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 교과서 삽화 이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안구 운동의 차이

        신동훈,최현동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2

        1.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 삽화의 관심 영역별 진입시간을 토대로 시선 흐름을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진입 시간은 관심 영역에 처음으로 응시가 일어난 시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SMI, 2011b). 진입 시간을 기준으로 시선 흐름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각 삽화의 관심 영역을 모두 응시하였으나, 학생 S2와 S3의 경우에는 삽화의 제목을 응시하지 않았고, S3은 화살표에 대해 응시한 경우가 나타나지 않았다. T1은 그림→제목→언어→화살표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T2는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T3은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다. S1은 그림→화살표→언어→제목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S2는 그림→화살표→언어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S3은 그림→언어 순서로 응시하였다. <표 4>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교사들은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 학생들도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나, 다음으로 화살표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화살표를 응시하지 않은 S3 제외). 삽화의 관심 영역 중 제목과 언어를 언어적 정보로, 그림과 화살표를 시각적 정보로 간주할 경우,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 모두에 대하여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가 언어적 정보보다 진입 시간과 시선의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arasuraman(2000)의 인간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면상 좌우에 따른 탐색에선 텍스트일 경우 좌측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되며, 화면상 높이에 따른 탐색에서 텍스트일 경우 화면의 위쪽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삽화의 경우, 시각적 정보(그림과 화살표)와 언어적 정보(제목과 언어)가 혼재되어 있으나, Parasuraman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보여준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삽화의 가운데에 나타난 그림 영역을 먼저 탐색하였고, 이후 우측의 언어와 화살표, 그리고 하단의 제목 영역이 탐색되는 양상이었다. 인간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 행위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원인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진다(김규정 등, 2011). 즉, 주위 자극에 의해 시선 주의가 유발되는 탐사적 탐색과 지각자 본인에 의해 유발되는 목적지향적 탐색이다. 탐사적 탐색은 주의를 유발시키는 자극들에 영향을 받는다. 크기, 색, 위치, 특이함, 움직임 등의 자극들을 에로 들 수 있다. 반면에 목적지향적 탐색은 인지 구성 요소가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인지 구성 요소는 신념이나 지식, 동기, 기대, 관여, 목적 등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김지호 등, 2006). 이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영역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을 살펴볼 때, T1만이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하였으며,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탐사적 탐색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T1은 삽화의 제목을 먼저 찾는 시선 흐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최현동과 신동훈(2012)의 표에 대한 안구 운동 추적 연구에 따르면, 제목은 전체 내용에 대한 단서를 찾는 중요한 인지작용으로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한다는 근거가 된다. 그들은 연구에서 목적 지향적 탐색은 효율적인 검색과 인지적 부담을 적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T1을 제외한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제목에 대한 진입 시간이 다른 요소보다 가장 늦었으며, S2와 S3은 제목에 대한 시선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하더라도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모두 살피는 시선 흐름이 나타난 반면에,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에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이 삽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차이를 목적지향적 탐색과 탐사적 탐색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다만 삽화 이해 과정에는 인지 발달과 같은 연속적인 탐색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는 있을 것이다. 즉, 인지적 효율성이 뛰어난 목적 지향적 교사 T1을 상위에 두고, 탐사적 탐색인 교사 T2, T3을 다음에 두고, 학생 S1, S2, S3의 순서적 발달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한 교사들보다 일부 항목에 관심을 두며, 삽화에 기록된 특이함 등을 강조하는 눈에 띄는 요소들을 찾아가는 시선 이동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 사이에서도 일부 영역에서 시선 이동의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2.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 <표 5>에는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이 나타나 있다. <표 5>를 살펴보면,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그림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과 응시점의 수가 다른 영역의 응시 시간이나 응시점의 수보다 월등하게 많았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을 많이 응시하였다. 그러나 제목과 화살표를 응시하는 측면에서는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사들과 학생 S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shown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book illustration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Eye-tracker was used in order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center of textbook illustrations at first, and they were mostly interested in picture area. But there were different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ye path when interacting with picture area and language area. Students processed cognitive information with low-level visual features and focused on picture area. Howev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information process that various areas interacted actively. This implies that textbook illustrations should emphasize picture area that students easily read and analyze.

      • KCI등재

        제비나비 과제에 대한 생물 교사들의 유사 경험 표상과 과학적 가설 생성과의 관계

        신동훈 韓國生物敎育學會 2008 생물교육 Vol.36 No.3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presentation of similar experience and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hypothesis of biology teachers on the swallowtail butterfly task. For this purpose, 38 biology teachers were sampled, and their teaching experience was 7.8 years on the average. 'The task of butterfly' including ultimate causes was selected as a scientific hypothesis formulation task. The biology teachers represented 2.9 similar experiences on the average, and classified them into five related categories. We developed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similar experience representation quotient by defining similar experiences' degree of likeness. Calculated by the equation, the biology teachers' similar experience quotient (SEQ) was 10.16±9.50 on the average. A total of 79 scientific hypotheses and 2.1 per teacher were generated. The mean hypothesis generation quotient (HQ) was 23.53±16.51.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SEQ and HQ was 0.76 (p<0.0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suggest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quotients. That is, it means that the representation of similar experience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hypothesis generation proce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n hypothesis generation learning, it is a very effective teaching learning strategy to present similar experiences in order of relevancy.

      • KCI등재

        복합 파라볼라형(CPC)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초기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제거 속도에 관한 연구

        신동훈,나승민,채금화,김지형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는데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적정 pH 조건을 찾기 위해 각각 pH 3, 6.5,10 조건에서 제거속도를 알아보았다.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각각의 pH 조건(3, 6.5, 10)에서 4시간 동안의 DCAN 제거율을 알아본 결과 각각 43.8, 91.1, 98.2%로 pH 10 조건에서 가장 높은 제거속도를 보였다. 그 원인은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자체 분해와 오존의 분해 메커니즘의 변화 때문이었다. pH 6.5 조건에서도 91.1%로 높은 제거율을 보이는데 그 원인은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 촉매 흡착량 증가로 촉매표면에서의 전도대의 전자와 오존의 반응으로 인해 흡착된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이 분해되기 때문이다. pH 3 조건에서는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 촉매 흡착이나 오존의 반응 메커니즘 변화로 인한 제거속도향상 효과가 없기 때문에 제거속도가 가장 저조한 현상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reaction rate of dichloroacetonitrile(DCAN) in each pH(3, 6.5, 10) using heterogeneous photocatalytic ozonation in order to determine optimal pH in photocatalytic ozonation (solar/TiO2/O3)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DCAN was removed at pH of 3, 6.5, and 10 within 4h, and that the corresponding removal rates were 43.8, 91.1, 98.2%,respectively, in the solar/TiO2/O3 process. The highest reaction rate was observed at pH 10.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 self-decomposition of DCAN and the change in the mechanism of the ozone process. Besides, pH 6.5 also achieved a high degradation rate(91.1%) which is due to DCAN adsorbed onto the catalyst surface and reacted with radicals(·OH)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ozone and electron(e-) released from the conduction band of catalyst. The lowest degradation rate was observed at pH 3 due to absence of adsorption and no change in ozone reaction mechanisms.

      • KCI등재

        Estimating Sea Surface Temperature Change after Tide Embankment Construction using Landsat Data

        신동훈,이규석,Shin, Dong-Hoon,Lee, Kyoo-Seock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 200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9 No.4

        본 연구는 Landsat Thematic Mapper (TM) 영상의 열적외선 (Thermal Infrared: TIR) 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시화호와 그 주변지역의 해수면 온도 (SST: sea surface temperature)를 검출하고, 시화방조제 공사 후의 토지피복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해수면 온도의 측정은 해양체계 뿐만 아니라 해양과 대기 사이의 열적인 경계범위 연구에 있어 중요하다. 1970년대 이후,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과 Landsat TM (Thematic Mapper)과 같은 인공위성 영상의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해수면 온도의 추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AVHRR 영상은 우리나라의 서해안 지역과 같은 매우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는 지역에서는 조악한 공간 해상도로 인해 해수표면온도 추출에 한계가 있다. Landsat TM 위성영상은 본 연구지역과 같이 복잡하고 좁은 해안지역의 해수면 온도 추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o detect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land cover change after tide embankment construction using Landsat Thematic Mapper (TM) Thermal Infrared (TIR) band data at Shihwa Lake and surrounding area. SST measurement is important for studies of both the structure of the ocean and as the thermal boundary between the ocean and the atmosphere. Since 1970s, the derivation of SST by satellite remote sensing (RS) has been applied to earth surface using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and Landsat TM. However, AVHRR has restriction in deriving SST in the area whose shoreline is complicated like western coast in South Korea because of coarse spatial resolution. The TIR band of TM images can be used to detect SST change whose shoreline is complicated and narrow like the study site. Thus, multi-temporal TM images were used for SST change detection in this study.

      • KCI등재

        일상 속 이주민 목격과 대중매체의 이주민 재현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신동훈,양경은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社會科學硏究 Vol.46 No.1

        With the advent of multicutural society and the increasing immigrant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continues to grow. Intergroup contact, an important precondition regarding this matter is of great interest in the academic field. By using <2015 Survey of Multicultral Acceptance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rect contact and indirect contact via media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non-immigrant Koreans. Study results revealed that frequent superficial contact had a nega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ereas the effect of indirect contact varied depending on the kind of image portrayed on media. Immigrants portrayed as good civilian or victims had a positive effect. However, frequent indirect contact of immigrants with threatening im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Direct contact had a reinforcing effect on such media effects. Such results suggest a strong need to approach contact from various angles. Moreover, there is a strong need for the media to cover contents including multiculturalism as well as diversity issues. 이주민과 비이주민 간 접촉은 다문화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15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일상 속에서 이주민을 목격한 경험과 미디어를 통해 이주민과 간접적으로 접촉한 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이주민 목격빈도가 높은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대중매체를 통한 접촉은 이주민의 모습에 따라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선량한 모습 또는 피해자의 처지에 놓인 이주민을 자주 접하는 경우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위협적인 이주민의 모습을 자주 접하는 경우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이주민 목격은 대중매체 속 이주민 유형의 효과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과 접촉 상황을 세분화하여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동시에, 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들이 일정한 틀에 맞추어 이주민을 묘사하기보다 문화적 다양성을 부각하는 콘텐츠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Analysis of the 2020 Haenam, Korea, earthquake sequence

        신동훈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21 Geosciences Journal Vol.25 No.1

        From 26 April to 8 May 2020, an earthquake sequence occurred in the Haenam region in southwestern Korea. The main shock with a moment magnitude of 3.2 occurred on 3 May. It was preceded by 38 foreshocks that occurred over a week, with magnitudes ranging from 0.8 to 2.7, and was followed for another week by 35 aftershocks with magnitudes ranging from 0.5 to 2.4. The P-wave first-motion indicates that the focal mechanism of the mainshock was a strike of 193° or 102°, a dip of 83° or 78°, and a rake of –168° or –7°. The stress orientation of the focal mechanism is consistent with the regional tectonic stress field. Spectral analysis of the mainshock indicates that it occurred on a fault with a radius of 216 ± 4.58 m and a stress drop of 31.4 ± 2.35 bar. The hypocenters of the sequence, determined using the double-difference method, were shown to cluster along a trend striking 100° and dipping 65° to the south at a depth of 20.1 ± 0.05 km, which indicates that the earthquakes in the sequence occurred within a rupture radius of the mainshock. Detailed seismic analysis of the sequence indicates that closely located subfaults or small weak zones were related to the mainsh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