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中國“十七年”時期北韓文學譯介研究

        손제,노정은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The "17-Years" period after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s a very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even the translation of foreign literature. The foreign literature translation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are not as blank as most scholars think, but can be regarded as the golden age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nslation literature. During the "17-Years" period of translation,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Korean literary works. Studying these works is of great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China’s perception of Korea at the time. But due to the special historical environment of this period, the translation and translation of these literary works was seriously affected by the national ideology. On the one hand, North Korea literary works in the same ideological camp were translated into large numbers. On the contrary, South Korea literary works in the hostile ideological camp were completely banne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phenomenon of a large number of translations in th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activities befor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during this period, the translator can directly translate the Korean texts, which undoubtedly greatly improved the accuracy of translation and avoided Influenced by literary discourse in other translation countries. But under such strong ideological intervention, what kind of tendency does the translator have in translating Korean literary works, and how this translational tendency will affect the translation of literary works. This article will reorganize the status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during the "17-Years" period, and attempt to analyze the specific ways of transl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during this period. ‘17년’시기(1949~1966) 중국의 외국 문학 번역 활동은 대부분의 학자가 ‘공백기’라 여겼던 것과 달리 외국 문학 번역사의 ‘황금시대’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중화인민공화국(1949)건립 이후, ‘17년’시기 동안의 외국 문학 작품들은 중화민국 초기보다 더 많이 번역되었지만, 중국과 외국 학술계는 이 시기 번역 활동에 많은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 이유는 중국 ‘17년’시기의 외국 문학 번역 활동이 상대적 특수한 정치 이데올로기에 의해 진행되었고, 외국 문학의 번역 활동은 주로 정치적 관계로 구체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현 중국에서의 한국문학 번역 작업은 주로 3, 40년대와 한중수교(1992)이후 활동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한중수교 이후의 한국문학 번역 연구는 번역된 텍스트뿐만 아니라, 번역 후원자에 대한 논의까지 다루고 있는 실정이지만, ‘17년’시기의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불과하다. 이 시기 중국에서의 한국문학은 ‘남조선문학南朝鮮文學’이라 불렸는데, 이는 ‘조선문학朝鮮文學’이라고 불린 북한문학을 근거로 그 명칭을 정한 것이었다. 통상적으로 1949년 이전까지는 한국문학이라는 명칭을 사용했지만, 신중국 건립 이후부터 1992년 한중수교 이전까지 중국과 같은 사회주의 진영인 북한의 문학을 ‘조선문학’으로, 남한 진영의 문학을 ‘남조선문학’으로 그 명칭을 각각 구분하여 사용했으며, 이후 이 둘을 다시 한국문학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했다. 1948년 이후 한반도에서는 냉전 이데올로기가 강제되어 남,북한 두 정권이 각각 설립되었지만, 이를 단순히 두 나라의 문학으로 볼 수 없다. 문학은 언제나 통일된 주체이고, 문학적 대립은 이념적 대립과 같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17년’시기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번역 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분단 초기 한국문학의 일부로써 북한문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기존 한국문학 번역 연구의 격차를 해소하고, 20세기 중국의 한국문학 번역 연구의 전체적 맥락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17년’시기 정치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기조로 한국문학의 번역 활동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번역 당시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이 시기의 중국과 한국의 문학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대 담론과 중국의 번역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번역은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그 자체로 문화 교류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문화간 의사소통으로써 번역에 대한 연구는 번역 수용 국가의 문학적 배경뿐 아니라 원작 국가의 문학적 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된다. 다음, 당시의 번역 상황과 경로를 정리하고, 관련 연구 자료를 보완하며, 구체적인 분석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당시 작품들의 번역 상황을 정리하고, 이들 작품과 당시 북한 문화 정책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더불어 이 시기 번역된 작품들을 ‘전쟁’, ‘찬양’, ‘투쟁’이라는 세 주제로 세분화하여 중국 내 문학 주제와의 상관성을 분석한다. 또한 3, 40년대의 번역 상황과 비교해, ‘17년’시기 중국 내 문학 번역에 도움이 된 출판계의 여러 배경과 번역 경로를 탐색한다. 마지막으로, 이 시기의 국가 담론에서 형성된 번역 경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경향들이 번역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중국의 한국문학 번역 활동을 ‘좌경문예左傾文藝’와 ‘약세민족문학弱勢民族文學’의 두 가지 경향으로 나누고 이러한 경향이 번역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 역사⋅문화유산 활용 사례 및 시사점 — 고전 명저를 활용한 ‘문화관광’ 자원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여병창,최인호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5

        Since the 1980s, as the perception that tourism is also a kind of cultural phenomenon has spread, so-called “cultural tourism,” including “literary heritage” tourism, has become popular worldwide and has become the preferred target of the market. literary tourism generally means visiting famous places related to writers or works. Regarding literary tourism, Herbert, D. argued that “literary places gain meaning in connection with writers and in the background of novels, and these places attract tourists and form part of the cultural heritage tourism landscape,” and that people visit places related to literature for various reasons. As interest in literature increases and people’s visits increase, various measures are provided to attract literary tourists in places with literature-related resources. The quality of literary tourist attractions is created by combining the requirements of tourist attractions, such as attractive environments, convenient facilities and services, travel schedules, relevance to writers, composition of story backgrounds, values, nostalgia, memories, and symbols.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these points at the policy level, develop or preserve literary relevance, and strive to improve general tourism attraction and accessibility. In response, this paper examined how the historical and cultural origins and background areas of China’s four major historical novels, such as Romance of Three Kingdoms, The Water Margin and The Journey to the West are developed and used as high-quality “cultural tourism” resources. 1980년대부터 관광도 '일종의 문화현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문학유산(文學遺産)’ 관광을 포함한 이른바 ‘문화관광’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시장이 선호하는 대상이 되었다. 경제 발전과 사회 진보에 따라 관광상품에 대한 욕구는 전통적인 대중관광이 아니라 문화적 함의와 품격을 부여받은 관광상품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었다. 최근 국제관광객의 절반 이상이 문화관광객으로 간주되는 등 전통적인 관광 대신 ‘문화관광’이 관광의 패션 용어가 되고 있다는 통계도 있다. 문학관광은 일반적으로 작가나 작품과 관계된 유명한 곳을 방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허버트(Herbert, D.)는 문학관광과 관련하여 “문학 장소는 작가와의 연계성과 소설의 배경에서 의미를 얻게 되고 이러한 장소는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문화유산관광 경관의 일부를 형성한다.”라고 주장하면서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문학과 관련된 장소를 방문한다고 하였다. 이렇듯 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사람들의 방문이 늘어나면서 문학관련 자원을 보유한 곳에서는 문학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들을 제공하고 있다. 문학관광지의 질은 매력적인 환경, 편리한 시설과 서비스, 여행일정 등 일반적으로 관광지가 갖추어야 할 요건과 작가와의 관련성, 이야기 배경의 구성, 가치·향수·기억·기호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문학관광지만의 특별한 요건이 결합되어 만들어진다. 이러한 점들을 정책적인 차원에서 면밀히 검토하고 문학적 관련성을 개발 또는 보전하고 관광매력과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상대적으로 ‘역사․문화유산’을 활용한 문화관광 자원의 개발이 활발한 중국의 사례들을 통해 중국에서 중국 4大 고전 역사소설 중 三國演義 , 水滸傳 , 西遊記 등 세 작품의 역사 문화적 발원 및 배경 지역을 어떻게 양질의 ‘문화관광’ 자원으로 개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유랑지구(流浪地球)』, 애국주의를 유랑하다

        김남희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Released during the lunar New Year season of 2019, “the Wandering Earth” hit great success, jumping to the second place in the box office for all films ever screened on the Chinese mainland. Regarding the film’s achievements, domestic critics highly appreciate its comparatively mature storytelling and overall verisimilar effects, regarding it as the true beginning of the Chinese SF genre. At the same time, some voiced genuine concerns about the tendency of nationalism and patriotism that recent Chinese blockbuster films seem to promote.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explores the meaning of so-called the first Chinese SF film by looking at how discourses have been evolving on the film’s massive success. “The Wandering Earth” is set in the far future, where the solar system is in danger and all the countries get united in rescuing it under the leadership of China. The film describes the world as a cooperating whole by making the USA invisible. But in reality, “the Wandering Earth” barely excluded the existence of the USA from its production to distribution. In fact, the USA’s invisibility in the film, which comes from the China’s sense of rivalry with it, reflects the American influence in an ironic way. For example, the film connects the situation of moving the earth with China’s agrarian civilization, and this is strikingly remindful of the 1980s’ binary thinking of China’s agrarian civilization vs. Western marine civilization. Once used to criticize the backwardness and passiveness of China, this binarism is now being re-adopted to highlight the Chinese greatness and its difference with the western culture. One point that claims our attention is that this binary discourse is being reinforced in school through the curriculum. Since “the Wandering Earth” has been very popular and was included by the Chinese education ministry in the list of recommended film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s on the film are being asked in the school exams and ‘the exemplary answer’ is widely adopted as the only right way to view the film. In the process, without the space for plural interpretations of the China’s first SF film, its meaning is reduced simply to a text that shows well the value of Chinese traditions. 2019년 음력설을 맞아 개봉한 영화 『유랑지구(The Wandering Earth)』는 흥행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중국 역대 박스오피스 2위에 올랐다. 영화에 대해 중국 국내에서는 많은 이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비교적 성숙한 스토리텔링과 실감나게 구현해낸 시각효과 등을 근거로 ‘중국 SF영화의 원년’의 도래를 반기는 분위기이다. 반면 G2로 성장한 중국의 블록버스터가 근래 들어 보여주는 애국주의, 국가주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본 논문은 『유랑지구』의 성공과 그에 대한 해석이 전개되는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중국의 첫 SF영화의 등장이 갖는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유랑지구』는 태양계가 소멸할 위기에 빠진 먼 미래를 배경으로 중국의 주도 아래 각국이 힘을 모아 지구를 구해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화 전반에 걸쳐 미국이 비가시화됨으로써 영화는 비로소 서로 협력하는 세계를 순조롭게 그려낼 수 있었지만, 동시에 중국이 상상하는 세계의 한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그러나 영화 내용과 달리 현실에서는 미국의 존재를 결코 지우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제작부터 유통, 평가에 이르기까지 미국의 영향과 경쟁의식이 드러나는 이 영화는 할리우드와의 차이를 강조하기 위해 ‘지구를 옮긴다’는 설정을 중국의 농경문명의 전통으로 연결시킨다. 이 과정에서 1980년대 제기되었던 ‘중국의 농경문명/서구의 해양문명’이라는 이원적 사유구조가 다시금 소환된다. 중국문화의 낙후성, 소극성을 비판하는 데 사용되었던 이 논리는 이제 ‘우수한 중화 전통문화’와 서구문화의 차이로 해석되고 재생산되고 있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러한 담론이 교육과정을 통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유랑지구』가 인기를 끌고 교육부가 선정하는 ‘초·중등학생에게 추천하는 우수영화목록’에 포함되자 영화를 활용한 시험문제가 출제되고, ‘모범답안’을 통해 획일화된 해석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중국의 첫 SF영화로서 영화가 가지는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은 소거된 채, 『유랑지구』는 전통 중화문화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의미가 축소되고 있다.

      • KCI등재

        중국조선족 항일가요의 혼종성과 과도기적 정체성

        임항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8

        중국조선족은 중국항일전쟁시기 가장 일찍 항일전쟁에 참가한 소수민족 중의 하나로서 그들은 중국의 기타 여러 민족들과 함께 싸워 중국항일전쟁의 승리를 위해 거대한 공헌을 하였다. 조선족 음악은 중국음악을 구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음악으로, 특히 항일전쟁 시기 조선족 이주민들은 끈질긴 혁명의지와 깊은 민족의식으로 많은 음악을 작곡했다. 항일전쟁시기의 조선족 가요는 인민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항일 전쟁 정신을 선전하는 음악으로 조선족 이주민대중에게 널리 전파되었다. 이들 가요는 항일전쟁 당시 조선족 이주민들의 생활상을 잘 표현한 것으로 조선족 이주민들의 혁명정신과 항일전쟁 승리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반영하고 있다. 항일전쟁 기간 중 중국 사회는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상태였으며, 조선족 이주민들은 이러한 중국 사회 환경의 영향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접하면서 문화가 혼합된 상태를 형성하였다. 본문은 7곡의 조선족 항일가요의 음악 출처, 창작, 배경, 가사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조선족 항일가요가 여러 지역의 문화를 흡수하였음을 논증하고 이러한 혼종적 음악이 조선족 이주민의 정체성이 중국으로 옮겨가고 있는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조선족 항일가요는 조선족 음악사뿐만 아니라 중국 음악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족 항일가요에 대한 연구는 조선족 음악의 형성과 발전의 맥락을 이해하고 중국조선족 음악사 연구에 가치 있는 사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중국조선족의 정체성이 변화하는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의미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現代中國 인터넷 新字 小考

        박석홍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6

        Looking at the whole process of the occurrence and change of Chinese characters, new Chinese characters were constantly cre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people's perception of the classification of objects. Th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letters related to animals, plants and objects illustrate of this fact. In particular, from the early 20th century to the 1960s, the formation of new cultur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objects served as a momentum for the increase in demand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large numbers of new character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the symbol of the chemical element. It is rare in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to see such a large increase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Recently in China, new "characters" have been created by Chinese Internet users at online space, or existing characters have been used in entirely new way. These new "characters" have emerged as the background of modern Chinese society and culture, and these unique characters can be called “New Chinese Characters on the Internet in China”. This paper just analyzed the shape and structure features of these new “characters”, and also analyzed the social and cultural factors of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New Chinese Characters on the Internet in China”. 최근 중국에서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다수의 ‘문자’들이 만들어지거나 기존 문자를 전혀 새로운 용법으로 사용하는 풍조가 중국 네티즌 사이에서 나타나고 있다. ‘문자’가 만들어져서 언중들 간에 광범위하게 유통되기까지 소요된 시간과 그 범위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와 같이 ‘約定俗成’의 신속한 형성 사례는 한자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가 없다. 이전의 한자 생성 및 증가 과정과는 확연히 다른 이와 같은 양상은 현대 중국인들이 처한 문자 운용상의 환경이 이전과는 다르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바로 컴퓨터라는 새로운 ‘서사’ 수단과 인터넷이라는 문자 소통의 새로운 ‘공간’의 출현이라는 특수한 언어소통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인터넷은 바로 현대 중국인들이 문자를 통해 소통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또 다른 공간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 인터넷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출현하여 새로운 ‘문화권’을 형성하면서, 최근에는 중국 현대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독특한 ‘문자’가 새롭게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인터넷 新字’들이다. 본고는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최근까지 생겨난 인터넷 新字들을 고찰 대상으로 삼아, 이들 비주류의 ‘문자’들이 가진 형체 및 구조 특징, 그리고 생성 요인들을 언어·문자·문화적인 각도에서 분석해보았다. 또한 현대중국인들의 독특한 문자 생활의 일면을 이해하고, 여기에 내포된 문화적 함의를 분석함과 더불어, 향후 문자의 생성·변화·발전에 관한 새로운 흐름들에 대해서도 전망해보았다.

      • KCI등재

        현대중국어 조동사 ‘應該’의 연용 양상 연구

        김지영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7

        본 연구는 현대중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인식양태 ‘应该’가 다른 양태조동사와 결합하여 연용되었을 때 양태 의미와 규칙을 살피고, 화용적 측면에서 應該 연용 현상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실제 출현 양상으로는 ‘應該會(1,807개)’, ‘應該可以(573개)’, ‘應該能(99개)’, ‘應該可能(47개)’, ‘應該夠(26개)’,‘應該要(25개)’, ‘應該得(15개)’, ‘應該想(13개)’의 순서로 많았다. 화자의 발화가 상대방에게 완전하게 전달되게 하기 위해서 발화자는 하나의 조동사를 사용하여도 의미 전달이 가능하지만 하나 이상의 조동사를 연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인식양태 ‘應該’와 다른 양태조동사와의 연용은 화자의 발화 과정에서 반확신과 모호함을 나타내는데 이는 화용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반확신’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이나 이는 자신의 말이 확실하지 않음을 표현함으로써 오히려 상대방과의 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또 자신의 책임을 가볍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대화를 구성하고 대화에 참여한 화자와 청자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교류를 유지하고 촉진시키는 화용적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맥락에 따라 청자의 공감을 유도하기 위해 축자적 의미 외에 화용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음을 보였다. 화자는 청자에게서 자신의 발화 내용에 대한 책임을 걱정하여 인식양태 조동사 ‘應該’를 연용하여 모호한 표현을 하여 자신의 의도를 함축적으로 전달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반확신인 것으로 표현하지만 오히려 자신 발화의 책임을 회피하고 이를 통해 오히려 청자에게서 동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 것이다. 본고는 인식양태 ‘應該’의 연용 양상의 분석을 통해 인식양태 ‘應該’의 화용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한자와 중국 간화자의 학습 상관성에 관한 대학생 인식 및 학습 실태 연구 — 대학 학부생 중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황신애,김지영 중국문화연구학회 2019 중국문화연구 Vol.0 No.45

        South Korea and China are countries belonging to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the two countries' text and language are closely related geographically and historically. The two countries based on Chinese character culture have developed literature and art through their own language, culture and literature records for thousands of years, using a common medium called Chinese Characters. The two countries have used the same Chinese Characters in Chinese character culture for many years, but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both countries are different in their forms. Currently, traditional shaped Chinese Characters is used in Korea based on the shape of Kang Hee Jajeon, while in China, The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s used. This study surveyed learners' perceptions and realities about the learning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characters. In order to examine the existence and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and simplified character learning, we conducted the study in two aspects. One is to look at learners' perceptions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learning correlations through a survey response method for students currently learning Chinese at universities, and the other is to use specific survey responses to identify simplified characters that match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to examine the correct rate of selection by learning level and to see if the results of the respondents' recognition survey actually match the learner's selection results. Through this research, we checked the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and also looked at the status of learners' study about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degree of Chinese characters acquisition and Chinese language acquisition. 한국과 중국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나라로 양국의 문자와 언어는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매우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한자문화권 기반의 양국은 漢字라는 공통된 매개를 사용하여 수천 년 동안 자국의 언어와 문화 및 문헌기록을 통해 문학·예술 등을 발전시켜 왔다.양국은 오랜 세월 한자문화권에서 同一 漢字를 사용하여 왔으나, 현재 양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漢字는 그 형태가 사뭇 다르다. 현재 한국에서는 강희자전 자형을 기반으로 한 전통 자형의 漢字를 사용하고 있고, 중국에서는 간화자를 사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자와 간화자의 상관 관계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실태조사를 통해 두 문자 체계간의 학습 상관성을 파악해 보았다. 한자와 간화자 학습의 상관성 유무와 상관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는 두 가지 측면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나는 현재 대학에서 중국어를 배우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응답 방식을 통해 (한자와 간화자간 학습 상관성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전통한자와 일치하는 간체자를 찾아내는 구체적 설문 응답을 통해 학습 수준별 간화자 선택 정답률을 살펴보고 또 응답자들의 간화자 선택 인식조사에서 나타난 결과가 실제로 학습자들의 간화자 선택 결과와 부합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한자와 간화자 학습의 상관성에 관한 대학생들의 인식 실태를 파악하고, 아울러 한자 습득과 중국어 습득 정도에 따른 학습자들의 간화자 학습 실태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宋代 문화와 서사문학 발전의 상관관계 연구

        이시찬 중국문화연구학회 2014 중국문화연구 Vol.0 No.24

        本論文主要考察宋代文化與敍事文學發展之相關關係。宋代文化, 無論在人生思想、精神境界、審美意識、城市結構、價値觀念或社會心態乃至生活情趣等等方面, 自與前代有所不同。這樣不同, 就構成瞭宋代文化的特點.。這些特点, 大緻可以槪括如下:一、宋代精神文化素質, 較前代特爲高.。由于宋代科擧考試、高等敎育向一般士人乃至工商雜類轉移, 地方學校的設立較爲普遍, 私學與書院的發展, 于是讀書人口增加, 著書的人也增多, 全社會的文化素質, 自然較前代爲高.。二、知識分子受到尊重。自太祖趙匡胤廣範地實施文治政策以來, 由于門閥士族衰落, 士庶界限泯沒, 門第血統關係在社會政治生活中的支配力量就大大削弱; 又由于科擧制度的推行,爲地主階級的下層乃至自耕農民、工商雜類提供進身之路, 讀書受敎育、學知識, 就受到社會的普遍的重視; 知識和個人的才能在社會政治中的作用大大增强。三、宋代物質文化質量, 在經濟結構和城市結構上, 較前代特爲突出.。在宋代城市發展過程中, 隨着舊的坊市制的崩潰, 商店可以在城內外沿街設置, 高大的酒樓聳立起來, 商品經濟空前活躍, 同時開始出現了都市文化娛樂市場‘瓦舍’。206 中國文化硏究 第24輯如上所述的宋代文化的特點就促進了敍事文學的發展。尤其是書會的出現, 使以小說爲代表的敍事文學的分化也作了促進作用。還有, 在敍事文學作品里女性形象的重要性增多也不可或缺的事實。綜而言之, 中國古代小說的發展至宋代, 出現了重要轉折現象, 卽以文言小說爲主的敍事文學主要變爲以通俗小說爲主。小說史上的這一巨大轉折, 在元明時期達到全盛, 起了決定性的作俑。 從根本上講, 促成這一轉折的主要原因是自宋代開始的成市經濟的繁榮如市民階層的壯大。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