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성 자궁출혈의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

        박지원(Ji Won Park),홍서유(Seo You Hong),나중열(Joong Yol N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기능성 자궁출혈이란 자궁의 해부학적 병변없이 자궁내막으로부터의 비정상출혈로 부인과 질환중 10-15%의 빈도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있는 질환이지만, 진단이 용이하지 않고 치료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므로 임상적 양상과 병리조직학적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1988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10년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안암병원 산부인과에 비정상적 자궁출혈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자궁내막 소파술을 이용한 자궁내막 생검결과 기능성 자궁출혈로 진단된 599례를 대상으로 연령분포, 임신 및 분만경력, 출혈양상, 자궁내막의 조직변화와 자궁내막 소파시기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연령분포는 40대가 245례(40.9%)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44.1세였으며, 출혈양상은 월경간 출혈이 189례(31.6%), 월경과다가 150례(25.0%), 폐경후 출혈이 135례 (22.5%)순이었다.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소견은 증식기 내막이 327례(54.6%)로 가장 많았으며 내막증식증이 139례(23.2%), 분비기 내막이 74례(12.4%)의 순이었다. 출혈양상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의 분포는 희발월경을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증식기 내막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내막증식증, 분비기 내막의 순으로 전체 조직학적 소견의 분포와 동일하여 출혈양상에 따른 조직학적 소견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다른 연구들에 비해 조직학적 소견상 자궁내막 증식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40대 이상의 연령군에서 높은 빈도를 보여 이 연령 이상의 환자에서 비정상 자궁출혈이 관찰되는 경우 반드시 자궁내막생검을 통하여 조직학적 소견을 확인하여야 하며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진단된 경우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가 능성이 있으므로 향후 추적관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Dysfunctional uterine bleeding(DUB) is defined as abnormal bleeding from the uterine endometrium unrelated to anatomic lesions of the uterus, and its incidence is 10-15% among gynecologic diseases. We conducted this study for understanding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aspecets and pathological findings of DUB.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review of 599 women with DUB who underwent endometrial biopsy with special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pathologic findings and presenting symtoms or complaints from Jan. 1988 to Dec. 1997. Results: Age distribution of DUB was mainly 5th decade, mean age was 44.1years, among various bleeding patterns, intermenstrual bleeding was the most common pattern(31.6%) and the next was menorrhagia(25.0%). Histologic findings of endometrium were proliferative phase, 327 cases(54.6%), hyperplasia, 139 cases(23.2%), secretory phase, 74 cases(12.4%) in order of frequenc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histologic findings among various bleeding patterns. Conclusion: Compared to other previoius studies, our study showed more incidence of endometrial hyperplasia, especially at age group of 40 or more. So patients aged more than this age with abnormal uterine bleeding must undergo emdometrial biopsy for pathologic diagnosis. Patients who are diagnosed endometrial hyperplasia must be carefully followed up because there are possibilities of progression to endometrial carcinom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쥐 배아에서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가 착상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효정 ( Hyo Jung Kim ),김혜민 ( Hye Min Kim ),김재령 ( Jae Lyung Kim ),신정환 ( Jung Hwan Shin ),홍서유 ( Seo You Hong ),박은주 ( Eun Joo Park ),박원일 ( Won Il Park ),이진용 ( Jin Yong Lee ),차병헌 ( Byung Hun Cha ),문혜성 ( Hy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배경 및 목적: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는 정상적으로 여성의 생식기관에서 분비되며 체외수정 시술시 배양액에 첨가하면 임신률을 향상시킨다는 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가 생쥐의 배아에서 착상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임신률을 증가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개의 생쥐 배아를 10ng/ml의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로 처리한 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포배기 배아의 전체 유전자를 microarray 방법으로 분석하여 두 군간에 차이가 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중 착상과정에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유전자를 선별하여 real-time PCR 방법으로 mRNA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Microarray 결과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에 의해 발현이 2배 이상 증가된 유전자는 64개가 확인되었고 2배 이상 감소된 유전자는 35개가 확인되었다. 증가된 유전자 중 MMP2, FABP3, Dppa5, 감소한 유전자 중 TAS1, 2배 이상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integrin의 subunit 4가지와 focal adhesion kinase (FAK)는 착상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여 real time RT-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MMP2와 FABP3 두 가지 유전자가 real time RT-PCR에서도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ABP3: 1.687배, MMP2: 1.580배). 그 이외의 유전자들을 대조군에 비해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나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과립구 대식세포 증식인자는 생쥐의 배아에서 MMP2와 FABP3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MMP2는 영양배엽세포의 침윤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착상률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측된다. FABP3의 발현을 증가 역시 착상능력의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FABP3와 착상과의 관련성에 대하여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GM-CSF is produced in female reproductive tract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implantation. Body of evidence suggests that GM-CSF could improve pregnancy rate in many species of mammals when it was added in culture medi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how GM-CSF affects the expression of implantation-related genes in mouse embryo. Methods: Two hundred mouse embryos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GM-CSF treated groups. The embryos were treated with or without 10ng/ml of GM-CSF for 72 hours. Total RNA was isolated and compared with oligo microarray. The implantation-related genes influenced by GM-CSF were repeatedly analyzed by real-time PCR. Results: After oligo microarray, 64 genes were increased and 35 genes were decreased by GM-CSF. Among those genes, MMP2, FABP3, Dppa5 and TAS1 were selected for real-time PCR analysis. Four integrins and FAK were also selected. We confirmed the increase of MMP2 and FABP3 by GM-CSF with real-time RT-PCR (1.687 and 1.580 fold, respectively). Other genes were found to be minimally increased. Conclusion: GM-CSF induces the increased expression of MMP2 mRNA in mouse embryo, and then increases the invasiveness of the trophoblast. The role of FABP3 in the process of implantation remained to be elucidated.

      • KCI등재

        임신 중기 triple marker screenig test의 다운 증후군의 예측성에 대한 고찰

        한경철(Kyoung Chul Han),김대운(Dae Woon Kim),정수미(Su Mi Jeong),양원규(Won Kyu Yang),박철범(Chul Beom Park),신봉규(Bong Kyu Shin),신정환(Jeong Hwan Shin),홍서유(Seo You H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본 연구에서는 임신 중기에 행해지는 산전 검진인 triple marker screening test의 다운 증후군 예측성에 대한 신뢰도에 대해 고찰을 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첫째, 선별 검사상 양성인 산모의 경우 향후 그 임신의 결과를 분석하였고, 둘째, 분만된 신생아에서 염색체 이상을 보인 경우 그 신생아의 임신시에 시행한 선별검사와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검사를 시행한 산모 3700명중 67명(1.81%)이 검사 양성, 67명중 1명이 실제로 다운 증후군 이었으며, 검사 음성은 3633명(98.18%)이었고 이중에서 4 명이 염색체 이상으로 분만되었으며, 4명중 다운 증후군은 2명이었다. 분석 결과 본원에서 시행한 다중 혈청 지표 선별 검사의 다운 증후군에 대한 민감도는 33.3% 특이도는 98.2%로 문헌에서 보고 되고 있는 결과와 비교 해볼 때 상당히 낮은 민감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원인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Objective: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riple marker screening test in midtrimester pregnancy for fetal Down syndrome. Methods: From October 1, 1996 to May 31, 1998 at Nowon Eulji Hospital, 3700 Pregnant women underwent serum tiple marker screening for Down syndrome during 15-20weeks of gestational age. The results of serum triple marker screenig tests for Down syndrome and the outcomes of pregnancies were retrospectively assesed. Results: Sixty seven of 3700 cases(1.81%) were positive in screening test, and 3633(98.18%) cases were negative. Among 67 cases of positive screening test , 1 case(1.49%) was diagnosed as Down syndrome. Among 3633 cases of negative screening test, 4 cases(0.1%) were diagnosed as chromosomal abnormalies postnatally. Two of these 4 cases of chromosomal abnormalies were Down syndrome. Conclusion: With this results, sensitivity of triple marker screeing test for Down syndrome is very low as 33.3%. In order to increase the sensitivity, some compensatory adjustment is required in triple marker screening test.

      • KCI등재

        조산 예측인자로서 자궁경관 분비물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결합 단백질 - 1

        신봉규(Bong Kwy Shine),김상준(Sang Jun Kim),박원일(Won Il Park),김주오(Joo Oh Kim),김대운(Dae Woon Kim),홍서유(Seo You Hong),윤혜선(Hye Sun Y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4 No.12

        N/A Objective : The phosphorylated isoform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binding protein-1 (IGFBP-1) were produced by the decidu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the presence of phosphorylated IGFBP-1 (phIGFBP-1) in cervical secretions of pregnant women with preterm uterine contractions can predict an increased risk of preterm delivery and infectious complications. Method : The prospective study of 32 pregnant women who admitted under the diagnosis of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 at gestational age of 24+0 to 36+0 weeks. Phsphorylated IGFBP-1 was qualitatively assayed using immunochromatography in cervical swab samples at the time of admission. The interval between the test and delivery, gestational age, duration of tocolysis, birth weight, CRP, ESR and the presence of neonatal infection were compar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groups. Results : There was no differnce in age, obstetric histories and gestational age and Bishop score at the time of admission between two groups. Eight pregnacies out of 13 positive group and two pregnacies out of 19 negative group resulted in preterm birth.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phIGFBP-1 test to predict preterm birth were 80.0% and 77.3%, respectively. The mean getational age and interval between the test and delivery were 38.36 weeks and 45.0 days and 35.78 weeks and 35.46 days in negative and positive group respectively. The birth weight of the babi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egative group. The duration of tocolysis was longer in positive group with marginal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RP, ESR and WBC count were not different. One postpartum sepsis, one neonatal death and one necrotizing enterocolitis were complicated in positive group. Conclusion : The presence of phIGFBP-1 is an usful marker to predict preterm birth in case of regular uterine contraction with intact fetal membranes

      • KCI등재

        과립구대식세포 증식인자가 사람 영양막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헌열 ( Hun Yul Lee ),김상수 ( Sang Soo Kim ),안창숙 ( Chang Suk Ahn ),박영주 ( Young Joo Park ),전진현 ( Jin Hyun Jun ),송행석 ( Haeng Suk Song ),문혜성 ( Hye Sung Moon ),박은주 ( Eun Joo Park ),홍서유 ( Seo You Hong ),박원일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목적: 포유동물의 생식과정에서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가 배아의 침윤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은 알려졌으나 착상 이후와 태반형성에서의 작용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GM-CSF가 임신초기 사람의 영양막세포에서도 침윤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임신초기 소파술을 통해 얻은 사람의 영양막세포를 배양한 후 GM-CSF 처리군과 대조군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microarray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차이가 있는 유전자 중 착상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real-time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 Microarray 결과 GM-CSF 처리군에서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는 468개, 2배 이상 감소한 유전자는 40개였다. 이 유전자를 생물학적 pathway에 따라 분석한 결과 actin cytoskeleton 및 focal adhesion에 관여된 유전자가 많았다. Actin cytoskeleton 및 focal adhesion에 관여된 유전자 중 annexin A2, thymosin-like 3, vimentin, myogenin, ACK1, tensin1의 발현을 real-time RT-PCR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GM-CSF에 의해 vimentin과 ACK1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tensin1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론: GM-SF는 사람의 초기 임신 영양막세포에서 vimentin과 ACK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tensin1을 감소시킴으로써 focal adhesion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facilitates mammalian embryonic development and implantation. However, its biological function after implantation is not elucid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by GM-CSF in human trophoblast obtained in early pregnancy. Methods: Human trophoblast obtained in early pregnancy was cultured with or without GM-CSF. The difference of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with microarray and selected genes were reevaluated with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Microarra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s of 468 genes were increased while those of 40 genes were decreased by GM-CSF. These gen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known biologic pathways. The regulation of actin cytoskeleton and focal adhesion pathways were mostly influenced by GM-CSF. Annexin A2, thymosin-like 3, vimentin, myogenin, ACK1, and tensin1 genes were selected for real-time RT-PCR.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of vimentin and ACK1, and decreased expressions of tensin1 were confirmed by real-time RT-PCR. Conclusion: GM-CSF activates focal adhesion pathway in human trophoblast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vimentin and ACK1, and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tensin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