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VID-19 전후 국가R&D 연구성과 영향 요인 비교분석 - 의약학분야와 전체 분야의 차별성을 중심으로 -

        차윤경(Yun-kyung Cha),이홍석(HongSeok Lee),허광래(Kwang-Lae Hoe)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12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전후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성과 영향 요인을 비교분석하여 위기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기초연구사업의 의약학분야와 전체 분야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차별성을 도출하여 의약학분야만의 특성을 세밀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 영향 요인은 성별, 과제별 유형(개인연구/집단연구), 정부출연금의 3가지로 추출하였고, SCI(E)(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논문 성과의 양적차이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결과 성별은 기초연구사업 의약학분야에서 COVID-19 발생 전후로 SCI(E)논문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전체 분야에서는 남성 연구책임자가 SCI(E)논문 성과 도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별 유형 중에서는 집단연구가 의약학분야 SCI(E)논문 성과 도출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전체분야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로 편차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COVID-19와 같은 위기를 대비하여 학문분야별로 이끌어 갈 정책방향을 차별화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tional R&D project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applicable to crisis situations. The subjects of my research are Medical sciences field of the Basic Research Program, and by analyzing the entire field together, I trie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s of medicine and pharmacy in detai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gender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SCI(E) publication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s, while male principal investigators had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CI(E) publication in all fields. In addition, among the types, group studies had a relatively high impact on the outcomes of SCI(E) publication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s, 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deviation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e overall fiel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in preparation for crises such as COVID-19,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olicy direction to be led by each academic field.

      • KCI등재

        ABCD 기반 융복합교사교육 모형 개발 연구

        차윤경(Yun-Kyung Cha),박미영(Mi-Yeong Park),김선아(Sun-Ah Kim),김정덕(Jung- Doek KIM),류수열(Su-Yeol Ryu),박주호(Joo-Ho Park),안성호(Sung-Ho Ahn),전유아(Yuah Chon),정재원(Jaewon Jung),주미경(Mi-Kyung Ju),함승환(Seung-Hwan H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21세기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융복합교사교육의 원리와 지향점을 탐색함으로써, ‘자율성’, ‘가교성’, ‘맥락성’, ‘다양성’(즉 ABCD)의 교육원리에 기반 하고, ‘생애발달주기’, ‘실제적 역량’, ‘감성적 체험’, 그리고 ‘융복합적 역량’을 중심으로 하는 교사교육에의 융복합교육적 접근을 취하는, 다양한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한 교사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창의·인성교육 교사전문성 신장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그 ABCD 원리에 기반한 융복합교사교육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융복합교사교육 모형은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통해 수정·보완되어 최종적으로 완성되었으며 서울의 한 사범대학의 예비교사 교육에 적용되어 그 현장적용 가능성이 타진되었다. 그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교육 전문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ABCD 기반 융복합 교사교육 모형이 더 다양한 교사양성 기관과 더 다양한 교과목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Recentl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developed policy initiatives for enhancing school children’s creativity and character. This is because creative decision making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are now thought of as key competences required for members of a culturally diversified world village.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a recent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BCD-based Yungbokhap Teacher Education” model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model has adopted the four principles of Yungbokhap Education: Autonomy, Bridgeability, Contextuality, and Diversity; it has also taken four key strategies of atten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in teachers’ professional life span, to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competenc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o “affective” experience and embodiment of a variety of method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o development of Yungbokhap competences for practicing in classes and the school environment in integrative and inclusive ways. These were to help pre-service teachers develop competences to holistically interact with their own Selves,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ir future students,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 An implementation of the ABCD-based model in four major and three teacher education courses at a colledge of education in Seoul has produced statistical and qualitative positive results indicating its effectiveness and fruitfulness, which is accepted as strongly suggesting that the same model can be successfully adopted and implemented for other institutions of teacher preparation, and in other courses as well.

      • KCI등재

        초·중등 정보과학교과 및 관련 정책의 제도화에 관한 비교연구

        차윤경(Yun-Kyung Cha),함승환(Seung-Hwan H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05 比較敎育硏究 Vol.15 No.1

        이 연구는 지난 약 30년 동안에 걸쳐 세계 여러 나라의 초·중등 정보과학교과 및 관련 정책의 제도화와 확산 과정을 점검해 봄으로써 세계정치문화체제(world polity)의 제도적 구성물로서의 교육과정의 성격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세계 130여개의 다양한 국가들로부터 얻어진 광범위한 비교교육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초·중등 교육기관의 정보과학교과목 도입은 개별국가의 특수한 사회경제적 조건보다는 세계적 차원의 문화 및 교육 관련 담론의 확산과 더불어 제도화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세계 여러 나라의 정보과학교육이 각 국가의 구체적 필요에 바탕을 둔 기능적 요구의 충족수단이라기보다는 세계 차원의 문화를 반영하는 제도적 구성물로서 이해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global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as a legitimate curricular content and as an important national education policy agenda. An extensive analysis of the relevant cross-national data suggests that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incorporated in the school curricula and becomes an important national education policy agenda quite independent of the divers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nation-states. The paper argue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s a worldwide phenomenon legitimated in the transnational cultural environments reflecting universalistic educational rationales and ideologies such as the “scientization of society.” Thus, the incorporation of information science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a and in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issues is more or less a taken-for-granted rational choice of major social actors such as nation-states, schools, and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 KCI등재

        다문화반차별정책의 교육적 방임 방지 효과: 이주배경 아동의 무단결석 현상을 중심으로

        양경은 ( Kyung Eun Yang ),차윤경 ( Yun Kyung Cha ),함승환 ( Seung Hwan Ha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2

        국경을 초월한 이주의 추세가 확산됨에 따라 각국의 이주배경 아동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부적응은 이들이 성인이 된 후에 사회적 차원의 심각한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개입의 중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경제적, 정치적, 사회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이주민이 부당하게 차별받지 않도록 강제하는 다문화반차별정책은 이와 같은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의 한 형태라 할 수 있다. 각국의 다문화반차별정책 제도화 추세에 반해, 정책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적 분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한 탐색적 시도의 하나로서, 다문화반차별정책의 제도화 수준이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교육적 방임 지표인 무단결석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OECD 회원국 가운데 29개국의 15세 학생 22만여 명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문화반차별정책을 높은 수준에서 제도화하고 있는 국가일수록 아동의 이주배경 지위가 가지는 무단결석률에 대한 정적 효과가 유의하게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전반에 걸쳐 반차별적이며 다문화사회 친화적인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이 이주배경 아동에 대한 교육적 방임 방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장기적으로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both scholarly and policy circles around the world,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cultual policy as it purports to manage diversity in face of increased international migration. Despite the cross-national spread of multicultural policies, little effort has been made for systematic policy evaluations. As an attempt to fill this research void,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ion policy, especially in relation to its effect on truancy reduction for immigrant children. Using a sample of approximately 224 thousand children (aged 15 years old) selected from more than nine thousand schools across 29 OECD member states, a three-level logit analysis based on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ing has been conducted. The main findings clearly suggest that the degree of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anti-discrimination policy at the country level is strongly associated with truancy reduction for immigrant children. This provides a piece of illustrative evidence that multicultural policy, if implemented successfully, could work as intended toward social integration in a diverse society.

      • KCI등재

        국내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의 제도화 및 재맥락화

        서승연 ( Seung Yeon Seo ),차윤경 ( Yun Kyung Ch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이 지난 20여 년간(1991∼2010년)에 걸쳐 변화된 과정을 주요 사례로 삼아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의 조직과 운영방식 및 내용이 어떻게 확산되고 동형화 또는 다양화되어 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세계사회의 문화가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지원기관에 어떠한 방식과 내용으로 반영되고 재맥락화 되었는지를 탐색적으로 연구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면, 다문화교육지원기관은 개별국가의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필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적 도구라기보다는 세계의 문화적 가치와 규칙을 상당한 정도로 반영하는?제도적?구성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세계통합에 따른 문화적 담론의 영향력이 국내 다문화 교육지원기관의 주요 변화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그 본래의 의미가 재맥락화 되어 왔을 가능성을 경험적 자료에 근거하여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문화교육에 관한 논의에 보다 거시적인 세계사회적인 시각을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As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this study attend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re)contextualiz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over the past two decades (1991-2010). A set of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was gathered from various official sources, primarily the websit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has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in Korea? 2. How has the func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been contextualized in Korea? With regard to the research question 1,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ulticultural centers in Korea has been responsive to a collection of “universal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that have been elaborated and disseminated on a global scale. The data indicate that the official mission statements of those centers frequently emphasize notions such as global human rights, global community, and cultural diversity, all of which represent some of the central elements of global epistemic models of multiculturalism. One way to interpret this finding may be that the perceived need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have largely been socially constructed based on global discourses on multiculturalism, fairly independent of substantive societal needs for them. As for the research question 2, a series of analyses of the data points to the possibility that the content of the programs in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is “loosely coupled” with the official missions. An illustrative example of such a loose coupling is that many of those centers have been focusing their educational programs on Korean cultural elements, while their official mission statements ostensively emphasize universal cultural norms and values. In addition, the data show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and the size of cultural minority groups (e.g., foreign workers, marriage immigran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cross different parts of Korea. These findings may lead one to suspect that the function of those centers has been recontextualized in a way to assimilate cultural minority groups into the dominant Korean culture. Overal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ise and diffus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in Korea may not simply be a functional response to concrete societal needs within the country, but a reflection of global epistemic models that help us reinterpret and render new meaning to diversity in society. This study hopes to provoke further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local processes from a world-society perspective.

      • KCI등재

        국내 NGO의 세계시민권 의제의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흥사단과 참여연대를 중심으로

        오춘식 ( Chun Sik Oh ),차윤경 ( Yun Kyung Ch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2 시민교육연구 Vol.44 No.4

        이 연구는 국내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NGO에서 반영하는 시민권 의제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세계사회 속에 배태된 제도적 구성물로서의 NGO의 성격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NGO인 흥사단과 참여연대를 대상으로 혼합연구를 실시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두 NGO에서 전통적인 시민권에 관련된 개념에 대한 강조는 여전히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러한 강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근대적 시민권에 관련된 개념에 대한 강조는 1990년대와 2000년에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GO 활동가와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국내의 지역적 요소뿐 아니라 세계 수준에서 나타나는 요소 모두가 국내 NGO의 시민권 의제 설정 과정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o which the extent the global cultural environment influences the agendas and charters of Korean NGOs and tries to rethink the ontological character of domestic NGOs as agentic actors embedded in a wider world society. Conventional theories of sociology tend to view changes of domestic NGOs as resulting from their strategic action to advance their power and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Contrary to such conventional views, a neo-institutional perspective conceptualizes domestic NGOs as agents that constitute the core of world culture and propagate rationalized global cultural models. Based on this alternative perspective, we argue that domestic NGOs in Korea may be understood largely as products of world society. To examine the changing trends of Korean NGOs from the 1980s to the 2000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an extensive range of publications and official documents and interviewed with some NGO activists. The findings show that modern global citizenship theme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agendas and charters of domestic NGOs. Discussions of transnational elements of identity and concepts of rights have been on a rise since the mid-1990s, while the emphasis on traditional citizenship themes has diminished over time. Finally, our interviews with NGO activists also indicate that international flows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via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for example, have played a substantial role in shaping the agendas and charters of Korean NGOs. Going beyond explanations of functional necessity or strategic planning, domestic NGOs appear to have a fairly transnational ontological character.

      • KCI등재

        세계통합과 한국 고등학교 사회교과 내용의 변화

        서승연(Seung Yeon Seo),차윤경(Yun-Kyung Cha)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2

        이 연구는 세계통합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사회교과의 내용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걸쳐 공통필수로 지정된 고등학교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회교과는 우리나라의 사회변화에 따른 요구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세계통합에 따른 거시적인 세계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과내용에서 국가사회에 대한 기술은 점차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세계사회에 대한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 의하면 세계통합이란 세계정치문화체제라는 공동체 속에서 보편적 문화규범이나 가치를 범세계적 수준에서 점차로 공유해 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개별국가의 국민을 넘어서 세계사회와의 구성원으로 새롭게 재정의 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내용의 변화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교과 내용의 변화에 각 국가의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세계통합에 따른 거시적인 사회문화적 요인도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ou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e larger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world-cultural rules and values are constituted and elaborated on a global scale. Analyzing a seri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half a century,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ar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have substanti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world-level curriculum models that emphasize global perspectives and pluralist social epistemology as opposed to nationalistic or ethno-centric ideologies. Based on a global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urricular change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s to be understood not only as a functional response to meet immediate societal needs but also as a global process through which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tic principles, human righ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increasingly given special attention throughout the world. This trend appears to reflect the changing definition of the individual as a global citizen who is expected to engage actively in world society beyond national boundaries.

      • KCI등재
      • KCI등재

        교사협력 학교풍토와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

        구하라(Ku, Hara),함승환(Ham, Seung-Hwan),차윤경(Cha, Yun-Kyung),양예슬(Yang, Yes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떠한 학교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 간 협력을 교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제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학교의 교사협 력 풍토 수준이 교사의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데이터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국가인 한국, 호주, 말레이시아 사례를 각각 분석하였고, 중학교 479곳의 교사 7,716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학교 및 교사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으로 상이한 세 국가 모두에서 일관성 있게 교사협력 학교풍토 수준이 높을수록 소속 학교 교사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육개혁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학교환경 조건으로서 협 력적인 학교풍토의 형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As a systematic effort to empirically examine how school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is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based on a multi-level sample of 7,716 teachers across 479 middle schools in Australia, Malaysia and South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lend credence to the hypothesis that teachers who work in a collegial climate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tegr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oster learner autonomy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is sheds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may find themselves more successful in their effort to manage instructional uncertainty when working in a collegial climate. This result is very suggestive,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collegial climate on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appears quit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countries analyzed despite the fact that the three countries exhibit quite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자기-타인평가일치가 학교 내 교사협력에 미치는 영향

        이전이(Lee, Jeon-Yi),구하라(Ku, Hara),박주호(Park, Joo-Ho),주미경(Ju, Mi-Kyung),차윤경(Cha, Yun-Kyung),최경준(Choi, Kyoung-Jun),함승환(Ham, Seung-Hw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을 위한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인 교사협력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교장의 수업지도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자기 평가와 교사/타인 평가 간 의 (불)일치 유형에 따라 학교 내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TALIS 2008 데이터 가운데 우리나라 전국 48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장 48명과 교사 819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에 따라 교사 간 협력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교장과 교사 간의 평가 (불)일치 유형을 ‘고평가 일치’ 유형(준거 집단), ‘저평가 일치’ 유형,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으로 분류할 때, 과소평가자 교장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의 교사들에 비해 교사 간 협력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대평가자 교장 유형이나 저평가 일치 유형의 학교 교사들은 고평가 일치 유형 학교 교사들에 비해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유의미하 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사 간 협력 활동을 촉진하는 기제로서 학교장의 수업지도성에 대한 평가가 다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the degree of teacher collabo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rincipal-teacher rating (dis)agreement regarding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alyzing data from 48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originally gathered by the OECD’s TALIS 2008 survey, the study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degree to which teacher collaboration is fostered in schools may systematically differ depending on four (dis)agreement types, i.e., in-agreement/good, in-agreement/poor, over-estimator principal, and under-estimator principal. The main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working in ‘in-agreement/good’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both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agree that the principal exhibits effective instructional leadership) are most likely to engage in intra-school collaboration with other colleague teachers. In addition, ‘under-estimator principal’ type schools (i.e., schools where the principal under-estimates his/her instru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 while the teachers evaluate him/her highly) also appear fairly effective in fostering teacher collaboration. Conceptu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instructional leadership in multifaceted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