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 없는 정당효과?: 교육감 선거 후보자의 당선경쟁력 결정요인 재검토

        함승환(Ham, Seung-H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1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지는 현행 교육감 선거에는 정당의 관여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 교육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 가치에 기초하여 정당은 교육감 후보를 추천할 수 없고, 교육감 후보자 역시 특정 정당과 정책적으로 공조 관계임을 표방해서는 안 된다. 하지만 정당 배제의 원칙을 적용받는 교육감 선거에 실제로 정당효과가 발생하지 않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두 차례의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치러진 2014년 및 2018년 교육감 선거 결과를 토대로 교육감 후보자의 당선경쟁력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감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은 정당과 연계된 정치진영 역동에 의해 크게 좌우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교육감 후보자 가운데 시·도지사 당선자의 소속 정당과 정치적 진영이 일치하는 교육감 후보자가 그렇지 않은 후보자에 비해 당선경쟁력이 뚜렷하게 높았다. 또한 동일한 정치진영의 후보자가 함께 경쟁할 경우 이는 후보자의 당선경쟁력을 크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교육감 선거에서 사실상 정당효과가 작동하고 있을 개연성을 시사한다. 교육감 후보자에 대한 정당 공천은 이루어지지 않지만, 그것이 정당효과를 제거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f candidates in local elections for educational superintendents in Korea. The Local Education Autonomy Act prohibits the alliance between candidates of educational superintendents and a particular party in order to ensure the political impartiality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To examine if such political impartiality was actually realized in recent ele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profiles of the candidates and their electoral competi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2014 and 2018 local elections. The results revealed a strong effect of the candidates’ political profiles on their electoral competitiveness, leading us to suspect the presence of what may be called a pseudo-party effect despite the formal prohibition of candidate-party alliance.

      • KCI등재
      • KCI등재

        학교장의 교사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의 효과에 대한 비교문화적 재조명: 권력거리와 개인주의 문화차원을 중심으로

        함승환(Seung-Hwan Ham),최경준(Kyoung-Jun Choi),한재범(Jae-Bum Han),곽현주(Hyunju Kwak),이전이(Lee Jeon-Yi),최민선(Min-Seon Choi),최연뢰(Yanlei Cui)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학교장의 교수지도성 효과가 국가의 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일 가 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한 하나의 탐색적 시도로서, 학교장 교수지도성 행위의 핵심 항목인 교수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가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Hofstede의 문화차원 국제비교 데이터와 OECD의 교수학습 국제조 사(TALIS) 데이터를 결합하여 21개국에 걸친 방대한 자료를 구성한 뒤 위계선형모형을 통해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의 교수전문성 향상 촉진 행위가 교사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국가 간 편차를 보였으며, 이러한 편차는 상당한 정도로 각국의 문화적 권력거리 및 문화적 개인주의 수준과 같은 사회의 문화적 맥락의 함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영미문화권 기반 지도성 이론의 외현을 건설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보다 종합적인 관 점의 정교화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that principal leadership effectiveness significantly varies depending on national cultural contexts across countries. As an exploratory endeavor in this direction, this study focused on principals' behavior to inform teachers about possibilities for updat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 a central aspect of instructional leadership. Special analytic attention was given to how the same behavior of principals would yield varying effects on teacher efficacy depending on national cultural contexts. Data for the study were prepared by linking Hofstede's cultural comparison data to OECD's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data. As a result, multi-level data for 21 countries were analyzed based on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iderable variation existed between countries in terms of principal leadership effectiveness. Further, a large part of such variation was systematically explained by cultural variables –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quest for cross-cultural comparative analyses of educational leadership as they can provide useful insight into how to expand and enrich our perspectives on leadership and its effectiveness in school settings.

      • KCI등재
      • KCI등재

        이주배경 학생 밀집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

        이은지(Lee Eun ji),함승환(Ham Seung-Hwan)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Increasing cross-border mobility and migration in today’s globalized world gives rise to culturally diverse schools, which calls for new practices of school leadership and classroom instruction. Focusing on the notion of culturally responsive instructional leadership,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effective principal leadership may alleviate teachers’ perceive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eaching immigrant-background children. The data came from th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urvey 2017. A portion of the data was used in this study, i.e., the portion collected from teachers whose schools were located in areas of immigrant residential concentration.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immigrant-background children at schoo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teachers’ perceived challenges. However, such an association became weaker as principal leadership was performed to a greater degree in a culturally responsive way. It appears that the increase in teachers’ instructional uncertainty arising from student diversity does not necessarily result in the increase in their perceived challenges. The principal’s culturally responsive leadership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diversity and teachers’ perception of it as a source of difficult challenges. 국내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라는 특수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특히 학습지도의 어려움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어려움이 학교장의 효과적인 문화감응적 교수리더십에 의해 경감될 수 있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서울과 경기의 이주민 밀집지역 학교 교사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관련 분석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학교에 이주배경 학생이 높은 비율로 재학할수록 교사가 경험하는 학습지도의 어려움도 커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정적 관계는 학교 간 편차를 보였는데, 학교장의 문화감응적 교수리더십이 높은 수준에서 발휘되는 학교일수록 그 관계가 덜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 내 학생 구성의 다양성 증대에 따른 불확실성 증폭이 반드시 교사의 어려움 증가로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이주민 밀집지역 소재 학교에서 교사가 당면하게 되는 추가적인 불확실성이 교사가 체감하는 어려움의 증가로 이어지는 정도는 학교장의 리더십 변수에 의해 일부 조절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화변용 전략에 따른 학업성취도 차이 종단분석

        김태은 ( Tae-eun Kim ),함승환 ( Seung-hwan Ha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3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해 이주배경 청소년의 문화변용 전략에 따른 6년간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문화변용 전략에 따라 유의미한 학업성취도 차이가 관찰되었다. 먼저, 문화변용 전략 중 ‘통합’을 선택한 집단이 가장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였으며, 이어서 ‘동화’, ‘분리’, ‘주변화’ 순이었다. 또한 ‘통합’ 전략을 선택한 집단 내부에서도 ‘높은 수준의 통합’ 집단이 학업성취도가 더욱 우수했다. 한편, 한국문화 수용태도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았으나, 외국문화수용태도의 경우 낮은 수준의 집단에서만 다소 낮은 학업성취도를 보일 뿐, 중간 수준과 높은 수준 집단 간에는 학업성취도 차이가 없었다. 향후 이주배경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은 이들의 문화변용 전략을 보다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immigrant youth’s academic achievement over six years according to their acculturation strategies. A series of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MAPS data.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different acculturation groups. First, the ‘integr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followed by the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groups consecutively. Second, within the ‘integration’ group, the ‘high integration’ sub-group showed even higher achievement. Finally, immigrant youth with a ‘moderate’ or ‘high’ attitude toward keeping the heritage (non-Korean) culture demonstrated higher achievement than those with a ‘low’ attitude.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 ‘moderate’ and ‘high’ attitude groups. Over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entions should consider immigrant youth’s acculturation strategies more closely to improve their effectiveness.

      • KCI등재

        이주배경에 따른 청소년의 학교 소속감 격차: 다문화정책에 대한 함의

        양경은 ( Kyung-eun Yang ),함승환 ( Seung-hwan Ham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1

        이 연구는 학생의 학교적응 지표인 학교 소속감에 있어서 이주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차이가 있다면 그것이 어떤 요인에 기인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초·중등 학생 1,609명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가족 구성원 가운데 어머니가 해외출생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학생의 학교 소속감이 뚜렷하게 낮았다. 어머니의 해외출생 여부에 따른 학교 소속감 차이의 이유에 대한 설명으로서, 학생의 언어 차이나 문화 정체성 차이에 기인한 것이라는 ‘문화적 부조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반면, 자녀와 부모 간의 ‘문화적응 격차’로 인한 부모의 소극적인 교육적 관여 때문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문화적 결핍 모델에 기초한 이주배경 학생 지원 프로그램의 재검토 필요성 및 학부모 대상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 racial/ethnic disparity exists with respect to the sense of school belonging between immigrant-background children and their non-immigrant peers. A range of analyses has been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urvey 2017. Extensive data for 1,609 elementary and lower secondary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se mothers are foreign-born tend to have a lower sense of belonging at school than others. Regarding the explanation for this negative effect of the foreign-born mother, the school-student “cultural mismatch”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by the data. Instead, the parent-child “acculturation gap” hypothesis was strongly support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pular approach to intervening with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based on linguistic/cultural deficit models needs careful re-examining. Intervention programs would work better if accompanied by adequate programs for parents.

      • KCI등재

        교사협력 학교풍토와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

        구하라(Ku, Hara),함승환(Ham, Seung-Hwan),차윤경(Cha, Yun-Kyung),양예슬(Yang, Yese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교사가 어떠한 학교환경에서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교사 간 협력을 교수 불확실성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주는 기제로 해석하는 관점에서, 학교의 교사협 력 풍토 수준이 교사의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OECD 주관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데이터 가운데 아시아 태평양 국가인 한국, 호주, 말레이시아 사례를 각각 분석하였고, 중학교 479곳의 교사 7,716명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학교 및 교사 수준 변인을 동시에 고려한 위계적 선형 모형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으로 상이한 세 국가 모두에서 일관성 있게 교사협력 학교풍토 수준이 높을수록 소속 학교 교사가 학습자의 자율성을 촉진하는 방식의 교수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육개혁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학습자 자율성 촉진 교수활동을 격려하기 위한 학교환경 조건으로서 협 력적인 학교풍토의 형성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As a systematic effort to empirically examine how school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is influenced by school climate, this study conducted a serie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based on a multi-level sample of 7,716 teachers across 479 middle schools in Australia, Malaysia and South Korea. Data for the study were from the OECD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2008. Th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lend credence to the hypothesis that teachers who work in a collegial climate a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integrate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oster learner autonomy into their classroom teaching. This sheds light on the possibility that teachers may find themselves more successful in their effort to manage instructional uncertainty when working in a collegial climate. This result is very suggestive, considering that the effect of the collegial climate on teachers’ use of autonomy-supportive instruction appears quite consistent across all three countries analyzed despite the fact that the three countries exhibit quite different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학교장 교수지도성에 대한 학교장-교사 평가 일치도에 미치는 문화적 맥락의 효과: 권력거리와 개인주의 문화 차원을 중심으로

        최경준(Choi Kyoung-Jun),함승환(Seung-Hwan Ham)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학교장 지도성에 대한 학교장 본인 평가와 교사 평가가 어떠한 조건에서 더욱 일치하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학교장과 교사 간의 상 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국가 수준의 문화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장 교 수지도성에 대한 학교장-교사 평가 일치도가 문화적 맥락에 따라 체계적인 차이를 보이는지 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에서 수행한 교수학습 국제조사(TALIS) 2008년 자료와 Hofstede가 정리한 비교문화 자료 중 문화적 권력거리 지수와 문화적 개인주 의 지수를 결합하여 총 21개국 3,888개교의 학교장과 이들 학교의 교사 61,776명에 대한 위계 선형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장 교수지도성에 대한 학교장 본인 평가와 교사 평가 간의 상관성 정도는 국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차이의 일부는 국가 수준의 문화적 맥락의 함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 지도성에 대한 연구 및 이론 의 정교화를 위해 국가 수준의 문화적 맥락이 중요한 변인으로서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 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that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principal (i.e., self) and teacher (i.e., other) ratings of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may vary depending on national cultural contexts. To this end, two distinct data sets have been linked together to constitute the data for the present study: the OECD’s cross-national sample of 3,888 principals and 61,776 teachers selected from 3,888 middle schools across 21 countries, and Hofstede’s national culture indexes. Based on the combined data set, a three-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has been conducted, whose units of analysis simultaneously include teachers, principals, and count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to which the principal rating successfully predicts the teacher rating systematically differ depending on power distance and individualism at the national cultural level. This finding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o principal leadership research and theorization.

      • KCI우수등재

        청소년이여, 교육포부를 키워라? 이주배경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능력주의’ 가설과 ‘기회구조’ 가설 비교

        이새롬(Lee, Sae Rom),함승환(Ham, Seung Hwan)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1

        이 연구는 학생의 교육포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학생의 이주배경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초등학생 및 중학생 1,4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의 교육포부 수준이 높을수록 그들의 학업성취도 역시 높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 개인의 포부와 노력을 강조하는 ‘능력주의’ 시각과 일관된 것이다. 그러나 교육포부와 학업성취도 간의 이러한 정적 관계는 비이주배경 학생 집단에 비해 이주배경 학생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덜 뚜렷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이 속한 집단 간 ‘기회구조’의 차이에 주목하는 대안적 관점에 설득력을 더한다. 이주배경 학생의 경우 상대적으로 제한된 기회구조로 인해 개인의 교육포부가 크더라도 그것이 높은 학업성취도로 이어지기 어려울 가능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주배경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인 중심적 접근법뿐 아니라 교육생태계 전반에 걸친 종합적이고 연계적인 대책 강구가 요구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educational aspira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compared to their native peers. Using data from the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Survey 2017, the academic achievement of 1,450 school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was analyzed. The result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aspir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supporting the popular ‘meritocratic’ notion of student success. However, this positive association was much weaker for students of immigrant backgrounds, in comparison to their native peers. This pattern was indicative of the uneven ‘opportunity structure’ in which immigrant-background students encounter less opportunities to translate aspirations into achievement. Overall,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icro-level interventions for immigrant-background minority students need to be complemented by macro-level efforts to reduce systemic exclusions in the educational ec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