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CRP 의존성 maltose 대사 촉진 유전자 sfs4 의 클로닝 및 염기배열 결정

        정수열(Soo Yeol Chung),조무제(Moo Je Cho),희태(Hee Tae Jeong),최용락(Yong Lark Choi)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8 No.2

        In Escherichia coli, CRP forms a complex with cAMP and acts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of many genes, including sugar metabolism operons. The E coli MK2001, which is introduced the altered crp^(*1), is functional in the expression of lac, ara and man, in the absence of cAMP. However the expression of mat gene is fully activated by the addition of cAMP or cGMP. The object of the study is cloning of the sfs (sugar fermentation stimulation) genes, which was involved in regulation of mat gene expression with the altered crp^(*1) gene, and structural analy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genes at the molecular level. We have cloned 5 different E. coli genes which stimulate the maltose metabolism in a crp^(*1), cya::km (MK2001) background. Newly identified genes were designated as sfs. One of the sfs genes (pPC1), located at the 53.2 min map position on the E coli chromosome, was further analyzed. Expression of the genes, which is involved in maltose metabolism, malQ (amylomaltase), was increased to 5.8-fold in the presence of a plasmid, pAPS, containing the subcloned sfs4 gene. The nucleotide seguence of a common 2,126 by segment of the pPCM1 was determined and two open reading frames (ORF1 and ORF2) were detected. The ORF1 encodes the sfs4 gene and ORF2 encodes a truncated protein. Potential CRP binding site is located in the upstream of the putative promoter in the regulatory region. Expression of the cloned sfs4 gene was positively regulated by the cAMP-CRP complex.

      • SCIEKCI등재

        Cellulose 생합성 세균의 분리 및 특성

        이승진,유주순,정수열,최용락 ( Seung Jin Lee,Ju Soon Yoo,Soo Yeol Chung,Yong Lark Choi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0 No.2

        A screening was performed to isolate the cellulose-producing microorganisms from vinegar in Korea. The isolated strain was identified as Acetobacter sp. with respect to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ated as Acetobacter CBI-2. Cellulose production of Acetobacter CBI-2 was equal with the well known cellulose-producing bacteria, A. xylinum. The result of separation on thin layer chromatography(TLC) was consistent with the degradation product of native cellulose. The presence of genes required for the cellulose biosynthesis in Acetobacter CBI-2 was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 KCI등재

        식품의 건조 및 수축특성에 관한 연구 - 2. 다시마의 건조 및 수축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조덕제,허종화,정수열,CHO Duck-Jae,HUR Jong-Hwa,CHUNG Soo-Yeol 한국수산과학회 198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1 No.1

        Square slices of sea tangle was dried in hot air drier that could be controlled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air velocity. Under various drying conditions, drying and shrinking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1) During drying sea, tangle, the constant rate period was nonexistant and the falling rate could be devided into a 2 periods, namely, a first falling rate period and a second falling rate period. 2) The tip part was proceeded more shrinkage than base part, and under drying condition of air temperature $50^{\circ}C$, relative humidity $30\%$, air velocity 0.4m/s,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to $20\%$, the shrinking ratio of tip part, middle part and base part were 57.5, 54.0 and $42.7\%$, respectively. 3) The drying shrinking and drying rate increased with decreasing relative humidity, but when the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to $20\%$, the shrinking ratio increased with increasing relative humidity. 다시마의 건조와 수축특성을 알기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건조중인 다시마의 건조 및 수축특성에 미치는 채취부위, 공기의 온도, 상대습도 및 풍속의 영향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다시마의 열풍건조과정은 항률건조 기간이 없이 바로 감률건조기가 나타났으며 이것은 다시 감률건조 1단계 및 2단계로 구분되었다. 2) 두께가 얇은 선단부가 기부보다 수축이 더 많이 되었으며 공기의 온도 $50^{\circ}C$, 상대습도 $30\%$, 유속 0.4m/s의 일정한 건조 조건하에서 다시마의 선단부, 중간부 및 기부를 120분까지 건조하였을 경우 수축율은 각각 $57.5\%,\;54.0\%,\;42.7\%$이었다. 3) 상대습도가 낮은것은 높은것에 비해 건조속도 및 수축속도는 빨랐으나 함수률 $20\%$까지 건조하였을 경우 수축율은 오히려 상대습도가 높은것이 증가하였다.

      • KCI등재

        식품의 건조 및 수축특성에 관한 연구 - 1. 다시마 건조중의 수축현상 -

        조덕제,허종화,정수열,CHO Duck-Jae,HUR Jong-Hwa,CHUNG Soo-Yeol 한국수산과학회 198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1 No.1

        건제품으로 가공, 저장되고 있는 다시마는 조직이 연약하여 건조중 상당한 수축현상을 일으키는데 이의 기초적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 $(50\%,\;10/^{\circ}C)$, 상대습도 $(30\%)$ 및 풍속 (0.4m/s)으로 열풍 건조를 행하여 가로와 세로의 길이변화, 표면적 수축변화 및 수축속도의 변화등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로수축이 세로수축보다 건조시간 90분까지 약2배 더 많이 수축하였다. 2) 다시마의 표면적 수축은 건조시간 90분까지는 직선적으로 나타났으며, 전건조과정에서 보인 2단계의 수축곡선은 건조속도곡선의 2단계와 잘 일치하였다. 3) 수축속도는 감률건조1단계에서 급속히 증가하여 감률건조2단계의 초기에 최대의 수축에 달하였다. Square slices of sea tangle was dried in constant condition of thickness (1.54mm), air temperature $(50^{\circ}C)$, relative humidity $(30\%)$ and air velocity (0.4m/s). The shrunk surface area and the shrinking rate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Comparing the shrinking of transverse section with that of vertical section, the transverse section was proceeded more double shrinkage than vertical section. 2) The shrunk surface area curve showed nearly a linear shrinkage up to 90min of drying time. 3) The shrinking rate was rapidly increased in first falling rate period, and was largest in the early period of second falling rate period.

      •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 산화세균의 분리 및 특성

        이용석,유주순,정수열,박춘수,최용락,Lee, Yong-Seok,Yoo, Ju-Soon,Chung, Soo-Yeol,Park, Choon-Soo,Choi, Yong-Lar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한국농화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폐수 중의 질소 제거를 위한 생물학적 처리용 미생물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질소의 산화 능력이 뛰어난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세균 중에서 질소 산화능과 생육 속도가 뛰어난 CH-N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생리, 생화학적 특성 조사에 의해 Bacillus sp로 추정되어 Bacillus sp. CH-N이라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는 0.5% glucose가 포함된 초기 pH가 7,0인 암모니아 및 아질산성 질소 함유 배지에서 30시간 배양 후 각각 85%와 90%의 암모니아성과 아질산성 질소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폐수 및 생활하수에 분리 균주를 이용한 결과, 수질 속의 암모니아성 질소가 단시간에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균주를 고정시킨 담체의 질소산화 효과를 시험하고자 Bacillus sp. CH-N을 고정시킨 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결과, 배양 2일 후에는 암모니아성 질소가 전부 제거되었다.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for biological nitrogen oxidizing process in sewage and wastewater, a bacterium having high abilities to oxidize of nitrogen was isolated from wastewater and polluted soils. The strain was identified to Bacillus sp. CH-N, based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properties. Characteristics and oxidizing ability of both ammonia and nitrite were examined for the strain, Bacillus sp. CH-N. The strain showed the oxidizing rate about 80% to 90% on the sewage and wastewater after 48 h culture. The nitrogen oxidizing rate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glucose. The microorganism, Bacillus sp. CH-N cell immobilized on ceramic carrier were evaluated for the oxidation of ammonia in culture media.

      • KCI등재

        Klebsiella sp. DA71-1/pLYJ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 특성

        류아름,이진우,이용석,이상철,정수열,최용락,Ryu, Ah-Reum,Lee, Jin-Woo,Lee, Yong-Seok,Lee, Sang-Cheol,Chung, Soo-Yeol,Choi, Yong-Lark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4

        To develop high efficiency biofertilizer solubilizing insoluble phosphates, lactate dehydrogenase (ldh) gene was isolated from Staphylococcus sp. LJ2. Genetic constructions were carried out using the pGEM-T-easy vector and pHSG398. Recombinant DNA plasmids containing the ldh gene were transferred to Klebsiella sp. DA71-1 by electroporation. The selected transformant was named as a DA71-1/pLYJ. The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ation activity of DA71-1/pLYJ was higher than that of DA71-1 at various culture conditions. Glucose was the best carbon source for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ation among the used carbon sources. Maximal insoluble phosphates solubilizing was found in sucrose minimal (SM) medium containing 3% glucose. The solubilizing activity of DA71-1/pLYJ against three types of insoluble phosphates, such as tri-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aluminium phosphate, were quantitatively determined.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to solubilize insoluble phosphates in the SM medium was $37^{\circ}C$ and pH 5.0, respectively. 친환경형 미생물제제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의 향상을 위하여 Staphylococcus sp. LJ2로부터 분리된 ldh gene을 Klebsiella sp. DA71-1에 도입하였고, 이를 DA71-1/pLYJ라고 명명하였다. 배지에 glucose를 3% 첨가했을 때 다른 탄소원을 첨가했을 때보다 DA71-1/pLYJ 균주의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각기 다른 난용성 인산염 tri-calcium phosphate, hydroxyapatite, 그리고 aluminium phosphate에 대하여 그 가용화능이 DA71-1 균주보다 적게는 1.2배, 많게는 2.3배 이상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DA71-1/pLYJ 균주는 DA71-1 균주에 비해 배양 온도에 비교적 관계없이 높은 인산가용화능을 나타낸 것이 특징적이었고, 배양초기 pH가 5.0일 때 그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 이러한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DA71-1/pLYJ 균주는 여러면에서 DA71-1 균주보다 난용성 인산염 가용화능이 월등히 뛰어나며 따라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미생물제제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단체급식에서 채소류 전처리를 위한 식초 소독의 미생물적 효과

        김소희(So-Hee Kim),정수열(Soo-Yeol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2

        단체급식에서 적용할 수 있는 HACCP 시스템 개발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현재 급식소에서 가열처리 없이 급식되어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생채류 조리의 위생실태를 파악하고 생채류 조리의 전처리 단계에서의 채소류에 대한 식초소독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고등학교 급식소 5개소의 2002년 1월부터 5월까지의 식단을 분석하여 급식횟수가 높은 생채류 중, 부추겉절이, 도라지생채, 야채샐러드의 미생물적 품질을 평가한 결과, 부추겉절이와 도라지생채는 1 g당 총균수는 10^5~10^6 CFU, 대장균군은 10²~10⁴ CFU 수준으로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상태였다. 급식소에서 생채류의 재료가 되는 부추를 물로 3회 세척한 후, 총산 농도 0.05%, 0.1%, 0.5%, 1%, 2%로 조절하고 농도별로 온도를 10℃, 20℃, 40℃로 유지시킨 식초소독액 각각에 부추를 넣어 5분, 10분, 30분 동안 침지시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식초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추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의 감소가 증가하였으며 같은 농도에서 소독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효과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채소류의 질감 손상과 에너지 비용면을 고려할 때 채소류의 초기 총균수가 106, 대장균군수는 10³ 수준일 경우 0.5%, 20oC의 식초용액으로 10분간 소독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처리전 부추 원시료, 3회 세척한 부추, 3회 세척 후 20℃의 0.1%, 0.5%, 1% 식초소독액에서 10분간 침지시킨 부추 각각의 시료들을 4℃에서 저장하면서 시간별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검사하였다. 부추 원시료와 3회 세척 시료는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은 증가하여 72시간의 저장으로 저장전에 비해 총균수는 각각 0.54 log(3.5배), 0.75 log(5.6배), 대장균수는 각각 0.30 log(2배), 0.24 log(1.8배) CFU/g증가하였다. 반면 0.1%의 식초소독액에 침지하였던 부추시료들은 72시간의 저장으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0.5%와 1%의 식초소독액에 침지하였던 부추시료들은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식초 침지시 손상되었던 부추의 총균과 대장균군의 증식이 억제된 때문이라 사료된다. 식중독 병원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 Shigella sonnei, Salmonella entritidis, Listeria monolytogenes를 식초농도 별로 10℃에서 10분간 처리하여 배양시킨 결과, 식초농도 1% 이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For hygenic evaluation, microbiological tests of seasoned raw vegetables from five high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ere conducted. The antimicrobiological effect of pre-preparation with vinegar against microorganisms on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was also investigated. Total plate counts of leek gukgalli, broad bellflower saengchae and vegetable salad ranged from 10⁴ CFU/g to 10^6 CFU/g. Coliform levels of those ranged from 10² CFU/g to 10⁴ CFU/g. Leek washed three times was pre-prepar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0.05%, 0.1%, 0.5%, 1% and 2%) and temperature (10℃, 20℃ and 40℃) for 5, 10 and 30 minute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vinegar were, the more the antimicrobiological activity increased. The sanitizing activity of vinegar increased with treatment time. Considering the quality of vegetable and the expense, when the level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of vegetable were 10^6 and 10³ CFU/g, pre-preparation with 0.5% of vinegar at 20℃ for 10 minutes was best. The population of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 on row and leek washed three times increased during storage for 72 hours. However, The levels of microorganism on leek samples preprepared with 0.5% and 1% vinegar decreased during storage. After the treatment of vinegar at 10℃ for 10 minut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 Shigella sonnei, Salmonella entritidis, Listeria monolytogenes were not detected.

      • KCI등재

        Serratia marcescens에서 cAMP receptor protein(CRP) 유전자의 클로닝 해석

        유주순,김혜선,문종환,정수열,최용락,Yoo, Ju-soon,Kim, Hae-Sun,Moon, Jong-Hwan,Chung, Soo-Yeol,Choi, Yong-Lark 한국생명과학회 1998 생명과학회지 Vol.8 No.3

        전사조절인자로서 잘 알려져 있는 cAMP receptor protein(CRP)은 cAMP와 DNA에 결합하는 특별한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cAMP-CRP complex를 형성하여 수많은 유전자의 발현조절에 관여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cAMP-CRP의 조절은 어떤 면에서 총체적 조절체계라고까지 한다.본 연구는 Serratia 균주에서 crp 유전자의 분자적 특성 및 cAMP에 의한 발현조절을 받는 분자기구를 해석하고자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발현을 확인하였다. MacConkey 배지에서 maltose를 탄소원으로 충분히 이용하지 못하는 대장균 TP2139(${\Delta}crp$,${\Delta}lac$를 숙주로 이용하고, 염색체 DNA를 library로 작성하여 얻은 형질전환체 약 일만개의 콜로니에서 red colony를 나타내는 5종류의 양성 클론을 얻었다. 이들 클론을 Southern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 3kh의 단편을 가진 pCKB12클론이 crp유전자를 coding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glpD-lacZ 융합 plasmid인 pLDC6의 BamHI부위에 pCKB12의 3kb 단편을 삽입시킨 재조합 plasmid pLDC6-Scrp를 작성하여, 클로닝된 Serratia의 crp유전자가 대장균에서 유전자 전사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cAMP-CRP 복합체 형성에 의한 전사조절 기능이 확인되어졌다. One of the better-characterized transcription factor of E. coli is the cAMP receptor protein(CRP) and the CRP binds cAMP and DNA. The cAMP-CRP complex is involved in regulation of many genes at bacteria. The cAMP-CRP regulatory element represents, in some respects, a global regulatory network. The aim of this work was to study the structure and the mechanisms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CRP in Serratia marcescens. We have been get 5 different clones from Serratia which stimulated the cells to use maltose as a sole carbon source in E. coli TP2139. The crp gene clone, pCKB12, was confirmed by Southern hybridization with E. coli crp gene. The location of the crp gene was determined by construction subclones carrying various portions of pCKB12.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ole of CRP in E. coli, lacZ fused plasmids were constructed and investigated the ${\beta}$-galactosidase activity of the fused plasmid. The Serratiamarcescens cAMP receptor protein can substitute the E. coli CRP in transcriptional activation at the lacZ g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rratia marcescens cAMP receptor protein complex functions to regulate several promoters in E. coli.

      • SCIEKCI등재

        sfs1 유전자의 cAMP-cAMP receptor protein에 의한 발현 조절

        유주순,이승진,이희영,정수열,최용락,Yoo, Ju-Soon,Lee, Seung-Jin,Lee, Hee-Young,Chung, Soo-Yeol,Choi, Yong-Lark 한국응용생명화학회 199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4 No.1

        We have cloned several E. coli sfs genes which stimulate mal gene expression with $crp^{{\ast}1}$). One the genes (pPVC2) was sequenced and potential CRP binding site is located in the upstream of the putative promoter in the regulatory reg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gulation of the sfs1 gene by the cAMP-CRP complex, we have constructed the sfs-lacZ fusion gene in this research. The overall transcriptional stimulations of sfs1 gene in the presence cAMP were confirmed by ${\beta}-galactosidase$ activity and Western blot analysis of sfs1-lacZ fusion gene.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cAMP-CRP was also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End-labelled DNA of the DNA fragment in sfs1 regulation region were used for gel retardation assay to examine the CRP-DNA complex in the presence of cAMP. Results here indicate that CRP binding site in the regulatory region of sfs1 gene is positive regulator for the expression of sfs1 gene. $crp^{\ast}$ 유전자가 도입된 대장균 MK2001($crp^{{\ast}1}$}, cya::km)을 숙주로 사용하여 mal 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키는 유전자의 하나인 sfs1(sugar fermentation stimulation)의 구조해석 결과에 의하면, 잠정적인 sfs1의 promoter 영역에는 CRP 단백질과의 결합영역으로 보이는 염기배열이 존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sfs1 유전자의 cAMP-CRP에 의한 발현 조절을 확인하고자, lacZ 와의 융합 유전자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융합 유전자는 cya 결손주인 Tp2010에서 cAMP의 첨가에 의해 ${\beta}-galactosidase$ 활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Western blotting의 실험에서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in vivo에서 발현이 확인된 전사산물은 cAMP에 의해 전사 촉진이 일어났으며, CRP의 결합부위로 예상되는 DNA 영역은 cAMP가 존재하면 CRP 단백질과 결합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sfs1 유전자의 발현은 UMP-CRP에 의한 전사촉진 현상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