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열에너지 관리를 위한 온실 형상 및 열 교환 장치 위치 개선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 예측

        정인선,이충건,조라훈,박선용,김석준,김대현,오재헌,Jeong, In Seon,Lee, Chung Geon,Cho, La Hoon,Park, Sun Yong,Kim, Seok Jun,Kim, Dae Hyun,Oh, Jae-Heun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단면설계 및 열 교환 장치 위치 변경을 통해 온실의 구조 변경을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개선 여부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을 예측하였다. 단면형상과 열 교환 장치의 개선 후 유속 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때 온도와 균일도는 각각 평균 0.65℃, 0.75%p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해석대상 온실과 같은 소규모 온실의 경우 방열관의 난방성능 개선보다 FCU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이 균일한 환경 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선 전·후 온실에 환기시스템 적용 시 공기 유동 특성 분석을 위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기 유동과 공기령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며, 개선 후 온실의 공기령이 개선 전 온실 대비 18초낮게 나타났다. 개선 전·후 온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개선된 온실에서의 평균온도 및 온도 균일도 상승, 최대편차 감소 등 내부 환경의 균일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로 개발된 모델은 형상 변경, 열 교환 장치 위치 변경 등에 따라 변화하는 온실 내부 환경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온실 설계, 온실 내 난방시스템 설계 등의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model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y, inner environmenct of the modified glass greenhouse was predicted. Also, suggested the optimal shape of the greenhouse and location of the heat exchangers for heat energy management of the greenhouse using the developed model. For efficient heating energy management, the glass greenhouse was modifi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design and the location of the heat exchanger. The optimal cross-section design was selected based on the cross-section design standard of Republic of Korea's glass greenhouse, and the Fan Coil Unit(FCU) and the radiating pipe were re-positioned based on "Standard of greenhouse environment design" to enhance energy saving efficiency. The sim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heat transfer with the modified greenhouse structure using the developed inner environment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mean temperature and uniformity of the modified greenhouse were 0.65℃, 0.75%p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eenhouse, respectively. Also, the maximum deviation decreased by an average of 0.25℃. And the mean age of air was 18 sec.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eenhouse. It was confirmed that efficient heating energy management was possible in the modified greenhouse, when considered the temperature uniformity and the ventilation performance.

      • 도서관인의 명암(明暗) - 어린이 철학교육를 위한 학교도서관 활용방안 (초등학교도시관의 장서구성과 독시교육을 중심으로)

        정인선,Jeong, In-Seon 한국도서관협회 2009 圖協會報 Vol.50 No.5

        환경(공간)은 예외 없이 존재의미를 규정한다. 학교도서관은 더욱 그러하다. 청소년기의 학교도서관이 그 존재 자체만으로도 도서관의 존재에 대한 일반적 의미 이상인 이유도 거기에 있다. 즉 학교안에 도서관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초등학교 도서관의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학교도서관은 담임선생님이나 교장선생님의 존재보다 더 훌륭한 인류의 스승들, 즉 위인들의 모습들이 간직되어 있는 곳으로, 한마디로 말해 어린이에게 그곳은 위인의 전당이고 어린이 철학의 요람이기 때문이다. 많은 어린이들이 그곳에서 자신의 미래를 꿈꾸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어린이 철학자가 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 SCOPUSKCI등재

        전자선 조사한 아몬드(Prunus amygosalus L.)와 땅콩(Arachis hypogaea)에서 유래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정인선(In Seon Jeong),김재성(Jae Sung Kim),황인민(In Min Hwang),최성화(Sung Hwa Choi),최지연(Ji Yeon Choi),노은영(Eun Yeong Nho),나임칸(Naeem Khan),김병숙(Byung Sook Kim),김경수(Kyong Su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1

        아몬드와 땅콩의 비조사 시료와 1, 3, 5, 10 kGy로 전자선을 조사한 시료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의 생성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을 n-hexane으로 추출하여 florisil column으로 분리 및 GC/MS로 분석하였다. 전자선 조사된 아몬드와 땅콩에서 유래한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1,7-hexadecadiene(C<SUB>16:2</SUB>)과 8-heptadecene(C<SUB>17:1</SUB>), linoleic acid에서 1,7,10-hexadecatriene(C<SUB>16:3</SUB>)과 6,9-heptadecadiene(C<SUB>17:2</SUB>), 그리고 palmitic acid에서 1-tetradecene(C<SUB>14:1</SUB>) 및 pentadecane(C<SUB>15:0</SUB>) 생성되었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에서는 C<SUB>n-2</SUB>, linoleic acid에서는 C<SUB>n-1</SUB> 화합물이 보다 더 높게 생성되었다. 전자선을 1, 3, 5, 10 kGy의 선량별로 조사한 시료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은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 유래한 1,7-hexadecadiene(C16:2), 8-heptadecene(C17:1)과 1,7,10-hexadecatriene(C<SUB>16:3</SUB>) 및 6,9-heptadecadiene(C<SUB>17:2</SUB>)의 경우 아몬드와 땅콩 모두에서 다른 hydrocarbon류에 비해 전자선 조사에 의한 생성량이 높게 나타난바 전자선 조사유무 판별 marker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Food irradiation has recently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techniques to preserve food with increased shelf lif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ydrocarbons in almonds (Prunus amygosalus L.) and peanuts (Arachis hypogaea) induc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The samples were irradiated at 0, 1, 3, 5 and 10 kGy by e-beam and using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fat, and content was extracted. The induced hydrocarbons were identifi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hydrocarbons in both irradiated samples were 1,7-hexadecadiene (C<SUB>16:2</SUB>) and 8-heptadecene (C<SUB>17:1</SUB>) from oleic acid, 1,7,10-hexadecatriene (C<SUB>16:3</SUB>) and ,9-heptadecadiene (C<SUB>17:2</SUB>) from linoleic acid and 1-tetradecene (C<SUB>14:1</SUB>) and pentadecane (C<SUB>15:0</SUB>) from palmitic acid. Concentrations of the hydrocarbons produced by e-beam were found to be depended up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in both almonds and peanuts. The Cn-2 compound was found to be higher than Cn-1 compound in 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hile in case of linoleic acid, Cn-1 compound was higher than Cn-2 compound. The radiation induced hydrocarbons were detected only in irradiated samples, with 1 kGy or above, and not in the non-irradiated ones. The production of 1,7-hexadecadiene (C<SUB>16:2</SUB>), 8-heptadecene (C<SUB>17:1</SUB>), 1,7,10-hexadecatriene (C<SUB>16:3</SUB>) and 6,9-heptadecadiene (C<SUB>17:2</SUB>), in high concentration gave enough information to suggest that these may be the possible marker compound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in almonds and peanuts.

      • KCI등재

        전자선 조사한 자두의 휘발성 유기성분 변화

        정인선 ( In Seon Jeong ),이순임 ( Sun Im Lee ),전동복 ( Dong Bok Jeon ),홍영신 ( Young Sin Hong ),김재성 ( Jae Sung Kim ),최성화 ( Sung Hwa Choi ),노은영 ( Eun Yeong Nho ),최지연 ( Ji Yeon Choi ),김병숙 ( Byung Sook Kim ),김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 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 2012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9 No.2

        The changes in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plum after its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storage were determined using the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ry. There were 44, 46, 45, 47, and 38 volatile compounds in the 0-, 0.25-, 0.5-, 0.75-, and 1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Also,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the plum that was stored for 30 days were identified as 48, 40, 40, 39, and 40 components. The compositions of the volatile compounds of the control and irradiated samples showed a similarity after the storage. Especially, the more important volatile flavor of the plum was identified as hexanal of the C6compounds, (E)-2-hexenal and (Z)-3-hexenal. In particular, hexanal, (E)-2-hexenal, and (Z)-3-hexen-1-ol increased in all the doses, where as hexanol and (E)-2-hexen-1-ol decreased. Among the lactone compounds, γ-hexalactone, γ-octalactone, and γ-decalactone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the raw samples. Hexanonic acid and 2-hexenoic acid were not identified during the storage of the samples, and 2-methylprrole was detected only when the storage samples were irradiated at a dose higher than 0.5kGy. Therefore,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effect on the variation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nent suntil 1 kGy in the plum was irradiated with an electron beam.

      • KCI등재

        고구마껍질을 주원료로 한 식물혼합물의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

        정인선(In-Seon Jeong),강경순(Kyeong Sun Kang),김은혜(Eun-Hye Kim),박승만(Seung Man Park),정미자(Mi Ja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을 포함한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의 RAW264.7 대식세포 및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면역 활성 증진 효과 및 항암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제품들은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을 함유한 액상 파우치(M3E-A), 농축액상 스틱 파우치(M3CB) 그리고 티백 침출차(M3T-C)이다. M3A, M3B, M3C는 각각 M3E-A, M3C-B, M3T-C를 추출 및 농축 후 동결건조한 분말이다. M3A, M3B 및 M3C는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생산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NO 및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수준은 M3A 또는 M3C를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에서 M3B를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보다 높았다. 마우스에 M3C(100 ㎎/㎏, 300 ㎎/㎏)를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M3C를 섭취한 마우스는 비장세포증식, NO 수준과 사이토카인(INF-γ, IL-10) 수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50~2,000 ㎍/mL M3A, M3B 및 M3C를 각각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AGS 세포 성장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을 이용하여 개발된 제품들이 건강한 사람과 암 환자의 면역 활성 증진 및 항암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mune-enhancing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a sweet potato peel-based plant mixture, including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lanceolata and corn silk, on RAW264.7 macrophages or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The product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pouches (M3E-A) made by plant mixture extract, stick pouches (M3C-B) made using M3E-A concentrate and plant mixture tea (M3T-C). The M3A, M3B, and M3C were in the form of freeze-dried powder after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M3E-A, M3C-B, and M3T-C, respectively. The M3A, M3B, and M3C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in RAW264.7 macrophages. The NO and cytokine (TNF-α, IL-1β, and IL-6) levels in the M3A or M3C-treated RAW264.7 macrophag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M3B-treated RAW264.7 macrophages. Mice treated orally with M3C (100 ㎎/㎏, 300 ㎎/㎏), resulted in significantly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NO levels and cytokine (INF-γ, IL-10) levels compared to control mice. The M3A, M3B, and M3C (250 to 2,000 ㎍/mL), resp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AGS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s using sweet potato peel-based plant mixture may be used for immuno-enhancing and anticancer effects by healthy people and cancer patients.

      • KCI등재

        CFD를 이용한 유리온실 내부 환경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정인선(In Seon Jeong),이충건(Chung Geon Lee),조라훈(La Hoon Cho),박선용(Sun Yong Park),김민준(Min Jun Kim),김석준(Seok Jun Kim),김대현(Dae Hyu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CFD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유리온실의 내부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주 · 야간 실험 데이터를 경계조건으로 하는 Case 1, 2, 3의 시뮬레이션 예측값은 실험값 대비 평균 2.62℃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편차와 균일도는 각각 평균 1.12℃, 2.92%p 높게 나타났다. Case 1에서 Case 3으로 외기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조성되는 온실 내부 온도는 평균 0.84℃의 차이를 보였으며, R²는 0.9628로 실험값과 시뮬레이션 예측값 간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예측 결과 해석대상 온실 내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해석대상 온실의 효율적인 열에너지 관리를 위해 온실 내 방열관과 FCU의 위치 변경, 온실 구조 변경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추후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해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온실 내부 작물 및 구조물 미고려, 온실을 완전 밀폐로 가정하는 등 모델 정립을 위한 조건들에 의한 열전달 현상을 고려한 모델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ecause the inner environment of greenhouse has a direct impact on crop production,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develop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the greenhou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echnology developed to all greenhouses because thos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in specific greenhouses.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develop the models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greenhouse in real situation. Therefore studies are underway to solve this problem using computer-based simul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a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inner environment of glass greenhouse using CFD simulation method.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using primary and secondary heating experiment and daytime greenhouse inner temperature dat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 the mean temperature and uniformity were 2.62°C and 2.92%p higher in the predicted value, respectively. R² was 0.9628, confirming that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values showed similar tendency. In the future, the model needs to improve by applying the shape of the greenhouse and the position of the inner heat exchanger for efficient thermal energy management of the greenhouse.

      • 빌렘 플루서(Vilém Flusser)의 이론을 통해 본 가상현실 영화의 특성

        정인선(In-Seon Jeong)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2024 스토리콘텐츠 Vol.- No.4

        본 연구는 오늘날 등장한 가상현실 영화와 19세기 말에 등장한 뤼미에르 형제 영화와의 비교를 통해 두 가지 유사성을 발견하였다. 첫 번째는 영화문법 부재로 인한 ‘정보 과잉’이다. 이는 영화를 제작하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새로운 매체를 관객들에게 잘 이해시키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두 번째는 새로움에 대한 ‘정보 과잉’이다. 이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 관객이 얻을 수 있는 만족감 때문에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초창기 영화와 가상현실 영화의 두 가지 유사성을 이해하기 위해 플루서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도입했다. 플루서는 담론적 매체와 대화적 매체를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는데, 이 둘의 차이점은 매체의 특성도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동시에 매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 혹은 송신자가 어떻게 매체를 구성하는가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결국 가상현실 영화는 존재론적 특성으로 상호작용성이라는 대화적 매체의 특성에 가까운 특성이 있고, 동시에 이야기 전달이라는 극장기반 영화의 특성 때문에 담론적 매체의 특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 새로운 영화의 한 형태인 가상현실 영화는 앞서 살펴본 특성 때문에 담론적 매체와 유사하게 작동했다. 이런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고 가상현실 영화만의 문법을 만들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두 가지 특성(담론적, 대화적) 중 하나를 강조하기보다는 이 두 능력을 잘 조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시도는 초창기 영화와 유사하게 가상현실 영화에서 나타나는 ‘정보 과잉’이라는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tudy on the commonalities between today's virtual reality films and the Lumière brothers' film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his study found two similarities. The first is ‘information overload’ due to the absence of film grammar. This occurs in the process of trying to better understand a new medium to the aud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film producers. The second is information overload about novelty. This occurs because of the satisfaction that audiences can gain through new media. Flusser's communication theory was introduced to understand the two similarities between these early films and virtual reality films. Flusser explained that discursive media and conversational media can be divided, and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but also on how the medium is used or how the sender constructs the medium. In the end, it was confirmed that virtual reality movies have characteristics that are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conversational medium, such as interactivity, as an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discursive medium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ater-based films that tell stories. Virtual reality cinema, currently a new form of film, were similar to discursive media due to the characteristics discussed above.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and create a grammar unique to virtual reality films,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se two capabilities rather than emphasizing one of the two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discursive and conversational). In addition, early films and similarly, it would be a way to solve the phenomenon called ‘information overload’ that appears in virtual reality cinema.

      • KCI등재후보

        죽로차의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 비교

        전동복(Dong-Bok Jeon),이순임(Sun-Im Lee),김재성(Jae-Sung Kim),홍영신(Young-Shin Hong),정인선(In-Seon Jeong),최성화(Sung-Hwa Choi),노은영(Eun-Yeong Nho),최지연(Ji-Yeon Choi),나임칸(Naeem Khan),서혜영(Hye-Young Seo),김경수(Kyong-Su Kim 한국차학회 2012 한국차학회지 Vol.18 No.1

        죽로차 생엽과 반발효차의 휘발성 화합물을 SDE 방법으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생엽에서는 총 93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32종으로 함량은 75.9 ㎎/㎏으로 동정되었다. 그 외 화합물로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의 함량은 22.7 ㎎/㎏으로 확인되었다. 반발효차에서는 총 76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분석되었으며, alcohol류가 23종으로 함량은 59.0 ㎎/㎏이 확인되었다. Aldehyde류, ester류, hydrocarbon류, ketone류, 함질소화합물류, acid류 등 화합물은 44.9 ㎎/㎏으로 확인되었다. 죽로차 생엽에서 다량 동정된 휘발성 화합물은 (E)-2-hexenal, phenylethyl alcohol, geraniol 그리고 linalool이 총화합물의 31.5%를 차지하였고, 반발효차에서 각각 0.3, 1.2, 3.1 및 4.4 ㎎/㎏으로 동정되어 발효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반발효차에서는 (E)-nerolidol, indole, ethyl acetate, coumaran, (Z)-jasmone 등이 주요 화합물로 확인되었고, peak area의 합계는 전체 화합물의 31.0%에 해당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을 생엽과 비교 했을때 많은 양이 증가하였다. C6 화합물은 생엽에서 7.8 ㎎/㎏ 동정되었으며, 반발효차에서는 1.0㎎/㎏으로 많은 양이 감소하였다. Terpenoid의 화합물은 생엽과 반발효차에서 28.2 ㎎/㎏ 및 24.9 ㎎/㎏으로 확인되었다. 관능기별 함량은 alcohol류과 aldehyde류를 제외한 ester류, ketone류, hydrocarbon류, 함질소화합물류의 함량은 발효시 증가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volatile compounds among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of Zukro tea. Volatile compounds were extracted the using SDE method and analyzed by GC/MS. A total of 93 and 76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 respectively. Alcohols were the predominant chemical group, with a proportion of 76.96% and 56.85%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The major alcohol compound in both samples was phytol, which had a higher aroma threshold and resulted from hydrolysis of chlorophyll. Terpenoid compounds were present at 29.1 and 24.9 ㎎/㎏, in fresh and semi-fermented leaves, respectively. Terpene alcohols such as linalool and geraniol were present as major volatile compounds at concentrations of 7.8 and 14.4 ㎎/㎏ in fresh leaves of Zukro tea,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hese two terpene alcohols were 4.4 and 3.1 ㎎/㎏ in semi-fermented leaves. C6 compounds were present at 7.8 ㎎/㎏ in fresh leaves but decreased to 1.0 ㎎/㎏ in semi-fermented leave. The contents of esters, ketones, hydrocarbons, and N-containing compounds all increased after semi-fermentation.

      •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목재펠릿보일러의 유입공기 온ㆍ습도 제어에 관한 연구

        정인선 ( In Seon Jeong ),김민준 ( Min Jun Kim ),조라훈 ( La Hoon Cho ),박선용 ( Sun Yong Park ),김석준 ( Seok Jun Kim ),이충건 ( Chung Geon Lee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지속적인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 및 확대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대응 가능한 연료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주로 목재 펠릿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 펠릿은 높은 함수율, 연소 조건 등으로 인해 연소 시 타르(Tar), 재(Ash), 클링커(Clinker) 등 연소 방해 물질이 생성된다. 연소 방해 물질은 보일러 내의 축적되어 열효율 저하, 오염가스 배출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일러 구조 또는 연료의 개선, 유입 공기 조건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튬브로마이드(LiBr)의 흡습성질 및 반응열을 이용한 목재펠릿 보일러 유입공기 온ㆍ습도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부착에 따른 열효율 향상 효과 규명을 위해 원형보일러와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적용 시 원형 보일러 대비 열효율은 약 8.5%p 증가하였으며, 배기가스 분석결과 CO의 농도는 약 0.09%p, NO<sub>x</sub>의 농도는 약 0.001%p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템을 통한 유입공기의 건조 및 예열이 보일러 내 연소 조건을 개선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DNA 서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효율적인 유사성 검색 알고리즘

        정인선(In-Seon Jeong),박경욱(Kyoung-Wook Park),임형석(Hyeong-Seok L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의 서열의 길이가 수백만에서 수백억 정도의 대용량 텍스트이기 때문에 기존의 Smith-Waterman 알고리즘으로 정확한 서열의 유사성을 검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빠른 유사성 검색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자열에 대해 특정 길이의 모든 부분문자열에 나타나는 문자의 출현 빈도를 이용한 휴리스틱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질의 서열과 일치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들만을 추출한 후 이들 각각에 대하여 질의 서열과의 일치 여부를 조사하므로 빠르게 유사성 검색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문자의 출현 빈도만을 사용하므로 서로 다른 서열을 같은 서열로 취급하는 단점이 있어 정확도가 Smith-Waterman 알고리즘에 비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가 부분문자열에 나타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문자의 출현빈도를 인덱싱함으로써 질의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문자 빈도만을 사용하는 알고리즘에 비해 5~15%정도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