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UI(Graphic User Interface) 디자인의 연구동향에 관한 내용분석

        진진아 ( Jin Jin A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와 디바이스 간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지난 19년간 진행된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1998년 처음 시작된 논문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7편을 연구자의 특성, 연구특성, 연구주제, 학술지특성, 기타특성으로 분류하여 내용 분석하였다. 연구문제검증을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및 카이제곱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자 수는 2명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디자인전공의 학계소속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모바일 매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서베이를 이용한 실증연구가 제일 많았다. 그 다음으로 사례분석과 실험연구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전반적으로 질적연구보다 양적연구가 늘어나는 추세로 관찰되었다. 셋째, GUI디자인의 구성요소와 특성 및 표현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개념/이론에 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등재지의 게재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GUI디자인에 관한 논문의 평균 페이지 수는 11.49페이지, 평균 키워드 수는 3.28개였으며, 참고문헌은 학술지, 학위논문, 온라인, 기타의 4개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세부항목별 평균 인용개수가 3.33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 인터페이스에 매우 중요한 요인인 GUI디자인의 학술적 동향을 파악하고 함의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hich have been conducted for the last 19 years through analyzing the trend of research on GUI (Graphic User Interface)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user and device in the wake of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presen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107 paper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early ones in 1998 and those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s up to December 2017 by researcher characteristics,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journal characteristics, and other characteristics. To test the research questions,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study, and chi-squared test were analyzed with them.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 the most frequent number of researchers was 2, with most of them working in academia and majoring in design. Secon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reated mobile media, focusing on an empirical research that used surveys. It was followed by case study and experimental research method, and in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bested quantitative research. Third, most of the researches addressed the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the GUI design, while nearly no research was done on its concept and theory. Fourthly, most of the papers were published in listed journals. Last but not least, the average number of pages of those papers on the GUI design was 11.49 and the average number of keywords was 3.28. When surveyed by journals, degree thesis, online, and others, the papers were cited on average 3.33 times in specific categor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trends in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GUI design,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diverse media interfaces, and come up with implications.

      • KCI등재

        영화포스터에 활용된 시지각 표현 연구

        진진아 ( Jin Jin A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7 No.-

        코로나19의 범유행으로 각종 예술계 및 극장시장까지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했다. 반면 넷플릭스, 왓챠 등 OTT(Over The Top)는 급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위드코로나가 활발히 시행되면서 오징어게임을 필두로 암흑기였던 국내 영화산업도 점차 회복 구간으로 접어들고 있어 각종 영화콘텐츠에 대한 기대심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영화를 선택함에 있어 영화포스터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는데, 영화포스터상의 인물과 배경의 구도 및 컬러 등 시각적 표현방식에 따라 작품의 분위기가 달라질 뿐 아니라 보는 이에 따라 판이하게 다른 해석을 낳을 수 있다. 본 논문은 2021년 개봉된 영화포스터를 중심으로 게슈탈트 심리학의 각각의 법칙들을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단순화, 집단화, 등가성, 전경과 배경의 원리 등 게슈탈트의 시지각 원리로 포스터를 형상화하여 포스터에 대한 이미지 해석의 다의성과 작품의 조형성, 정보전달, 시각적 재미 등이 가능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영화포스터 제작 시 게슈탈트의 시지각법칙을 적용하여 대중의 설득커뮤니케이션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무 디자이너가 영화포스터를 디자인함에 있어 게슈탈트의 시지각법칙을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창의적이고 신선한 충격을 주어 대중들의 기억력 제고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영화산업의 활성화에도 다소나마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Effects of global COVID-19 pandemic on a wide range of art sectors and even the movie theaters were highly extensive and grave. On the other hand, OTT(Over The Top) such as Netflix and Watcha are undergoing rapid growth. In particular, with active implementation of With COVID-19, domestic movie industry has been gradually experiencing the commencement of recovery from the last 2 years of dark ages. headed by Squid Game. Accordingly, there is heightened expectation of the general public on various movie contents. The role of movie poster plays very important role in the selection of movies to be watched. The ambiance of the movie not only changes but completely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movie can also be made according to the visual expression method including the composition and colors, etc. used for the characters and backgrounds in the movie poster. This study analyzed representative cases to which various laws of Gestalt psychology were applied with focus on the posters of movies released in 2021. As a result of the cas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diversity of the images on the poster, formativeness of the work, information delivery and visual interest, etc. are possible through embodiment of poster by means of the principles of pragnanz, grouping, equilibrium, and figure and ground, etc.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present the optimal method of enhancing persuasive communication on the general public by utilizing the visual cognitive methods of Gestalt at the time of movie poster production in the future through aforementioned case analysis. In addition, methodological possibility of maximizing the persuasive effects on the audiences of the message delivery function of the characteristic cinematic value and movie storytelling built-in the movie poster is anticipated.

      • MHEMT를 이용한 DC ∼ 45 GHz CPW 광대역 분산 증폭기 설계 및 제작

        진진,이복형,임병옥,안단,이문교,이상,고두현,백용현,오정훈,채연식,박형무,김삼동,이진구,Jin Jin-Man,Lee Bok-Hyung,Lim Byeong-Ok,An Dan,Lee Mun-Kyo,Lee Sang-Jin,Ko Du-Hyun,Beak Yong Hyun,Oh Jung-Hun,Chae Yeon-Sik,Park Hyung-Moo,Kim Sam-Do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1 No.12

        In this paper, CPW wideband distributed amplifi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0.1 $\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The DC characteristics of MHEMT are 442 mA/mm of drain current density, 409 mS/mm of maximum transconductance. The current gain cut-off frequency(fT) is 140 GHz and the maximum oscillation frequency(fmax) is 447 GHz. The distributed amplifier was designed using 0.1 $\mum$ MHEMT and CPW technology. We designed the structure of CPW curve, tee and cross to analyze the discontinuity characteristics of the CPW line. The MIMIC circuit patterns were optimized electromagnetic field through momentum. The designed distributed amplifier was fabricated using our MIMIC standard process. The measured results show S21 gain of above 6 dB from DC to 45 GHz. Input reflection coefficient S11 of -10 dB, and output reflection coefficient S22 of -7 dB at 45 GHz, respectively. The chip size of the fabricated CPW distributed amplifier is 2.0 mm$\times$l.2 mm. 본 논문에서는 0.1 $\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를 이용하여 DC~45 GHz 대역의 광대역 MIMIC(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분산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MIMIC 증폭기의 제작을 위해 Metamorphic HEMT(MHEMT)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MHEMT는 드레인 전류 밀도 442 mA/mm, 최대 전달컨덕턴스(Gm)는 409 mS/mm를 얻었다. RF 특성으로 fT는 140 GHz fmax는 447 GHz의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광대역 MIMIC 분산 증폭기의 설계를 위해 MHEMT의 소신호 모델과 CPW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MIMIC 분산 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분산 증폭기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MHEMT MIMIC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MIMIC 분산 증폭기의 측정결과, DC ~ 45 GHz대역에서 6 dB 이상의 S21 이득을 얻었으며, 입력반사 계수는 45 GHz에서 -10 dB, 출력반사계수는 -7 dB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분산 증폭기의 칩 크기는 2.0 mm$\times$l.2 mm다.

      • KCI등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인포그래픽 연구의 동향분석: 국내 학술논문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진진아 ( Jin Jin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연구배경 미디어 플랫폼의 빠른 변화에 따라 빅데이터와 수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해졌다. 인포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선별하고 추출한 후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사용자의 회상기억과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업계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인포그래픽의 학문적 현주소를 파악하여 관련 실무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인포그라픽’, ‘infographic’, ‘infographics’의 키워드로 추출된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총 82편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은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카이제곱검정의 유의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연구동향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자 특성에서 연구자는 1명과 2명이 가장 많았고, 학계소속의 디자인전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특성에서 웹에 관련된 매체중심의 연구가 많았고, 기타, 교육분야에서의 인포그래픽 연구가 두드러졌으며 사례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작과정/기획/전략과 인포그래픽 표현요소와 특성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인포그래픽 연구는 2004년에 최초로 시작되었지만, 계속 전무하다가 2011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2014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동향을 파악하여 함의를 도출한 점에서 관련 실무자에게는 인포그래픽의 트렌드를 파악하여 전략수립을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전체적인 연구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학문 간 협업을 통해 다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change of media platforms, the communication between big data and recipients has gained in importance. Infographics, the visual expression of a large quantity of selected and extracted data, exerts positive influence by not only enhancing the user’s recollective memory and understanding but also arousing his or her interest. In this light,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urrent academic standing of Infographics that registers high levels of usability in the industry and thereby provide useful suggestions to both the related workers and researchers. Methods Chosen for analysis a total of 82 research papers extrac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listed in the South Korean academic databases, keywords such as infographic and infographics (and their Korean equivalents) were used. The thesis has come up with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nalyzed and come up with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chi-squared test. Result First,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are concerned, the largest number of the researches had one or two researchers, esp. with those working in academia and specializing in design. Second, as far as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go, many of the studies focused on web-related media. They were visibly concerned with Infographics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were done by analyzing the content. Thir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reated production, planning, and strategy, and the express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s. Fourth, the study shows that research on infographics began in 2004 and there was a lull until 2011 when full-blown research started and registered a sharp increase in 2014. Lastly, a relatively larger percentage of the papers ended up published. Conclus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me up with implications by performing a total analysis on and figuring out the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Infographics, which is now used in various area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important guidelines for related workers identifying infographic trends and creating strategy and presents related researchers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general research trends. Future collaboration among academic fields should requir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

        한·미 영화포스터의 내용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 관한 내용분석 - 역대 박스오피스 순위 톱 50을 중심으로 -

        진진아 ( Jin Jinah ),이철영 ( Lee Chull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4 No.-

        연구배경 영화포스터는 영화에 대한 궁금증을 유발시키고, 흥미를 자극하는 시각적 촉매제 역할을 한다. 또한 영화흥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광고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영화마케팅의 꽃인 포스터에 함의된 내용적 측면과 시각적 측면에서 한국과 미국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영화진흥위원회에서 발표한 역대 박스오피스 톱 50을 대상으로 한국과 미국의 영화 메인포스터 100편을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내용적 측면에서 스토리텔링 유형은 한·미간 매우 유의미한 수준의 결과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르유형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크레딧과 개봉일은 한·미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적 측면에서 메인타이틀 서체형식, 방향, 색상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위치는 유의미한 수준의 결과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인비주얼 이미지 유형은 한·미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표현내용 유형, 모델 수, 배경색상은 유의미한 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영화포스터 디자인뿐만 아니라 모든 포스터에 있어 시대와 문화와 환경에 맞는 새로운 관점의 디자인을 모색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ackground The poster of the film intrigues spectators, and has a role as a visual catalyst. Further, it directly influences the consequence of the box office, and acts as an advertisement. This research attempts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form of content aspect and visual aspect of the movie poster, which is the most representing feature of the movie marketing. Methods To the subject of Top 50 box office movies in the history, announced by the Korean Film Council, 100 main posters of the movie of USA and Korea were analyz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chi-square verification. Result Firstly, a form of the storytelling showed very notable level of differences between the USA and Korea. And type of genre of the movies statistically influenced to the difference. Also the credit and the release dat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ly, the font of the main title, direction and colo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nations. However, the location of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a form of the main visual image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However, a form of the content of expression, the number of the model and the background color did not show remarkable difference. Conclusion This study is attempting to suggest a way of new perspective of design that goes with the era, culture and surroundings, applying the multi-cultural code not only to the movie poster design, but also to poster of all kinds.

      • KCI등재

        1995년부터 2016년까지 광고디자인 연구 동향과 특성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11개 주요 디자인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진진아 ( Jin Jinah ),이철영 ( Lee Chull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7 No.-

        연구배경 광고의 중요성에 비하여 학술적 연구로서 광고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디자인 분야보다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는 광고디자인 연구 초기부터 현재까지 연구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독자적인 학술분야로서 광고디자인의 향후 연구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부터 2016년까지 지난 22년간 국내 대표적인 11개 디자인 학술지에 게재된 광고디자인 연구논문 총 316편을 내용분석방법에 의거하여 유목과 항목을 개발하고 코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는 카이제곱 검정과 교차분석을 통해 동향의 유의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논문편수의 시기별 추이분석결과 최근으로 올수록 연구편수는 증가하였는데 특히 2000년대 전반기 큰 증가폭을 보였다. 연구자전공은 시각디자인 전공자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표현전략·제작기법과 광고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가 가장 크게 증가했다. 질적연구의 사례분석 연구가 많았으며, 신문과 잡지 등 전통매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대다수의 연구가 구성요소와 표현전략에 대한 기술적 관점에 치중하고 있다. 광고가 사회문화적 산물이라는 점에서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하며, 단순 사례분석에서 심층적이며 실험적 연구로 확장되어야 하고, 연구 대상 매체 또한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발전되어야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review and underline the trend and features of the literature on the advertising design papers published in the 11 major design journals in Korea. By doing so, we aim to get the general view of advertising design research since the beginning stage of its academic efforts and to pave the way to get better research knowledge as we should delve into developing advanced research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otal of 316 articles appeared in the years of 1995 through 2016 in 11 major design journals were selected and coded as specifi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changes or ratios was checked. Result Advertising design element, design strategy and production tactics account for major portion. As the total number of the articles was increasing, non-design researchers were found to begin to involve in advertising design research. Case study and its qualitative approach were most used, and traditional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were still the major interest as apposed to the new media popularity in content design research. Conclusion Advertising design research needs to expand its focus on the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from traditional media to convergent media and contents. Case study has to touch on in-depth or experimental inquisitions so that our design research in advertising adequately address the contemporary culture and media issues.

      • KCI등재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인포그래픽 연구의 동향분석: 국내 학술논문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진진아 ( Jin Jin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1

        연구배경 미디어 플랫폼의 빠른 변화에 따라 빅데이터와 수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이 더욱 중요해졌다. 인포그래픽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선별하고 추출한 후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으로 사용자의 회상기억과 이해도를 높일 뿐 아니라 관심과 흥미를 불러일으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업계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인포그래픽의 학문적 현주소를 파악하여 관련 실무자와 연구자 모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포그래픽', ‘인포그라픽’, ‘infographic’, ‘infographics’의 키워드로 추출된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총 82편의 연구 논문들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논문은 내용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카이제곱검정의 유의성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연구동향의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자 특성에서 연구자는 1명과 2명이 가장 많았고, 학계소속의 디자인전공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특성에서 웹에 관련된 매체중심의 연구가 많았고, 기타, 교육분야에서의 인포그래픽 연구가 두드러졌으며 사례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작과정/기획/전략과 인포그래픽 표현요소와 특성에 관한 주제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인포그래픽 연구는 2004년에 최초로 시작되었지만, 계속 전무하다가 2011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2014년에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인포그래픽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동향을 파악하여 함의를 도출한 점에서 관련 실무자에게는 인포그래픽의 트렌드를 파악하여 전략수립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침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전체적인 연구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추후 학문 간 협업을 통해 다학 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Background With the rapid change of media platforms, the communication between big data and recipients has gained in importance. Infographics, the visual expression of a large quantity of selected and extracted data, exerts positive influence by not only enhancing the user’s recollective memory and understanding but also arousing his or her interest. In this light, the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current academic standing of Infographics that registers high levels of usability in the industry and thereby provide useful suggestions to both the related workers and researchers. Methods Chosen for analysis a total of 82 research papers extracted from the academic journals listed in the South Korean academic databases, keywords such as infographic and infographics (and their Korean equivalents) were used. The thesis has come up with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content, and the research results have been analyzed and come up with the implications for research trends by focusing on the significance of chi-squared test. Result First, as far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rs are concerned, the largest number of the researches had one or two researchers, esp. with those working in academia and specializing in design. Second, as far as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go, many of the studies focused on web-related media. They were visibly concerned with Infographics in education and most of them were done by analyzing the content. Thir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treated production, planning, and strategy, and the expressiv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nfographics. Fourth, the study shows that research on infographics began in 2004 and there was a lull until 2011 when full-blown research started and registered a sharp increase in 2014. Lastly, a relatively larger percentage of the papers ended up published. Conclusion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come up with implications by performing a total analysis on and figuring out the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Infographics, which is now used in various areas. It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important guidelines for related workers identifying infographic trends and creating strategy and presents related researchers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general research trends. Future collaboration among academic fields should requir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 Cascode 하모닉 발생기를 이용한 V-band MIMIC Quadruple Subharmonic 믹서

        안단,이문교,진진,고두현,이상,김성찬,채연식,박형무,신동훈,이진구,An Dan,Lee Mun Kyo,Jin Jin Man,Go Du Hyun,Lee Sang Jin,Kim Sung Chan,Chae Yeon Sik,Park Hyung Moo,Shin Dong Hoon,Rhee Jin Koo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5

        본 논문에서는 cascode 하모닉 발생기를 이용하여 V-band MIMIC (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quadruple subharmonic 믹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고변환 이득 특성을 위하여 cascode 하모닉 발생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cascode 하모닉 발생기는 기존의 multiplier 구조의 비해 평균 2.9 dB 및 최대 4 dB의 높은 4차 하모닉 출력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V-band subharmonic 믹서의 측정결과 14.5 GHz LO 신호를 13 dBm의 크기로 입력하였을 때 3_4 dB의 높은 변환이득 특성을 얻었다. 또한 -53.6 dB의 LO-to-IF, -46.2 dB의 우수한 LO-to-RF 격리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작된 밀리미터파 subharmonic 믹서는 기존에 발표된 밀리미터파 대역의 subharmonic 믹서에 비해 우수한 변환이득 특성을 나타내었다. A V-band MIMIC quadruple subharmonic mixer is reported in this paper. The cascode harmonic generator is proposed for a high conversion gain. The proposed cascode harmonic generator is shown with a 4-th harmonic output characteristic that represents an average of 2.9 dB and a maximum of 4 dB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multiplier. The measured result of the subharmonic mixer has a conversion gain of 3_4 dB which a good conversion gain at a LO power of 13 dBm. Isolations of LO-to-IF and LO-to-RF were obtained -53.6 dB and -46.2 dB, respectively. The conversion gain of the subharmonic mixer in this study has a higher conversion gain compared with some other reports in millimeter-wave range.

      • 낮은 LO 입력 및 변환손실 특성을 갖는 V-band MIMIC Up-mixer

        이상,고두현,진진,안단,이문교,조창식,임병옥,채연식,박형무,이진구,Lee Sang Jin,Ko Du Hyun,Jin Jin Man,An Dan,Lee Mun Kyo,Cho Chang Shik,Lim Byeong Ok,Chae Yeon Sik,Park Hyung Moo,Rhee Jin Koo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1 No.12

        In this paper, we present MIMIC(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up-mixer with low conversion loss and low LO power for the V-band transmitter applications. The up-mixer was successfully integrated by using 0.1 ㎛ GaAs pseudomorphic HEMTs(PHEMTs) and coplanar waveguide (CPW) structures. The circuit is designed to operate at RF frequencies of 60.4 GHz, IF frequencies of 2.4 GHz, and LO frequencies of 58 GHz. The fabricated MIMIC up-mixer size is 2.3 mmxl.6 mm.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low conversion loss of 1.25 dB when input signal is -10.25 dBm at LO power of 5.4 dBm. The LO to RF isolation is 13.2 dB at 58 GHz. The fabricated V-band up-mixer represents lower LO input power and conversion loss characteristics than previous reported millimeter-wave up-mixers. 본 논문에서는 낮은 LO 입력으로 저 변환손실 특성을 갖는 MIMIC(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V-band up-mixer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Up-mixer는 0.1 ㎛ GaAs PHEMT와 coplanar waveguide (CPW) 전송라인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Up-mixer는 60.4 GHz의 RF 주파수, 2.4 GHz의 IF 주파수와 58 GHz의 LO 주파수에서 동작되도록 설계되었다. Up-mixer는 표준 MIMIC공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칩 크기는 2.3 mmxl.6 mm이다. 제작된 up-mixer의 측정결과 입력신호가 -10.25 dBm 이고 LO의 입력 전력이 5.4 dBm 일 때 1.25 dB의 양호한 변환손실 특성을 얻었다. 58 GHz에서 LO 와 RF의 격리특성은 -13.2 dB를 나타내었다. 제작된 V-band up-mixer는 기존에 발표된 밀리미터파 up-mixer에 비하여 낮은 LO 입력 전력과 양호한 변환손실 특성을 나타내었다.

      • 높은 LO-RF 격리 특성의 W-band MIMIC Single-balanced 믹서

        안단,이복형,임병옥,이문교,이상,진진,고두현,김성찬,신동훈,박형무,박현창,김삼동,이진구,An Dan,Lee Bok-Hyung,Lim Byeong-Ok,Lee Mun-Kyo,Lee Sang-Jin,Jin Jin-Min,Go Du-Hyun,Kim Sung-Chan,Shin Dong-Hoon,Park Hyung-Moo,Park Hyim-Chang,Kim Sa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6

        본 논문에서는 branch line coupler과 $\lambda$/4 전송라인을 이용하여 W-band MIMIC(Millimeter-wave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single-balanced 믹서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Single-balanced 믹서의 설계를 위해 branch line coupler와 $\lambda$/4 전송라인 이용한 94 GHz 발룬 회로를 설계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94 GHz에서 반사계수는 -27.9 dB를 얻었으며, coupling은 4.26 dB, thru 특성은 -3.77 dB의 결과를 얻었다. 격리도와 위상차는 94 GHz에서 각각 23.5 dB 및 $180.2^{\circ}$의 결과를 얻었다. MIMIC single-balanced 믹서는 0.1 $\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다이 오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되었다. 제작된 MHEMT는 fT는 189 GHz, fmax는 334 GHz의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설계된 믹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MHEMT MIMIC 공정을 이용해 제작되었다. 94 GHz MIMIC single-balanced 믹서의 측정결과 변환손실 특성은 94 GHz에서 23.1 dB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입력 Pl dB는 10 dBm, 출력 Pl dB는 -13.9 dBm의 결과를 얻었다. Single-balanced 믹서의 LO-RF 격리도는 94.19 GHz에서 45.5 dB의 높은 LO-RF 격리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W-band MIMIC Single-balanced 믹서는 기존의 밀리미터파 대역 믹서와 비교하여 높은 LO-RF 격리도 특성을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high LO-RF isolation W-band MIMIC single-balanced mix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using a branch line coupler and a $\lambda$/4 transmission line.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designed 94 GHz balun show return loss of -27.9 dB, coupling of -4.26 dB, and thru of -3.77 dB at 94 GHz, respectively. The isolation and phase difference were 23.5 dB and $180.2^{\circ}$ at 94 GHz. The W-band MIMIC single-balanced mixer was designed using the 0.1 $\mu$m InGaAs/InAlAs/GaAs Metamorphic HEMT diode. The fabricated MHEMT was obtained the cut-off frequency(fT) of 189 GHz and the maximum oscillation frequency(fmax) of 334 GHz. The designed MIMIC single-balanced mixer was fabricated using 0.1 $\mu$m MHEMT MIMIC Process. From the measurement, the conversion loss of the single-balanced mixer was 23.1 dB at an LO power of 10 dBm. Pl dB(1 dB compression point) of input and output were 10 dBm and -13.9 dBm respectively. The LO-RF isolations of single-balanced mixer was obtained 45.5 dB at 94.19 GHz. We obtained in this study a higher LO-RF isolation compared to some other balanced mixers in millimeter-wave frequen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