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민족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지평—『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전망에 부쳐—

        이상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이 논문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지령 100호를 맞아 이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어 연구가 어떤 경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한국어학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연구의 역사적 변천을 살핀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학 연구의 결실을 바탕으로 향후 『민족문화연구』의 미래를 위해 새롭게 모색해야 할 과제와 전망에 대해 ‘한국학 연구의 발자취와 새로운 방향 모색’이라는 주제로 살펴보았다. 본문에서는 우선 논의의 전제로 ‘민족문화’와 ‘민족어’로서 한국어의 위상 문제를 간략하게 다루었다. 또한 본론에서는 한국학, 한국문화로서 한국어 연구의 성과를 시대별로 조망하였다. 1970년대 이전부터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2010년대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민족문화연구』에 실린 어학적 성과를 전통적인 한국어학 연구 경향과 시대별로 두드러진 어학적 성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시대적 의미를 한국어학사의 시선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민연의 학술지 『민족문화연구』 중심의 한국어학사이다. 물론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가 지난 60년의 한국어학사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학 연구의 특징과 경향을 통해서 한국어학사 전체의 한 줄기의 맥락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이 논문은 한국학으로서 한국어학 연구의 다양성과 확장을 보여주는 학술지 『민족문화연구』의 한국어 연구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민족문화연구』). After identifying the Korean language as the national language that manifests the national culture, I discuss what has been done and what needs to be done more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studies. More specifically, I examine said papers based on different time periods: pre-1970s, 1970s, 1980s, 1990s, 2000s, and 2010s. The papers are then further categorized based on research trends and linguistic achievements, which in turn are evaluated within a broader perspective of Korean linguistics history. While it is true that th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Cultural Studies cannot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 is no denying that we can identify some trends by chronologically examining the papers. Overall,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of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evaluates the depth, diversity, and expansion of traditional Korean language studies.

      • KCI등재

        한국 현대문학 연구와 『민족문화연구』—『민족문화연구』를 통해 본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동향—

        이만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This paper lays its purpose in examining the academic practice and significance of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s been published by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To this end, first, the academic status which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ccounts for was analyzed through a quantitative comparison between the Dong Bang Hak Chi, the Daedong Munwha Yeon'gu, and the Korean Cultural Studies, which have been published by university-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ince the 1950s or 1960s. As a result, unlike the Dong Bang Hak Ch and Daedong Munwha Yeon'gu, which attempted to form an academic network with countries around Asia,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intended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integrate and unite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which can be sai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ology—within the magnetic field of ‘National Culture.’ Second, how research trends have changed by period was reviewed by diachronically examining the inclusion aspects by major and of modern literature papers, with respect to the papers included in the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nographs from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all papers included. It is interpreted that this could be the result coming out because of not only the absence of researchers capable of studying and lecturing on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and modern & contemporary history but also the lack of organization of related subjects, during the 1940s and 1960s, when many four-year universities were founded. In addition, the papers in the field of Modern Literature are categorized by period, which were organized into “A period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of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64-1979)—A period when the work theory and writer’s theory was established as a methodology for Modern Literature research (1980-1999)—A period when research objects and methods were diversified (after 2000).” Through this, we reviewed the academic-history position that the Korean Cultural Studies occupied for each period.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문화 분류를 위한 <주제·양태 결합 분류체계> 연구

        김문용,이정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개념적 거리와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하고 빠른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의 산물이다. 기존의 문화분류체계들은 문화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과 문화 요소의 양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 그리고 이 두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의 세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화의 주제에 따른 분류는 그동안의 학문적인 관용에 기초하는 바가 많아 연구자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양태 분류는 항목의 논리적인 분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대적, 범세계적 보편성에로의 가능성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면서, 이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였다. 그러면서 종래와 같은 무원칙, 무규칙적인 혼용을 피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 분류와 문화요소의 양태별 분류를 병행하고, 이를 각각 분류체계의 XY축에 매치하였다. 즉 하나의 문화현상을 영역과 양태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이 두 분류값을 결합하여 최종 분류값으로 정하는 방식의 분류체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의하여 조선시대의 문화현상을 12개의 양태 항목과 75개의 주제 항목으로 구분하여, 종합 899개의 분류항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분류체계는 앞으로 여러 차례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쳐 계속 확대, 보완해 갈 예정이다. This proposal aims at creating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logically classifics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ual distances among and the stratum of the phenomena. This new system will help scholars to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s casily and swiftly. There have been existed three style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e stil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subject, the style based on the ontological mode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mixture of the two. The first one has strength in convenience. Therefore many scholars, relying on the academic habit, used this system. The second, however, has other strengths. Since it is based on the logical classification among the items, it has potentials to be utilized synchronically and in the end world widely. The new system suggested in this proposal utilized the strengths from both systems explained above. Nevertheless, this system separates the result from the two systems and allocated each of them to the axis X and Y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the disorder caused by the lacks of principle and regulation in combining the two systems. As it were, certain cultural phenomena are classified base on their values in their subjects as well as modes, and combined into the final values. In this way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12 mode items and 75 subject items, and 899 items are created in this system. This new system will be expanded and amended through the experimental uses.

      • KCI등재

        가족종교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종교문화

        박종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9 民族文化硏究 Vol.85 No.-

        In order to fully explore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religions, it is necessary to compare internal perceptions and external perspectives on them, and to note how the individuality of religious culture is continuously reconstructed in various historical developments and complex cultural contex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trends that apply to various categories of Korean culture beyond the category of religious culture. This article presuppos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eligious amalgam, which is reflected in the eyes of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as the intercultural action of the 'family of religions’ that many religious traditions in Korea have constituted. I reviewed some patterns of ‘family religion’ in which various individual religious traditions were complex and stratified at specific historical moments and cultural context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ropriation of filial piety and family values in a different context. ‘Family religion’ was developed as an aspect of family culture emphasizing kinship based on blood ties. In modern Korea, the symbolism, rituals, doctrines, and cultural aspects of religious culture are already changing from father- centered family religion to mother-centered family religion, moving from one-centered to dual/pluralist centers, and shifting from the vertical to the horizontal.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the continuing and transformation of family religion in Korean religious culture by examining these cases. 한국종교의 문화정체성을 온전하게 탐색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내부의 인식과 외부의 시선을 비교 검토하고 종교문화의 개성이 다양한 역사적 전개와 복합적인 문화적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재구성되는 양상을 주목하면서, 그러한 흐름이 종교문화의 범주를 넘어서서 한국문화의 다양한 범주에서도 적용되는 양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외국 개신교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타자의 눈에 비친 혼성적 한국종교문화의 특징을 한국의 종교가 구성해온 ‘종교가족’의 상호문화적 작용으로서 전제하고, 다양한 개별적 종교전통들이 특정한 역사적 계기와 문화적 맥락에서 복합적이고 중층적으로 구성해온 ‘가족종교’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특히 의례문화와 공동체문화 뿐만아니라 개별종교의 교리 전개에도 일정하게 끼친 영향과 더불어 각 종교들의 차별화된 맥락에서 효와 가족의 가치들을 재전유하는 양상을 논의하였다. 또한 ‘가족종교’의개성이 혈연적 유대관계를 강조한 가족문화의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대로 와서 종교문화의 상징과 의례, 교리와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미 아버지 중심의 가족종교에서 어머니 중심의 가족종교로, 일원적 중심에서 이원적/다원적 중심으로, 수직적 측면에서 수평적 측면으로 이행하는 흐름을 통해 한국종교문화에서 가족종교의 지속과 변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연구의 비판적 성찰; "문화" 개념과 "성차" 관련 개념들에 관한 몇 가지 고찰 :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페미니즘 문화연구"를 중심으로

        김현경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3 No.-

        페미니즘 문화연구는 단일한 하나의 학제적 카테고리라기보다, 학제와 학제를 가로 지르며, 맥락화된 현실과 이론을 오가는 두 연구 분야가 만나거나 혹은 경합하며 이론을 생산해내는 장(field)이다. 따라서 지난 20여년간 한국 사회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작업을 검토하는 이 글은 핵심적인 개념인 "문화"와 "성차" 관련 개념들을 나침반 삼아 그 변동과정을 따라가보는 방식을 취하고자 한다. 우선 서구 사회 "문화"와 "성차"관련 개념 변동 지형은 첫째, 문화 개념을 경유한 남성우월체계와 그 논리비판, 둘째, 구조기능주의적 논의에서 "성차별적 문화"의 섹스-젠더 환원성, 셋째, 문화연구의 등장과 함께 가능해진 페미니즘 문화연구 활성화로 파악되었다. 또한 한국 사회 변동의 계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심 모순"에 대한 대당 개념으로서의 "문화" 와 주변적 위치로서의 "여성" 개념 등장, 둘째, 성정치론자들의 "섹슈얼리티"와 규범적 "성문화"에 관한 문제제기, 셋째, 성정치론자들의 문제제기와 문화연구 프레임을 받아들인 페미니스트들이 분석하는 성별과 섹슈얼리티의 교차성 그리고 대중문화. 이러한 "성차" 관련 개념과 "문화" 개념의 변동 속에서 페미니즘 문화연구의 외연은 확대되었지만, 매체의 다변화, 문화산업의 양적 성장이라는 조건들 속에서 더욱 조밀하고 복잡해지는 성차의 의미망들을 관련 체제들과 연관지어 분석, 비판해야 하는 새로운 과제가 도래했다. Feminist Cultural Studies is rather an interdisciplinary field producing theories by different areas traversing contextualized reality and theories than a homogeneous disciplinary category. Therefore, this article which examines tasks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in Korean society for over twenty years takes the essential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s a compass and follows their changing process. To begin with, the changing topography of "culture" and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in Western society was grasped by 1) the criticism on male supremacy and its logic via culture concept 2) sex-gender reduction of "sexist culture" concept in structural functional discussion 3) the increased Feminist Cultural Studies enabled by the advent of cultural studies. In addition, the causes of the changes in Korean society are as follows. 1) the advent of "culture" concept as a anti idea against "main cause of problem of Korean society" and "women" concept as a marginal position 2) sexual politics 'raising a question about "sexuality" and normative "sexual culture" 3) intersection of gender and sexuality and popular culture analyzed by feminists who accepted sexual politics' question and the frame of cultural studies. In the aforementioned changes of "sexual differences" related concepts and "culture" concept, the scope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has been extended. Yet, under the conditions of diversified media and quantitative growth of cultural industries, the new task of analyzing and criticising the denser and more complicated semantic net in the association with related system has arrived.

      • KCI등재

        [특집: 한국문집과 한학연구] 한중 문화의 교차적 이해 (2) : 조선시대 문인 초상화(文人畵像) 텍스트에 대한 추론

        모문방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2 No.-

        초상화는 자아(自我)를 이해하기 위한 인류의 전통적인 흔적으로 볼 수 있으며, 개인의 용모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세계와 문화적인 배경에 대한 모방이기도 하다. 필자는 오랜 기간 동안 중국 명청(明淸) 시기의 문인 초상화 및 그 문화적인 배경에 관심을 기울여왔고, 지금은 이러한 인지 기반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시기 문인 초상화 텍스트의 보존현황 및 그와 관련한 문화적인 글쓰기에 대해서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윤증(尹拯)의 『影堂紀蹟』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약간의 개별적인 사례를 예로 들어 다차원적인 탐구를 진행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타인의 초상화와 자화상, 타인이 쓴 畵題와 자신이 직접 쓴 畵題 등을 서로 넘나들며 다중적인 시각과 관점으로 조선 중, 후기 초상화를 상세히 분석하였다. 아울러 그 변천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處士氣象의 山林 풍조, 文房雅齋의 맑고 그윽한 품격, 仙隱境界의 향락 분위기)에도 관심을 기울여, 근세 思潮에 있어서 문인 초상화 텍스트의 진보적인 성향도 함께 정리해보았다. 畵像可視爲人類理解自我的傳統軌跡,不僅表現個人神貌,亦是對周圍世界與文化型態的模擬. 筆者長期關注中國明淸時期的文人畵像及其文化生産,今以此認知基礎爲一參照,略窺朝鮮文人畵像文本的存留槪況與觸及的文化書寫. 本文玆由尹拯之『影堂紀蹟』導入正文,揀選若干個案進行多層次探討,用以剖析他畵像/自畵像,以及他題/自題等相互交織的多重眼光及觀看思維,幷關注朝鮮中後期畵像的轉變線索: 處士氣象的山林風調·文房雅齋的淸婉品味·仙隱境界的行樂분圍,嘗試梳理文人畵像文本於近世思潮中的演進趨勢.

      • KCI등재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 구현 방안

        권순회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set의 Data Scheme 설계 및 구현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 세트는 다양한 주제와 형태로 구축된 데이터들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DB의 소통성과 재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표준에 근거한 Data Scheme이 반드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정한 목표에 맞게 정보를 체계적으로 구조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도 통일된 지침과 설계를 기술한 Data Scheme이 매우 중요하다. 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B 구성에 대해 소개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1)GIS DB, 2)주제별 DB, 3)참조 DB로 구성된다. GIS DB는 Base-map과 주제별 DB의 내용을 Base map에 표현한 주제도로 구성된다. III장에서는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Data Scheme을 정의하였다. 주제별 DB의 Data Scheme은 ‘Header(ID, Index), Data, Link, Comment’의 이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참조DB에 주제별 DB에서 원전이나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 활용할 목적으로 구축되는데, 원전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 인명DB, 지명DB (Gazeteer)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실제 전자문화지도 구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세밀한 표준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IV장에서는 메타데이터(Metadata)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혹은 ‘전자 자원을 기술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요소’로서 자원의 위치 파악과 획득에 필요한 데이터 요소의 집합이다. 정보의 공유체계를 확보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작성이 필요하다. 먼저 ECAI(Ele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가 메타데이터의 표준적 방안으로 채택한 Doublin Core에 대해 검토하고, ECAI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들만으로는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포괄할 수 없다고 보고 조선시대 문화의 다양한 주제 영역과 존재 양태를 포괄하면서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호환성과 국제적 소통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향에서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설계하였다. 조선시대 전자문화지도 메타데이터 표준안은 더블린코어와 ECAI 표준안을 근간으로, ‘조선시대 문화 분류 체계’,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 ‘조선시대 행정구역의 군현 코드표’ 등을 반영함으로써 조선시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I proposed plan to materialize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 also presented a design for the data scheme and its materialization plan. The dataset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would be the most fundamental frame to organically combine and utilize diverse electric data, which are differently arranged by diverse subjects and forms. To circulate and utilize a DB actively, there must be a standard data scheme. A data scheme having unified principle and design is required to meet this need. In chapter II, I introduced the DB’s structur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atlas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the DB: the GIS DB,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and the reference DB. The GIS DB is again composed of two parts: the Base-map and the several maps of subjects which are drawing the contents of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on the Base-map. In chapter III, I made a definition for the data scheme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e data scheme of cultural subject parts’ DB is composed of four parts: the header including ID and index, data, links, and the comments. This scheme is made for the use of finding more concrete facts or original sources in the reference DB beside the cultural subject parts’ DB, thus it includes the original texts, Image, moving pictures, sounds, and the DB of personal names and the gazetter. I presented detailed standards to utilize the electric culture altras practically. Chapter IV is about making metadata. Metadata means the data about data. It is the data needed for describing electric sources, thus metadata is the collection of data necessar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sources. Making metadata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nformation communizing system and to actively utilize the system.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Doublin Core which ECAI, the Electronic Culture Altras Initiative, takes as its standard program of metadata, and I investigated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As a result, I found ou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cannot be comprehensively captured only by the standard devices of metadata of ECAI, thus I designed a new devic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This new devise can interact throughout the network effectively and accomplish international interaction. The new devise also can comprehensively capture diverse facts and various subject parts of Chosun Dynasty Culture. The standard devise of metadata of the Electric Cultural Atlas of Chosun Dynasty is based on the Doublin Core and the standard devise of ECAI. On the basis of it. The new devise includes classification system of Chosun Dynasty Culture, four-parts-assorting-methods(四部分類法), and the code list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Chosun Dynasty(조선시대 행정구역 코드표), thus the devise is expected to fit better for the characteristics of Chosun Dynasty Culture.

      • KCI등재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로 본 한국 고전문학 연구 경향과 과제

        김준형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민족문화연구』 누적 100호를 통해 한국 고전문학의 연구 경향을 살피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고민하였다. 누적 100호에 수록된 1,200여 편 내외의 논문 중 고전문학 관련 논문은 대략 440여 편 정도다. 전체의 35%다. 『민족문화연구』에는 특집 섹션이 총 63개인데, 여기에는 크게 세 가지 요소에 주목했다. 첫째, 특집호의 흐름이 ①인문학 위주에서 다른 분야까지 포섭했다. ②동일한 기획 주제가 반복되었다. ③기관의 역할을 위한 특집이 적지 않다는 점 등이 세 양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그러하다. 둘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과 다른 분야 학문과의 협업 양상에 변화를 보였다는 점이다. 초기에는 국학을 중심에 두고 다른 분야의 학문을 포용하는 방식이었다면, 후기에는 국학을 넘어 동아시아 보편 질서 안에서 한국문학의 위상을 찾는 방식으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특집호에는 한국문학의 독자적인 방향성을 설정했다는 점이다. 근대와 민족이라는 거대담론에 기초한 한국문학 연구는 2000년 이후로 소시민의 일상에 초점을 맞춘 생활사 위주의 미시담론으로 변환하였다. 이런 도정에서 ‘나’라는 개인의 존재에 대한 물음이 연구의 중심에 놓인 것도 당연한 결과였다. 특집호가 아닌 일반 논문들도 흐름은 크게 다르지 않다. 초기 민족문화연구 에 수록된 논문은 국학을 중심에 둔 민속학이나 민족정신의 흐름이 간단없이 이어졌음을 입증하기 위한 고전시가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 언어 인식에 따른 문화적 이질성 문제가 더 이상의 장애 요인으로 작동하지 않으면서, 한문학 연구가 활발해졌다. 또한 국제적인 보편성 아래에서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읽어내려는 경향이 강해졌다. 또한 중심보다 주변에 관심을 보인 것도 같은 맥락에 놓인다. 권력자 중심이 아닌 익명화된 소수자에 관심을 보인 것도, 그리고 여성과 문화가 한국문학의 중심에 놓인 것도, 음악과 미술 등과 교섭하는 연구 성과들이 강조된 것도 같은 흐름에서 파생된 결과다. 한국문학의 소멸까지 이야기되는 시점에서 새로운 과제를 나열하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다. 차라리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던 시기의 고민을 엿보아, 그에 기초하여 오늘날 한국문학 연구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첫째, 문학 연구의 목적성. 둘째, 학문 간 연대 및 공동 작업의 필요성. 셋째, 자료 공유 및 정리 작업의 필요성 등은 거기서 생산된 물음이다. 이를 통해 한국문학 연구의 구심점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 학문 간 연구 및 공동 작업에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성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자료와 공유 및 정리 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의 기초인데, 그 모범적 사례를 고려대 해외한국학자료센터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을 방향성으로 제시하였다. Through the cumulative 100th issue of KOREAN CULTURAL STUDIES, I looked at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ought abou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e approximately 1,200 papers included in the 100th issue, approximately 440 are related to classical literature. It is 35% of the total. KOREAN CULTURAL STUDIES has a total of 63 special sections. Looking at the special issue, it is noteworthy in three major respects. First, looking at the flow of the special issue, three aspects are revealed. ① It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included other fields. ②The same planning theme was repeated. ③This includes the fact that there are quite a few special features for the role of the institution. Second, the special issue showed a change in the pattern of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literature and other academic fields. In the beginning, it was a method of embracing studies in other fields based on Korean Studies, but in the later period, it was seen that it moved beyond Korean Studies to a method of finding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East Asian universal order. Third, the special issue also showed an aspect of setting an independent direction for Korean literature. Since 2000, research on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macro-discourse of homeland and nation has shifted its focus on the daily lives of small-scale citizens to micro-discourse centered on life history. In this journey, it was a natural result that the question of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I’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research. General papers that are not part of a special issue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low of a special issue. The early papers included in National Culture Studies focused on folklore centered on national studies and classical poetry to show that the flow of national spirit progressed and developed in a linear manner. However, since 2000, Chinese literature has shown significant progress as the problem of cultural heterogeneity due to language recognition no longer acts as an obstacle. The tendency to read the specificity of Korean literature under international universality has become stronger. Also, the increased interest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the center can be explained in the same context. This is why the focus is on anonymous minorities rather than those in power. The same result is that women and culture are placed at the center of Korean literature, and research results that negotiate music and art are emphasized. After reviewing this, I also thought about the task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Rather than raising a special task at a time when we are talking about the disappearance of Korean literature, it is more meaningful to translate Kim Chun-dong’s concerns from the period of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era into today's problems. Through this, three issues were raised. First,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Second, the need for interdisciplinary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hird, there is the need for data sharing and organization. Through this, a central point for Korean literature research must be established and autonomy to demonstrate creativity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collaboration is needed. He also suggested that sharing and organizing data is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that exemplary examples can be found at Center for Overseas Resource on Korean Studies.

      • KCI등재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 연구―‘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과 최근 변화를 중심으로―

        남보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民族文化硏究 Vol.94 No.-

        This study summarized the process of which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organization is being established by concentrating on the transition of the ‘National Author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hich is a national heritage protection institutio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e, North Korea organized a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and established the central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institution through the forming ‘The Department of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1970s after passing through a transition period. Although the name of the management institution was frequently changed, its major tasks showed a tendency of being embodied and institutionalized. Moreover, basic tasks such as collecting, evaluating, registering, and managing cultural heritage were also supported by the laws. Meanwhile, North Korea has exerted to register the cultural heritage to the UNESCO heritage from around 2000 to the latest and conducted the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s well as a project called ‘Introduction & Propaganda’ of North Korean cultural heritage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wo Koreas and those with European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Germany, which continued to immediatel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In this process, it was an opportunity to accept ‘advanced technologies that meet global trends.’ 한반도의 문화재는 남과 북이 같은 역사를 공유했다는 실증의 산물로, 북한이 펼치는 문화재 보호관리정책은 북한만의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재를 함께 향유하기 위해 우리 모두의 지속적인 관심과 이해가 꼭 필요하다. 본 논문은 북한의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인 ‘민족유산보호국’의 변천에 집중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조직이 확립되어 가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북한은 해방 직후부터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조직하였고, 과도기를 거쳐 1970년대 ‘문화보존총국’을 수립하여 중앙 문화재 보호관리기관을 확립하였다. 관리 기관 명칭이 자주 변경되었지만 그 업무는 구체화되고 제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문화재 보호 대상뿐만 아니라 문화재 수집 및 평가와 등록, 보호 관리 등과 같은 기본 업무 역시 법으로 뒷받침하였다. 한편 북한은 2000년 전후부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 등재를 위한 활동과 코로나-19 발생 전까지 이어진 프랑스와 독일 등과 같은 유럽국가와의 교류 및 남북 교류를 통한 북한 문화재 ‘소개선전’사업뿐만 아니라 인적⋅물적 교류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계적인 추세에 맞는 선진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1980년대부터 꾸준하게 이어져 온 문화재 국제교류라는 외부동인이 제한된 상황이지만, 북한은 문화재 교류를 위해 ‘민족유산보호국’을 필두로 ‘조선민족유산보호기금’을 설립하고 ‘조선민족유산보존사’의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최근까지 유네스코 등록유산에 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