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2 mm 동축 소절개 백내장수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최진아,정성근,김현승,Jin A Choi,Sung Kun Chung Ph,D,Hyun Seung Kim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6

        Purpose: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2.2 mm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MCCS) and conventional 3.0 mm cataract surgery (CC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40 eyes): 17 patients (21 eyes) had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using a 2.2 mm microcorneal incision, and 13 patients (19 eyes) had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using a 3.0 mm corneal incision. In these two groups, we measured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and effective phacoemulsification time (EPT) during cataract surgery. We compared corneal thickness, endothelial cell count,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by corneal topography between the two groups preoperatively and at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SIA (p=0.025) at postoperative day 1 in MCC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at. No difference in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EPT, corneal thickness,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or 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ted between MCCS and CCS. Conclusions: MCCS using a 2.2 mm small corneal incision appears to be a safe and advanced procedure with a smaller amount of surgically-induced astigmatism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J Korean Ophthalmol Soc 49(6):904-910, 2008

      • KCI등재

        주파수 배가 시야검사계를 사용한 녹내장 및 녹내장 의증의 진단

        최진아,박찬기.Jin A Choi. M.D.. Chan Kee Park. 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8

        Purpose: To find applicable parameters of the frequency doubling technology perimeter (FDP), which is known to be usefu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Methods: The subjects were 65 eyes of normal individuals, 58 eyes of glaucoma suspects, and 37 eyes of glaucoma patients. FDP (MD, PSD), SAP (MD, PSD, CPSD), and 5 parameters of OCT were analyze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parameter were evaluated, and the comparison of FDP parameters by Pearson`s chi-square was made between the glaucoma suspec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 same comparison was made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and glaucoma group. Results: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normal and glaucoma suspect groups, the FDP-PSD revealed an AUC of 0.745 (cutoff: 3.17dB), whic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SAP-PSD with an AUC of 0.660 (cutoff: 1.73dB). In comparing FDP, PSD by Anderson criteria was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732. On the other hand, in discriminating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group and glaucoma group, the SAP-PSD showed an AUC 0.971 (cutoff: 2.92dB), much larger than the FDP-PSD with an AUC of 0.863 (cutoff: 3.78dB). In addition, in comparing the parameters of FDP by Pearson chi-square, PSD 1% was the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813. Conclusions: FDP is a valuable screening too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PSD by Anderson criteria can be a reliable parameter for the diagnosis of pre-perimetric glaucoma, and PSD 1% can be used in the discrimination of perimetric glaucoma.

      • KCI등재

        서울굿의 무구 연구

        최진아(Choi Jin-A)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서울굿에 사용되는 무구는 세습무 지역과 비교한다면 무당이 소지하는 무구가 월등히 많다고 할 수 있지만, 강신무들이 주로 활동하는 황해도나 평안도에 비해 그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당이 있고, 그 안에 무구들이 봉안되며 또한 의례에 사용하는 무구와 점사에 사용하는 무구를 지닌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하나의 무구라도 거리나 신격에 따라 종류가 하위 분류가 가능한 위의 지역과는 달리, 서울굿은 방울과 부채 하나만을 가지고 전거리 소화가 가능하다. 반면에 신당의 구조는 무신도로 일원화된 형태가 아니라 여러 다양한 형태들이 존재하며, 의례도구에 있어서도 다른 강신무 지역과는 그 사용 용도가 차별화된다는 특징도 지니고 있다. 무신도는 신령의 모습을 인격적인 존재로 형상화한 것인데, 서울굿 무당의 신당에는 이 외에도 위패형과 전발형이 나타난다. 위패형은 ‘강필(降筆)’된 경우나 도교류의 신을 모시는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특히 전발형은 일반적인 사례는 아니나 과거 사대문 안에서 활동하던 나랏무당이나 국무만이 이 형태를 유지한 것으로, 이는 서울굿 무속의 전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명도는 곧 신체이면서 신이 좌정되어 있는 대상으로, 일부에 한해 무신도 대신 명도를 걸어두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명도는 김유신의 어머니인 말명을 상징한다는 설과 최영장군을 상징한다는 설 두 가지 설을 지닌다. 방울은 청신(請神)의 의미와 함께 송신(送神)의 의미도 동시에 지니며, 조상을 상징하는 무구로도 사용된다. 그 기원을 고대의 소도와 부여의 영고에까지 두기도 한다. 서울굿에서 방울은 황해도 굿에 비해 사용빈도수가 높지는 않으며, 이 보다는 부채의 사용빈도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대감거리에서는 복을 주고 재수를 주는 의미를 지니는 부채는 삼불제석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 삼불제석은 불교적인 영향을 받아, 우리의 민간신앙인 삼신으로 변형된 사례이기도 하다. 제금 또한 불교의 의례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주로 무악기로 사용되지만 불사거리거리에서 명과 복을 기원해 주는 의미를 지닌다. 신장기 또한 재수와 재복을 주는 의미를 지니며, 운세를 점치는 무구로 사용된다. 신장기는 도교적인 영향과 함께 조선시대 군기 형태가 무속에 반영되어 영물의 그림, 신장이 보호해 준다는 믿음 등이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굿에서는 운세를 점치고, 명과 복 그리고 재수를 기원해주는 신장기ㆍ제금ㆍ부채와 같은 무구가 매개체가 되어 신도들이 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유도한다. 삼지창과 월도는 도교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그 형태는 조선시대 무기류와 더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 시기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 조선중기 이후에 무속에 수용된 것으로, 장군신의 위엄을 상징하는 무구로 사용된다. 즉 삼지창과 월도는 최영장군을, 삼지창은 별상을, 월도는 관운장을 상징한다. 이 두 무구를 들고 춤을 추고 공수를 내리는 경우는 서울굿에서만 나타난다. 또한 월도를 들고 의례를 진행하는 거리는 서울굿의 전안거리에만 나타나는데, 이는 관제신앙이 서울굿에 미친 영향력이 컸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hamanic materials used for the Seoul gut (굿) can be said that they are not varied when compared to those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where the Gangsin-mu shamanic ritual are usually active. The facts that the hall for a god are provided, preparing shamanic materials for the ritual and fortune-telling are commonly found in such provinces. A shamanic material of Hwang'hae and Pyeong'an shamanic ritual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itual stage and the sort of gods, however, only a bell and fan in the Seoul gut can cover all stag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gut are that the hall for a god are variously constituted over the stereotyped form dominated shamanic paintings, and the purpose of using ritual tool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Gangsin-mu ritual in other provinces.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musin-do, that embody a shamanic god as a personal effigy, the forms of wipae (위패) and jeonbal (전발) are used in the Seoul gut. The former can be seen in the case of gang-pil (降筆) and of worshipping Taoist immortals. The latter, a model of the Seoul gut, could be conducted only by national shamans working in the inner spaces of the Four Gates (sadae-mun). Myeong-do (명도) is the ‘body’ and the object in where a god is staying. In some shamanic halls, it is hanged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The symbolic meanings concerning Myeong-do are broadly fallen into the followings; one is General Kim Yu-sin’s mother, Malmyeong, and the other is General Choi Yeong. The bell (방울) means the call for a god and farewell to a god as well. It also symbolizes an ancestor, that its origin is far back to Sodo and Yeonggo, rituals in Buyeo Kingdom. In the Seoul gut, the bell is less used than the fan is. The fan (부채) in Daegam geori that means to convey happiness and bliss usually plays a role as Sambul jeseok-sin, influenced by Buddhism, that alters the myth of the three gods in folk religion. Same as influenced by Buddhist ritual tools, Jegeum (제금) usually used as a shamanic instrument, however, it symbolizes to bless one’s life and in Bulsa geori. The flag of guardian that means to convey the massage of happiness, being used by a shamanic tool for fortune-telling.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aoism, the flag was probably acknowledged as the sacred object and myth of protection by accepting military flags of the Joseon dynasty. As mentioned earlier, in the Seoul gut, such shamanic materials as flag of guardian, jegeum and fan symbolizing happiness and fortune play their role to lead believers t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tual. Samji-chang (삼지창) and weoldo (월도) (semicircled moon-sword), originally influenced by Taoism, their forms are more related to those of Joseon military tools. Though the date is unclear, the military image was mixed with shamanism in the middle Joseon period, symbolizing general god’s majesty; they embody General Choi Yeoung. Specifically Samji-chang symbolizes byeolseong, god of epidemic, and weoldo means General Kwanun. It is the scene can be seen in the Seoul gut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these tools and mimics the god’s voice. The scene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weoldo can be seen only in jeonan geori of the Seoul gut, it is assumed that military aspects on religion have greatly affected to the Seoul gut.

      • KCI등재

        이름은 주술이다

        최진아(Choi, Jin A) 중국문화연구학회 2016 중국문화연구 Vol.0 No.31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way of thinking about naming which signifies incantation in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In other words, the act of naming a new object-a kind of incantation is to dominate the object’s power within my boundary. For instance,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naming about “The mysterious creature” in Shanhaijing. Through the act of naming, one is putting their ideology into the unfamiliar and fearful object and these appear in both in Shanhaijing and Shenyijing. Specifically Shanhaijing, Shenyijing are books made by exorcist which are founded in the culture of Taoism. Hence the way of thinking in these books lead to connecting naming and incantation in the culture of Taoism. This thesis is concentrated on the name of T’ang dynasty’s courtesan in the works of Biji. In the culture of Daoism, T’ang dynasty’s courtesans were referred as Daosit goddess. Through practicing incantation, one is hoping to get closer to the world of Daoist’s heaven by calling a Daosit goddess’s name. As well, this thesis studied author of Chinese Vernacular Story to represent their ideology, and the naming of their characters relevantly. Moreover, this thesis raised the name of heroin in Hongloumemg of Qing dynasty, which are, yuanchun, yingchun, tanchun, xichun. Their names symbolized the corruption of Jia family, which is also the theme of Hongloumeng. In other words, the author of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arranged the character’s name intentionally so that the readers can agree with the author’s intent. This thesis consider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naming “ The mysterious creature”and incantation in modern poetry Sankyong, modern noble The Record of Arresting Ghost by Buyeo Official Government. These books are appropriated in Shanhaijing. Shanhaijing is also linked with Japanese animations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Natsume Yuujincho, The Twelve Kingdoms. As a result, this thesis affirms that this cultural phenomenon in the Chinese classical narratives of Shanhaiing and other nobles is still existed and it is still continued to be used in the form of modern appropriation

      • KCI등재
      • 농촌지역에 조성된 걷는 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관리지표 AHP 분석

        최진아(Choi, Jin-Ah),유준완(You, Joon-Wan),김은자(Kim, Eun-Ja),김상범(Kim, Sang-Bum),임창수(Lim, Chang-Su)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14 농어촌관광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for ‘walking trail management’ in rural area. To develop indicators, a draft of the indicators was estimated with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and 30 experts reviewed this draft three times with modified delphi technique to check the validity and revise the draft. As a result, the indicators were settled with 2 domains 11 items 29 indicators. And next, calculating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s is progressed by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So 30 experts chose the best important indicator related management of existing facilities, and to remove the risk, ensure security, nature friendl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hen, 2 domains 11 items 29 indicators have been analyzed weighting by Expert Choice 2000 program and management indicators, management indicators are shown composite weights by multiplied by the value of the parent category. Lastly, This study shows urgent details for management parts of curriculum for recreation professional, participation of neighboring villagers, administrator and user guidance provided.

      • KCI등재

        조선시대 설행된 여제(厲祭)의 제장 연구

        최진아(Jin-A Choi)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24 지식과 교양 Vol.- No.14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성부의 여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여제를 재조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제는 역병과 재난을 일으키는 근원으로 여겼던 여귀를 달래기 위한 의례이다. 기존의 여제 연구에서는 공간·상징물 등은 간과(看過) 해 온 경향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제장과 의물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국가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여제의 중요성을 지각하고 명의 『홍무예제』를 근간으로 하여 전국 주현 단위에 단의 설치를 명하였다. 한성부에 여단이 축성된 것은 15세기 초이다. 그 축성사는 곧 의례체계 구축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상설 여단은 창의문 밖 북교에 , 비상설 여단은 삼교에 소재하였다. 북교에서는 정기제인 절제를, 삼교에서는 별제와 위제 등을 거행하였다. 한성부 여단의 구조는 영성단의 법제를 따라 단유로 축조되었다. 여제는 남교에 서 성황발고제를 지낸 후 북교의 여단에 모셔와 소사로 거행하였다. 성황은 음부의 신으로, 무사귀를 불러 모으는 역할을 한다. 제단의 배치구조는 성황위판을 남쪽으로 향하게 놓고 그 아랫단에 좌우로 무사귀의 목주를 서로 마주보게 세운다. 조선 초기 무사귀의 위수는 명의 영향을 받아 12위였으나, 세종 연간에 그 대상이 추가되어 15위가 된다. 여기에는 당대인들의 가치관이 반영되어, 당시 가장 애석하게 생각했을 비정상적인 죽음의 유형이 추가되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 연구는 한성부에서 설행된 여제를 물질문화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해 나갔다는 점에 그 가치를 두려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Yŏ-je(厲祭) by targeting Yŏdan( 厲壇) of the Hansungbu(漢城府, Hanyang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Yo ̆-je is a ritual to appease Yo ̆-gui(厲鬼), who was considered to be the source of plague and disaster. Since space(空間) and symbols(象徵 物) were not carefully discussed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study focuses on ritual space and ritual symbo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cultural value of death inherent in Yŏ-gui, focusing on material culture. Joseon Dynasty attempted to build a new Yŏ-dan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Yŏ-dan had begun to be built in the 15th century, but it was shaped according to the formality by etiquette in the 16th century. In Hanyang, ritual spaces were located outside the four gates. It can be divided into permanent and temporary space. The permanent Yŏ-dan was located in the Bukgyo(北郊) outside the ChanguiMoon(彰義門) and the temporary Yŏdan was located in Samgyo. Yŏ-dans of Hansungbu were built in the same form of Youngsungdan(靈星 壇). Yŏ-je was held in Yŏ-dan in Bukgyo after ceremony of Seonghwang(城 隍) to Yŏ-dan in Namgyo(南郊). Seonghwang is god of the other world, he places a role in bringing MusaGui(無祀鬼) together. As fo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altar, memorial tablet of Songhwang was placed facing south, tablets of MusaGui were placed left and right of Seonghwang on the lower altar facing each other. The number of tablets of MusaGui was 12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Ming, but it changed to 15 in king Sejong period. I guess that types of sorrow abnormal death reflected sense of value of the contemporary people were added. This study seeks to value Hansungbu's Yo ̆-je in that it has developed its thesi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Yŏ-jeby targeting Yŏ-danof

      • KCI등재
      • KCI등재

        질 들뢰즈의 교육철학 : ‘배움’ 개념에 담긴 대안적 학습의 가능성 모색

        최진아(Choi, Jin A)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9

        들뢰즈에게 철학의 과제는 ‘지금-여기’에 대한 비판과 창조를 통해 새로운 시대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제 철학은 들뢰즈 표현을 빌리자면, 수염이 풍성한 헤겔과 깔끔하게 면도한 맑스를 떠올릴 수 있는 풍부한 철학적 상상력과 시대착오적인 발상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것은 바로 새로운 철학 스타일의 탐구이기도 하다. 이 시대철학적 요구는 창의적 사유를 적극 육성하고 배양할 수 있는 교육의 문제로 귀결된다. 들뢰즈식의 ‘배움’은 창의적 사유, 감성, 상상력을 위해서 모든 대상을 이전과는 전혀 다른 하나의 낯선 ‘기호’로 바라보게 하고, 그것에 대한 ‘탐험’과 ‘실험’의 과정을 통해 어떤 새로움을 발견하는 것이다. 이처럼 들뢰즈의 교육철학은 대상에 대한 기존 경험을 넘어서 정신-신체가 함께 느끼고 반응하면서 배우는 감성 교육학이며 이러한 감각들의 교육은 근본적으로 끊임없이 새로움을 발견하고 탐험하는 문제제기적 이념의 과정에서 차이 생성을 배우는 차이의 교육학이다. 그리고 이 차이의 교육이야말로 새로운 스타일을 창조하는 철학적 과제를 수행하는 밑거름이 된다. For Deleuze, the task of philosophy is to start a new era through creation and criticism against “now-here.” Now philosophy needs a rich philosophical imagination and anachronistic ideas to think about Hegel with a bushy beard and Marx with a clean shave as Deleuze said. This is also a new style of philosophical search. In addition, the philosophical demands of this era lead to education that can actively foster and develop creative thinking. Deleuze’s “Apprenticesphip” is looking at all objects from a completely different viewpoint and as an unfamiliar “sign” for creative thinking, sensibility, and imagination; it is about discovering something new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ation” and “experimentation.” As such, Deleuze"s philosophy for education is an sensible pedagogy where students learn by feeling and responding with their minds and bodies, going beyond the existing experience of an object. This education of senses moves toward the pedagogy of differences where students learn the creation of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 problem-posing idea that fundamentally and constantly discovers and explores newness.

      • KCI등재

        강신무의 신당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

        최진아 ( Jin A Choi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강신무의 항시적 성소(聖所)인 신당(神堂)이 지니는 종교적 함의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강신무의 신당은 영원불변의 신성성을 지니는 공간으로서, 그 구조는 과거부터 일정한 틀을 유지해 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신무 신당의 구조는 현재보다 과거에 여러 다양한 구조가 존재해 왔으나, 현재는 오히려 그 유형이 단순화되고 있다. 신당은 곧 강신무의 몸주신의 성격을 반영하고, 또한 그 신성성을 표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 안에 배치된 상징물로는 신의 모습을 가시화한 신체(神體)와 점구류 등이 존재한다. 이 상징물은 신성성(神聖性)이 부여된 성물(聖物)로 인식되어, 일반인들은 함부로 만지거나 다루어서는 안 되는 금기의 대상으로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곧 신의 의사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신당은 곧 신직 매개 및 신과 인간이 상호교류가 가능하게 하는 공간이며, 그 공간 안에서 신을 상징하는 상징물에 기원하고 또한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신의 의사를 전달받기도 한다. 무당(巫堂)은 무(巫)가 신을 위한 제를 지내는 공간이라는 뜻으로, 그 명칭 안에 종교공간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무당과 신당은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강신무에게 신당은 신성공간으로서 정화의례의 공간이며, 또한 종교인으로서 신을 알현하는 공간이기도 하다. 신당은 신직을 수행하는 매개자로서의 강신무에게는 자신에게 받은 권위를 신앙자에게 현시적(顯示的)으로 드러내 주는 역할을 하며, 신앙자에게는 신과 상호소통이 가능한 종교공간으로 활용된다. 신앙자는 신당을 찾은 목적에 따라 그 직능에 해당하는 신격에게 기복발원을 행한다. 그 대상신은 출산과 수명 그리고 재수와 재복 등과 같은 직능을 지니는 신이 주를 이룬다. 그러한 이유로 인해, 강신무는 자신의 몸주신 외에도 그와 같은 직능을 지닌 신의 상징물을 신당에 봉안해 놓는다. 또한 신앙자는 강신무를 통해 신의 메시지를 전달받기도 한다. 그 외에도 강신무와 단골관계를 맺은 신앙자는 명다리라는 매개물을 통해 수명연장을 기원하기도 한다. 즉, 신당은 사제자와 신앙자 모두 신을 만나는 곳임과 동시에, 신앙자에게는 巫를 매개로 하여 신과 교류가 가능하게 해 주는 성소이기도 하다. 그러한 맥락에서 강신무의 신당은 여러 다양한 종교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종교공간이라는 주장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religious implications that the sanctum of Gangsinmoo(the possessed shaman) holds. As a place for permanent and unchangeable sacredness, the sanctum of Gangsinmoo seems to have maintained a certain structure from the past While the structure of the shrine was various in the past, now it has increasingly simplified these days. The shrine also reflects the characters of Gangsinmoo’s Mom-Ju-sin (몸주신, the Owner God). Symbolic icons located in the sanctum include the Body of God (神體) which visualizes the God, and Jeomguryu (占具類). These icons act as the medium which connects the shaman with the Owner God and express the sacredness of the Owner God. Moo-Dang (the shaman) means the house (Dang) of Shamanism (Moo), and thus the name indicates a place for religious activity. For the shaman, the shrine is a place for sacredness and purification rites. It also serves as a place for the shaman to have an audience with the God as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the shrine explicitly exposes the dignity of the God to the shaman. The sanctum is also used as a religious place where a believer interacts with the God through shamanism activity. The believer visits the shrine and prays to one of the Gods based on the ability of the God. Those Gods mainly have the ability to control childbirth, longevity, luck and the good fortune in money. Sometimes the God’s message is delivered to the believer by the shaman through shamanism activity. Furthermore, a Dangol (a follower of the shaman) prays for longer life, using Myeongdari (a life bridge) as a medium. In other words, the shrine is not only a place both for the sham and believer to meet the God, but also a sacred place for the believer to communicate with the God through the shaman. In that context, it can be argued that the shrine of Gangsinmoo is a religious place which has a variety of religious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