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PW PHEMT의 에어브리지에 의한 이득 감소 현상에 대한 연구

        林炳玉,이진구,姜泰信,李福炯,李文敎 대한전자공학회 2003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0 No.12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air-bridge parasitic capacitances on the performance of coplanar waveguide pseudomorphic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CPW PHEMTs), the gate-to-air- bridge (Cag) and the drain-to-air-bridge (Cad) capacitances were taken into account plus the conventional pinched-off cold-FET circuit model.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arasitic capacitances due to the air-bridges, a variety routing schemes for the air-bridge interconnection were adopted for fabricating the 0.1-m Γ-gate length CPW HEMT’s. According to air-bridge schemes, the S21 gain is affected considerably. From the results of the fabricated CPW PHEMT, the Cag and Cad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decreasing the gain of HEMTs. 에어브리지의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CPW PHEMT의 기존 cold-FET 회로모델에 게이트-에어브리지의 기생 커패시턴스(Cag)와 드레인-에어브리지의 기생 커패시턴스(Cad)를 더해주었다. 또한 제안된 모델을 사용하여 소자의 parameter들을 추출하여, 그 존재를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에어브리지에 의해 생성되는 기생 커패시턴스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에어브리지의 여러 연결방법을 CPW PHEMT 제작에 접목시켰다. 또한 핀치오프상태의 cold-FET에 대한 개선된 등가회로 모델을 제시하여 에어브리지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가 소자 특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 가를 분석하였다. 제작된 CPW PHEMT의 측정 결과로부터, 기생 커패시턴스 Cag와 Cad가 소자의 S21 이득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고속철도차량 RCM에 관한 연구

        임병옥,윤덕균 한국경영공학회 2005 한국경영공학회지 Vol.10 No.2

        With the operation of KTX service last year, advanced maintenance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Reliability, what is called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maintenance of KTX. By adopting this maintenance policy that is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 conventional maintenance policy has been improved and this is purposed to enhance stabilization and efficiency of rail cars. Here in this research, reliability of the present has been defined by calculating the MKBSF of the traction motor which is one of the major systems and all the fleet of KTX.

      • KCI등재후보

        현악 영산회상 중 <상령산> 분장(分章)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임병옥 국립국악원 2013 국악원논문집 Vol.28 No.-

        현행 영산회상 중 <상령산>은 총 4장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장마다 15박의 종지 선율을 가지고 있다. <상령산>의 매장에 나타나는 종지 선율은 장별 구분이 없는 어은보 영산회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전반 사이에 편찬된 어은보, 유예지, 동대금보, 삼죽금보에 기재되어 있는 영산회상의 1행으로 된 유사 선율은 다소간의 변화가 있지만 모두 제3행, 제7행, 제11행, 제17행에 출현한다. 1행의 유사 선율 바로 앞에 위치하는 5박의 유사 선율은 어은보에서 2 종류가 있었으나 후대로 오면서 점차 하나로 통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19세기 후반에 이르러서 영산회상의 1행의 유사 선율도 하나로 통합되는 과정을 보이며 종지 선율 역할을 하기 시작한다. 20세기 초반에 이르러서 5박의 유사 선율이 1행의 유사선율과 통합되어 정형화한 형태로 출현한다. 이 정형화한 형태의 유사 선율은 현행 영산회상 중 <상령산>까지 전하여진다. 어은보 영산회상 제1행과 제2행 제5박까지의 선율은 배탁임종에서 배황종으로 상행하는 선율이 연속해서 등장한다. 이 선율은 관악기에서 음을 밀어 올리는 요성(搖聲)과 비슷하다. 『어은보』 영산회상 제15행과 제16행 제5박까지의 선율은 어은보 영산회상 제1행과 제2행 제5박까지의 선율의 변주이다. 유예지 영산회상 제15행과 제16행 제5박까지의 선율은 기존의 상행선율과 더부어 또 하나의 상행하는 선율이 추가되어 나타난다. 유예지 영산회상 제15행과 제16행 제5박까지의 선율이 조금씩 변화를 거쳐서 현행 영산회상 중 <상령산> 제15행과 제16행 제5박까지의 선율이 되었다. 따라서 현행 영산회상 중 <상령산> 제4장 후3행은 <상령산>의 초장을 4도 위로 변주한 것이 아니라 어은보 영산회상의 제15행, 제16행, 제17행의 선율이 유예지 영산회상에서 변주되고, 그것이 현행 영산회상까지 이른 것이다. The Sanglyeongsan in the current Yeongsanhoesang consists of 4 chapters, in which each chapter has the ending melodies with 15-beats. The ending melodies appeared in each chapter of Sanglyeongsan have been originated from Eoeunbo Yeongsanhoesang without a distinction between chapters. Even though some or less changes, the similar melodies in the 1st line of Yeongsanhoesang written in Eoeunbo, Yuyeji, Dongdaegeumbo, and Samjukgeumbo -which were published from the late eighteenth century until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have been appeared in the 3rd, 7th, 11th, and 17th line. There were two kinds of the similar melodies in the 5th beat located in front of the similar melodies in the 1st line, but they were integrated to one kind then came as.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he similar melodies in the 1st line of Yeongsanhoesang were integrated to one kind and played role as the ending melodi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 similar melodies in the 5th beat were integrated to the similar melodies in the 1st line and appeared in a fixed form. The similar melodies in the fixed form have been handed down to the Sanglyeongsan in the current Yeongsanhoesang. The melodies which go up from B♭ to E♭ have been appeared in the melodies from the 1st line to the 5th beat of the 2nd line in Eoeunbo Yeongsanhoesang. The melodies are similar to Yoseong which push up a tone in wind instruments. The melodies from the 15th line to the 5th beat of the 16th line are the variation of the melodies from the 1st line to the 5th beat of the 2nd line in Eoeunbo Yeongsanhoesang. In addition to the existing going-up melodies, the another going-up melodies have been appeared in the melodies from the 15th line to the 5th beat of the 16th line in Eoeunbo Yeongsanhoesang. With having been gradually changed, the melodies from the 15th line to the 5th beat of the 16th line in Eoeunbo Yeongsanhoesang have become the melodies from the 15th line to the 5th beat of the 16th line in Sanglyeongsan in the current Yeongsanhoesang. Therefore, the melodies of the last three lines in the 4th chapter of Sanglyeongsan in the current Yeongsanhoesang have not been variated up to four degree from the melodies of 1st chapter in Sanglyeongsan. Rather, the melodies of the 15th, 16th, and 17th line of Eoeunbo Yeongsanhoesang have been variated in Yuyeji Yeongsanhoesang and handed down to the current Yeongsanhoesang.

      • KCI등재후보

        『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과 『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임병옥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5 No.-

        Yeongsanhoesang and Yeongsanhoesanggaptan are appeared in Eoeunbo. 'Gaptan' in Yeongsanhoesanggaptan is 'Gopnori'. There has been an opinion that 'Gap' and 'Tan' correspond to 'Gop' and 'Nori' respectively. 'Gop' is the abbreviation of 'Gopjeol' and 'Tan' or 'Nori' means a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refore, 'Gopnori' means a 'playing by double high tone'. 'Playing by double high tone' has the similar meaning to playing Soeneun Garak among Piri melodies in the current Yeomillak and seems to play higher notes than the original melodies. Therefore, Yeongsanhoesanggaptan means a 'playing Yeongsanhoesang by raising to higher note'.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is a 'playing Yeongsanhoesanghwanip in Hangeumsinbo by raising to higher tone'. At that time when Hangeumsinbo was published, Yeongsanhoesang was played and Bonhwanip was played successively, then Yeongsanhoesanghwanip and Yeongsanhoesangjeji were played continuously. Because it is boring to play the tunes of the same family performed with Geomungo 4Gwae repeatedly, the playing Yeongsanhoesanghwanip which is the third musical piece, by raising to 7Gwae is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Yeongsanhoesanggaptan in Eoeunbo derived from Yeongsanhoesanghwanip in Hangeumsinbo has the structure of both the current Sangnyeongsan and the current Jungnyeongsan. 『어은보』에는 영산회상과 영산회상갑탄이 나타난다. 영산회상갑탄에서 ‘갑탄’은 ‘곱노리’이다. 갑탄에서 ‘갑’은 ‘곱’이고 탄은 ‘노리’라는 견해가 있다. ‘곱’은 ‘곱절’의 준말이고 ‘탄’ 또는 ‘노리’는 ‘연주하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곱노리’는 곱절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곱절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은 현행 여민락의 피리선율 중에서 쇠는 가락을 연주하는 것과 비슷한 의미이며, 원래의 선율보다 높은 음으로 연주하는 것을 뜻하는 것 같다. 따라서 영산회상갑탄은 영산회상을 높은 음으로 올려서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을 곱절로 올려서 연주한 것이다. 『한금신보』가 편찬된 시기에는 영산회상을 연주하고, 이어서 본환입을 연주한 후에 계속하여 영산회상환입과 영산회상제지를 연주하였다. 거문고 4괘로 연주하는 동일한 계통의 악곡을 계속하여 반복 연주하는 것이 지루하기 때문에 세 번째 반복하는 악곡인 영산회상환입을 7괘로 올려서 연주한 것이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이다.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모두 14소절로 구성되어 있다. 영산회상갑탄의 14소절 중에서 제3소절은 제7소절과 동일하다. 또한 영산회상갑탄의 제11소절과 제14소절이 동일하다. 각각의 동일한 선율이 종지 선율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여 영산회상갑탄을 4장으로 나누면 영산회상갑탄을 현행 상령산의 분장 형태와 같은 초장 3소절, 제2장 4소절, 제3장 4소절, 제4장 3소절로 나눌 수 있다. 영산회상갑탄의 동일한 선율인 제11소절과 제14소절과 동일한 선율이 제4소절과 제8소절에서도 나타난다. 각각의 동일한 선율이 종지 선율 역할을 한다면 영산회상갑탄을 현행 중령산의 분장 형태와 같은 초장 4소절, 제2장 4소절, 제3장 4소절, 제4장 3소절로 구분할 수도 있다. 『한금신보』영산회상환입에서 파생된 『어은보』영산회상갑탄은 총 14소절로 구성되어 있고, 현행 상령산의 구조와 현행 중령산의 구조를 동시에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