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2 mm 동축 소절개 백내장수술의 단기 임상 결과 비교

        최진아,정성근,김현승,Jin A Choi,Sung Kun Chung Ph,D,Hyun Seung Kim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6

        Purpose: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results of 2.2 mm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MCCS) and conventional 3.0 mm cataract surgery (CC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0 patients (40 eyes): 17 patients (21 eyes) had microcoaxial cataract surgery using a 2.2 mm microcorneal incision, and 13 patients (19 eyes) had conventional cataract surgery using a 3.0 mm corneal incision. In these two groups, we measured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and effective phacoemulsification time (EPT) during cataract surgery. We compared corneal thickness, endothelial cell count, uncorrected visual acuity, best‐corrected visual acuity, and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SIA) by corneal topography between the two groups preoperatively and at 1 day, 1 week, 1 month, and 2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SIA (p=0.025) at postoperative day 1 in MCC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at. No difference in phacoemulsification time, total phacoemulsification percentage, EPT, corneal thickness, postoperative uncorrected visual acuity or corrected visual acuity was noted between MCCS and CCS. Conclusions: MCCS using a 2.2 mm small corneal incision appears to be a safe and advanced procedure with a smaller amount of surgically-induced astigmatism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J Korean Ophthalmol Soc 49(6):904-910, 2008

      • KCI등재

        주파수 배가 시야검사계를 사용한 녹내장 및 녹내장 의증의 진단

        최진아,박찬기.Jin A Choi. M.D.. Chan Kee Park. M.D. 대한안과학회 2007 대한안과학회지 Vol.48 No.8

        Purpose: To find applicable parameters of the frequency doubling technology perimeter (FDP), which is known to be usefu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Methods: The subjects were 65 eyes of normal individuals, 58 eyes of glaucoma suspects, and 37 eyes of glaucoma patients. FDP (MD, PSD), SAP (MD, PSD, CPSD), and 5 parameters of OCT were analyzed.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each parameter were evaluated, and the comparison of FDP parameters by Pearson`s chi-square was made between the glaucoma suspec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 same comparison was made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and glaucoma group. Results: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normal and glaucoma suspect groups, the FDP-PSD revealed an AUC of 0.745 (cutoff: 3.17dB), whic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SAP-PSD with an AUC of 0.660 (cutoff: 1.73dB). In comparing FDP, PSD by Anderson criteria was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732. On the other hand, in discriminating among the normal+glaucoma suspect group and glaucoma group, the SAP-PSD showed an AUC 0.971 (cutoff: 2.92dB), much larger than the FDP-PSD with an AUC of 0.863 (cutoff: 3.78dB). In addition, in comparing the parameters of FDP by Pearson chi-square, PSD 1% was the most reliable with a hit ratio of 0.813. Conclusions: FDP is a valuable screening tool in detecting early visual field loss. PSD by Anderson criteria can be a reliable parameter for the diagnosis of pre-perimetric glaucoma, and PSD 1% can be used in the discrimination of perimetric glaucoma.

      • KCI등재

        서울굿의 무구 연구

        최진아(Choi Jin-A) 한국무속학회 2006 한국무속학 Vol.0 No.12

        서울굿에 사용되는 무구는 세습무 지역과 비교한다면 무당이 소지하는 무구가 월등히 많다고 할 수 있지만, 강신무들이 주로 활동하는 황해도나 평안도에 비해 그 종류가 다양하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신당이 있고, 그 안에 무구들이 봉안되며 또한 의례에 사용하는 무구와 점사에 사용하는 무구를 지닌다는 점은 동일하다. 그러나 하나의 무구라도 거리나 신격에 따라 종류가 하위 분류가 가능한 위의 지역과는 달리, 서울굿은 방울과 부채 하나만을 가지고 전거리 소화가 가능하다. 반면에 신당의 구조는 무신도로 일원화된 형태가 아니라 여러 다양한 형태들이 존재하며, 의례도구에 있어서도 다른 강신무 지역과는 그 사용 용도가 차별화된다는 특징도 지니고 있다. 무신도는 신령의 모습을 인격적인 존재로 형상화한 것인데, 서울굿 무당의 신당에는 이 외에도 위패형과 전발형이 나타난다. 위패형은 ‘강필(降筆)’된 경우나 도교류의 신을 모시는 경우에 주로 나타난다. 특히 전발형은 일반적인 사례는 아니나 과거 사대문 안에서 활동하던 나랏무당이나 국무만이 이 형태를 유지한 것으로, 이는 서울굿 무속의 전형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상이라 할 수 있다. 명도는 곧 신체이면서 신이 좌정되어 있는 대상으로, 일부에 한해 무신도 대신 명도를 걸어두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명도는 김유신의 어머니인 말명을 상징한다는 설과 최영장군을 상징한다는 설 두 가지 설을 지닌다. 방울은 청신(請神)의 의미와 함께 송신(送神)의 의미도 동시에 지니며, 조상을 상징하는 무구로도 사용된다. 그 기원을 고대의 소도와 부여의 영고에까지 두기도 한다. 서울굿에서 방울은 황해도 굿에 비해 사용빈도수가 높지는 않으며, 이 보다는 부채의 사용빈도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대감거리에서는 복을 주고 재수를 주는 의미를 지니는 부채는 삼불제석선이 주로 사용된다. 이 삼불제석은 불교적인 영향을 받아, 우리의 민간신앙인 삼신으로 변형된 사례이기도 하다. 제금 또한 불교의 의례구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주로 무악기로 사용되지만 불사거리거리에서 명과 복을 기원해 주는 의미를 지닌다. 신장기 또한 재수와 재복을 주는 의미를 지니며, 운세를 점치는 무구로 사용된다. 신장기는 도교적인 영향과 함께 조선시대 군기 형태가 무속에 반영되어 영물의 그림, 신장이 보호해 준다는 믿음 등이 수용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굿에서는 운세를 점치고, 명과 복 그리고 재수를 기원해주는 신장기ㆍ제금ㆍ부채와 같은 무구가 매개체가 되어 신도들이 굿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유도한다. 삼지창과 월도는 도교적인 영향을 받았으나, 그 형태는 조선시대 무기류와 더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 시기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대부분 조선중기 이후에 무속에 수용된 것으로, 장군신의 위엄을 상징하는 무구로 사용된다. 즉 삼지창과 월도는 최영장군을, 삼지창은 별상을, 월도는 관운장을 상징한다. 이 두 무구를 들고 춤을 추고 공수를 내리는 경우는 서울굿에서만 나타난다. 또한 월도를 들고 의례를 진행하는 거리는 서울굿의 전안거리에만 나타나는데, 이는 관제신앙이 서울굿에 미친 영향력이 컸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The shamanic materials used for the Seoul gut (굿) can be said that they are not varied when compared to those in Hwang'hae and Pyeong'an provinces where the Gangsin-mu shamanic ritual are usually active. The facts that the hall for a god are provided, preparing shamanic materials for the ritual and fortune-telling are commonly found in such provinces. A shamanic material of Hwang'hae and Pyeong'an shamanic ritual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itual stage and the sort of gods, however, only a bell and fan in the Seoul gut can cover all stages. The characteristics in the Seoul gut are that the hall for a god are variously constituted over the stereotyped form dominated shamanic paintings, and the purpose of using ritual tools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Gangsin-mu ritual in other provinces.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musin-do, that embody a shamanic god as a personal effigy, the forms of wipae (위패) and jeonbal (전발) are used in the Seoul gut. The former can be seen in the case of gang-pil (降筆) and of worshipping Taoist immortals. The latter, a model of the Seoul gut, could be conducted only by national shamans working in the inner spaces of the Four Gates (sadae-mun). Myeong-do (명도) is the ‘body’ and the object in where a god is staying. In some shamanic halls, it is hanged instead of shamanic paintings. The symbolic meanings concerning Myeong-do are broadly fallen into the followings; one is General Kim Yu-sin’s mother, Malmyeong, and the other is General Choi Yeong. The bell (방울) means the call for a god and farewell to a god as well. It also symbolizes an ancestor, that its origin is far back to Sodo and Yeonggo, rituals in Buyeo Kingdom. In the Seoul gut, the bell is less used than the fan is. The fan (부채) in Daegam geori that means to convey happiness and bliss usually plays a role as Sambul jeseok-sin, influenced by Buddhism, that alters the myth of the three gods in folk religion. Same as influenced by Buddhist ritual tools, Jegeum (제금) usually used as a shamanic instrument, however, it symbolizes to bless one’s life and in Bulsa geori. The flag of guardian that means to convey the massage of happiness, being used by a shamanic tool for fortune-telling. Along with the influence of Taoism, the flag was probably acknowledged as the sacred object and myth of protection by accepting military flags of the Joseon dynasty. As mentioned earlier, in the Seoul gut, such shamanic materials as flag of guardian, jegeum and fan symbolizing happiness and fortune play their role to lead believers t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tual. Samji-chang (삼지창) and weoldo (월도) (semicircled moon-sword), originally influenced by Taoism, their forms are more related to those of Joseon military tools. Though the date is unclear, the military image was mixed with shamanism in the middle Joseon period, symbolizing general god’s majesty; they embody General Choi Yeoung. Specifically Samji-chang symbolizes byeolseong, god of epidemic, and weoldo means General Kwanun. It is the scene can be seen in the Seoul gut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these tools and mimics the god’s voice. The scene that a shaman dances holding weoldo can be seen only in jeonan geori of the Seoul gut, it is assumed that military aspects on religion have greatly affected to the Seoul gut.

      • KCI등재

        천문의 상징 기호에 대한 이해 - 무속의 상징물 명도를 중심으로 -

        최진아 ( Choi Jina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硏究 Vol.41 No.-

        본 연구는 무속의 명도에 나타나는 천문기호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천문기호의 변화와 의미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명도에 내재된 무속의 신념체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도는 무한한 우주의 세계를 표상한 천궁(天穹)의 상징물이다. 명도의 천문기호는 일월(日月)과 북두칠성(北斗七星)을 기본구성으로 하며, 이 기호는 문양과 글자로 나타난다. 이 외에 범자(梵字)·화문(花紋)·신수(神獸) 등의 기호도 명도 안에 담겨져 있음이 확인된다. 천문의 기호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보편적인 기호로, 혹은 특정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특수한 기호로 표상된다. 문화사적으로 명도의 것과 유사한 천문기호는 고구려 고분(古墳)에 처음 나타난다. 천문기호가 언제부터 무속에 수용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밝히기는 어려우나, 문헌기록을 통해 보건대 신라시대 제의에 궁면(穹面)의 거울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아, 적어도 그 역사를 신라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리라 본다. 명도의 천문기호에는 도교적인 세계관인 우주적인 원리와 수명장수를 기원해 주는 사상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명도에는 범자와 불교설법의 화두로 여기는 화문 등의 불교적 세계관을 반영한 형태도 나타난다. 명도는 신앙자에게 하늘과 소통을 위한 기원대상으로, 인간 삶의 지속을 위한 매개물로 인식된다. 또한 명도는 성속의 전환이 가능하게 한 성물(聖物)로서, 제장을 영원불멸한 세계의 중심이 되게 하고 신의 현현 및 지존의 권위 표상으로 인식된다. 무속에서 명도는 보편적으로 신의 얼굴로 상징되지만, 한편으로는 명도 각각에 천계 신의 이름을 부여하여 천상계와의 관련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무속에서는 명도를 통해 끊임없이 천상계와 소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타종교의 세계관을 수용하여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도 무속만의 고유한 신념체계를 명도에 반영시켜 지속해 온 것으로 이해된다. This research examines diachronically the modalitiy of astronomical symbol represented in sky disk, Myongdo(明圖). Based on this, this research analyze the change of astronomical symbol and meanings and furthermore establish other religions’ world­views, changes and continuance between intrinsic shamanistic belief system. Firstly, the sky disk lasts in Korean culture as a symbol of sky which represents the infinite universe. As a result of diachronic analysis of the sky disk’s modality, astronomical symbol marks are basically consist of the patterns of the sun, the moon and the Big Dipper(日·月·星辰) besides they imply various worldviews and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some changes Secondly, the message which the sky disk’s symbol delivers represents as an universal symbol, or a special symbol that reflects particular times. In addition,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of sky disk are encoded to the faithful and are recognized as targets of praying and mediums of all creations’ origin for continuation of human lives and longevity. Sky disk is as a sacred symbol which can change sacredness and purification, it makes ritual space the center of immortal world. Lastly, sky disk contains the idea of praying for a cosmic principle which is Taoistic view of world and longevity. Sky disk represents Sanskrit and flower patterns of Buddhistic worldview. Like this, in shamanism, it shows that the celestial space and human constantly interact through the sky disk. Additionally, it is analyzed that Korean shamanism tries to make changes by accepting parts of other religious views of the world and still maintains intrinsic belief system of shamanism.

      • KCI등재
      • KCI등재

        무속의 죽음의례 상징물이 갖는 의미

        최진아(Choi Jina)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6

        본 연구는 무속의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죽음과 관련된 상징물이 의례 구조 속에서 의미화 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그 상징물이 갖는 다가치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진오기굿과 호남씻김굿의 죽음의례를 기초자료로 하여, 본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한국무속에서 죽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어서, 망자(亡者)는 죽음의례를 통해 최상의 대우를 받는다. 죽음의례에 사용되는 상징물들은 현세인(現世人)들 즉, 생자(生者)들에게 망자가 이승을 떠났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그 중 가장 먼저 주목할 대상은 망자를 구체적으로 표상화한 상징물이다. 의례 속에서 무(巫)는 곧 망자가 되기도 하고 또한 여러 다양한 상징물이 망자로 표상되기도 하여 마치 망자가 의례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된다. 그 의례 속에서 망자로 인식되는 상징물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생자에게 망자의 죽음이 현실임을 깨닫게 해 주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죽음의례에서는 망자에게 영혼의 자유를 주고 또 다른 세계에서 새로운 존재로 전환되는 과정이 구현된다. 그 과정에서 종교적 상징물을 통해 죽은 이의 이승에서의 수명이 비로소 다하였음과 함께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는 영혼의 자유를 얻어 환생하였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미 망자의 환생여부를 파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죽음의례는 계속되는데, 죽은 이는 상식상을 받음으로써 조상이라는 존재로 도약하거나 혹은 망자의 상징물을 씻기는 정화 의례를 통해 저승에서의 재탄생이 가능한 존재로 인식되기도 한다. 저승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야만 도달하는 곳으로, 이승과 저승 이 두 세계를 이어준다고 믿어져 관념적 사고 속에서 존재하는 문?길?다리?강과 망자를 극락으로 천도해준다고 믿어지는 배가 죽음의례 속에서 상징물로 가시화되기도 한다. 또한 현세인들은 망자의 저승에서의 삶도 현세와 동일할 것으로 보고, 그 삶의 지속을 위해 지전·의복·음식 등과 같은 상징물도 이 의례 속에서 표상화(表象化)한다. 죽음의례는 망자와 그 가족 간의 영원한 관계 단절을 위한 의례가 아니라 일시적인 관계단절을 위한 중간단계의 전이의례(轉移儀禮)라 할 수 있다. 죽음의례에서 죽음은 곧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두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물을 통해 망자는 현세와는 다른 내세라는 세계로 넘어가는 과정일 뿐임을 망자의 가족들에게 보여준다. 또한 그러한 전이의례는 각자 자신이 속한 공간 속에서 새롭게 통합이 가능토록 한다. 한국 사회에서 망자는 ‘죽음’이라는 위기를 경험하면서 가족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 지거나 관계가 단절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망자와 그 가족은 유기적인 관계로서, 함께 살고 있지는 않지만 일상에서 그들을 위한 제사를 드리고 또한 무속의례에서 ‘조상’이라는 이름으로 초대되고 기억된다. 또한, 온전한 죽음을 맞지 못한 영혼은 저승에 갈 수 없다는 관념이 지배적인 유교적 세계관과 달리, 무속에서는 죽음의례를 통해 그러한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 해주고 조상신(祖上神)이라는 자격까지 부여해준다. 이와 같이 무속의 죽음의례는 망자의 가족에게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죽음이라는 두려움의 가치관을 제거해 주는 역할도 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죽음의례는 곧 생자와 망자 모두를 위한 정화의례(淨化儀禮)임과 동시에 존재 지속을 위한 종교의식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호남무속에 사용되는 물질문화의 상징성과 변화양상 연구

        최진아 ( Ji Na Choi ) 남도민속학회 2013 남도민속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호남무속의 물질문화에 주목하여, 그 안에 내재된 상징성과 변화양상을 분석함으로써, 호남무속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호남지역의 물질문화는 다른 지역에 비한다면 그 종류와 양적인 면에 있어서 다양하지는 않다. 그로 인해, 동일한 물질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면서 다른 기능을 지니기도 하고, 여러 다른 물질들이 강신구.좌정구.신체구로서의 동일한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소수의 물질이 사용됨으로 인해, 하나의 물질 안에 함의(含意)된 의미가 중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문헌 자료에 의하면, 지전은 조선시대에도 신상.전물.청신과 송신의 매개물로 사용되었는데, 현재 호남굿에서 그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지전의 고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불교 의식구에서 유입된 정주는 옥황종이라도 불렸다는 일제강점기 기록으로 보아, 정주는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아그 형태와 관념을 수용한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물질의 상징의미는 가장 먼저 불려지는 호칭을 통해 발현된다. 넋전과 돈전은 넋이 머무는 곳이면서 저승노자돈의 의미를, 넋은 혼백.속연 등으로 불리며 혼과 백을 구분하거나 인연을 끊는 매개물로 상징된다. 쌀은 그 의미에 따라 복을 줄 때는 제미(帝米)로, 액을 막아줄 때는 액미(厄米)로 달리불리기도 한다. 물질은 제작을 위해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부터 의미가 부여된다. 또한 호남굿 제차의 름에 따라 물질의 상징성을 정리해보면, 병풍을 이용해 의례공간을 구분하고 타악기 소리로 제장을 정화한 뒤에 청신.신의 의도 파악ㆍ해원ㆍ재생ㆍ축귀ㆍ송신을 상징하는 물질을 매개로 의례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호남무속에서는 일상용구에 의미를 부여해 의례에 사용하였다가, 원래의 용도로 환원될 때 터부시하지도 않는다는 특징을 지닌다. 씻김굿에 사용되는 물질은 영혼과 신체를 구분하여 이원화할 뿐 아니라, 남녀를 구분하고 또한 결혼 유무까지도 상징물을 통해 구체화한다. 그 상징물은 추상적인 형태에서 인간의 모습과 동일하게 오려내는 형태까지 다양하게 가시화한다. 의례 속에서 물질은 상징의 상호작용의 매개물로 작용하여, <제석굿>에서는 신앙자들이 노적을 받고 재수와 재복을 구하기도 하고, <오구굿>에서는 망자의 신체를 상징하는 상징물을 물로 씻겨줌으로써 망자가 저승에서 재탄생하기를 기원한다. 또한 무속의 물질은 신앙자의 관념이 반영되어 일부는 새롭게 수용되기도 하고, 일부는 사라지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호남무속의 물질문화는 과거와는 달라진 양상을 띠고 있다. 고인(故人)이 된 무녀와 악사 그리고 현재 활동하는 무(巫)들의 물질 사용내력을 살펴보았을 때, 호남굿 물질문화의 변화는 근래에 일어난 현상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습무들도 호남이외의 지역 것을 수용해 의례에 활용한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강신보살들은 그 보다적극적으로 중부이북 강신무의 물질을 유입하여 의례에 반영하고, 점사에 활용하고 있을뿐 아니라 의례양상도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강신보살에 의해 신장류의 장군이나별상 등이 주요한 신격으로 의례에 초대되어 신의 영험함을 보여주는 행위를 한다는 점에서, 물질의 유입이 의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물질 중에서는 중부이북 무속에서 표현하는 의미와 전혀 다르게 해석하기도 하는데, 그러한 의미가 보편화되고 있는 경향을 띠고 있다. 한편, 항시적인 신성성을 갖는 굿당이나 일상용구의 존재도 문화사적인 관점에서 호남무속의 변화양상의 하나로 규정해야 할 것이다. 물질은 이것을 만들고 사용하는 사람들의 내면적(內面的)인 사고의 발현(發顯) 수단이자 결과물이다. 따라서, 물질문화에 반영된 호남무속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된다. 첫째, 소수의 신격만이 신앙된다는 특징을 지닌다. 호남지역의 무속은 그 특성상 의례 속에서 신령의 신격이나 신령의 특성을 알 수 있는 대상은 극히 일부이다. 굳이 말하자면,조상신(망자 포함), 제석(혹은 칠성), 가신, 사자, 신장 등의 신격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제물에 있어서는 가장 비중을 두고 차려지는 상이 조상상(망자상)이다. 제석이나 칠성과같은 신이나 손님은 조상과 동일시 한다는 설도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본다면, 호남무속에서 가장 중요한 신격은 망자를 포함하는 조상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죽음에 대한 관념이 발달했다는 점이다. 호남지역에서 가장 성행하는 굿은 망자천도의례인 씻김굿이다. 의례 과정 중에 망자를 상징하는 물질이 다양한데, 이는 망자를 포함한 조상신이 가장 중요한 신격으로 인식됨으로 인해, 죽은 자에 대한 상징물이 발달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호남굿에서는 의례 과정 내내 여러 차례 망자와의 관계단절을 시도한다. 의례 속에서 생자(生者)와 망자와의 인연을 끊기 위한 시도가 여러 차례 이루어지고, 의례가 마무리될 무렵에 생자들은 가시화된 물질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간 것으로 믿어진다. 천도의례는 망자를 위한 의례로 인식되지만, 그 이면에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현세인(現世人)들은 위한 의례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세인들의 관념이 물질에도 그대로 반영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의 특징으로, 물질 간의 성속교차의 유동성을 보인다는 점이다. 호남무속에서는 항시적인 신성성을 가진 물질보다는 일시적으로 신성(神聖)을 획득하여 표출하는 대상이 더 많다. 일상의 공간이 굿청으로 활용되고, 일상용구가 의례도구로 활용되어 일시적으로 신성성이 부여된다. 또한 일상용구가 다른 상징의미를 지니며 반복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리고 의례가 종결되면 그 일상용구는 원래의 기능을 되찾는다. 이와 같이 성과 속의 전환이 자유로운 점과, 소수의 물질이 반복적으로 사용됨으로 인해 여러 다양한 상징의미를 부여한 점 또한 세습무 권역이었던 호남무속이 갖는 특징이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Honam Shamanism in analyzing its symbolic meanings and transformation of the materials inherited in the Shamanic material culture of Honam Province. The Shamanic material culture in Honam Province is not diverse compared with other areas. For this reason, some identical Shamanic materials are repeatedly used having different functions. By contrast, some different kind sof Shamanic materialstend to represent in distinguishable characters. Having used a few Shamanic materials, implied meanings are complexly presentin a Shamanic material. Symbolic Meanings of the Shamanic materials are manifested by the first name. Jijeon(papered money) has other titles, Neokjeon and donjeon in which the body of god remains. Neokjeon and donjeon also indicate money for a journey of after life. Rice is likely to be referred to as Jeasukssal and Aekmi(rice of preventing misfortune) for prevention of Aek(misfortune). Shamanic materials are entitled to meanings from a step in which resources are chosen to make the Shamanic materials. Especially, Shingan that is the sole chungshingu(material to call a divine Spirit) in Seseomoo is characteristically made of bamboo. Honam-Gut is performed by intermediate materials that symbolize meanings in the process. Shamanic materials of symbolic meanings in the process of Honam-Gut are as follows: restricting the ritual place by Byungpung(a folding screen), purifying the holy place with a sound of a percussion instrument. Then, the shaman in the Honam-Gut calls a divine Spirit to comprehend the intention of the divine spirit, to fulfil one’s wish, to reborn, to exorcise a demon and let the divine Spirit go. Honam Shamanism uses daily living tools in the way of giving symbolic meanings. In addition, the daily living tools will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uses after the ritual in being not placed a taboo on them Mugu(shamanic instruments) in Sitkkim-gut, the dead in a shamanistic ritual(Cheondo-gut that is a shamanistic ritual to escort the spirit of the dead to Heaven by ‘washing it or making it be pure’ symbolically) not only separates the spirit from the body but also distinguishes between men and women, even between married and unmarried by symbolic materials. Shamanic materials in ritual plays as an intermediation of symbolic meaning for a reciprocal action, and they are ceased to exist and rebirth depending on views of believers. Shamanic material culture in Honam Province has different aspects from the past. The use of Shamanic materials by the deceased a female shaman, a musician of hereditary shaman’s lineage, and the present shamansand musicians has changed, but the change seems to be developed gradually rather than recently. Seseobmoo (hereditary shaman) has adopted Gangshinmoo(possessed shaman)’s Shamanic materials. Gangshinbosal(possessed shaman) more actively brings Gangsinmoo’s Shamanic materials from JungbuLeebuk Province in order to use them for ritual and tell fortunes. In addition, Gangshinbosal has accepted form of ritual from the areas; thus, the form has affected Gangshinbosal’s ritual. In some areas, Shamanic materials have entirely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such interpretations are inclined to be a generalization. Furthermore, the number of the holy place that is an open sacred space has increased. It is also a changed aspect that daily living tools, which are temporally transformed into shamanic instruments for ritual, has changed in open mugu as the performer of ritual possess them. Shamanic materials are both a means and the outcome to represent internal ideas. For this reason, the characteristics of Honam Shamanism reflected in Shamanic Material Culture are summarized by three aspects. First, only minority divinities are worshiped. Shamanism of Honam Province is extremely limited to investigate the subjects of the gods and divinities in ritual because of the character of the ritual. Only the ancestor-god including the deceased, Jeseok or chilsung(the Great Bear god), theguardian god of a dwelling, outdoor for messengers of death, the general god and thelike can b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 theory suggests that jeseok, chilsung or the mama god are treated as same as ancestor. From this perspective, it might be said that the most significant divinity is the ancestor-god including the deceased in Honam Shamanism. Second, it seems that the idea of death has been developed. Sitkkim-gut is the most prevalent Gut in Honam Province. Hence, there are different Symbolic materials for the deceased. Since the ancestor-god including the deceased is regarded as the most respectable divinity, such symbolic materials seem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o break off relations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there are several attempts in Honam-Gut. At the end of ritual, by visualized symbolic materials the living believes that the dead sets off for Jesung(the other world). Cheondo-Gut is seen as a rite for the dead, but behind the rite seems to be for the living who is frightened of death. It seems that the idea of people in this world is reflected in Shamanic materials by symbolizing the idea. Then, the living tries repeatedly attempting to breakdown the relations with the dead by the symbolic materials. Finally, some mobility crossing of sacredness and profanesis seen in Shamanic materials. There are more Shamanic materials that are temporary transformed into being sacred than Shamanic materials that are always sacred in Honam Province. A daily place and daily living tools that are added symbolical meanings during ritual are recovered the original functions all over the ritual.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stic of Honam Shamanism can be said that the conversion between sacredness and profanes is disengaged. In addition, Honam Shamanism adds more Symbolic Meanings to Shamanic materials than the possessed shaman circles. This feature seems to be present Honam Shamanism that is the hereditary shaman circles.

      • KCI등재

        ‘하백의 신부’ ― 한·중 다원과 공존의 서사 읽기

        최진아 ( Choi Jina ) 중국어문연구회 2017 中國語文論叢 Vol.0 No.83

        In this thesis, focusing on classical narratives of Hebo, in order to unveil the tales transition from classical narratives to webtoon and soap-drama in 21century. Hebo’s bride has been produced as webtoon and drama. The motif of these productions is based on human (especially virgin) sacrifice to appease Hebo. The motif has been sharing by Korea and China long before, which is an archetype of the motif. Also, the existence of Hebo appears same in Korea and China. Hebo appears not only in China Shanhaijing (山海經), Chuci (楚辭), but also in Korea the birth myth of Koguryo.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investigating the narratives of Hebo that Korea and China shares, in order to study the pattern and meaning of the tale of Hebo reproduce in webtoon and drama in modern era. As a result, human sacrifice (young virgin sacrifices herself to Hebo) has been occurred in the myth changes in to the new type of relationship in modern era. Attention point is that human sacrifice in the myth is only achieved by male deity. However, in modern webtoon and drama,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character and male deity establish equally, even further focusing on female character who actually accepts the love of deity or not. Therefore, in the webtoon and drama which are the new form of modern narrative, which means the myth is only for the male deity and male reader. However, in the modern narrative the consumer has chaged from male to female, thus the result of main agent has changed which eventually emerge the new form of romance of human and deity. The appearance of Hebo becames more humanization through webtoon and drama. This also supports the idea of relationship becomes present by female character. Therefore, this myth is not just stagnant between male deity and female, by extension, the myth transforms i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ne female and outstanding male. Especially, in “Hebo’s Bride 2017” the spinoff of drama has a decisive influence of making Hebo into humanization. The myth of Hebo, classical narrative and modern transformation shows that the existence of Hebo has the power to penetrates Korea and China since ancient times. This means that the only the classical contents can be valid to the reality and also the co-existence of Korea and China, the classical narrative, even more the culture to communicate should be raise from the well; what we call myth and classics.

      • KCI등재

        띠배의 기능과 의미 확장

        최진아(Choi Jina)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5

        본 논문은 해안가 의례에 나타나는 띠배의 기능과 의미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축제화 된 풍어제에서의 위상과 의미 확장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띠배는 여러 다양한 이칭을 지니며, 서남해안과 제주도 일대에서 풍어를 기원하는 의례 시에 띄워지고 있다. 띠배는 소각이 주가 되는 심지형과 원통형, 멀리 띄워 보내는 것이 주가 되는 배형과 뗏목형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이 중에서 배형이 전국적으로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심지형은 서해안 일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외에 뗏목형과 원통형은 일부지역에서만 나타나고 있다. 뗏목형은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에 원통형은 풍어제를 축제화하면서 관광객에게 소원지를 매달게 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형태로 주목된다. 띠배가 띄워지는 시점은 대체로 종반부에 바다로 띄워 보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서해안의 일부 지역에서는 초반부와 종반부에 두 차례 띄우기도 한다. 종반부에 띄우는 것은 신에게 헌물을 보내는 운반구로 이해된다. 반면에 초반부에 띄우는 것은 그 자체가 부정을 상징하여, 이것에 반드시 불을 붙여 바다로 띄워 보내야만 부정이 제거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띠배는 띠풀?짚?갈대?소나무?수수대 등과 같이 주변에서 구하기 쉽고 물에 잘 뜨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는 환경적인 요소와 기능성이 고려된 결과라 볼 수 있다. 띠풀은 저승과 이승을 잇는 의미를, 짚은 풍요와 벽사의 의미를, 갈대는 다산의 의미를, 수수대는 액을 막아주는 의미를, 그리고 소나무는 공간을 보호하고 정화하는 의미를 지닌다. 그 안에 담겨지는 구성물에는 허재비, 공물, 길지 등이 있다. 허재비는 용왕, 장군, 별상 등의 신체로 상징되며, 제물은 용왕과 수사자 등을 위한 폐백음식, 길지는 예단이라 할 수 있다. 띠배의 명칭은 그 중요도를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서 달리 불려진다. 띠배?짚배?떼배는 재료에, 부산?발심지는 기능에, 퇴송배[退送船]는 의례절차에, 헌석배[獻食船]는 목적에, 혼배와 용선은 신격에 중요도를 두고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든 띠배가 불에 태워지지는 않는다. 소각 시에는 액을 제거하는 기능을, 띄워 보내기만 할 때에는 신에게 제물을 가져다주는 운반구로서 기능한다. 띠배는 마을 전체의 액을 소멸시켜주고, 신에게 보낼 헌물을 안전하게 태워 보냄으로써 마을에 안위와 풍어를 가져다주는 종교적 상징물로 인식된다. 오늘날의 풍어제는 사회적 변화와 지역 주민들의 신앙적인 면이 약화되면서 과거에 비해 규모가 축소되거나 아예 의례를 생략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면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문화자원이 바로 풍어제라 할 수 있다. 특히, 띠배띄우기는 관광객들에게 소원지를 매달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가장 흥미로운 체험행사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띠배를 크게 만들거나 장식을 화려하게 하거나 아예 새로운 형태로 재생산하기도 하지만 재료에는 변화가 없다는 점과 또한 띄우기 전 지역민과 관광객 간의 구분을 두기 위해 소원지를 시간차를 두고 매단다는 점 등을 통해 띠배가 지니는 신앙적인 면은 여전히 전승하려는 노력을 보인다는 점도 주목된다. 마을주민과 관광객은 모두 띠배를 띄우는 동안만큼은 기존의 동제에서 중요한 기능으로 여겼던 일체감과 동질감을 일시적으로나마 형성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이 해안가 지역에서는 자신들의 종교의례를 관광 자원 화하여 그 종교적 혜택을 자신 뿐 아니라 관광객과 공유함으로써 그 상징의 수용대상의 범위가 넓어지고 더 나아가 상징이 재생산되어 띠배가 지니는 의미가 보다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