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미세먼지 통합관리 전략 수립 연구

        주현수 ( Hyun-soo Joo ),신동원,최기철,김오석,최지원,김채윤,공성용,김유미,이현철,박선환,김수향,김운수,김정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8 사업보고서 Vol.2018 No.-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생성에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암모니아 등의 여러 대기오염물질이 관여하며, 이러한 여러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로는 매우 다양하다. 즉 미세먼지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배출원에서 나오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제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을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밖에 없다. 현재의 미세먼지 종합대책도 하나의 국가대기환경정책으로 볼 수 있을 만큼 다양한 부문(배출원 등)에서 여러 정책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각각의 세부정책에 대한 정밀한 효과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본 연구는 현행 대책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정책수단별·세부배출원별로 저감효과를 정확하게 분석·예측하고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국내 특성에 기반을 둔 효과적인 미세먼지 통합정책을 개발하고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총 연구기간은 5년(2018~2022년)이며, 각 연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5년째가 되는 2022년에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통합정책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본 연구는 세부 배출원별 기여도 및 세부 관리정책별 저감효과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현재의 종합대책에서 누락되어 있거나 그 중요성이 과소평가되어 있는 주요 배출원을 밝혀내고, 기존 세부 대책의 농도 개선효과를 분석하여 현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의 우선순위를 평가함과 동시에 신규 대책을 제언하고자 계획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배출원 및 저감정책을 단편적으로 평가한 바 있으나, 모든 미세먼지 배출원 및 정책에 대해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평가·분석한 사례는 그동안 시도되지 않았다. 또한 배출원의 미세먼지 기여도 평가는 대부분 배출량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바 있다. 미세먼지는 배출량과 대기 중의 생성농도가 선형 관계에 있지 않아 배출량 기여도와 농도 기여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국민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배출량보다는 농도 기여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출량 기여도와 더불어 농도 기여도도 함께 분석하여 정책 활용도 측면에서 유의한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이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의 시간적 공간적 · 농도 특성 및 국내외의 미세먼지 정책 동향 분석도 수행되었다. 2018년에는 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축적하는 단계로 진행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신규 데이터를 업데이트함과 동시에 정밀 분석을 통해 국내의 미세먼지 정책 수립에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계획이다.또한 본 연구에서는 매해 유관기관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해당 연도의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도 시도하고 있다. 2018년에는 미세먼지 관리정책의 중요성에 비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미세먼지 관리정책 거버넌스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가 3개 세부과제로 수행되었다. 중앙 및 지방 정부의 미세먼지 협업방안, 월경성 대기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방안, 국민 수용성 제고방안 등 3개의 주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미세먼지 대국민 홍보 자료도 마련하였다. The gene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 involves various air pollutants such as nitrogen oxides, sulfur oxides, and ammonia and there are a variety of routes in discharging these pollutants. In other words, in order to effectively control PM, different types of policies should be collectively employed to control various pollutants coming from these diverse sources. The comprehensiveness of the current Comprehensive Plan on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National Air Quality Plan while it includes a number of policies from various sectors (i.e., sources); however, no rigorous impact analysis has conducted on each of these policies.This study aims to 1) develop effective integrated PM policy based on domestic characteristics by identifying problem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and 2) to collectively evaluate the current Comprehensive Plan by accurately analyzing and forecasting the reduction effect by each policy measure and source. The research period is 5 years, and it plans to derive an integrated policy plan that can effectively reduce PM in 2022, the final year of the research, by combining each research outcomes from study conducted in 2018.In this study, we carefully analyzed the source-specific contribu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each management policy to identify the major sources that are missing or underestimated in the current Comprehensive Plan. Moreover,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concentration abatement policies and suggested policy priorities for government as well as proposing new measures. In previous studies, PM sources and abatement policies were evaluated in a fragmented manner. There was no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and analysis of all PM sources and policies. Additionally, the assessment of the contribution of the emission source to the PM has been based mostly on emissions. However,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PM may not be linearly related to the amount of emissions. Therefore, there may exist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the emission contribution and the concentration contribution, and the factor that directly affects the public health can be the concentration contribution rather than the amount of emi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cceeded to find significant results by analyzing the contribution of emissions and the concentration contribution together, which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results to futur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Furthermore, the spatial and temporal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of PM and the trend of PM policy at domestic and abroad were also analyzed. In 2018,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2019, the new data will be updated as well as deriving policy implications that could be reflec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M policy in Korea through precise analysis.In addition, this study tackled the pending problems of the year by collecting opinions of related organizations and experts every year. In 2018, research on the “The Measures to Strengthen Governance in Particulate Matter Management Policy”, was conducted which had not been attracted much attent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PM management policies. Three tasks were carried out: ways to enhanc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to control PM;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solving transboundary air pollution problems; public awareness. Public Relation materials for enhancing public acceptance was also prepared.

      • KCI등재

        광양만 해수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 시 공간적 분포

        주현수(Hyun Soo Joo),이우범(Woo Bum Lee),박종천(Jong Chun Park) 한국환경생물학회 199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17 No.4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were analyzed on the seawater from 17 stations in Kwangyang Bay throughtout the year. We could not detect 10 VOCs; methylene chloride, tetrachloromethane, 1, 1, 1-trichloroethane, trichloroethane, 1, 1, 1, 2-tetra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bromoethane, dibromoethane, bromobenzene, 1-ethyl-3-methylbenzene. The other VOCs-chloroform, 1, 2-dichloroethane, ethylbenzene, benzene, toluene, m, p-xylene, methylethylketone, styrene, hexane-were detected with a little variance according to the sampling stations and the sampling seasons. The concentrations of chloroform(0.6∼49.9㎍/l) and toluene(0.42∼48.3㎍/l) were high and they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detected VOCs. We also tried to see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VOCs. Only tolene had the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water temperature(r=-0.524) and with the pH(r=0.319). Correlation between VOCs themselves showed some interesting results. The benzene ha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r=0.549∼0.662) with three VOCs such as toluene, m, p-xylene, ethylbenzene.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VOCs might be discharged simultaneously in Kwangyang Bay. [VOCs, Environmental factors, Correlation, Kwangyang Bay].

      • KCI등재후보

        담배포장 및 라벨 규제에 대한 Philip Morris v. Uruguay ICSID 중재 관할권 판정에 대한 연구

        주현수(Joo Hyun-Soo) 법무부 국제법무정책과 2014 통상법률 Vol.- No.115

        In recent years, almost all countries in the world have tended to strengthen tobacco control measures regarding tobacco packaging and labeling as part of public health policy.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conflict between domestic policy space for public health and the protection of foreign investors is likely as well, because foreign investors and their trademarks as investment can bring a treaty-based ISDS regarding tobacco control measures against host state through International Investment Agreements which are rapidly increasing for recent years. Particularly, these challenges to measures taken pursuant to the WHO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raise question about coherent and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legal regimes in investment international law. A typical example is shown in the ICSID case of Philip Morris Brand Sarl, Philip Morris Producs S.A. and Abal Hermanos S.A. v. Oriental Republic of Uruguay. In this case, the Claimants claim that the mandatory graphic images (pictograms) to illustrate the adverse effect of smoking, the single presentation requirement and the 80% health warning coverage requirement wrongfully limits Claimant’s right to use its legally protected trademarks requirement constitute breaches of the Respondent’s obligations under several articles of the BIT, entitling the Claimants to compensation under the BIT and international law. The Respondent raises three objections to jurisdiction. Frist objection is the Claimants have not satisfied the 18-month domestic litigation requirements which are jurisdictional pre-conditions and second one is Article 2 of the BIT excludes public health measures from the scope of the protections afforded Investors. Finally, the Respondent objects that the Claimants’ activities in Uruguay are not an “Investment”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25 of the ICSID Convention. Tribunal concludes that domestic litigation requirements could be satisfied by actions occurring after the date the arbitration was instituted. nonetheless, even if the requirement were regarded as jurisdictional. Secondly, the tribunal concludes that Article 2(1) is concerned solely with admission, so it does not create an exception to the BIT’s substantive obligations with respect to investments that have already been admitted in accordance with Uruguayan law. As for the third objection, Tribunal sees the four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Salini test do not constitute jurisdictional requirements to the effect that the absence of one or the other of these elements would imply a lack of jurisdiction. In the light of the above considerations, the Tribunal dismisses all of three objections to its Jurisdiction. The most significant implication of this decision is that Tribunal shows the two different ways for host state to exclude the admission of investments under the BIT for reasons of public health, either (i) by providing for such exclusion in its internal legislation so that a proposed investments would not be admitted as being not “in accordance with its law” under Article 2(1) of BIT, or (ii) by availing itself of the possibility under Article 25(4) of the ICSID Convention to notify the Centre that it would not consider submitting to the jurisdiction of the Centre disputes relating to public health. As reviewed Korean practices, while all FTA investment agreements include exception clauses, only two BITs of 92 Korea's BITs, which are Korea-Japan BIT and Korea-Japan-China TIT for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Investment, include exception clauses. To resolve the problems of conflicting between investment protection and state's regulatory power for public interest like public health, it is necessary to include exception clauses for the legal basis. That's why Korea should include exception clauses all BITs and standardize the model exception clauses coherently. When Korea prescribes exception clause for reasons of public health, it should include the expression of “in accordanc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위정맥류 치료에서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 주입술의 장기성적 보고 -10년 경험-

        주현수 ( Hyun Soo Joo ),장재영 ( Jae Young Jang ),은수훈 ( Soo Hoon Eun ),김상균 ( Sang Kyun Kim ),정인섭 ( In Seop Jung ),류창범 ( Chang Beom Ryu ),김영석 ( Young Seok Kim ),김진오 ( Jin Oh Kim ),조주영 ( Joo Young Cho ),김연수 ( 대한소화기학회 200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9 No.5

        목적: 위정맥류는 출혈 시 대량출혈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며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 주입술은 내시경 경화요법으로서 위정맥류의 효과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으나 재출혈과 합병증에 관한 장기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위정맥류 치료에서 Histoacryl 주입술의 장기 성적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들은 1994년 1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위정맥류로 Histoacryl(R) 주입술을 시행한 85명이었으며 이들 중 65명은 출혈 후 1주내, 7명은 출혈이 있고 나서 1주 후에 시술을 하였고 13명은 예방 치료를 시행하였다. Histoacryl(R)의 시술횟수는 1회 65명, 2회 15명, 3회 이상 5명(3회 4명, 5회 1명)이었고 주입한 Histoacryl(R)의 평균용량은 1.43 cc였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4.5개월이었다. 결과: 성공적인 초치료율은 98.6%였고 재출혈률은 24.2%였으며, 재출혈 환자 중 76.2%가 1년 내에 발생하였다. 21명의 환자가 사망하였으며 치료 실패와 관련된 사망이 1명(1.4%)이었고, 그 외 사망원인으로는 간세포암종과 간기능부전이 대부분이었다. 합병증으로 폐색전증 2예, 비장색전증 1예 있었고 이 둘 모두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었다. 간세포암종을 동반한 경우(p=0.051)와 Sarin 분류법에 따른 위정맥류의 위치에서 GOV2 (p=0.061)가 재출혈률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결론: 위정맥류 치료에서 histoacryl 주입술은 높은 치료 성공률과 낮은 중요 합병증 발생률을 보여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Gastric variceal bleeding is an infrequent but serious complication of portal hypertension. Endoscopic injection of Histoacryl(R) (N-butyl-2-cyanoacrylate) has been approved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gastric variceal bleed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ong-term efficacy and safety of the endoscopic injection of Histoacryl(R) for the treatment of gastric varices. Methods: Between January 1994 and January 2005, eighty-five patients with gastric varices received endoscopic injections of Histoacryl(R). Among these 85 patients, 65 received the procedure within 1 week after gastric variceal bleeding, and 13 received as a prophylactic procedure. According to the Sarin classification, 32 patients were GOV1 and 53 were GOV2. Most of the varices were large (F2 or F3, 75 patients). The average volume of Histoacryl(R) per each session was 1.43 ml. Among 85 patients, 72 patients were followed-up and the median duration was 24.5 months. Results: The rate of initial hemostasis was 98.6% and recurrent bleeding occurred in 29.2% (21 of 72). When rebleeding occurred, 76.2% was within 1 year after the initial injection. Treatment failure-related mortality rate was 1.4% (1 of 85). Twenty-seven patients died, mostly due to hepatocelluar carcinoma or liver failure. Two patients experienced pulmonary embolism and one experienced splenic infarction. They recovered without specific treatment. Rebleeding rate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patients with hepatocelluar carcinoma (p=0.051) and GOV2 (p=0.061). Conclusions: Histoacryl(R) injection therapy is a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gastric varices with high initial hemostasis rate and low major complications. (Korean J Gastroenterol 2007;49:320-326)

      •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 및 한중 간의 오염도 상관관계 분석

        주현수 ( Hyun-soo Joo ),이승민,최지원,김채윤,최민욱,김기환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국내에서 미세먼지 고농도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국민 건강이 우려되는 상황이며, 이러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중국에서 발생한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국은 다양하고 고도화된 대기환경 및 미세먼지 정책을 최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PM<sub>10</sub> 및 PM<sub>2.5</sub> 농도가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는 있으나, 여전히 한국의 환경기준을 초과하는 고농도 값을 유지하고 있어, 인접 국가인 한국의 대기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계속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중국의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하여 중국 전역의 미세먼지 농도추이를 분석하고, 한국 및 중국의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시계열별 및 지역별 농도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 및 중국의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그 동안 서울과 미세먼지 농도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던 중국의 징진지(수도권) 지역 이외에도 보하이해 인근 및 한반도 북쪽 경계부 지역 등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한국과 중국의 대기질 개선 협력사업은 중국 산둥, 화북 지역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대중국 협력사업을 한·중 도시 간 상관관계가 높은 타 지역으로도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대기질에 미치는 국외 요인의 영향은 대기모델링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기간의 외부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이러한 모델링 작업에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점은 국외로부터의 영향을 고려한 즉각적 대기정책 수립에 제한적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양국 간 농도 상관성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면 더욱 수월하고 즉각적으로 정책적 대응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blic health is at risk due to consistent high levels of Particulate Matter(PM) in Korea, and public unease is growing as well. One of the main causes for the high concentrations of PM is assumed to be atmospheric pollutants originating in China that travel across a long distance to Korea.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PM trends across all regions of China by using all available data, and quantitativel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ime-series and regional concentrations in major cities in Korea and China. China is currently implementing various and advanced policies related to air quality and PM. As a result,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sub>10</sub>, PM<sub>2.5</sub>) in most parts of China is decreasing, but there is still a high concentration exceeding the domestic environmental standard, with a larg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greatly affect the air quality of Korea, one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China. In this study, it was revealed that not only Jingjinji (metropolitan area) but areas near the Bohai Sea and the northern border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also included in the areas which correlate highly with PM concentrations in Seoul. Air quality improvement cooperation projects between Korea and China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mainly focusing on Shandong and North China regions, but it is believed to be necessary to expand these projects to regions, the cities of which show high correlation with cities of Korea. The effects on domestic air quality from international sources are generally analyzed quantitatively through atmospheric modeling. However, the modeling process is time-consuming and thus makes it difficult to analyze long-term impacts in reality. For this reason, it also serves as an element that makes it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take immediate action when establishing atmospheric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effects of foreign countries. In this case, using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the concentration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pplied in this study would make setting policy direction easier and more immediate.

      • 석탄화력발전 연료대체 시나리오별 환경·건강영향 분석

        주현수 ( Joo Hyun-soo ),신동원,배현주,서은주,임오정,최민욱,김채윤,김순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사업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에서는 신정부의 석탄화력발전소 공약사항 중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LNG로의 연료대체, 배출농도 강화(리트로핏을 통한 최적방지설비 설치), 발전소 위치 변경 등으로 인한 환경 및 건강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제한된 연구기간(5개월)으로 인해 연구대상 범위를 국내의 30년 이상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10기로 한정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연구결과는 향후 국내의 석탄화력발전 감축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질 영향을 실측된 농도 데이터로부터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개 발전소 (영흥 및 보령)의 시간당 오염물질 배출량과 인근 대기측정망 환경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석탄화력발전소의 경우,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굴뚝의 높이가 150m 이상 되는데, 이러한 조건에서 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영향을 인근 대기측정망 농도 실측자료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가에 대한 실증 데이터 분석 연구는 그동안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보면, 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량과 대기측정소 SO<sub>2</sub>, NO<sub>2</sub>, PM<sub>10</sub>, PM<sub>2.5</sub> 농도의 상관계수가 모두 낮거나(0.5 이하) 음의 값을 나타내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한정된 발전소 및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따라서 이번 연구결과를 모든 발전소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그 한계점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대형 발전소로 인한 오염물질의 대기환경 농도 변화를 인근 지상 대기관측망을 통해 감지한다는 것이 매우 어려운 일임을 시사한다. 둘째, 노후 석탄화력발전소의 폐쇄, 연료대체, 배출농도 강화, 발전소 위치 변경 등에 따른 환경·건강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개의 가상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대기 모델링을 수행하여 환경 및 건강영향을 분석하고 환경편익을 산정하였다. 석탄화력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한 여러 대안 중 환경·건강영향 측면을 고려할 때,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와 함께 LNG 연료대체, 기존 발전소 성능개선(배출기준 강화) 등도 하나의 선택사항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세먼지 저감 측면에서 유리한 대안은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LNG 연료대체, 기존 발전소 성능개선 등의 순이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향후 석탄화력발전 감축정책 설계 시 사회적 수용성, 지역별 오염물질 확산 및 배출 특성, 경제성, 전력수급상황, 전력인프라 등의 지역별(권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신축성 있게 대안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석탄화력발전소 등과 같은 대규모 점오염원의 경우, 부지 위치도 대기환경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으로 모델링 결과 확인되었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대상 선정 시 시설 노후에 따른 오염물질 배출량도 중요하지만 위치에 따른 국내 대기질 영향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지 및 LNG 연료대체 등을 통해 미세먼지 개선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수행된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석탄발전 부문에서의 저감 정책만으로는 선진국 수준의 환경기준을 달성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근 발표한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석탄화력발전 부문을 포함한 여러 부문에서의 추가 감축 노력이 함께 수반되어야만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대기질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deteriorated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reduction by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for practicing the plan of reduction and reinforced management of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To this end, the study designs several virtual scenarios of fuel replacement and performed air pollution substance reduction modeling.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analyzes the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and environmental benefi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PM<sub>2.5</sub>), contribution to reduction (10.26%), environmental benefit (3,695billion won) and reduction of premature death (n=23) are highest in the scenario in which deteriorated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are abolished. Then, contribution to reduction, environmental and health benefits are high in both one scenario, and fuels used in 10 plants are replaced with LNG and reduction technologies used in other scenarios are retrofitted.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are found to be positive in the scenario where the existing 20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are transferred. The findings show that abolishment of coal-fired plants, replacement with LNG and reinforced performance of reduction technologies used in the existing plants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fine dust reduction. In addition, locations for the large point sources such as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term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al managem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ach the environmental standard of other advanced countries by only relying on the management policies for deteriorated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s. Hence, an endeavor for additional reduction should be also accompanied in other sectors including coal-fired thermal power plant, as indicated in the recent publication, 「Comprehensive Set of Measures to Tackle Fine-Dust Issue」.

      • KCI등재

        리스본 조약 발효 이후 체결된 Canada-EU CETA 투자 분야 분석 및 우리나라 투자협정에의 시사점 고찰

        주현수 ( Hyun Soo Joo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홍익법학 Vol.14 No.4

        리스본 조약의 발효로 인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EU의 배타적 관할권 분야인 공동통상정책에 외국인직접투자(FDI)가 포함되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리스본 조약 발효 이후 개별회원국이 관할하고 있던 투자보호, 분쟁해결에 관한 협상 권한도 EU 집행위에 귀속되게 되었다. 이런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규정은 리스본 조약의 일부인 유럽연합의 기능에 관한 조약(TFEU) 제207조 제1항이다. 그러나, TFEU 제207조 제1항을 보면, 공동통상정책 범위에 단순히 FDI가 포함되어 있을 뿐 FDI 정의와 범위에 관한 규정이 없어, 그 범위가 FDI의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지 아니면 무역과 연관된 FDI만을 규정하는지에 대해 회원국과 EU간 견해 대립이 존재해 왔다. 따라서, EU 집행위가 어떻게 투자 협정을 체결하는 지에 대한 실무가 나와야 구체적으로 그 방향이 정해질 수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2013. 10. 18. 캐나다-EU CETA가 타결되어 서명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FTA의 투자자유화 외에 새로이 포함된 투자보호 및 분쟁해결 조항이 어떻게 규정될 지에 대한 향후 EU의 FTA 체결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견해 대립 외에 기존 회원국과 역외 제3국이 체결한 BIT의 효력 문제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는데, 이는 2012. 12. 12 유럽의회와 이사회의 결정으로 EU 회원국과 제3국간 BIT 경과규정을 마련하여 해결하였다. 이에 따르면, EU 집행위의 승인하에 기존 BIT 개정이나 신규 BIT 체결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리스본 조약 이후 EU 투자협정 방향은 한-EU FTA와 기존 EU 회원국과 우리 나라가 체결한 BIT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왜냐하면, 한-EU FTA 체결시에는 투자 보호나 투자자-국가간 분쟁해결 조항이 포함되지 못하고 향후 이를 포함시킬 수 있는 근거 조항으로 재검토 조항(7.16조)만 규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회원국과의 BIT의 경우, 투자에 대한 배타적 권한이 EU 집행위에 귀속된 후에도 회원국이 집행위 승인하에 개정 가능하도록 규정한 경과규정에 의해 주로 1960-90년대 체결한 개정 필요성이 많았던 우리나라와의 BIT도 개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리스본 조약 이후 체결된 캐나다-EU CETA 분석을 통해 기존 한-EU FTA 투자 분야 및 기존 23개 회원국과의 BIT 개정에 있어 우리나라가 주의해야 할 점으로 투자 보호 및 투자자-국가간 분쟁해결조항(ISDS) 등 절차적 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ISDS의 관할권을 결정짓는 요소인 투자 제한 및 투자자 정의에 대한 보완으로 혜택의 부인 부인 조항 도입, ISDS에 대해 MFN 적용 금지 등에 대한 사항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