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람 난포에서 angiotensin 2에 의한 steroidogenic pathway의 조절

        이헌열 ( Hun Yul Lee ),고덕성 ( Duck Sung Ko ),김효정 ( Hyo Jung Kim ),오선옥 ( Sun Ok Oh ),박원일 ( Won Il Park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이진용 ( Jin Yong Lee ),차병헌 ( Byong Hun Cha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매우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간접적인 방법 때문에 angiotensin II의 스테로이드 합성과정에 있어서의 역할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사람의 정상 난소 조직에서 난소의 renin angiotensin system이 안드로겐을 증가시키고 프로제스테론을 감소시킨다는 가설 하에 angiotensin II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사람의 정상 난소 조직에 angiotensin II와 그 길항체인 saralasin을 처리한 후 progesterone, testosterone, DHEA 등의 sex steroid와 HSD3β2, CYP 17 등의 효소를 측정하여 angiotensin II와 saralasin의 작용을 조사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 검정은 ANOVA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angiotensin II는 androgen의 합성을 증가시켰으나 progesterone에는 영향이 없었다. HSD 3β2 mRNA의 발현은 angiotensin II와 saralasin의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CYP17 mRNA의 발현은 angiotensin II를 처리한 군에서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사람의 난소에서 angiotensin II는 CYP 17의 활성화에 의하여 androgen 합성을 증가시키며 progesterone의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The exact mechanism of angiotensin II to steroidogenesis is still speculative in spite of many researches especially in human and these were performed indirectly with serum or follicular fluid. Under the hypothesis that ovarian RAS increases androgen, decreases progesterone synthesis in normal human ovary, we investigated the exact action of angiotnesin II on human ovary. Methods: After appliance of angiotensin II and saralasin to the normal human ovarian follicles, we measured sex steroids like progesterone, testosterone, DHEA and enzymes like HSD3β2, CYP 17 to see the action of angiotensin II and its antagonist, saralasi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NOVA test. Results: Angiotensin II increased androgen synthesis but did not affect progesterone synthesis. There were no difference of HSD 3β2 mRNA expression in angiotensin II and saralasin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CYP17 mRNA was increased by angiotensin II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Conclusion: Angiotensin II could increase androgen production probably via overexpression of CYP17, but had no efffect on progesterone production.

      • KCI등재

        과립구대식세포 증식인자가 사람 영양막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이헌열 ( Hun Yul Lee ),김상수 ( Sang Soo Kim ),안창숙 ( Chang Suk Ahn ),박영주 ( Young Joo Park ),전진현 ( Jin Hyun Jun ),송행석 ( Haeng Suk Song ),문혜성 ( Hye Sung Moon ),박은주 ( Eun Joo Park ),홍서유 ( Seo You Hong ),박원일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10

        목적: 포유동물의 생식과정에서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가 배아의 침윤성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은 알려졌으나 착상 이후와 태반형성에서의 작용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GM-CSF가 임신초기 사람의 영양막세포에서도 침윤성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임신초기 소파술을 통해 얻은 사람의 영양막세포를 배양한 후 GM-CSF 처리군과 대조군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microarray를 통하여 비교하였고 차이가 있는 유전자 중 착상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real-time RT-PCR로 확인하였다. 결과: Microarray 결과 GM-CSF 처리군에서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는 468개, 2배 이상 감소한 유전자는 40개였다. 이 유전자를 생물학적 pathway에 따라 분석한 결과 actin cytoskeleton 및 focal adhesion에 관여된 유전자가 많았다. Actin cytoskeleton 및 focal adhesion에 관여된 유전자 중 annexin A2, thymosin-like 3, vimentin, myogenin, ACK1, tensin1의 발현을 real-time RT-PCR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GM-CSF에 의해 vimentin과 ACK1의 발현은 증가되었고 tensin1의 발현은 감소되었다. 결론: GM-SF는 사람의 초기 임신 영양막세포에서 vimentin과 ACK1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tensin1을 감소시킴으로써 focal adhesion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facilitates mammalian embryonic development and implantation. However, its biological function after implantation is not elucid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hanges of gene expression by GM-CSF in human trophoblast obtained in early pregnancy. Methods: Human trophoblast obtained in early pregnancy was cultured with or without GM-CSF. The difference of gene expression was evaluated with microarray and selected genes were reevaluated with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Microarray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s of 468 genes were increased while those of 40 genes were decreased by GM-CSF. These gene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known biologic pathways. The regulation of actin cytoskeleton and focal adhesion pathways were mostly influenced by GM-CSF. Annexin A2, thymosin-like 3, vimentin, myogenin, ACK1, and tensin1 genes were selected for real-time RT-PCR.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of vimentin and ACK1, and decreased expressions of tensin1 were confirmed by real-time RT-PCR. Conclusion: GM-CSF activates focal adhesion pathway in human trophoblast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vimentin and ACK1, and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tensin1.

      • KCI등재

        임신 중 당뇨의 조절은 어느 과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절한가?: 내과와 산부인과에서의 비교

        서용수 ( Yong Soo Seo ),신정환 ( Jung Hwan Shin ),이헌열 ( Hun Yul Lee ),박원일 ( Won Il Park ),김재령 ( Jae Ryung Kim ),김혜민 ( Hae Min Kim ),최은주 ( Eun Joo Choi ),김대운 ( Dae Woon Kim ),홍서유 ( Seo Yoo Hong ),박은주 ( Eun J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7

        목적: 당뇨가 합병된 임신의 결과를 당뇨조절과에 따라 비교해 보고 임신 중 당뇨조절에 있어서 산부인과 의사와 내분비내과 의사의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임신 중 당뇨병이 합병된 총 7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을지병원에서 임신 기간 중 산부인과에서 당뇨 조절을 받은 18명을 I군으로, 내분비 내과에서 당뇨 조절을 받은 54명을 II군으로 정의하여 임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태임신, 염색체 이상, 당뇨 이외에 다른 내과적 합병증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나이, 분만력, 신체비만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분만 주수 등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에서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100 gm 경구 당부하검사 결과, HbA1C 수치에서도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신생아 평균 체중은 I군 (2.89±0.21 kg)이 II군 (3.38±0.08 kg, P=0.04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1분 아프가 점수도 ANCOVA 분석을 통한 신생아 체중을 보정 후에도 I군에서 II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7.11±0.51 vs 8.11±0.19, P=0.028). 하지만, 5분 아프가 점수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출생 체중이 3.8 kg 이상의 신생아 비율도 II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소견을 보였다 [1/17 (5.6%) vs 37/54 (68.5%), P=0.030]. 신생아 저혈당증의 비율도 I군이 11.1%로 II군의 37.0%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43). 당뇨에 의한 다른 신생아와 임신부의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내과적 관점에서, 임신 기간 중 당뇨가 합병된 임산부의 당뇨조절에서 산부인과에서의 조절도 부적절함이 없다. 또한 산부인과에서 혈당을 조절하는 경우 내과에서의 조절과 비교하여 더욱 경제적이고, 환자에게 번거로움이 적으며, 환자의 치료 동기와 순응도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compared obstetric outcomes of pregnancies complicated by diabetes according to the managing department and to consider role of obstetrician and endocrinologist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72 pregnant women managed for diabetes during March 2004 to December 2006 was performed. Eighteen women had been managed by obstetricians (Group I) while 54 women had been managed by endocrinologists of internal medicine (Group II) during their pregnancies at Eulji Hospital. None of these patients had multiple pregnancies, abnormal karyotype, or other medical disorders other than diabetes. Pregnancy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No difference was found with regard to the age, parity, BMI (body mass index), weight gain during the pregnancy, and the gestational weeks of delivery.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in the blood glucose levels after 100 gm OGTT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HbA1C levels in two groups. The neonatal birth weight of group I (2.89±0.21 k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II (3.38±0.08 kg, P=0.040). The 1 min APGAR score, which was corrected by weight through ANCOVA test,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I (7.11±0.51 vs 8.11±0.19, P=0.028).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5 min APGAR score. The incidence of birth weight over 3.8k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II [37/54 (68.5%) vs 1/17 (5.6%), P=0.030]. Neonatal hypoglycemia was also higher in group II (37.0% vs 11.1%, P=0.043). Other neonatal and matern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In medical point of view, obstetrician can effectively manage diabetes during pregnancy as good as internist. Besides, the management by obstetricians may be more economic, less annoying, and can induce more compliance and motivation of the patients.

      • KCI등재

        자궁적출술 방법에 따른 임상적 고찰

        김평식 ( Pyeong Sik Kim ),김상훈 ( Sang Hoon Kim ),이헌열 ( Hun Yul Lee ),유이화 ( E Hwa Yoo ),박철홍 ( Cheol Hong Park ),홍서유 ( Seo Yoo Hong ),신정환 ( Jung Hwan Shin ),이진용 ( Jin Yong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6

        목적 : 복식 전자궁적출술 (TAH), 질식 전자궁적출술 (TVH),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LAVH)를 비교 분석하여 적응증 및 안전성과 장단점을 비교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복식 전자궁적출술은 2003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147명, 질실 전자궁적출술과 복강경하질식 전자궁적출술은 2002년 1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각각 48명, 108명으로 본원에서 전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강경하 및 질식 전자궁적출술시에는 자궁탈출증은 제외함) 나이, 분만력, 내과적질환, 수술기왕력, 수술적응력, 술후 자궁의 무게, 자궁적출술과 함께 동반된 수술, 수술시간, 수술중 출혈량, 술후 합병증, 내원 기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세군에서 환자의 연령과 키, 몸무게 및 분만력에 있어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전의 수술 기왕력으로는 TAH군 63명 (42.9%), TVH군 10명 (20.8%), LAVH군 43명 (39.8%)로 TAH군과 LAVH군에서 높게 나타났고, 세군에서 모두 Tubal ligation이 가장 많았다. 수술 적응증으로는 자궁근종이 TAH군 75명 (51.0%), TVH군 22명 (45.8%), LAVH군 48명 (44.4%)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자궁 무게는 TAH군 374.31±250.26 gm, TVH군 22명 (45.8±), LAVH군 48명 (44.4±)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 자궁 무게는 TAH군 374.31±250.26 gm, TVH군 187.70±109.62 후, LAVH군 203.26±94.92 gm으로 TAH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술 평균 소요시간은 TAH군 89.61±25.24분, TVH군 73.39±21.08분, LAVH군 96.18±27.98분으로 TVH군에 비해 TAH군과 LAVH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술중 평균 실혈량은 TAH군 269.2 mL, TVH군 190.2 mL, LAVH 218.4 mL로 TAH군에서 두 군보다 유의있게 높았다. 술후 합병증은 세군 모두에서 출혈도 인한 수혈이 가장 많았으며, 평균 재원 기간을 보면 TAH군, 6.74일, TVH군 5.1일, LAVH군 5.67일로 TAH군에서 두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은 복식 전자궁적출술에 비해서 술후통증이나 합병증, 미용상 등 여러 면에 있어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은 수술기왕력와 골반내 염증, 자궁내막증에 의한 골반내 유착이 있는 경우 복강내를 직접 확인하면서 수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질식 전자궁적출술보다 유착에 의한 겨웅 장기손상을 줄 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술자가 실제 환자의 수술방법을 결정할 때는 복식 전자궁적출술보다는 장점이 많은 질식 전자궁적출술이나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선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most common operation in gynecology is hysterectomy. To compare the indications, patient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outcome, complication between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and vaginal total hysterectomy (TVH), laparoscopicall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LAVH). Method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147 patients of TAH (Group I) from Januart 2003 to September 2003, 48 patients of TVH (Group II), 108 patients of LAVH (Group III) at Eulji medical center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2002 to September 2003. We analyzed the result with patient characteristics, parity, medical disease, history of previous operation, indication of hysterectomy, uterine weight, concurrent surgical procedure, operation time, bleeding amount, complication and length of hospital stay. Uterine prolapse was exclud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s : Patient characteristics, parity, medical disease were no differences. Number of previous operation were 63 cases (42.9%) in TAh group, 10 cases (20.8%) in TVH group, 43 cases (39.8%) in LAVH group, and the most common of operation was tubal ligation in three gropups. Most common indication of hysterectomy was uterine leiomyoma. The mean uterine weight was 374.31±250.26 gm in TAH group, 187.70±109.62 gm in TVH group and 203.26±94.92 gm in LAVH group.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9.61±25.24 min in TAH group, 73.39±21.80 min in TVH group and 96.18±27.98 min in LAVH group.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observed 60 cases (40.8%) in TAH group, 8 case (16.7%) in TVH group, 19 cases (17.6%) in LAVH group. Mose common complication was bleeding and required transfusion (TAH 32 cases (21.8%), TVH 3 cases (6.3%), LAVH 10 cases (9.3%)). Conclusion : LAVH and TVH present superior result in terms of complication when compared with TAH, LAVH and TVH have advantage of lower morbidity, less pain, shorter hospital stay and convalescence. LAVH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vaginal approach is unfeasible, showing clear advantages over abdominal hysterect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