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아교육에서의 원격수업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

        조운주 육아정책연구소 2021 육아정책포럼 Vol.69 No.-

        4차 산업으로 인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유아들이 디지털 놀이감을 접하게 되면서 유아 발달에서 테크놀로지를 분리할 수 없는 상황이 도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 19로 인하여 유아교육에서도 원격수업이 진행되었다. 그동안 수행된 원격수업의 유형은 놀이꾸러미와 콘텐츠 제공이 가장 많았는데, 활용한 콘텐츠는 우리집 유치원, 유튜브 영상, i-누리, 제작 콘텐츠 등이었고, 놀이꾸러미와 콘텐츠뿐 아니라 ZOOM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여 실시간 수업도 진행되었다. 이러한 원격수업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준비-실행-관리를 통한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원격수업과 함께 미래 교육체제 구축 및 교육과정 설계 등이 추진되고 있어서 유아교육에서도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활용이 더 확대될 전망이다.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할 경우, 유아 진단, 교육 시스템, 로봇 교육, 가상현실 교육의 4가지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유아교육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안전, 권리, 공정성 등이 선행되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조운주,박은혜 한국유아교육학회 2001 유아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문헌 및 유치원 교사들의 요구에 기초하여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안)을 구성하고, 프로그램(안)의 시행·평가 및 수정·보완을 통하여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을 인식한다. 실습생을 이해하고 신뢰적인 관계 형성 능력을 기른다. 교수학습 및 수업 지도 등의 전문적인 지도 능력을 기른다. 실습지도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증진한다'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교육과정 오리엔테이션, 실습지도교사의 역할, 실습생의 특성, 신뢰적인 관계형성,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수업지도, 반성적 사고, 유아지도, 부모와의 관계, 유치원 운영관리'이다. 교수방법으로 강의, 토의, 역할놀이, 사례, 워크숍 등을 활용한다. 교육대상은 실습생을 지도할 유치원 경력교사이고, 교육자는 실습생의 소속 대학교수이다. 교육시간은 25시간이고 교육은 실습생이 소속한 대학에서 실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on teachers based on current research findings in the field and the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A finial model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was developed after implementing, evaluating, and amending the pilot program. The objectives of the program are (1) to recognize cooperating teachers' roles, (2) to assist them in understanding student teachers and promote helpful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3) to promote a disposition toward professional support of teaching methods and clinical supervision, and (4) to improve the reflective thinking of cooperating teacher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1) orient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2) cooperating teachers' roles, (3) attributes of student teachers, (4) reliable relationships with student teachers, (5) support for effective teaching, (6) clinical supervision, (7) reflective thinking, and (8) guidance of children. The cont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kindergarten management follows the course. The teaching methods are varied and included lectures, discussions, role play, case-studies. workshops, and audio-visual teaching. Program participants are experienced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the trainers of cooperating teachers are professors of universities or colleges. Total training period of cooperating teachers should be 25 hours, but training season, time, and period can be managed flexibly according to teachers' schedules. The training program for cooperating teachers can be operated at universities or colleges of student teachers. Training equipment, a quiet atmosphere, and comfortable tables and seats are essential to the success of the training.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경험

        조운주 한국육아지원학회 2023 육아지원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공·사립유치원에 근무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경험이 있는교사 10명이다. 교사들에게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내용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디지털 콘텐츠의 매력을 유아의 몰입 및 경험 확장, 교사의 수업 효율이라고 하였다. 둘째, 디지털 콘텐츠 활용 시 고충은 유아의 디지털 과의존에 대한 우려, 교사의 디지털 콘텐츠 선별및 역량의 한계, 부모·관리자의 디지털 콘텐츠 활용에 대한 오해, 환경의 미흡이라고 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방안으로 유아에게 자율 규제를 유도하면서 밀착 확인하였다. 콘텐츠나플랫폼 사용 시, 교사가 사전에 숙지하고 동료교사와 공유 및 소통했으며, 부모에게 유아 놀이를 안내하고 공유하였다. 또한 놀이 맥락에 맞게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여 아날로그 놀이에 디지털 콘텐츠가자연스럽게 통합되고 놀이가 확장되게 하였다.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위해서는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합할 수 있는 교사 역량이 중요함을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eply explore the teaching experience of kindergarten teachers employing digital content.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en teachers from both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l with prior experience in teaching through digital content.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to collect data, followed by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teachers highlighted the appeal of digital content in terms of enhancing children's engagement, expanding their experiences, and improving teaching efficiency. Second, challenges encountered by the teachers when utilizing digital content encompassed concerns about children developing an excessive reliance on technology, limitations in selecting appropriate digital content, questions regarding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misconceptions from parents and administrators concerning the use of digital content, and a deficiency in the suitable technological environment within kindergartens. Third, the teachers actively promoted self-regulation among the children in the use of digital content while closely monitoring their activities. The teachers familiarized themselves with digital content or platforms in advance, engaged in communication and shared experiences with fellow teachers and learning communities, and provided guidance and shared children's digital play with parents. Futhermore, they integrated digital content seamlessly into analog play, expanding the scope of play.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quipping kindergarten teachers with the competencies to effectively integrate digital content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좋은 유아교사의 특성

        조운주 忠州大學校 2007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good early childhood teacher that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2 preservice teachers. We used open questionnaire, and analyzed qualitatively the meanings. In this research, the participants thought the good early childhood teacher as a mother who cares for with love, a true friend of children, an intellectual teacher who has practical knowledge, a person who can control emotion and have good personality model, and a person with faith and passion. Preceding researches have had fixed imag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as a person who has good personality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But this study pointed out more various characteristics of good early childhood teacher.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인·적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

        조운주,최일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교육논총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tem validity, the item discrimination and the construct validation of a test measuring personality and teaching ap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607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5 districts (Seoul, Gyeonggi, Incheon, Chungcheong, and Sejong)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adequate. The normality of skewness and kurtosis were proved. Sinc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group was identified in item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was proved to be high enough. Second, the test was constructed into 2 domains (social community disposition and inner-cognitive disposition) and 9 factors (cooperation, respect for others, passion/dedication, professional development/problem solving ability, communication, responsibility, self–control, self–confidence/openness, and ethics/trust) by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r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andardized estimation coefficients and C. R values for convergent validity satisfied the acceptance criteria. The conceptual reliability and mean variance extraction of ‘social community disposition’ and ‘inner-cognitive disposition’ met the acceptance criteria. The discriminant validity was validated by A.V.E., which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e square of correlation coefficient (Φ²). Finally, the reliability of the teachers’ personality and teaching aptitude test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Cronbach’s α .85∼.95.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적성 검사도구의 문항 양호도와 변별도 및 구인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충청, 세종의 3,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총 6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문항 평균은 낮지 않아서 난이도가 높지 않았고, 표준편차도 작은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는 기준을 충족시켜 정규성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요인별 상·하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문항 변별도가 입증되었다. 둘째, 수렴 및 판별타당도를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2개 범주(사회 공동체 성향, 내적·인지적 성향), 9개 요인(열정·헌신, 윤리·신뢰, 책임감, 협력, 타인존중, 자기조절력, 자신감·개방성, 전문성발달·문제해결력, 의사소통능력)으로 구성되었다. 수렴타당도를 위한 표준화추정계수, C.R. 값은 수용기준을 넘었고, 사회 공동체 성향, 내적·인지적 성향 영역의 개념신뢰도와 평균분산추출은 모두 수용기준 이상으로 타당하였다. 판별타당도를 위해서 상관을 구한 결과, A.V.E.이 요인별 상관의 제곱(Φ)보다 커서 판별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직인‧적성 검사도구의 요인별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α .85∼.95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유치원 교원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 개발

        조운주,최일선,김은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유치원 교원을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모형과 평가준거를 개발하는 것이다.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를 개발하기 위해서 첫째, 선행연구, 문헌 분석, 전문가 내용 타당도를 통한 포트폴리오 모형(안) 및 평가준거(안)을 구성하였다. 둘째,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셋째, 요구조사와 시행 결과에 근거하여 수정 후, 참여교사들과 전문가들의 내용검토를 통해서 최종 포트폴리오 모형 및 평가준거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치원 교원 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모형은 5개 목적, 필수와 선택영역으로 구성된 6개 영역 및 16개 내용, 기간, 절차, 평가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포트폴리오 평가준거는 모형에 근거하여 필수와 선택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7개 평가영역, 20개 평가내용, 42개 평가준거로 구성하였다.

      • 유아교육기관장의 리더십 이해

        조운주 忠州大學校 2009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4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adership of directors that is based on the culture and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analysis about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leadership show that the important factors of leadership are community, suggestion of vision and value, intellectual support, social skill and interrelationship, and self concept and control. The analysis of research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leaders suggest that effective leaders support teacher and staff, promote education, constitute culture, and understand social culture.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s small scale, unstructured and informal in communication channels, and emphasize play in education. A leadership model of this paper shows that the director in each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possesses the leadership of a specific character based on theories of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leaders, and culture and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