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宣祖에 대한 현창과 그 의미

        정해은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King Seonjo came to be honored as the ‘Renaissance king’ after his death, and what was the meaning of such effort of the time.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were honored and commemorated in various forms and fashions after their deaths, so in that regard the honoring of Seonjo was not at all an unusual thing. Nonetheless, the reason it is extensively examined in this article is because Seonjo was “reevaluated” as a “king who saved Joseon after winning the Imjin Wae’ran war.” With the interests of King Injo and those of the Westerners faction meeting with each other, King Seonjo came to be portrayed in a new light, as a hero for the Joseon dynasty, who achieved the survival of the country and maintained loyalty toward Ming. In other words, he was newly decorated as a role model for the rest of the country. This new evaluation of him continued to spread, as the Joseon people’s sentiment of inheriting Ming and its legitimate traditions continued to grow, after Ming’s fall. Commemoration projects of King Seonjo continued to become more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 musical score(樂章) alone for King Seonjo’s chamber at the Dynastic Shrine(宣祖室)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King Seonjo was designated with a Seshil chamber, and even Seonmyo Bogam(宣廟寶鑑) was published. Wa’ryong-sa(臥龍祠), in the Yeong’yu(永柔) area of the Pyeong’an-do province, where Seonjo remained before returning to the Capital, continued to be expanded in the reigns of kings Hyeonjong, Sukjong and Yeongjo, as a central stage of demonstrating ‘Loyalty.’ All these efforts of the time show us that the memory of King Seonjo was being strengthened with new images of himself as a savior of the country and loyal vassal to Ming (in the eyes of following kings), and as a model of loyalty, in the eyes of the public. This new image of King Seonjo continued to be strengthen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이 글은 선조가 사후에 ‘중흥’의 국왕으로 부각되는 양상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조망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국왕들은 후대에 각종 형태로 추숭을 받았다. 그러므로 선조에 대한 현창이 특별한 현상이라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 글에서 선조를 특별히 주목하는 이유는 선조 추숭이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구한 임금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선조는 인조와 서인세력의 이해와 맞물리면서 중흥과 사대의 공을 이룬 국왕으로 추앙되어 후대의 모범이 되는 국왕으로 거듭났다. 이것은 명 멸망 이후 조선에서 ‘중화계승의식’이 확산되는 속도와 궤를 같이하면서 퍼져 나갔다. 선조에 대한 현창 사업도 활발해졌다. 인조 대에 종묘의 宣祖室을 위한 단독 樂章이 제작되고, 숙종 대에는 선조가 세실로 정해지고 『宣廟寶鑑』까지 편찬되었다. 그리고 선조가 환도하기 직전에 머물던 평안도 영유에 세운 와룡사가 현종, 숙종, 영조 대를 거치면서 ‘충’을 실현하는 본산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선조에 대한 기억이 위로 국왕들에게는 조선을 구한 공열과 사대의 표상으로, 아래 民에게는 충을 실천해야 하는 본보기로서 거듭났음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새롭게 형성된 선조의 이미지는 17세기를 관통하여 18세기까지 지속 또는 증폭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규합총서』의 탄생과 가정 살림의 지식화

        정해은 부경역사연구소 2019 지역과 역사 Vol.- No.45

        This study set out to review anew the content of Gyuhapchongseo(1809) published by Lee Bingheogak in the era of knowledge explos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usekeeping and investigate changes to the field of knowledge. In her book, Lee arranged housekeeping in a systematic manner and provided knowledge about its origin. In this aspect, the book made the knowledge about housekeeping systematic into new knowledge, thus holding significance. Lee turned her housekeeping knowledge she supervised as a woman into the knowledge of housekeeping economy, targeting female readers. This was set in the social change in which women moved into the family of the husband earlier after a wedding ceremony and needed knowledge about housekeeping. Gyuhapchongseo was a popular book, being transcribed by women around her even since she was still alive. The time had come when housekeeping knowledge was shared, as well. It led to the rebirth of the "block book of Gyuhapchongseo" that edited only the content about food and clothes in 1869. 이 논문은 이빙허각이 펴낸 『규합총서』(1809)에 담긴 내용을 가정 살림의 시각에서 검토하고, 지식 분야에 불어 닥친 변화를 탐색한 글이다. 『규합총서』에 담긴 지식은 가정 살림 지식과 함께 그 연원에 대한 지식도 제공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은 가정 살림에 대한 지식을 새로운 지식으로 만들어 체계화했다는 의미가 있다. 이빙허각이 여성으로서 주관한 가정 살림을 여성 독자층을 겨냥해 지식화한 것이다. 여기에는 여성이 혼인 뒤에 시집으로 들어가는 于歸의 기간이 빨라지면서 살림 지식을 필요로 했던 사회 변화가 자리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규합총서』는 이미 빙허각이 살아있을 때부터 주변 여성들에게 필사되어 읽힌 인기 있는 책이었다. 이제 여성들 사이에서 살림 지식을 공유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이런 까닭에 1869년에 음식과 의복의 내용만 새로 편집한 ‘목판본 규합총서’도 나올 수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20세기에 각종 요리책이 대중화되는 시초에는 『규합총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무관 노상추의 중앙 관직 생활과 그 의미 -오위장과 금군장을 중심으로-

        정해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nings of No Sang-Chu's career as the head of Owie and royal guards in his life after passing the military examination in Seonsan(善山), Gyeongsang Province. Returning back to Seoul after completing his term as Manho(萬戶) of Jindong, he started to hold office as the head of Owie and royal guards. His dream was to move to the offices of local governor(守令), Bangeosa(防禦使), and general. He was appointed as Busa(府使) of Sakju by King Jeongjo according to his wish, but he was never to hold office as a local governor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Busa office of Sakju. Since then, the only government posts he held away from the capital were Yeongjang(營將) of Hongju, Junggun(中軍) of Ganghwa, and Cheomsa(僉使) of Gadeokjin. The time gap until these offices was filled with the offices of Owie(五衛) and royal guards as the head. He was willing to take the offices of Owie and royal guards as the head to promote himself to the people with personnel authority. Refusing to give on his dream of holding a government position away from the capital, he made visits to people with personnel authority and sought work through them. It was not unique to him. This was the common reality among military officers in the Namin line of Yeongnam. 이 연구는 경상도 선산의 무관 노상추가 역임한 오위장과 금군장이 그의 삶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색한 글이다. 노상추는 진동 만호의 임기를 마치고 서울로 돌아온 뒤 수령으로 진출하는 희망을 품었다. 1783년에 그의 바람대로 삭주 부사가 되었으나, 그 뒤로 다시는 수령으로 나가지 못하였다. 이후 은퇴하는 1813년까지 홍주 영장, 강화 중군, 가덕 첨사가 그의 외직의 전부였고, 그 사이를 채워준 관직들이 바로 오위장과 금군장 등이었다. 노상추는 수령 진출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고 인사권자들에게 본인의 존재를 알리고 벼슬자리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오위장과 금군장 등을 마다하지 않았다. 이 관직들을 지내면서 노상추가 지향한 정체성은 유학 경전의 독서를 통해서 예의염치를 아는 무관이었다. 여기에는 유장(儒將)을 최고의 무장으로 쳐주던 사회 분위기와 함께 영남이라는 지역사회의 관계망 속에서 처신해야 하는 현실이 자리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병자호란의 상흔과 ‘의순공주’의 탄생

        정해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1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behind Lee Ae-suk becoming a Gongnyeo with the title of "Princess Uisun" and moving to Qing and her perceptions among the later generations. Her father was Lee Gae-yun, and her mother was from the Ryu family of Munhwa. She was known to be an illegitimate daughter, but it is not true. Her move to Qing was an outcome of interests among her father, King Hyojong of Joseon, and Dorgon, Qing's practical ruler. Her return to Joseon was not an outcome of Qing Shizu's reciprocity, but his intention to abolish the system set up by Dorgon. Later generations summoned Princess Uisun in many different forms, changing her life in their memories or creating new stories according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There was an "explanation in her defense" that she would never initiate of such work. The presence of Lee Ae-suk is not found in them, and it represents scars of the defeated nation and discrimination that she had to suffer as a woman. 이 논문은 이애숙이 가짜 공주인 ‘의순공주’라는 작호를 띠고 공녀가 되어 청으로 간 배경과 후대 인식을 살펴본 글이다. 이애숙의 아버지는 이개윤이며 어머니는 문화 류씨다. 서녀로 알려지기도 했으나 사실이 아다. 1650년(효종 1) 이애숙이 16세에 청으로 끌려간 배경에는 아버지 이개윤, 조선 국왕 효종, 청의 실질적인 통치자 도르곤의 이해관계가 자리하고 있다. 서얼 종친의 처지를 타개하려던 아버지, 정권 유지를 위해 대청관계의 평화를 바란 효종, 조선 조정의 척화 분위기를 억누르기 위한 도르곤의 이해가 맞물리면서 혼사가 이뤄진 것이다. 의순공주 이애숙은 청에서 만 6년 동안 지내다가 1656년에 돌아왔으며 1662년에 사망하였다. 28세였다. 청으로 간 그 해에 도르곤이 사망하고, 1651년에 도르곤이 임금 자리를 넘보았다는 죄로 부관참시가 되자 의숙공주 이애숙도 적몰되어 누루하치의 손자인 박락에게 보내졌다. 1652년에 박락마자 사망하자 혼자 지내다가 청 세조의 허락으로 환국할 수 있었다. 의순공주 이애숙이 조선으로 돌아온 배경에는 도르곤의 유제를 청산하기 위해 도르곤의 실정(失政)을 드러내고자 한 청 세조의 의도가 컸다. 후대에 의순공주는 여러 형태로 호출되었다. 도르곤에게 소박을 당해서 그의 부하에게 보내졌다는 이야기, 오랑캐와 혼인하느니 차라리 정절을 지키기 위해 자결했다는 내용을 담은 ‘족두리묘’ 이야기, 청으로 가기 직전에 조선 조정에 횡포를 부린 정명수를 혼내준 일화 등이다. 일제강점기에는 본인의 선조가 의순공주를 청으로 보내는 일을 결단코 주도하지 않았다는 후손의 ‘변무’도 나왔다. 이처럼 각자 처한 상황이나 위치에서 의순공주의 삶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이야기를 창안했으며 변명도 나온 것이다. 이것이 사람들이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역사의 격랑 속에 휘말린 의순공주 이애숙을 기억하는 방식이며, 패전국의 여성으로서 ‘오랑캐’에게 ‘시집’간 여성이 겪어야 했던 사회적 냉대이자 역사적 평가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