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독립적자기관과 진로낙관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과 지각된 외적 진로장벽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허경민,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external career barrier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career optimism. Participants included 313 junior and senior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Cultural Self-construal Scale, Career Futures Inventory,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cale, Career Barriers Inventory; data from 276 participants was analyze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a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career optimism was found. Thir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external career barri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was found.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perceived external career barriers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career optimism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독립적 자기관과 진로낙관성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율성이 매개하며, 이 경로를 지각된 외적 진로장벽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3,4학년 이상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13명을 대상으로 주체성-자율성-대상성 자기관 척도, 진로미래검사, 진로결정 자율성 척도, 진로장애검사 척도 등을 활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분석에는 276명의 학생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독립적 자기관, 지각된 외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낙관성 간의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진로결정 자율성이 독립적 자기관과 진로낙관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적 자기관과 진로결정 자율성의 관계를 지각된 외적 진로장벽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PSS Macro를 이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독립적 자기관과 진로낙관성의 관계를 진로결정 자율성이 매개하며, 이 경로를 지각된 외적 진로장벽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진로낙관성 발달을 위한 시사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개인정체화와 사회정체화가 진로정체감 성취수준을 매개로 진로불안에 미치는 영향

        허경민(Heo Kyung-min),이기학(Lee Ki-hak)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개인의 정체화와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 성취 수준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범주화의 두 가지 유형인 개인정체화 및 사회정체화, 진로정체감 성취와 진로불안 등의 관계를 살펴본 뒤 구조 모형을 설정하여 적합도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366명(남 186명, 여 180명)을 대상으로 개인정체화, 사회정체화, 진로정체감 성취, 그리고 진로불안을 측정하였고, SPSS 22.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정체화와 사회정체화가 진로정체감 성취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불안과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개인정체화와 사회정체화가 진로정체감 성취를 매개로 진로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때 진로정체감 성취는 개인정체화와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사회정체화와 진로불안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를 보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vocational identity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tegorization styles(i.e., social identification & personal identification) and career anxiety. A total of 366 university students(men=186, women=180) responded to the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personal identification, social identification,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anxiety scales. The data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sonal identification, social identification, vocational identity achievement and career anxiety have correlations.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vocational identity achie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ategorization styles and career anxie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vocational identity achievement shows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dentification and career anxiety, but shows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dentification and career anxiet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areer counseling practice.

      • 서울시 공공 전기자전 도입을 위한 Station 분석: Decision Tree 기법을 활용하여

        김상수,허경민,김진희 대한교통학회 202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8 No.-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유자전거 서비스인 따릉이 2015년 10월부터 시행하여 현재까지도 서울 시민의 통행을 책임지는 주요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까지 일반 자전거 서비스만 제공한 따릉이는 경사도가 심한 서울시의 특성과 시민의 편리하고 폭넓은 선택을 위해 전기를 이용한 e-따릉이 서비스를 추진 중에 있다. 2020년 출시 예정이었지만 안전모를 통해 코로나19 전염 위험성으로 인해 출시가 현재까지도 연기 중에 있다. 하지만 서울시가 적극 추진했던 서비스인 만큼 코로나19의 심각성이 완화되는 대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비슷한 면적을 가진 Chicago시에서 시행 중인 Divvy bike의 사례를 바탕으로 classic bike와 electric bike의 이용 비율에 Station의 어떠한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내고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Decision tree 의사결정모형을 통해 기존 서울시 공공자전거 station에 e-따릉이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성인도래기의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김지근,허경민,허다연,이기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도래기 청년들이 대학에서 직장으로의 이행과정에서 어떤 주관적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교 4학년 이상 재학생 및 휴학생 15명을 성별, 전공, 지역 등의 특성이 고루 포함될 수 있도록 이론적 표본추출을 실시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는 Van Kaam(1969)이 제안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진술문을 추출하고, 이를 공통된 속성으로 묶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부주제, 주제, 범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1125개의 의미 있는 진술문이 추출되었으며, 61개의 부주제, 19개의 주제,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이행과업을 인식하고 헤쳐나감’, ‘이행과정 중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내적 고통’, ‘사회지원에 대한 요구와 기대가 충족되지 못함’, ‘이행과업에의 미성숙한 태도가 나타남’, ‘이행을 준비하며 기존 자원과 여건상에 새로운 어려움이 발생함’순의 빈도로 나타났다. 즉, 대학에서 직장으로의 이행 경험 속에는 어려움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대처 행동, 부정적 정서와 태도의 심화, 사회구조와 시스템으로 인한 어려움, 어려움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감을 가지며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 등의 경험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의와 제언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merging adults experience the college to work trans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15 undergraduates selected by theoretical sampling, and data was analyzed utiliz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Van Kaam (1969). As a result, 1125 significant statements, 61 subthemes, 19 themes, and 5 categories were constructed. The five categories, listed in order of highest frequency, are as follows: recognize the transition and get through it, inner suffering due to the negative experience, unfulfilled needs for social support, Maladaptive reaction to the transition, and new difficulties in terms of resource and circum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merging adults have mixed experiences during the transition as evidenced by their utilization of various coping strategies, varying negative emotions and attitudes, fluctuating social structure difficulties, and inconsistent levels of hopefulness and desire to grow.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Modern History of Tuberculosis in Korea

        송재훈,허경민,정두련 대한감염학회 2019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51 No.4

        Tuberculosis has been a major public health threat in modern Korea. A few reports from the mid-1940s have demonstrated a high prevalence of latent and active tuberculosis infections. The high disease burden urged the newly established government to place a high priority on tuberculosis control. The government led a nationwide effort to control tuberculosis by building dedicated hospitals, conducting mass screening, providing technical and material support for microbiological diagnosis, administering Bacillus Calmette–Guérin vaccination, and improving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through public health centers. Such concerted efforts resulted in a gradual decrease in the disease burden of tuberculosis, as demonstrated by National Tuberculosis Prevalence Surveys and notifiable disease statistics. While great progress has been made, new challenges - including an aging population, outbreaks in schools and healthcare facilities, and migration from high-prevalence countries - lie ahead. Here, we review the modern history of tuberculosis in Korea, focusing on epidemiology and public health policies.

      • KCI등재

        Overweight and Obesity Are Risk Factors for Coronavirus Disease 2019: A Propensity Score-Matched Case-Control Study

        지원준,이예린,허경민,강민선,황인철,Munkhzul Radnaabaatar,이대호,정재훈 대한내분비학회 2021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6 No.1

        Although obesity is a risk factor for infection, whether it has the same effect o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need confirming.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propensity score matched case-control stud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VID-19. This study included data from the Nationwide COVID-19 Registry and the Biennial Health Checkup database, until May 30, 2020. We identified 2,231 patients with confirmed COVID-19 and 10-fold-matched negative test controls. Overweight (body mass index [BMI] 23 to 24.9 kg/m2; adjusted odds ratio [aOR], 1.16; 95% confidence interval [CI], 1.1.03 to 1.30) and class 1 obesity (BMI 25 to 29.9 kg/m2; aOR, 1.27; 95% CI, 1.14 to 1.42) had significantly increased COVID-19 risk, while classes 2 and 3 obesity (BMI ≥30 kg/m2) showed similar but non-significant trend. Females and those <50 years had more robust association pattern. Overweight and obesity are possible risk factors of COVID-19.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