activating tourism in Incheon by utilizing the assets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s.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research perspective of dark tourism,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It also explores ways to activate Incheon’s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as sustainable tourism resources.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integrated management for the acti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being the first to conduct research on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econd, it holds importance in the in-depth examin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Third, the study distinguishes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by region and proposes the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tourism products linked to nearby tourist attrac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was conducted primarily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cases, limiting the general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research. Therefore, future research that addresses these limitations through quantitative studies could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Second, while the study presents development and activation plans for Incheon Landing Operation dark tourism site assets, it does not provide specific promotional methods. Thus, future research that addresses this aspect could not only contribute to theoretical expansion but also greatly contribute to building the image of “Incheon, a first-class city created through peace and harmo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